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허목

색인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415 처지: 도강영당, 도가, 도교, 동명성왕, 동평군, 동인, 동인 (붕당), 동사, 동사 (허목), 류자광, 류성룡, 마전군, 마산시, 목내선, 목장지도, 명나라, 명성왕후, 무 (시호), 무고의 옥, 문묘, 문화방송, 미수기언, 미연서원, 민정중, 민종도, 민유중, 민암, 반좌율, 갑술환국, 강릉시, 박승임, 강희맹, 박종관, 박진규, 박지계, 박지화, 강서, 강서리, 강원도, 강화도, 거창군, 경기도, 경기도의 기념물, 경국대전, 경상북도, 경상남도, 경연, 경신환국, 고구려,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 과거제, 복평군, 공조, 복창군, 복선군, 병자호란, 병조, 광주군, 북벌론, 북인, 권대운, 권상하, 권시, 불교, 부사, 규원사화, 귀후서, 기로소, 기자 (고조선), 기축옥사, 기사환국, 비변사, 김만중, 김굉필, 김우명, 김우옹, 김자점, 김장생, 김익훈, 김좌명, 김집 (1574년), 김태일 (1637년), 김수흥, 김수항, 김석주, 김석연 (1648년), 김성일, 김안로, 김안국, 대북, 대사헌,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대한제국 고종, 교사, 국내성, 국사편찬위원회, 둔전, 남구만, 남인, 나주 미천서원, 나주 임씨, 나주시, 노론, 단군, 단군세가, 효명옹주, 우의정, 우참찬, 승려, 승정원, 장렬왕후, 장령, 장기현,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재 (조선), 장현, 장현광, 장악서, 임제, 임진왜란, 임해군, 포천시, 흥선대원군, 희빈 장씨, 이경항 (1601년), 이광좌, 이담명, 이우뤼산, 이이, 이이명, 이이첨, 이익, 이익 (1681년), 이조, 이상좌, 이수경 (1627년), 이현일, 이언적, 이양무, 이산해, 이서우 (1633년), 이원익, 이원진, 이황, 인도, 인렬왕후, 인목왕후, 인조반정, 인현왕후 (드라마), 인헌왕후, 인선왕후, 음력 3월 12일, 의령군, 의금부, 의정, 의정부, 제조업, 제주, 전라남도, 전주 이씨, 전서, 정랑, 정렴, 정릉, 정묘호란, 정개청, 정구, 정구 (1543년), 정태화, 정여립, 정약용, 조경, 조광조, 조지서, 조선, 조선 목조,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정조,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숙종, 조선 현종, 조선 선조, 조선 세종, 조선 원종, 조식, 조식 (1501년), 좌의정, 좌참찬, 종묘, 주 무왕, 주부, 주나라, 주자, 중국, 진주, 진주 강씨, 참의, 참판, 창원시, 채제공, 청나라, 천연두, 충주시, 충청남도, 추증, 판서, 유계 집합, 유교, 유상운, 유형원, 유학, 윤동규, 윤문거, 윤효전, 윤승운, 윤증, 윤휴, 윤선도, 윤선거, 윤원거, 윤원형, 파주시, 상주시, 영남 지방, 영의정, 영창대군, 호남 지방, 호포, 예문관, 예조, 예송, 현령, 현감, 향교, 양녕대군, 양주군, 양천 허씨, 연천군, 허목, 허목 초상, 허견, 허균, 허교, 허자, 허의, 허적, 허준, 허유, 허후, 풍경화, 풍수, 사문난적, 사간원, 사복시, 사부학당, 사헌부, 사사, 사액, 사학자, 삼복의 옥, 삼국사기, 삼척 죽서루, 삼척 준경묘·영경묘, 삼척군, 삼척시, 삼수, 쓰촨성, 성리학, 성균관, 성주, 성호, 성혼, 서경덕, 서인, 서예, 서역, 송익필, 송준길, 송시열, 소론, 소태면, 소현세자, 소헌왕후, 함경남도, 한문, 한국 전쟁, 한성부, 안동 하회 충효당, 안정복, 학문, 신도비, 신증동국여지승람, 신후담, 신완, 실학, 심정 (1471년), 심지원, 시흥군, 시호, 원두표, 원주, 원산시, 훈구파, 홍우원, 홍수의 변, 황희, 환웅, 화가, 왕징면, SBS, 10월, 10월 24일, 10월 9일, 11월, 11월 10일, 11월 13일, 12월, 12월 11일, 12월 5일, 1496년, 1536년, 1551년, 1567년, 1575년, 1593년, 1595년, 1597년, 1613년, 1615년, 1617년, 1620년, 1624년, 1626년, 1628년, 1632년, 1636년, 1637년, 1638년, 1646년, 1647년, 1649년, 1650년, 1651년, 1652년, 1653년, 1655년, 1656년, 1657년, 1658년, 1659년, 1660년, 1661년, 1662년, 1665년, 1667년, 1668년, 1671년, 1672년, 1674년, 1675년, 1676년, 1677년, 1678년, 1679년, 1680년, 1682년, 1684년, 1688년, 1689년, 1690년, 1692년, 1694년, 1697년, 1701년, 1724년, 1795년, 1825년, 1863년, 1871년, 1883년, 1899년, 1904년, 1960년, 1988년, 1995년, 1월, 1월 13일, 1월 14일, 1월 25일, 1월 26일, 2월, 2월 3일, 3월, 3월 15일, 4월, 4월 21일, 4월 27일, 4월 6일, 5월, 5월 13일, 5월 15일, 6월, 6월 10일, 6월 16일, 6월 18일, 6월 21일, 6월 3일, 7월, 7월 10일, 7월 18일, 8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65 더) »

도강영당

강영당(道江影堂)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홍가신·허목·채제공의 영정을 봉안하고 제사를 모시는 곳이.

새로운!!: 허목와 도강영당 · 더보기 »

도가

노자상 도가(道家) 또는 노장사상(老莊思想)은 중국사상(中國思想)의 여명기인 춘추전국시대 이래 유가(儒家)와 함께 중국 철학의 두 주류를 이루었던 학파이.

