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사화

색인 사화

사화(士禍)는 선비들이 정치적 반대파에게 화를 입는 일을 가리키며, 한국사에서는 특히 조선 중기에 사림 세력이 화를 당한 연산군 때부터 명종 즉위년까지 발생한 4차례의 옥사를 말. 이들 사화는 1498년(연산군 4년)의 무오사화, 1504년(연산군 10년)의 갑자사화, 1519년(중종 14년)의 기묘사화, 1545년(명종 즉위년)의 을사사화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4대 사화’라고 부른.

115 처지: 동국통감, 류자광, 류인숙, 류순정, 무오사화, 문정왕후 (조선), 방납, 갑자사화, 갑술환국, 박원종, 경국대전, 경신환국, 보우, 과전법, 병인박해, 병오박해, 계축옥사, 봉은사, 봉성군, 균전제, 귀인 정씨 (성종), 귀인 엄씨, 기묘사화, 기준, 기축옥사, 기사환국, 기해박해, 김구, 김굉필, 김일손, 김정, 김종직, 김식, 대윤 소윤, 남곤, 내수사, 나주괘서사건, 노사신, 임꺽정, 임희재, 임사홍, 폐비 윤씨, 이목 (1471년), 이극균, 이승건, 이세좌, 을사사화, 정희, 정여창, 정성근, ..., 조광조, 조의제문, 조지서, 조선, 조선 명종, 조선 인종, 조선 중종,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성종, 조선 세조, 중종반정, 직전, 유관, 윤임, 윤필상, 윤원형, 현량과, 최부, 최항, 양성지, 표연말, 사림파, 삼사, 성희안, 성준 (조선), 서거정, 소격서, 소윤, 소혜왕후, 한명회, 한국의 역사, 한치형, 신임사화, 신증동국여지승람, 신유박해, 신해박해, 심회, 심정 (1471년), 훈구파, 홍경주, 환국, 1498년, 1504년, 1519년, 1521년, 1545년, 1547년, 1549년, 1589년, 1613년, 1680년, 1689년, 1694년, 1721년, 1722년, 1725년, 1727년, 1755년, 1791년, 1801년, 1839년, 1846년, 1860년, 186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65 더) »

동국통감

동국통감(東國通鑑)은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사서이.

새로운!!: 사화와 동국통감 · 더보기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사화와 류자광 · 더보기 »

류인숙

인숙(柳仁淑, 1485년 ~ 1545년)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학자, 사림파 정치인으로 자(字)는 원명, 호는 정수, 시호는 문정, 본관은 진주(晉州)이.

새로운!!: 사화와 류인숙 · 더보기 »

류순정

순정 영정 류순정 (柳順汀, 1459년 ~ 151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자 사림파 정치인의 한사람으로 1506년의 중종 반정에 참여하였.

새로운!!: 사화와 류순정 · 더보기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새로운!!: 사화와 무오사화 · 더보기 »

문정왕후 (조선)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년 12월 2일(음력 10월 22일) ~ 1565년 5월 5일(음력 4월 6일))는 조선 중기의 왕후이자 섭정으로 중종(中宗)의 제2계비이.

새로운!!: 사화와 문정왕후 (조선) · 더보기 »

방납

방납(防納)은 조선시대 지방에서 중앙으로 공물(貢物)을 대신 바치던 일이.

새로운!!: 사화와 방납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새로운!!: 사화와 갑자사화 · 더보기 »

갑술환국

갑술환국(甲戌換局)은 1694년(숙종 20년) 4월 1일에 발생한 숙종 시대의 3차 환국으로, 기사환국이 발생한 1689년 2월 2일 이후로 정권을 집권해온 남인이 몰락하고, 기사환국 때 몰락했던 서인(노론·소론)이 재집권한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갑술환국 · 더보기 »

박원종

박원종(朴元宗, 1467년 ~ 1510년)은 조선 전기의 무신(武臣) 겸 정치가(政治家)로 자는 백윤, 시호는 무열로 본관은 순천이.

