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무형문화재

색인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문화재를 말. 역사적으로나 예술적으로 높은 가치와 문화적 기능을 지닌 사람을 인간문화재로 지정하여 그 기능을 후계자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비용은 국가가 부. 무형문화재의 종류로는 연극·음악·무용·공예·무예·의식·놀이 등이 있.

43 처지: 모시, 무예, 각궁, 강령탈춤, 강릉 단오제, 강강술래, 밀양시, 범패, 고싸움놀이, 공예, 봉산탈춤, 북청사자놀음, 꼭두각시놀음, 대취타, 남사당, 나전칠기, 놀이, 단오, 승무, 승전무, 음악, 정길자, 종묘 제례악, 줄타기, 진주검무, 차전놀이, 처용무, , 추석, 판소리, 택견, 탈춤, 양주별산대놀이, 연극, 산조, 살풀이춤, 송파산대놀이, 통영오광대, 한복려, 한국의 궁중무용, 안동시, 하회별신굿탈놀이, 화살.

모시

모시는 저, 저마, 저. 모시풀 껍질의 섬유로 짠 옷감으로서 원래는 담록색을 띠지만 정련, 표백하여 하얗게 만. 질감이 깔깔하고 촉감이 차가우며, 빨리 말라 여름철 옷감으로 많이 이용.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모시 · 더보기 »

무예

무예(武藝)는 근대 이전의 전통적인 전투 기술에서 발전한, 심신 (心身)의 단련을 위한 체계적인 수련 방법을 말. 무술(武術), 무도(武道), 격투기(格鬪技) 등으로 부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무예 · 더보기 »

각궁

각궁(角弓)은 한반도의 전통적인 합성궁으로, 참나무, 산뽕나무, 물소뿔, 소힘줄, 대나무를 민어부레풀로 접합하여 만들었.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각궁 · 더보기 »

강령탈춤

강령탈춤(康翎탈춤)은 황해남도 강령군 강령읍에 전승되어 오던 탈춤으로 한국전쟁 뒤 월남한 연희자들에 의해 현재 서울에서 전승되고 있.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34호로 지정되어 있.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강령탈춤 · 더보기 »

강릉 단오제

The Gangneung Danoje Festival |.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강릉 단오제 · 더보기 »

강강술래

강강술래()는 전라도 지방에서 전하는 민속놀이로 국가무형문화재 제 8호이며, 2009년 9월에는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강강술래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밀양시 · 더보기 »

범패

범패(梵唄)는 절에서 재(齋)를 올릴 때 쓰는 음악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범패 · 더보기 »

고싸움놀이

싸움놀이는 한국의 민속놀이로 줄다리기의 변형으로서 주로 전라남도 지방에서 행해져 왔. 근래까지도 전남 장흥군·강진군·영암군 등지에서는 정월 보름날의 줄다리기대회에 앞서 재앙을 물리치고 복을 불러 평안하기를 비는 세시 풍속으로 이 고싸움놀이를 행. 이 놀이는 보통 줄다리기에 쓰이는 줄의 머리 부분의 둥근 고를 맞대어 결전시에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는 전초전(前哨戰)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고싸움놀이 · 더보기 »

공예

공예 공예(工藝)는 인간의 생활주변에서 주로 사용되며, 재료·의장(意匠)·기교 등에 의해서 미적 효과를 가진 도구와 기타 물품, 그리고 그 제작을 총칭.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공예 · 더보기 »

봉산탈춤

봉산탈춤(鳳山탈춤)은 황해도 봉산군에 전승되던 탈춤으로, 19세기말 이래로 해서(海西) 탈춤의 대표적인 놀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봉산탈춤 · 더보기 »

북청사자놀음

북청사자놀음(北靑獅子놀음)은 함경남도 북청 지방에서 정월대보름에 행해지던 사자놀이, 곧 탈놀음으로 북청군 전지역에서 행해졌.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북청사자놀음 · 더보기 »

꼭두각시놀음

꼭두각시놀음 또는 덜미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민속인형극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꼭두각시놀음 · 더보기 »

대취타

(大吹打)는 관악기와 타악기 등으로 편성되어 왕 또는 귀인의 행차 및 군대 행진에서 연주되던 군례악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대취타 · 더보기 »

남사당

right 남사당은 남사당패 연희종목인 농악, 줄타기, 땅재주, 가면극 등의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을 위한 조사 및 연구, 보유자 보호사업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2001년 12월 28일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남사당 · 더보기 »

나전칠기

각나전함 나전칠기(螺鈿漆器)란 목기(木器)의 바탕을 소재로 나전을 가공하고 부착하여 칠을 한 공예품을 말. 고유어로는 자개박이라고도 하며, 널리 대모(玳瑁), 호박, 상아, 보석등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나전칠기 · 더보기 »

놀이

브루겔, 어린이 유희(Kinderspiele), 1560년 놀이() 또는 유희(遊戱)는 인간이 재미을 얻기 위해 하는 활동을 말. 물질적 보상 또는 대가를 바라지 않고 하는 행위이며 외부의 강제에 의한 행위도 아니라는 점에서 노동이나 일과 구별되지만, 노동에도 유희적 측면이 있다고 보는 견해도 존재.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놀이 · 더보기 »