새로운!!: 허목와 도가 · 더보기 »

도교

(道敎)는 고대 중국에서 발생한 종교로서, 신선사상을 근본으로 하여 음양오행복서무축참위 등을 더하고, 거기에 도가(道家)의 철학을 도입하고, 다시 불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

새로운!!: 허목와 도교 · 더보기 »

동명성왕

평양에 있는 동명성왕의 무덤 동명성왕(東明聖王) 또는 추모왕(鄒牟王, 기원전 58년 ~ 기원전 19년 음력 9월)은 고구려의 초대 태왕이.

새로운!!: 허목와 동명성왕 · 더보기 »

동평군

동평군 이항(東平君 李杭, 1660년 음력 4월 8일 ~ 1701년 음력 11월 8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겸 시인이자 서예가이.

새로운!!: 허목와 동평군 · 더보기 »

동인

동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동인 · 더보기 »

동인 (붕당)

동인(東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동인 (붕당) · 더보기 »

동사

동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동사 · 더보기 »

동사 (허목)

《동사(東事)》는 1667년 조선 현종 때 허목이 지은 사서이.

새로운!!: 허목와 동사 (허목) · 더보기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허목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허목와 류성룡 · 더보기 »

마전군

마전군(麻田郡)은 지금의 연천군 미산면 마전리를 중심으로 연천군의 미산면과 왕징면, 백학면에 있었던 경기도의 옛 군이.

새로운!!: 허목와 마전군 · 더보기 »

마산시

마산항의 공중 전망 2010년 7월 1일 통합 이전의 마산시 마산시(馬山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남부에 1949년부터 2010년까지 존재했던 시이.

새로운!!: 허목와 마산시 · 더보기 »

목내선

목내선(睦來善, 1617년 ~ 17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목내선 · 더보기 »

목장지도

목장지도(牧場地圖)는 조선 현종 4년(1663년) 당시의 사복시(司僕寺) 제조(提調)였던 허목이 그 이전에 작성되었던 목장지도를 보완해 편찬한 목장에 관한 지도책이.

새로운!!: 허목와 목장지도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허목와 명나라 · 더보기 »

명성왕후

명성왕후 김씨(明聖王后 金氏, 1642년 6월 13일/음력 5월 17일 ~ 1684년 1월 21일/1683년 음력 12월 5일)는 조선의 제18대 국왕인 현종의 정비(正妃)이자 숙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허목와 명성왕후 · 더보기 »

무 (시호)

무(武)는 시호에 쓰이는 글자.

새로운!!: 허목와 무 (시호) · 더보기 »

무고의 옥

무고의 옥(巫蠱-獄) 또는 신사옥사, 신사환국은 1701년(숙종 27) 희빈 장씨가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했다고 알려진 사건이.

새로운!!: 허목와 무고의 옥 · 더보기 »

문묘

문묘(文廟)는 문선왕묘(文宣王廟)의 약자로 공자묘(孔子廟)라고도 부른.

새로운!!: 허목와 문묘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허목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미수기언

《미수기언》(眉叟記言)은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許穆, 1595년~1682년 4월 27일)이 편찬한 책이.

새로운!!: 허목와 미수기언 · 더보기 »

미연서원

미연서원(嵋淵書院)은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서원이.

새로운!!: 허목와 미연서원 · 더보기 »

민정중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민정중 · 더보기 »

민종도

민종도(1633 ~ 1693)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민종도 · 더보기 »

민유중

민유중(閔維重, 1630년~1687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척신, 정치인으로 인현왕후의 친정아버지, 곧 숙종의 장인이.

새로운!!: 허목와 민유중 · 더보기 »

민암

민암(閔黯, 1636년 ~ 1694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민암 · 더보기 »

반좌율

반좌율(反坐律)은 무고죄를 범한 사람에게 무고한 내용에 기준하여 처벌하는 법에 따라 처벌을 받게 하는 법이.

새로운!!: 허목와 반좌율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허목와 갑술환국 · 더보기 »

강릉시

강릉시의 로고 강릉시(江陵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중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강릉시 · 더보기 »

박승임

박승임(朴承任, 1517년 ~ 1586년)은 조선 명종, 선조 때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박승임 · 더보기 »

강희맹

강희맹(姜希孟, 1424년 ~ 1483년)은 조선 초기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강희맹 · 더보기 »

박종관

박종관(朴鍾官, 1946년 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허목와 박종관 · 더보기 »

박진규

박진규(朴進圭, 1941년 12월 5일 ~,경상북도 영천 출생)은 대한민국의 전직 영천시장이.

새로운!!: 허목와 박진규 · 더보기 »

박지계

박지계(朴知誡, 1573년(선조 6) ∼ 1635년(인조 13))는 조선 중기, 후기의 유학자, 교육자이.

새로운!!: 허목와 박지계 · 더보기 »

박지화

박지화(朴枝華, 1513년~1592년)은 조선 중기의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박지화 · 더보기 »

강서

강서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허목와 강서 · 더보기 »

강서리

강서리는 다음 지역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리이.

새로운!!: 허목와 강서리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허목와 강원도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허목와 강화도 · 더보기 »

거창군

창군(居昌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허목와 거창군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경기도 · 더보기 »

경기도의 기념물

경기도 기념물은 시도기념물 중에서 경기도 내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허목와 경기도의 기념물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허목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경상북도 · 더보기 »

경상남도

경상남도(慶尙南道)는 대한민국 남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경상남도 · 더보기 »

경연

명 신종 경연 경연(經筵)은 왕에게 유학의 경서(經書)와 사서(史書)를 진강(進講)해 드리고 논의(論議)를 받는 학술제도이.

새로운!!: 허목와 경연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허목와 경신환국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허목와 고구려 · 더보기 »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步之華陽洞 不謁宋先生)은 조선 중기 이후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던 화양동 서원을 풍자한 유행어였.

새로운!!: 허목와 보지화양동 불알송선생 · 더보기 »

과거제

북송의 과거 과거(科擧)는 중국과 한국 등에서 시험을 치러서 관리를 뽑는 제도이.