새로운!!: 사화와 박원종 · 더보기 »

경국대전

경국대전(經國大典)은 조선시대의 최고의 법전이.

새로운!!: 사화와 경국대전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새로운!!: 사화와 경신환국 · 더보기 »

보우

보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화와 보우 · 더보기 »

과전법

전법(科田法)은 고려 말과 조선 초에 관리에게 토지에서 세금을 걷을 권리를 주던 제도 가운데 하나이며, 그러한 토지를 과전이라 불. 현직,퇴직관료에게 수조권을 준 것으로 관료 본인 즉, 일대(一代)에 한하여 수조권을 인정해 준 제도이.

새로운!!: 사화와 과전법 · 더보기 »

병인박해

thumb 병인박해(丙寅迫害)는 1866년(고종 3년)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 정권의 대규모의 천주교 탄압을 말. 병인사옥(丙寅邪獄)이라고도 하며, 당시 6천여 명의 평신도와 프랑스 파리 외방전교회 출신의 선교사 등이 처형된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병인박해 · 더보기 »

병오박해

병오박해(丙午迫害)란 1846년(헌종 12) 6월 5일부터 9월 20일까지 일어난 천주교 박해이.

새로운!!: 사화와 병오박해 · 더보기 »

계축옥사

1608년 광해군(光海君)이 즉위하자, 대북은 영창대군(永昌大君)을 옹립하여 역모하였다는 이유로 소북의 영수(領首) 류영경(柳永慶)을 죽이고 소북 인사들을 축출하였.

새로운!!: 사화와 계축옥사 · 더보기 »

봉은사

봉은사(奉恩寺)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도산 기슭에 있는 사찰이.

새로운!!: 사화와 봉은사 · 더보기 »

봉성군

봉성군(鳳城君, 1528년 ~ 1547년 음력 윤9월)은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사화와 봉성군 · 더보기 »

균전제

전제(均田制)는 중국 고대의 중요한 토지 제도 중 하나이.

새로운!!: 사화와 균전제 · 더보기 »

귀인 정씨 (성종)

인 정씨(貴人 鄭氏, ?~1504년 음력 3월 20일)는 조선의 제9대 왕 성종의 후궁이.

새로운!!: 사화와 귀인 정씨 (성종) · 더보기 »

귀인 엄씨

인 엄씨(貴人 嚴氏, 생년 미상 ~ 1504년 음력 3월 20일)는 조선 성종의 후궁이.

새로운!!: 사화와 귀인 엄씨 · 더보기 »

기묘사화

묘사화(己卯士禍)는 1519년(중종 14) 음력 11월에 조선에서 남곤(南袞), 심정(沈貞), 홍경주(洪景舟), 김전(金詮), 중종(中宗) 등이 조광조(趙光祖), 김식 등 신진사림의 핵심인물들을 몰아내어 죽이거나 혹은 귀양보낸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기묘사화 · 더보기 »

기준

준(基準)은 행동이나 가치판단의 근거가 되는 것이나 수치이.

새로운!!: 사화와 기준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기축옥사 · 더보기 »

기사환국

사환국(己巳換局)은 조선 숙종 15년(1689년) 때 소의(昭儀) 장씨 소생의 아들 윤(昀)을 원자로 삼으려는 숙종에 반대한 송시열 등 서인이 이를 지지한 남인에게 패배하고, 정권이 서인에서 남인으로 바뀐 일이.

새로운!!: 사화와 기사환국 · 더보기 »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새로운!!: 사화와 기해박해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사화와 김구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사화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일손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새로운!!: 사화와 김일손 · 더보기 »

김정

정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사화와 김정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사화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식

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사화와 김식 · 더보기 »

대윤 소윤

윤(大尹)과 소윤(小尹)은 조선 중기 중종의 친인척을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사화와 대윤 소윤 · 더보기 »

남곤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새로운!!: 사화와 남곤 · 더보기 »

내수사

수사(內需司)는 조선시대 왕들의 사유재산을 관리하던 곳이.

