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상응

색인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71 처지: 마음 (불교), 마음작용, 감각 기관, 객관, 방 (불교), 거울, 경장, 번뇌, 법 (불교), 법상종,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ㅈ, 불교 용어 목록/ㅇ,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이,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육, 불교 용어 목록/오, 불교 용어 목록/심, 불화합성, 부파불교, 비디오, 대승불교,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상, 구경각, , 자성 (불교), 이미지, 인 (불교), 인과 (불교), 인과관계, 인연, 인식, 인식론, 의 (불교), 의근, 정이 (불교), 차제, 유루와 무루, 유가행파, 유전 (불교), 유위와 무위, 육경, 육식, 팔리어, 팔리어 대장경, 상응, 상윳따 니까야, 수 (불교), ..., 수 (심불상응행법), 영어, 오부, 오근과 육근, 오위백법, 현상, 형상, 행상, 사 (불교), 산스크리트어, 설일체유부, 세속, 소의, 소의지, 소연, 심 (불교), 심불상응행법, 심의식, 시간, 시간 (불교), 화합성.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1 더) »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새로운!!: 상응와 마음 (불교)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새로운!!: 상응와 마음작용 · 더보기 »

감각 기관

각 기관은 우리 몸에 감각을 담당하는 기관이.

새로운!!: 상응와 감각 기관 · 더보기 »

객관

객관(客觀)은 주관에 대립되는 말로서, 주관의 대상이며 인식되는 것이.

새로운!!: 상응와 객관 · 더보기 »

방 (불교)

방(方)은 다음을 뜻.

새로운!!: 상응와 방 (불교) · 더보기 »

거울

울에 비친 꽃병. 거울은 물체의 모양을 비추어 보는 도구이.

새로운!!: 상응와 거울 · 더보기 »

경장

경장(經藏)은 경(經: Sutra)을 집대성한 것이.

새로운!!: 상응와 경장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새로운!!: 상응와 번뇌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상응와 법 (불교)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새로운!!: 상응와 법상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ㅈ

자구(自具)는 자기 자신이 있을 수 있게 원인 또는 자기 자신이 자랄 수 있게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이라는 뜻으로, 예를 들어, '번뇌의 자구(自具)'는 번뇌 자신이 있게 하는 원인 또는 번뇌 자신이 자랄 수 있게 하는 자량(資糧: 자재와 식량)을 말. '번뇌의 자구(自具)'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이.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ㅈ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ㅇ

아가사(阿迦舍)는 허공(虛空)의 다른 말이.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ㅇ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이

이간어(離間語)는 양설(兩舌)의 다른 말이.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이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육

6계(六界)는 지계(地界, prthivī)수계(水界, ap)화계(火界, tejas)풍계(風界, vāyu)공계(空界, ākāśa)식계(識界, vijñśna)를 말. 6대(六大)와 동의어이.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육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오

5견(五見)은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 즉 5가지 염오견(染汚見: 번뇌에 오염된 견해)을 말. 5염오견(五染污見), 5리사(五利使) 또는 5벽견(五僻見)이.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오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심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상응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더보기 »

불화합성

불화합성(不和合性) 또는 불화합(不和合)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불화합성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새로운!!: 상응와 부파불교 · 더보기 »

비디오

전 세계 아날로그 영상 표준 비디오(video)는 전기 신호를 이용한 영상 (신호)의 처리 기술과 그것을 이용한 주변 기술 전반에 관련되는 용어이고 오디오에 대응하는 분야이.

새로운!!: 상응와 비디오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상응와 대승불교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는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제1기의 논사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무착의 제자이자 동생인 사자각(師子覺)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주석서를 합하여 편찬한 유식학 논서이.

새로운!!: 상응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더보기 »

대상

상은 다음을 가리.

새로운!!: 상응와 대상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새로운!!: 상응와 구경각 · 더보기 »

각질화하는 다층 표피를 가지는 척추동물의 표피에서 낡은 각질이 새 것으로 교체되며 벗겨져 떨어진 것과 피부 분비물이 서로 섞인 것이.

새로운!!: 상응와 때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새로운!!: 상응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이미지

이미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상응와 이미지 · 더보기 »

인 (불교)

불교 용어인 인(因)은 다음을 뜻.

새로운!!: 상응와 인 (불교) · 더보기 »

인과 (불교)

불교에서 인과(因果)는 원인과 결과를 말하기도 하고, 또는 일체(一切)의 유위법 즉 모든 유위법을 통칭하는 말이자 개별 유위법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상응와 인과 (불교)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상응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인연

인연(因緣, 또는 nidāna)은 원인을 의미하는 불교 용어이.

새로운!!: 상응와 인연 · 더보기 »

인식

인식(認識, Cognition)은 대상을 아는 일이.

새로운!!: 상응와 인식 · 더보기 »

인식론

인식론(認識論)은 지식에 대한 제반 사항을 다루는 철학의 한 분야로서 지식의 본질, 신념의 합리성과 정당성 등을 연. 인식론(Epistemology)은 고대 그리스어의 episteme(지식 또는 인식)와 logos(이론)을 합친 데에서 비롯하였.

새로운!!: 상응와 인식론 · 더보기 »

의 (불교)

의(疑,, vicikitsā,,, indecision, skepticism, indecisive wavering)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의 (불교) · 더보기 »

의근

의근(意根)은 마음이 과거로 낙사(落謝)한 것을 말. 의근(意根)은 18계 중 의계(意界)와 동의어이.