새로운!!: 허목와 과거제 · 더보기 »

복평군

복평군(福平君,, 아명은 李棩, 1648년 ~ 1682년)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허목와 복평군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허목와 공조 · 더보기 »

복창군

복창군 이정(福昌君 李楨, 1641년 11월 ~ 1680년 5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왕족이.

새로운!!: 허목와 복창군 · 더보기 »

복선군

복선군(福善君, 본명은 이남(李柟), 아명(兒名)은 李楠, 1647년 ~ 1680년 5월 10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 겸 정치가이며 본관은 전주(全州)이.

새로운!!: 허목와 복선군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허목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병조 · 더보기 »

광주군

광주군은 한국에 존재했던 군이.

새로운!!: 허목와 광주군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새로운!!: 허목와 북벌론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허목와 북인 · 더보기 »

권대운

운(權大運, 1612년 ~ 16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권대운 · 더보기 »

권상하

수암 권상하 권상하(權尙夏, 1641년 - 1721년 9월 2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학자, 교육자로 효종, 현종, 숙종 때의 성리학자였.

새로운!!: 허목와 권상하 · 더보기 »

권시

시(權諰, 1604년~1672년)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유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권시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허목와 불교 · 더보기 »

부사

부사.

새로운!!: 허목와 부사 · 더보기 »

규원사화

《규원사화(揆園史話)》는 1675년에 북애자(北崖子)가 저술하였다는 역사서 형식의 사화(史話)로, 상고시대와 단군조선의 임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

새로운!!: 허목와 규원사화 · 더보기 »

귀후서

후서(歸厚署)는 조선시대의 관청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허목와 귀후서 · 더보기 »

기로소

소(耆老所)는 조선시대에 연로한 문신(文臣)들을 예우하기 위해 설치한 명예기구이.

새로운!!: 허목와 기로소 · 더보기 »

기자 (고조선)

자(箕子, ? ~ ?)는 중국 상나라 문정(文丁)의 아들, 왕족이자 기자조선의 시조로 알려져 있는 전설상의 인물이.

새로운!!: 허목와 기자 (고조선)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허목와 기축옥사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새로운!!: 허목와 기사환국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허목와 비변사 · 더보기 »

김만중

만중(金萬重, 1637년 ~ 1692년)은 조선 문신이자, 소설가이.

새로운!!: 허목와 김만중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허목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우명

우명 김우명(金佑明, 1619년 ~ 1675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허목와 김우명 · 더보기 »

김우옹

우옹(金宇顒, 1540년 ~ 1603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김우옹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허목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좌명

좌명(金佐明, 1616년 ~ 1671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서예가이.

새로운!!: 허목와 김좌명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허목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태일 (1637년)

일(金兌一, 1637년 ~ 1702년)은 조선시대 현종, 숙종 때의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김태일 (1637년) · 더보기 »

김수흥

수흥(金壽興, 1626년-169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의정부우의정, 영의정을.

새로운!!: 허목와 김수흥 · 더보기 »

김수항

수항(金壽恒, 1629년(인조 7년) ∼ 1689년(숙종 15년) 4월 9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 학자, 본관은 (신)안동(安東)으로 좌의정 청음 김상헌(金尙憲)의 손자이며 인목대비는 그의 이모할머니였고 영창대군과 정명공주는 이종숙과 외종이모였.

새로운!!: 허목와 김수항 · 더보기 »

김석주

석주(金錫冑, 1634년 ~ 1684년 9월 20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외척, 권신, 작가이자 비상한 머리와 수완을 지닌 책사로서, 당시 명성왕후 김씨를 도와 정국을 주. 경신대출척이 그의 작품이.

새로운!!: 허목와 김석주 · 더보기 »

김석연 (1648년)

석연(金錫衍, 1648년~1723년 8월 17일)은 조선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허목와 김석연 (1648년) · 더보기 »

김성일

성일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허목와 김성일 · 더보기 »

김안로

안로(金安老, 1481년 ~ 1537년 10월 2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외척이.

새로운!!: 허목와 김안로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김안국 · 더보기 »

대북

북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허목와 대북 · 더보기 »

대사헌

사헌(大司憲)은 도헌(都憲) 또는 대헌(大憲)이.

새로운!!: 허목와 대사헌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은 대한민국 국회의 의원으로, 국회의 구성원이.

새로운!!: 허목와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허목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교사

유치원생들을 수업 중인 교사 교사(敎師)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사람으로, 일반적으로 국가에서 정한 법령에 따라 자격증을 갖추고 학생에게 국가에서 지정한 과목, 종목의 교육 이수의 과정에서 이끌어주거나 도움을 주거나 설명을 하는 사람을 말. 좁게는 교육공무원으로 임용된 자 또는 교사자격증(교원자격증2급)을 소지한 자, 국공립학교의 교원과 사립학교의 교원을 부르며 넓게는 이들을 비롯하여 대학교와 전문대학 그리고 대학교원의 교수(敎授) 등을.

새로운!!: 허목와 교사 · 더보기 »

국내성

국내성(國內城)은 고구려 제2대 유리왕 22년(서기 3년)부터 장수왕 15년(427년) 평양성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 고구려는 이곳을 중심으로 영토를 넓히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어.

새로운!!: 허목와 국내성 · 더보기 »

국사편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國史編纂委員會,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는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교육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국사편찬위원회 · 더보기 »

둔전

전(屯田)은 변경 지역이나 군사 요충지에 주둔한 군대의 경비를 마련하기 위해 경작하는 토지이.

새로운!!: 허목와 둔전 · 더보기 »

남구만

만 초상 남구만(南九萬, 1629년 ~ 1711년)은 조선의 문신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허목와 남구만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허목와 남인 · 더보기 »

나주 미천서원

주 미천서원(羅州 眉泉書院)은 전라남도 나주시 안창동에 있는 서원이.

새로운!!: 허목와 나주 미천서원 · 더보기 »

나주 임씨

주 임씨(羅州 林氏)는 전라남도 나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허목와 나주 임씨 · 더보기 »

나주시

주시(羅州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나주시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새로운!!: 허목와 노론 · 더보기 »

단군

(檀君 또는 壇君) 또는 단군왕검(檀君王儉)은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국조(國祖)이.