새로운!!: 사화와 내수사 · 더보기 »

나주괘서사건

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은 조선 영조 31년(1755)에 윤지(尹志)가 나주 객사에 붙인 벽서와 관련하여 일어난 역모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나주괘서사건 · 더보기 »

노사신

사신(盧思愼, 1427년 ∼ 1498년)은 조선 전기의 외척 출신 문신이자 학자이.

새로운!!: 사화와 노사신 · 더보기 »

임꺽정

임꺽정(林巪正, 1504년 ~ 1562년 음력 1월 3일)은 조선 명종 때의 황해도 지방의 백정 출신 도적이.

새로운!!: 사화와 임꺽정 · 더보기 »

임희재

임희재는 다음과 같은 인물이 있.

새로운!!: 사화와 임희재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새로운!!: 사화와 임사홍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사화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이목 (1471년)

이목(李穆, 1471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이목 (1471년) · 더보기 »

이극균

이극균(李克均,1437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이극균 · 더보기 »

이승건

이승건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화와 이승건 · 더보기 »

이세좌

이세좌(李世佐, 1445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사화와 이세좌 · 더보기 »

을사사화

을사사화(乙巳士禍)는 1545년(명종 즉위년) 조선 왕실의 외척인 대윤(大尹)·소윤(小尹)의 반목으로 일어난 사림(士林)의 화옥(禍獄)으로 소윤이 대윤을 몰아낸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을사사화 · 더보기 »

정희

정희(丁姬, 1955년 12월 13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사화와 정희 · 더보기 »

정여창

정여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화와 정여창 · 더보기 »

정성근

정성근(1955년 3월 21일 ~)은 대한민국 방송인 출신 기업가 겸 정치가이.

새로운!!: 사화와 정성근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사화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의제문

조의제문(弔義帝文)은 조선 시대 성리학자 김종직(金宗直, 1431년 ~ 1492년)이 지은 제사문으로 항우에게 살해당하여 물에 던져진 회왕 즉, 초 의제를 추모하는 글이.

새로운!!: 사화와 조의제문 · 더보기 »

조지서

조지서(趙之瑞, 1454년 - 1504년)은 조선의 문신으로 호는 지족(知足), 본관은 임천이.

새로운!!: 사화와 조지서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중종

중종(中宗, 1488년 4월 16일 (음력 3월 5일) ~ 1544년 11월 29일 (음력 11월 15일), 재위: 1506년~1544년)은 조선의 제11대 왕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중종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사화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새로운!!: 사화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직전

직전(職田)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있었던 토지 제도이.

새로운!!: 사화와 직전 · 더보기 »

유관

유관은 다음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사화와 유관 · 더보기 »

윤임

윤임(尹任, 1487년 ~ 1545년 8월 30일) 조선시대 중기의 무신이자 인척.

새로운!!: 사화와 윤임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새로운!!: 사화와 윤필상 · 더보기 »

윤원형

윤원형(尹元衡, 1503년 ∼ 1565년 11월 18일)은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넷째 아들이자 문정왕후의 남동생이며, 윤원량·윤원로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

새로운!!: 사화와 윤원형 · 더보기 »

현량과

현량과(賢良科)는 조선시대 중종 때 조광조가 건의하여 실시한 천거시취제(薦擧試取制)이.

새로운!!: 사화와 현량과 · 더보기 »

최부

부(崔溥, 1454년 ~ 1504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최부 · 더보기 »

최항

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사화와 최항 · 더보기 »

양성지

양성지(梁誠之, 1415년~1482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학자, 작가이.