새로운!!: 상응와 의근 · 더보기 »

정이 (불교)

정이(定異)는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정이 (불교) · 더보기 »

차제

제(次第)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차제 · 더보기 »

유루와 무루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새로운!!: 상응와 유루와 무루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상응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전 (불교)

유전(流轉)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유전 (불교) · 더보기 »

유위와 무위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새로운!!: 상응와 유위와 무위 · 더보기 »

육경

6경(六境)은 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의 6근(六根)이 취하는 인식 및 작용대상이자, 또한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의 인식대상이자 경계(境界: 세력 범위)인 색경(色境)성경(聲境)향경(香境)미경(味境)촉경(觸境)법경(法境)을 말. 부처의 상태에 이르지 못한 중생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6경이 만유제법의 참된 성품 또는 만유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는 장애로서 작용하는데, 이런 측면에서 6경을 6진(六塵)외진(外塵)6망(六妄)6쇠(六衰) 또는 6적(六賊)이.

새로운!!: 상응와 육경 · 더보기 »

육식

6식(六識,,, six consciousnesses)은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을 말. 복수형 접미사 신(身)을 사용하여 6식신(六識身)이.

새로운!!: 상응와 육식 · 더보기 »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상응와 팔리어 · 더보기 »

팔리어 대장경

리어 대장경 또는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상응와 팔리어 대장경 · 더보기 »

상응

상응(相應)의 원어로는 팔리어로는 상윳따(saṃyutta)가 있으며, 산스크리트어로는 삼프라육타(saṃprayukta)와 삼프라요가(saṃprayoga)의 2가지가 있. 첫 번째의, 팔리어의 상윳따(saṃyutta)의 번역어로서의 상응(相應)은 가르침을 주제에 따라 분류하여 배열한 것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팔리어 대장경의 5부(五部,, 니까야) 중 《상응부(相應部)》의 팔리어 원어명이 상윳따 니까야(Samyutta Nikāya)이.

새로운!!: 상응와 상응 · 더보기 »

상윳따 니까야

상윳따 니까야(쌍윳따 니까야, Saṃyutta Nikāya, 약호 S 또는 SN) 또는 상응부(相應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의 세번째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

새로운!!: 상응와 상윳따 니까야 · 더보기 »

수 (불교)

수(受, 느낌지각정서영납(領納)감수(感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수 (불교) · 더보기 »

수 (심불상응행법)

수(數), 개수(個數), 수량(數量) 또는 숫자(數字)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수 (심불상응행법)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상응와 영어 · 더보기 »

오부

오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상응와 오부 · 더보기 »

오근과 육근

5근(五根)은 안식(시각)이식(청각)비식(후각)설식(미각)신식(촉각)의 5식(五識)이 각자의 대상으로서의 색경(색깔과 형태)성경(소리)향경(냄새)미경(맛)촉경(감촉)의 5경(五境)을 지각할 때 사용하는 소의(所依)로서의 안근(眼根: 눈)이근(耳根: 귀)비근(鼻根: 고)설근(舌根: 혀)신근(身根: 몸)의 5가지 감각 기관을 말. 전체적으로 말하면, 5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의지처, 도구, 감각 기관)로 하여 5경을 인식.

새로운!!: 상응와 오근과 육근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새로운!!: 상응와 오위백법 · 더보기 »

현상

현상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상응와 현상 · 더보기 »

형상

형상(形相)은 에이도스 또는 이데아의 번역어로 볼 수 있는 것을 가리키는 단어이.

새로운!!: 상응와 형상 · 더보기 »

행상

베트남의 행상인 행상(行商)은 상품을 옮기면서 판매하는 소매업이.

새로운!!: 상응와 행상 · 더보기 »

사 (불교)

사는 불교 용어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 보통 사리(事理)를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

새로운!!: 상응와 사 (불교)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상응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새로운!!: 상응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세속

세속(勢速)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세속 · 더보기 »

소의

소의(所依)는 의존처(依存處)의지처(依止處)의지(依止)근거(根據) 또는 발동근거(發動根據)를 뜻. 능의(能依: 의지하는 자)의 반대이.

새로운!!: 상응와 소의 · 더보기 »

소의지

소의지(所依止)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의지처, 도구, 인식기관이 되는 것'으로, 흔히, 신체, 즉 몸은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과 마음작용(심소법)이 활동함에 있어 의지처가 되므로 신체를 소의지(所依止).

새로운!!: 상응와 소의지 · 더보기 »

소연

소연에는 다음 뜻이 있.

새로운!!: 상응와 소연 · 더보기 »

심 (불교)

# 심(心): 마음, 집기(集起).

새로운!!: 상응와 심 (불교) · 더보기 »

심불상응행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또는 불상응행법(不相應行法)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심불상응행법 · 더보기 »

심의식

심의식(心意識)은 심(心)의(意)식(識)의 세 낱말을 합친 복합어이.

새로운!!: 상응와 심의식 · 더보기 »

시간

시간(時間)은 사물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개념이.

새로운!!: 상응와 시간 · 더보기 »

시간 (불교)

시(時)시간(時間) 또는 시각(時刻)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시간 (불교) · 더보기 »

화합성

화합성(和合性) 또는 화합(和合)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상응와 화합성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계합, 인과칭합, 인과상칭, 인과상순, 인과수순, 칭합, 칭합성, 유소의, 유행상, 상응인, 상칭, 상칭성, 상윳따, 수순, 어튠먼트, 삼프라육타, 삼프라요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