새로운!!: 허목와 단군 · 더보기 »

단군세가

《단군세가》(檀君世家)는 조선 시대 우의정을 지낸 허목(許穆, 1595년~1682년 4월 27일)이 편찬한 책이.

새로운!!: 허목와 단군세가 · 더보기 »

효명옹주

효명옹주(孝明翁主, 1637년 ~ 1700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허목와 효명옹주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허목와 우의정 · 더보기 »

우참찬

우참찬(右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정헌대부 또는 자헌대부로 정원은 1명이.

새로운!!: 허목와 우참찬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새로운!!: 허목와 승려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승정원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허목와 장렬왕후 · 더보기 »

장령

장령(掌令)은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허목와 장령 · 더보기 »

장기현

장기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장기현 · 더보기 »

장희빈 (1995년 드라마)

《장희빈》은 SBS에서 1995년 2월 20일부터 9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 밤에 방영한 드라마이.

새로운!!: 허목와 장희빈 (1995년 드라마) · 더보기 »

장희재 (조선)

장희재(張希載, 1651년승정원일기 숙종 27년(1701년) 11월 2일 기록에 장희재의 나이가 51세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1651년 생임을 알 수 있다. ~ 1701년 10월 29일)는 조선 후기 무관이자 숙종의 척신으로 옥산부대빈 장씨의 동복 오빠이자 경종의 외삼촌이.

새로운!!: 허목와 장희재 (조선) · 더보기 »

장현

장현은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허목와 장현 · 더보기 »

장현광

여헌 장현광 영정 (18세기 이모본) 여헌 장현광 영정 (1633년작) 장현광(張顯光, 1554년 ~ 1637년 9월 7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학자, 문신, 정치인, 철학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허목와 장현광 · 더보기 »

장악서

장악원(掌樂院) 터. 서울 중구 명동, 외환은행 본점 앞에 있다. 장악서(掌樂署)는 고려와 조선 시대 음악에 관한 일을 맡아 보던 관청이.

새로운!!: 허목와 장악서 · 더보기 »

임제

임제(林悌, 1549년 12월 8일(음력 11월 20일)~1587년 9월 13일(음력 8월 11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 3대 천재시인이.

새로운!!: 허목와 임제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허목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임해군

임해군(臨海君,, 李珒, 1572년 9월 20일(음력 8월 14일) ~ 1609년 6월 3일(음력 5월 2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 공신이.

새로운!!: 허목와 임해군 · 더보기 »

포천시

시(抱川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포천시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허목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희빈 장씨

희빈 장씨(禧嬪 張氏, 1659년 11월 3일 (음력 9월 19일) ~ 1701년 11월 7일 (음력 10월 8일)), 장희빈(張禧嬪) 또는 옥산부대빈 장씨(玉山府大嬪 張氏)는 조선의 제19대 왕 숙종의 빈(嬪)으로, 제20대 왕 경종(景宗)의 어머니이.

새로운!!: 허목와 희빈 장씨 · 더보기 »

이경항 (1601년)

이경항(李慶恒, 1601년 1월 12일 - 1643년 10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으로 자(字)는 사상(士常)·중구(中久)이고 본관은 우계(羽溪)이.

새로운!!: 허목와 이경항 (1601년) · 더보기 »

이광좌

이광좌(李光佐, 1674년 ~ 1740년)는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이광좌 · 더보기 »

이담명

이담명(李聃命, 1646년 ~ 170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실학자이자 시인이며 청백리이.

새로운!!: 허목와 이담명 · 더보기 »

이우뤼산

이우뤼 산 이우뤼 산(의무려산), 또는 간단히 뤼 산(려산)은 중국 동북부의 3대명산의 하나로, 랴오닝 성 진저우 시에 속하는 베이전 시(北鎮市)의 5킬로미터 서쪽에 있. 최고봉은 해발 867 미터이.

새로운!!: 허목와 이우뤼산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이이 · 더보기 »

이이명

이이명(李頤命, 1658년 ~ 1722년 4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출신 문신·정치인·학자로 노론 4대신의 한사람이.

새로운!!: 허목와 이이명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익

이익(利益)은 단순히 말해 수입에서 지출을 뺀 현금흐름(캐시 플로, cash flow)을 가리.

새로운!!: 허목와 이익 · 더보기 »

이익 (1681년)

이익(李瀷, 1681년 10월 18일 ~ 1763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사상가, 철학자, 실학자, 역사가, 교육자로 조선 영조 때의 남인(南人) 실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이익 (1681년)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이조 · 더보기 »

이상좌

이상좌(李上佐)는 조선의 화가이.

새로운!!: 허목와 이상좌 · 더보기 »

이수경 (1627년)

이수경(李壽慶, 1627년 ~ 168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이수경 (1627년) · 더보기 »

이현일

이현일(李玄逸, 1627년 1월 11일 - 1704년 10월 3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남인 중신 문신, 정치인, 유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이현일 · 더보기 »

이언적

이언적(李彦迪, 1491년 11월 25일 ~ 1553년 11월 23일)은 조선의 성리학자이자 정치가이.

새로운!!: 허목와 이언적 · 더보기 »

이양무

이양무(李陽茂, ? ~ 고종 18년(1231년))는 본관은 전주(全州)로 전라북도 전주에서 태어나 장군(將軍)을.

새로운!!: 허목와 이양무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새로운!!: 허목와 이산해 · 더보기 »

이서우 (1633년)

이서우(李瑞雨, 1633년 3월 1일 ~ 1709년 10월 14일)는 조선 후기의 문신, 시인, 작가, 서예가이.

새로운!!: 허목와 이서우 (1633년)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이원익 · 더보기 »

이원진

이원진(李元鎭, 1594년 ~ 1665년)은 조선의 문신(文臣)이.