새로운!!: 사화와 양성지 · 더보기 »

표연말

연말(表沿沫, 1449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다. 본관은 신창(新昌). 자(字)는 소유(少游), 호(號)는 남계(藍溪). 아버지는 상주교수(尙州敎授) 표계(表繼)이다. 1469년(예종 1)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72년(성종 3)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봉교(藝文館奉敎)를 거쳐 1484년 공조 좌랑(工曹佐郞)을 역임하였다. 과거시험에서 서거정(徐居正)의 문생이 된 인연으로 《필원잡기(筆苑雜記)》의 서문을 쓰기도 하였다. 1485년 장례원 사의(掌隷院司議)로서 《동국통감》 찬수에 참여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중시 문과에 다시 급제한 뒤, 조봉대부(朝奉大夫) 수 사헌부 장령(守司憲府掌令)이 되었다. 1490년 이조참의, 대사성, 1492년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 대제학을 역임하고, 1493년 봉렬대부(奉列大夫)로 사간원 사간(司諫院司諫)이 되었다. 1494년(연산군 즉위년) 홍문관 직제학(弘文館直提學)을 역임하였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으로서 소릉(昭陵) 추복(追復)에 관한 사실을 사초(史草)에 적은 것과 김종직의 행장(行狀)을 미화(美化)해 썼다는 이유로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경원(慶源)으로 유배가던 중 객사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갑자사화 때 조위(曺偉), 정여창(鄭汝昌) 등과 함께 부관참시(剖棺斬屍)당하였다. 1507년(중종 2) 신원(伸寃)되어 함양의 남계서원(藍溪書院), 함창의 임호서원(臨湖書院)에 제향되었다. 1517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새로운!!: 사화와 표연말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사화와 사림파 · 더보기 »

삼사

삼사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사화와 삼사 · 더보기 »

성희안

성희안(成希顔, 1461년 1월 ~ 1513년 7월)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작가, 외교관으로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시호는 충정, 본관은 창녕이.

새로운!!: 사화와 성희안 · 더보기 »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성준 (조선) · 더보기 »

서거정

서거정(徐居正, 1420년~1488년)은 조선 문종, 세조, 성종 때의 문신이며 학자이.

새로운!!: 사화와 서거정 · 더보기 »

소격서

소격서(昭格署)는 도교의 영향을 받아 하늘과 별에 제사를 지내던 조선의 관청이.

새로운!!: 사화와 소격서 · 더보기 »

소윤

소윤(少尹)은 고려와 조선시대 전중시, 위위시, 예빈시, 대부시, 소부시, 사재시 등에 두었던 정4품 관직이.

새로운!!: 사화와 소윤 · 더보기 »

소혜왕후

소혜왕후 한씨(昭惠王后 韓氏, 1437년 10월 7일(음력 9월 8일) ~ 1504년 5월 11일(음력 4월 27일)는 조선 초기의 세자빈이자 덕종(德宗, 추존왕)의 왕비이며 시호는 인수자숙휘숙명의소혜왕후(仁粹慈淑徽肅明懿昭惠王后)이다. 1450년(문종 즉위년)에 수양대군의 큰아들인 도원군(의경세자, 덕종)과 혼인하여 군부인에 봉작되었으며, 1455년(세조 즉위년)에 시아버지 수양대군이 왕위로 즉위하여 자신은 맏며느리로서 세자빈이 되어 궁궐에 들어갔으나, 1457년(세조 3년)에 남편 의경세자가 20세의 나이로 갑자기 죽어 사가로 물러났다. 그러나 1469년에 자신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성종)이 왕위에 등극하고, 자신도 궁궐에 다시 들어가 곧 왕비로 진봉되었다가 1475년(성종 6년) 왕대비에 올라 인수대비(仁粹大妃)가 되었다. 의정부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양절공 한확(西城府院君 襄節公 韓確)과 남양부부인 홍씨(南陽府夫人 洪氏) 여섯째 딸로,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당시 여성으로서는 드물게 한문과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열녀》,《여교》,《명감》,《소학》등에서 발췌하여 엮어 《내훈》(內訓)을 편찬하였다. 내훈은 조선시대 사대부 여인들의 수신서이자 당시 여성교육의 기본서가 되었다. 또한 그녀는 불교 옹호론자로 불교 억압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였으며, 이 때문에 당시 조정의 신하들과 4차례의 격한 논쟁을 벌였는데 대표적인 것이 금승법(禁僧法) 과 그녀가 추진한 봉선사 금자경 간행 작업이다. 그녀는 연산군의 할머니로도 유명한데, 며느리이자 연산군의 생모가 되는 윤씨가 왕비 시절 성종의 얼굴을 할퀴는 사건으로 내쫓기고 사사되는 데에는 거의 전적으로 그녀의 의지로 단행되었기 때문이다. 1504년(연산군 10년) 봄에 연산군은 생모인 폐비 윤씨를 제헌왕후(齊獻王后)로 추숭했다. 이 과정에서 윤씨를 폐비하고 사사하는 데 개입한 수많은 사람들을 죽이고 추방했는데, 인수대비는 당사자가 되므로 손자인 연산군과 갈등을 빚었다. 능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에 위치한 경릉(敬陵)이다.