단오

오풍정 (端午風情) ― 신윤복 단오(端午)는 동아 명절의 하나로, 음력 5월 5일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단오 · 더보기 »

승무

승무(僧舞)는 승려들이 추는 속칭 '중춤'이라 하지만 불교의식에서 승려가 추는 춤이 아니고 흰 장삼에 붉은 가사를 어깨에 매고 흰 고깔을 쓰고 추는 민속춤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승무 · 더보기 »

승전무

승전무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21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승전무 · 더보기 »

음악

음악(音樂)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예술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음악 · 더보기 »

정길자

정길자(鄭吉子, 1948년~)는 한국의 요리 연구가이자 교육자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정길자 · 더보기 »

종묘 제례악

종묘 제례악의 일무 종묘 제례악()은 조선왕조 역대 임금과 왕후의 신위(神位)를 모신 종묘에 제사드릴 때 연주하는 기악·노래·무용의 총칭으로 '종묘악'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종묘 제례악 · 더보기 »

줄타기

줄타기를 하는 사람 줄타기는 곡예술의 일종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줄타기 · 더보기 »

진주검무

주검무(晋州劍舞)는 경상남도 진주 지방의 교방에서 전승되어 온 여성검무를 말. 진주검무는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되어 있.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진주검무 · 더보기 »

차전놀이

전놀이(車戰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24호로 지정된 경상북도 안동시 일대에서 행하던 민속놀이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차전놀이 · 더보기 »

처용무

Cheoyongmu |.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처용무 · 더보기 »

무용(舞踊), 무도(舞蹈)는 음악 또는 박자에 맞춰 몸을 움직이는 예술적 행위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춤 · 더보기 »

추석

석(秋夕)은 한가위, 중추(仲秋), 중추절(仲秋節), 가배일(嘉俳日)로 부르기도 하며, 음력 8월 15일에 치르는 명절로서 설날과 더불어 한국인에게 전통적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추석 · 더보기 »

판소리

소리(또는 소리)는 한 명의 소리꾼이 고수(북치는 사람)의 장단에 맞추어 소리(창), 아니리(말), 너름새(몸짓)을 섞어가며 구연(口演)하는 일종의 솔로 오. ‘판소리’는 ‘판’과 ‘소리’의 합성어로 ‘소리’는 ‘음악’을 말하고 ‘판’은 ‘여러 사람이 모인 곳’ 또는 ‘상황과 장면’을 뜻하는 것으로 ‘많은 청중들이 모인 놀이판에서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구광대가 병풍을 두르고 돗자리를 펼친 마당이나 공연장에서 짧게는 세 시간, 길게는 여섯 시간 정도 걸리는 긴 이야기를 몸짓을 섞어가며 고수의 북 반주에 맞춰 노래하는 한국 전통음악의 하나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판소리 · 더보기 »

택견

택견 또는 태껸은 한국의 전통의 민속놀이, 무술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택견 · 더보기 »

탈춤

은 한국의 각 지방에서 전해지는 탈을 쓰고 벌이는 전통 가면극을 말.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탈춤 · 더보기 »

양주별산대놀이

양주별산대놀이(楊州別山臺 -)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2호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양주별산대놀이 · 더보기 »

연극

공연 중인 배우들 연극(演劇) 또는 극(劇)은 배우가 무대 장치조명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연출자의 지도 아래 각본에 의해서 연기를 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예술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연극 · 더보기 »

산조

산조(散調)는 느린 장단으로부터 빠른 장단으로 연주하는 기악 독주의 민속 음악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산조 · 더보기 »

살풀이춤

살풀이춤은 무속 의식(巫俗儀式)에서 액(厄)을 풀어낸다는 뜻인 곧, 살(煞)을 푸는 춤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살풀이춤 · 더보기 »

송파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松坡山臺놀이)는 송파 지역에서 전승되던 탈놀이로, 놀이꾼들이 탈을 쓰고 재담, 춤, 노래, 연기를 하며 벌이는 연극적인 놀음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송파산대놀이 · 더보기 »

통영오광대

통영오광대는 영남지방의 오광대(五廣大)놀이 중의 하나로, 경상남도 통영시에 전해 오는 탈놀음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통영오광대 · 더보기 »

한복려

복려(韓福麗, 1947년 5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조선왕조 궁중음식 연구가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한복려 · 더보기 »

한국의 궁중무용

앵전 한국의 궁중무용은 궁중 진연(進宴)과 의식에 쓰던 무용으로 정재(呈才).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한국의 궁중무용 · 더보기 »

안동시

안동시(安東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북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북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안동시 · 더보기 »

하회별신굿탈놀이

회별신굿탈놀이(河回別神굿탈놀이)는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마을에서 12세기 중엽부터 상민(常民)들에 의해서 연희(演戱)되어온 탈놀이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하회별신굿탈놀이 · 더보기 »

화살

화살 현대에 쓰이는 다양한 화살촉. 화살은 활로 쏘는 뾰족한 비행 구조체이.

새로운!!: 무형문화재와 화살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무형 문화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