새로운!!: 허목와 이원진 · 더보기 »

이황

이황(李滉, 1502년 1월 3일(1501년 음력 11월 25일) ~ 1571년 1월 3일(1570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이다.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이언적, 이이, 송시열, 박세채, 김집과 함께 문묘 종사와 종묘 배향을 동시에 이룬 6현 중 한 사람이다. 이언적의 사상을 이어받아 영남학파의 중추적 학자가 되었으며 나아가 한국을 대표하는 성리학자가 되었다. 학맥은 동서 분당 뒤에 동인의 핵심을 이루고, 다시 동인이 남인-북인으로 갈릴 때, 이황 제자들은 남인, 조식 제자들은 북인을 이룬다. 한편 그의 저술 중 일부는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약탈해갔는데,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새로운!!: 허목와 이황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허목와 인도 · 더보기 »

인렬왕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

새로운!!: 허목와 인렬왕후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허목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허목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인현왕후 (드라마)

《인현왕후》는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의 여덟 번째 작품으로, 1988년 1월 13일부터 10월 13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허목와 인현왕후 (드라마) · 더보기 »

인헌왕후

인헌왕후 구씨(仁獻王后, 1578년 4월 17일 ~ 1626년 1월 14일)는 조선의 추존왕인 원종의 정비(正妃)이자 조선의 16대 왕 인조의 어머니이.

새로운!!: 허목와 인헌왕후 · 더보기 »

인선왕후

인선왕후 장씨(仁宣王后 張氏, 1619년 2월 9일(1618년 음력 12월 25일) ~ 1674년 3월 19일(음력 2월 23일))는 조선의 왕후로, 효종의 정비(正妃)이자 현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허목와 인선왕후 · 더보기 »

음력 3월 12일

음력 3월 12일은 음력 3월의 12번째 날이.

새로운!!: 허목와 음력 3월 12일 · 더보기 »

의령군

의령군(宜寧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앙에 있는 군이.

새로운!!: 허목와 의령군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

의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의정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의정부 · 더보기 »

제조업

300px 제조업(製造業, manufacturing)은 원재료를 인력이나 기계력 및 여러 다른 힘으로 가공하여 제품을 대량 생산 및 제공하는 산업이.

새로운!!: 허목와 제조업 · 더보기 »

제주

제주는 다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허목와 제주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전주 이씨

전주 이씨(全州 李氏)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허목와 전주 이씨 · 더보기 »

전서

전서(篆書)는 한자 서체의 종류 중. 고문의 자체와 서풍이 정리된 것으로서 대전(大篆)·소전(小篆)의 2종이 있. 대전은 주문(籒文)이라고도 불리고 주(周)의 사주(史籒)가 만들었다고도 전. 소전은 대전의 체세(體勢)를 길게, 점획(点劃)를 방정하게 하여 서사(書寫)를 편리하게 한 것으로서 진시황제의 문자통일 때에 승상 이사(李斯)가 창시하였다고 전. 분류:한자 서체 분류:서예.

새로운!!: 허목와 전서 · 더보기 »

정랑

정랑(正郞)은 조선시대 육조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이.

새로운!!: 허목와 정랑 · 더보기 »

정렴

정렴(鄭磏, 1506년 ~ 1549년)은 조선 중기의 유의(儒醫), 문신(文臣), 학자(學者), 문장가(文章家), 산수화가(山水畵家)이.

새로운!!: 허목와 정렴 · 더보기 »

정릉

정릉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정릉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허목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개청

정개청(鄭介淸, 1529년 ~ 1590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정개청 · 더보기 »

정구

정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정구 · 더보기 »

정구 (1543년)

정구(鄭逑, 1543년 7월 9일 ~ 1620년 1월 5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철학자, 역사학자, 작가, 서예가, 의학자이자 임진왜란기의 의병장이.

새로운!!: 허목와 정구 (1543년)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정태화 · 더보기 »

정여립

정여립(鄭汝立, 1546년 ~ 1589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정여립 · 더보기 »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시호는 문도(文度)이다.

새로운!!: 허목와 정약용 · 더보기 »

조경

Central park, New Yorkhttp://landscape.links.bg/ Landscape architecture 조경(造景, landscape architecture)은 인간에 의해 환경을 아름답고 가치있게 기획, 설계, 관리, 보존, 재생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허목와 조경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허목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지서

조지서(趙之瑞, 1454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호는 지족(知足), 본관은 임천이.

새로운!!: 허목와 조지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목조

목조(穆祖, ? ~ 1274년)는 고려의 문신으로, 조선시대 추존왕이자 익조(翼祖)의 아버지이며,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목조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정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 원종

원종(元宗, 1580년 8월 2일/음력 6월 22일 ~ 1619년 음력 12월 29일)은 조선 시대 중기의 왕자, 공신, 왕족이자 추존왕으로 대원군에서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새로운!!: 허목와 조선 원종 · 더보기 »

조식

조식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허목와 조식 · 더보기 »

조식 (1501년)

조식(曺植, 1501년 7월 10일(음력 6월 26일) ~ 1572년 2월 21일(음력 2월 8일))은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이고 영남학파의 거두이.

새로운!!: 허목와 조식 (1501년)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허목와 좌의정 · 더보기 »

좌참찬

좌참찬(左參贊)은 조선시대 의정부에 소속된 정2품 관직이고, 정원은 1명이.

새로운!!: 허목와 좌참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허목와 종묘 · 더보기 »

주 무왕

주 무왕(周 武王)은 주나라의 제1대 왕이.

새로운!!: 허목와 주 무왕 · 더보기 »

주부

주부(主婦)는 일반적으로 가사 · 육아를 주로하는 기혼 여성을 말.

새로운!!: 허목와 주부 · 더보기 »

주나라

주(周, 기원전 1046년 ~ 기원전 256년)나라는 상나라를 이어 중국에 존재했던 나라이.

새로운!!: 허목와 주나라 · 더보기 »

주자

주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을 말한다.

새로운!!: 허목와 주자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허목와 중국 · 더보기 »

진주

주 목걸이 진주 (眞珠/珍珠, Pearl)는 진주조개, 대합, 전복 등의 체내에 생기는 딱딱한 덩어리이.