새로운!!: 사화와 소혜왕후 · 더보기 »

한명회

명회(韓明澮, 1415년 11월 26일 (음력 10월 25일) ~ 1487년 11월 28일 (음력 11월 14일))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군인, 정치인이며 외척이.

새로운!!: 사화와 한명회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사화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한치형

형(韓致亨, 1434년 ~ 150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한치형 · 더보기 »

신임사화

신임사화(辛壬士禍) 또는 신임옥사(辛壬獄事)는 조선 경종 즉위 1년 후인 1721년부터 다음 해 1722년까지 당파인 노론과 소론 이 연잉군 왕세제 책봉문제로 충돌한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신임사화 · 더보기 »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은 조선 성종 때의 지리서이.

새로운!!: 사화와 신증동국여지승람 · 더보기 »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신유박해 · 더보기 »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새로운!!: 사화와 신해박해 · 더보기 »

심회

심회(沈澮, 1418년 ~ 149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사화와 심회 · 더보기 »

심정 (1471년)

심정(沈貞, 1471년 양력 11월 7일(음력 윤 9월 25일) ~ 1531년 12월 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공신으로, 자는 정지(貞之), 호는 소요정(逍遙亭), 시호는 문정(文靖)이고, 봉군호(封君號)는 화천군(花川君)에 봉군되었다가 부원군으로 진봉되어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이 되었.

새로운!!: 사화와 심정 (1471년)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새로운!!: 사화와 훈구파 · 더보기 »

홍경주

홍경주(洪景舟, ? ~ 1521년 6월 20일)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제옹(濟翁), 본관은 남양(南陽)이.

새로운!!: 사화와 홍경주 · 더보기 »

환국

환국(換局)은 시국이나 정국이 바뀌었다는 것을 뜻. 특히 한국사에서 조선 후기에 집권 세력이 급변하면서 이에 따라 정국이 바뀌는 것을 가리.

새로운!!: 사화와 환국 · 더보기 »

149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498년 · 더보기 »

150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04년 · 더보기 »

15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19년 · 더보기 »

15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21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45년 · 더보기 »

15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47년 · 더보기 »

15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사화와 1549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589년 · 더보기 »

1613년

16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613년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화와 1680년 · 더보기 »

1689년

168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689년 · 더보기 »

1694년

169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694년 · 더보기 »

1721년

172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21년 · 더보기 »

1722년

172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22년 · 더보기 »

1725년

172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25년 · 더보기 »

1727년

172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27년 · 더보기 »

1755년

175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55년 · 더보기 »

1791년

179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791년 · 더보기 »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801년 · 더보기 »

1839년

183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839년 · 더보기 »

1846년

184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846년 · 더보기 »

1860년

186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사화와 1860년 · 더보기 »

1866년

186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사화와 1866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4대사화, 사대사화.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