새로운!!: 허목와 진주 · 더보기 »

진주 강씨

주 강씨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진주 강씨 · 더보기 »

참의

의(參議)는 관직의 이름으로, 조선과 전근대 및 메이지 시대의 일본에 존재.

새로운!!: 허목와 참의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새로운!!: 허목와 참판 · 더보기 »

창원시

창원시청사 창원시(昌原市)는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경상남도청 소재지이.

새로운!!: 허목와 창원시 · 더보기 »

채제공

제공(蔡濟恭, 1720년 ~ 1799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채제공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허목와 청나라 · 더보기 »

천연두

연두(天然痘) 또는 두창(痘瘡), 마마(媽媽, smallpox)는 천연두바이러스(바리올라 마요르) 또는 작은마마바이러스(바리올라 미노르) 중 하나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전염병이었.

새로운!!: 허목와 천연두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충주시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새로운!!: 허목와 추증 · 더보기 »

판서

서(判書)는 조선의 정 2품 당상관직이며, 행정을 맡아보는 주요 관서인 육조의 우두머리 관직이.

새로운!!: 허목와 판서 · 더보기 »

유계 집합

위의 집합은 유계집합이지만, 아래는 유계가 아닌 집합 수학에서, 유계 집합(有界集合)은 유한한 영역을 가지는 집합이.

새로운!!: 허목와 유계 집합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허목와 유교 · 더보기 »

유상운

상운(柳尙運, 1636년 ~ 1707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며, 숙종 때 영의정을.

새로운!!: 허목와 유상운 · 더보기 »

유형원

유형원(柳馨遠, 1622년 3월 2일(음력 1월 21일) ~ 1673년 5월 5일(음력 3월 19일))은 조선 중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이.

새로운!!: 허목와 유형원 · 더보기 »

유학

유학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유학 · 더보기 »

윤동규

윤동규 (尹東奎, 1695년 ~ 1773년) 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윤동규 · 더보기 »

윤문거

윤문거(尹文擧, 1606년 ~ 1672년)는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윤문거 · 더보기 »

윤효전

윤효전 영정 윤효전(尹孝全, 1563년 - 1619년)은 조선중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윤효전 · 더보기 »

윤승운

윤승운(尹勝雲, 1943년 8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만화가로, 함경북도 종성에서 출생하였.

새로운!!: 허목와 윤승운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허목와 윤증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허목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윤선거 · 더보기 »

윤원거

윤원거(尹元擧, 1601년 ~ 1672년)는 조선의 후기의 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윤원거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허목와 윤원형 · 더보기 »

파주시

주시(坡州市)는 대한민국 경기도의 서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파주시 · 더보기 »

상주시

상주시(尙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상주시 · 더보기 »

영남 지방

영남 지방(嶺南地方)은 소백산맥 동남부에 위치한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허목와 영남 지방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허목와 영의정 · 더보기 »

영창대군

영창대군(永昌大君, 1606년 4월 12일/음력 3월 6일 ~ 1614년 3월 19일/음력 2월 10일)은 조선 중기의 왕자로, 조선 제14대 왕 선조와 그의 계비 인목왕후의 아들이.

새로운!!: 허목와 영창대군 · 더보기 »

호남 지방

호남 지방 호남 지방(湖南地方)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일대를 가리키는 한국의 지역 구분 용어이.

새로운!!: 허목와 호남 지방 · 더보기 »

호포

호포(戶布)는 호(戶)를 단위로 면포(綿布)나 저포(紵布)를 징수하던 세제(稅制)이.

새로운!!: 허목와 호포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허목와 예문관 · 더보기 »

예조

예조(禮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예조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새로운!!: 허목와 예송 · 더보기 »

현령

현령(縣令)은 현(縣)의 으뜸 벼슬이.

새로운!!: 허목와 현령 · 더보기 »

현감

현감(縣監)은 조선 시대 현의 우두머리.

새로운!!: 허목와 현감 · 더보기 »

향교

경주향교 향교(鄕校)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있었던 국립 지방 교육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향교 · 더보기 »

양녕대군

양녕대군(讓寧大君, 1394년 ~ 1462년 9월 7일)은 조선 시대 초기의 왕세자이자 왕족, 정치인, 화가, 시인이.

새로운!!: 허목와 양녕대군 · 더보기 »

양주군

양주군(楊州郡)은 경기도 양주시의 이전 행정구역이.

새로운!!: 허목와 양주군 · 더보기 »

양천 허씨

양천 허씨(陽川 許氏)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를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

새로운!!: 허목와 양천 허씨 · 더보기 »

연천군

연천군(漣川郡)은 대한민국 경기도의 북부에 위치하고 있는 군이.

새로운!!: 허목와 연천군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허목와 허목 · 더보기 »

허목 초상

목 초상(許穆 肖像)은 강원도 춘천시 국립춘천박물관에 있는 조선시대의 초상화이.

새로운!!: 허목와 허목 초상 · 더보기 »

허견

(許堅, ? ~ 168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허견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허목와 허균 · 더보기 »

허교

영정 허교(許喬, 1567년 8월 21일 ~ 1632년 12월 2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허교 · 더보기 »

허자

자의 글씨 허자(許磁, 1496년 음력 윤 3월 13일 ~ 1551년 3월 14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허자 · 더보기 »

허의

의(許儀, ? ~ 263년)는 중국 삼국 시대 위나라의 무장이.

새로운!!: 허목와 허의 · 더보기 »

허적

적(許積, 1610년 ~ 1680년 5월 11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허적 · 더보기 »

허준

준(許浚, 1539년~1615년)은 조선 중기의 의관·의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허준 · 더보기 »

허유

유(許攸, ? ~ 204년)는 중국 후한 말 원소 휘하의 모사로 자는 자원(子遠)《위략(魏略)》 이며 형주 남양군《삼국지(三國志)》 사람이.

새로운!!: 허목와 허유 · 더보기 »

허후

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허후 · 더보기 »

풍경화

미스토클레스 폰 에켄브레흐(독일, 1842–1921), 송네 피요르드''에서 본 라에달소렌의 풍경, 1901 풍경화(風景畫, landscape art)는 산과 계곡, 나무와 강 그리고 숲 등과 같은 자연 풍경을 그린 그림을 나타내는 용어이.

새로운!!: 허목와 풍경화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허목와 풍수 · 더보기 »

사문난적

사문난적(斯文亂賊)이란 고려와 조선시대에 성리학 또는 유교 이념에 반대하는 사람 또는 사상을 비난, 공격하는 용어였.

새로운!!: 허목와 사문난적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사간원 · 더보기 »

사복시

사복시(司僕寺)는 조선시대 왕이 타는 말, 수레 및 마구와 목축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새로운!!: 허목와 사복시 · 더보기 »

사부학당

사학(四學)은 조선시대의 교육 기관으로 중등 정도의 교육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사부학당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허목와 사헌부 · 더보기 »

사사

사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사사 · 더보기 »

사액

사액은 다음 여러 뜻을.

새로운!!: 허목와 사액 · 더보기 »

사학자

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에 살았던 그리스의 사학자이며 작품이 생존하는 초기 사학자들 가운데 하나이다. 사학자(史學者) 또는 역사가(歷史家)는 과거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는 사람으로서, 그에 대한 권위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사람이.

새로운!!: 허목와 사학자 · 더보기 »

삼복의 옥

삼복의 옥(三福-獄)은 조선 숙종때의 정승 허적(許積)의 서자 허견이 종실 복창군(福昌君), 복선군(福善君), 복평군(福平君)의 3형제와 역모를 꾸민다고 고변하면서 발생한 사건이.

새로운!!: 허목와 삼복의 옥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허목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척 죽서루

삼척 죽서루(三陟 竹西樓)는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한 누각으로 보물 213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동팔경 중의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삼척 죽서루 · 더보기 »

삼척 준경묘·영경묘

삼척 준경묘·영경묘(三陟 濬慶墓·永慶墓)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5대조 이양무 장군의 묘인 준경묘와 장군의 부인 평창 이씨의 묘인 영경묘의 묘역으로, 조선 왕조 최고의 선대묘이.

새로운!!: 허목와 삼척 준경묘·영경묘 · 더보기 »

삼척군

삼척군(三陟郡)은 1895년 6월 23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 존재했던 강원도 동해안의 군이.

새로운!!: 허목와 삼척군 · 더보기 »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시이.

새로운!!: 허목와 삼척시 · 더보기 »

삼수

삼수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삼수 · 더보기 »

쓰촨성

사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성(省)이.

새로운!!: 허목와 쓰촨성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허목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새로운!!: 허목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주

성주(城主, castellan, constable)는 성주령(castellany)을 봉읍으로 삼는 귀족이자 그 성주령의 중심지인 성관의 주인이.

새로운!!: 허목와 성주 · 더보기 »

성호

성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성호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성혼 · 더보기 »

서경덕

서경덕(徐敬德, 1489년 3월 18일(음력 2월 17일)~1546년 8월 13일(음력 7월 7일))은 조선 중기의 학자로서, 주기파(主氣派)의 거유이.

새로운!!: 허목와 서경덕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서인 · 더보기 »

서예

서예(書藝)란 붓으로 글씨를 쓰는 예술을 말. 중국에서 발생한 예술형식의 하나로서 한국 및 일본에 전래되어 한자뿐만 아니라 해당 나라의 글씨체 (한글, 가나)를 예술적으로 종이 위에 표현하는 기술적 측면을 넘어서,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예컨대 문인화) 인정받고 있. 이런 측면에서 서도(書道).

새로운!!: 허목와 서예 · 더보기 »

서역

투르케스탄 서역 관련 지도: 타클라마칸 사막은 타림 분지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서역(西域)은 중국에 인접한 서방 지역을 총칭하는 것으로 보통 톈산 산맥(天山山脈)쿤룬 산맥(崑崙山脈)에 둘러싸인 타림분지의 일대와 파미르 고원을 중심으로 하여 이에 연속된 투르케스탄(Turkestan) 지역을 포함하여 가리.

새로운!!: 허목와 서역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허목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허목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송시열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새로운!!: 허목와 소론 · 더보기 »

소태면

소태면(蘇台面)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하는 면이.

새로운!!: 허목와 소태면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허목와 소현세자 · 더보기 »

소헌왕후

소헌왕후 심씨(昭憲王后 沈氏, 1395년 10월 12일 (음력 9월 28일) ~ 1446년 4월 19일 (음력 3월 24일))는 조선 세종의 왕비이.

새로운!!: 허목와 소헌왕후 · 더보기 »

함경남도

경남도(咸鏡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동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허목와 함경남도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허목와 한문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허목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허목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동 하회 충효당

안동 하회 충효당(安東 河回 忠孝堂)은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생가이.

새로운!!: 허목와 안동 하회 충효당 · 더보기 »

안정복

안정복(安鼎福, 1712년 ~ 1791년 7월 20일)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 성리학자, 작가, 역사가, 수필가이.

새로운!!: 허목와 안정복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허목와 학문 · 더보기 »

신도비

신도비(神道碑)는 사자(死者)의 묘로(墓路), 즉 신령의 길(신도:神道)인 무덤 남동쪽에 남쪽을 향하여 묘 앞에 사람의 삶을 기록하여 세운 비를 말.

새로운!!: 허목와 신도비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허목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후담

신후담(愼後聃, 1702년 ~ 1761년)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실학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허목와 신후담 · 더보기 »

신완

신완(申琓, 1646년 ~ 1707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신완 · 더보기 »

실학

실학(實學)은 17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전반에 걸쳐 대두된 일련의 현실개혁적 조선 유학의 학풍을 말. 한편 실학에 반해 기존의 유학을 “성명의리지학”이라고도 부른.

새로운!!: 허목와 실학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허목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심지원

심지원(沈之源, 1593년 ~ 1662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허목와 심지원 · 더보기 »

시흥군

시흥군(始興郡)은 1895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던 경기도의 행정 구역이.

새로운!!: 허목와 시흥군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허목와 시호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허목와 원두표 · 더보기 »

원주

원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허목와 원주 · 더보기 »

원산시

원산시(元山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동해안 영흥만에 있는 시이자 강원도 인민위원회의 소재지이.

새로운!!: 허목와 원산시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허목와 훈구파 · 더보기 »

홍우원

홍우원(洪宇遠, 1605년 7월 29일 ∼ 1687년 7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학자이며 남인 중진이었.

새로운!!: 허목와 홍우원 · 더보기 »

홍수의 변

홍수의 변(紅袖之變)은 조선 숙종 1년,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의 아들인 종친 복창군과 복평군이 궁녀와 간통하여 자식을 보았다는 청풍부원군 김우명의 거짓 고발로 발발한 사건이.

새로운!!: 허목와 홍수의 변 · 더보기 »

황희

황희(黃喜, 1363년 3월 8일 (음력 2월 22일) ~ 1452년 2월 28일 (음력 2월 8일))는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 재상이.

새로운!!: 허목와 황희 · 더보기 »

환웅

환웅(桓雄)은 단군의 아버지로 전해지는 신화상의 인물로, 단웅(檀雄) 또는 신웅(神雄)이.

새로운!!: 허목와 환웅 · 더보기 »

화가

화가(畫家)는 회화를 제작하는 사람의 총칭이.

새로운!!: 허목와 화가 · 더보기 »

왕징면

왕징면(旺澄面)은 경기도 연천군의 면이.

새로운!!: 허목와 왕징면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허목와 SBS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허목와 10월 · 더보기 »

10월 24일

10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7번째(윤년일 경우 29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0월 24일 · 더보기 »

10월 9일

10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2번째(윤년일 경우 28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0월 9일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허목와 11월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1월 10일 · 더보기 »

11월 13일

1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7번째(윤년일 경우 3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1월 13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허목와 12월 · 더보기 »

12월 11일

1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5번째(윤년일 경우 34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2월 11일 · 더보기 »

12월 5일

12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9번째(윤년일 경우 34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2월 5일 · 더보기 »

14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허목와 1496년 · 더보기 »

153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허목와 1536년 · 더보기 »

15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허목와 1551년 · 더보기 »

156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허목와 1567년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허목와 1575년 · 더보기 »

1593년

15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593년 · 더보기 »

1595년

15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595년 · 더보기 »

1597년

15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597년 · 더보기 »

1613년

16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13년 · 더보기 »

1615년

16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15년 · 더보기 »

1617년

16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17년 · 더보기 »

1620년

16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20년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24년 · 더보기 »

1626년

162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26년 · 더보기 »

1628년

162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28년 · 더보기 »

1632년

163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32년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36년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37년 · 더보기 »

1638년

163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38년 · 더보기 »

1646년

164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46년 · 더보기 »

1647년

164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47년 · 더보기 »

1649년

164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49년 · 더보기 »

1650년

165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0년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1년 · 더보기 »

1652년

165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2년 · 더보기 »

1653년

165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3년 · 더보기 »

1655년

165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5년 · 더보기 »

1656년

165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6년 · 더보기 »

1657년

165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7년 · 더보기 »

1658년

165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8년 · 더보기 »

1659년

165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59년 · 더보기 »

1660년

166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0년 · 더보기 »

1661년

166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1년 · 더보기 »

1662년

166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2년 · 더보기 »

1665년

166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5년 · 더보기 »

1667년

166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7년 · 더보기 »

1668년

1668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68년 · 더보기 »

1671년

167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1년 · 더보기 »

1672년

167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2년 · 더보기 »

1674년

167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4년 · 더보기 »

1675년

167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5년 · 더보기 »

1676년

167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6년 · 더보기 »

1677년

167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7년 · 더보기 »

1678년

167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8년 · 더보기 »

1679년

167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79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80년 · 더보기 »

1682년

168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82년 · 더보기 »

1684년

168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84년 · 더보기 »

1688년

168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88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89년 · 더보기 »

1690년

169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90년 · 더보기 »

1692년

169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692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94년 · 더보기 »

1697년

169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697년 · 더보기 »

1701년

170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701년 · 더보기 »

1724년

172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724년 · 더보기 »

1795년

179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795년 · 더보기 »

1825년

182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825년 · 더보기 »

1863년

186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863년 · 더보기 »

1871년

187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871년 · 더보기 »

1883년

188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883년 · 더보기 »

1899년

189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899년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904년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960년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허목와 1988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허목와 1995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1월 · 더보기 »

1월 13일

1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번째(윤년일 경우도 1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월 13일 · 더보기 »

1월 14일

1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4번째(윤년일 경우도 1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월 14일 · 더보기 »

1월 25일

1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5번째(윤년일 경우도 2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월 25일 · 더보기 »

1월 26일

1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번째(윤년일 경우도 2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1월 26일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허목와 2월 · 더보기 »

2월 3일

2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번째(윤년일 경우도 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2월 3일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허목와 3월 · 더보기 »

3월 15일

3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4번째(윤년일 경우 7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3월 15일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새로운!!: 허목와 4월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4월 21일 · 더보기 »

4월 27일

4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7번째(윤년일 경우 11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4월 27일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4월 6일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5월 · 더보기 »

5월 13일

5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3번째(윤년일 경우 13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5월 13일 · 더보기 »

5월 15일

5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5번째(윤년일 경우 13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5월 15일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허목와 6월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6월 10일 · 더보기 »

6월 16일

6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7번째(윤년일 경우 16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6월 16일 · 더보기 »

6월 18일

6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9번째(윤년일 경우 17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6월 18일 · 더보기 »

6월 21일

6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2번째(윤년일 경우 17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6월 21일 · 더보기 »

6월 3일

6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6월 3일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허목와 7월 · 더보기 »

7월 10일

7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1번째(윤년일 경우 1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7월 10일 · 더보기 »

7월 18일

7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9번째(윤년일 경우 200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허목와 7월 18일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허목와 8월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허목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문정공 허목, 미로 허목, 미수 허목, 석호 허목, 석호장인, 태령노인, 허 목, 허미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