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섭대승론

색인 섭대승론

《섭대승론(攝大乘論,, 또는 Discourse on the Perfection of Consciousness-only)》은 "대승(大乘)을 포섭(包攝)한 논"이라는 뜻으로 무착(無着: c. 310~390)이 저술한 대승불교의 논서이.

36 처지: 미륵보살, 반야, 반야경, 바라밀, 법 (불교), 보리, 보살, 보살계, 공 (불교), 부처,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대승불교, 구원, 논종, 용수, 중국의 불교, 중생, 지혜, 유가행파, 유식, 유식설, 파라마르타, 생사, 열반, 산스크리트어, 삼매, 삼성 (동음이의), 섭론종, 해심밀경, 한자, 아뢰야식, 아상가, 십지, 티베트어, 310년, 390년.

미륵보살

미륵보살(彌勒菩薩,,, 음역(音譯) 미륵彌勒, 의역(意譯) 자씨(慈氏)은 현재는 보살이지만 다음 세상에 부처로 나타날 것이라고 불교에서 믿고 있는 미래의 부처이다. 의역에 '慈(사랑 자)'라는 한자가 들어가는 이유는 미륵의 어원이 되는 산스크리트어 maitrī'가 'loving-kindness'라고 하는 뜻이기 때문이다. 불교교리에 따르면, 용화수 아래에서 고타마 붓다가 제도하지 못한 모든 중생을 제도할 부처로 수기를 받았다. 미륵보살 신앙 또는 미륵 신앙은 미륵보살이 이 세상에 미륵불(彌勒佛)로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한다는 신앙이다.

새로운!!: 섭대승론와 미륵보살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새로운!!: 섭대승론와 반야 · 더보기 »

반야경

Prajñāpāramitā 자와 섬, 인도네시아 공화국. 《반야경(般若經)》은 원제가 프라즈냐파라미타 수트라()이며, 한역의 원제는 《반야바라밀다경(般若波羅蜜多經)》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반야경 · 더보기 »

바라밀

바라밀(婆羅蜜) 또는 바라밀다(波羅蜜多)는 산스크리트어 빠라미따(पारमिता pāramit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것으로, 완전한 상태구극(究極)의 상태최고의 상태를 뜻.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초기 대승불교의 사상 > 6바라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바라밀: 六婆羅蜜 바라밀이란 빠라미따(Paramita)의 음사(音寫)로서 완전·구극(究極)·최고의 상태라는 뜻인데, 불교의 교리상으로는 도피안(到彼岸), 즉 이상경(理想境)으로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현실의 차안(此岸)에서 이상의 피안으로 사람들을 넘기기 위한 행(行)이라는 점에서 도(度)라고도 번역.

새로운!!: 섭대승론와 바라밀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법 (불교) · 더보기 »

보리

보리밭 보리(영어:barley)는 벼목 벼과 보리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식물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보리 · 더보기 »

보살

거란의 요나라시기 제작된 관세음보살상: 유희좌 자세를 취하고 있다 보살(菩薩)은 부처(깨달은 사람 또는 존재)가 되기 위해 수행하는 사람(초기불교 경전-니까야에서의 정의), 또는 여러 생을 거치며 선업을 닦아 높은 깨달음의 경지에 다다른 위대한 사람을 뜻. 특히 대승불교에서 강조되었.

새로운!!: 섭대승론와 보살 · 더보기 »

보살계

보살계(菩薩戒)는 대승불교 수행자가 지키는 계율을 말. 대승계(大乘戒) 또는 대승보살계(大乘菩薩戒).

새로운!!: 섭대승론와 보살계 · 더보기 »

공 (불교)

공(空)은 순야타()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공 (불교)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부처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섭대승론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대승불교 · 더보기 »

구원

원(한자: 救援, 영어: Salvation, 독어: Erlösung)은 일반적으로 어떤 것에서 구출되고 해방되는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신학에서 쓰이는 용어로서는 주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

새로운!!: 섭대승론와 구원 · 더보기 »

논종

부파불교 이후, 교법(敎法)의 해석으로서의 아비달마의 발달에 의해서 많은 불교 논서(佛敎論書)가 저술되었으나, 그것이 중국으로 전해져서 번역됨과 동시에 이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그 같은 논서를 바탕으로 한 일종(一宗)이 확립되는 경우도 있었.

새로운!!: 섭대승론와 논종 · 더보기 »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용수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새로운!!: 섭대승론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중생 · 더보기 »

지혜

혜(智慧/知慧)는 이치를 빨리 깨우치고 사물을 정확하게 처리하는 정신적 능력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지혜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식

유식은 여러 뜻으로 사용.

새로운!!: 섭대승론와 유식 · 더보기 »

유식설

유식설(唯識說)은 인간의 현실존재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법은 실유(實有)가 아니고, 그 실상(實相)은 공(空)이라고 본. 하지만, 무차별하고 한결같은 공의 차원에 의거하여 다양하지만 일정하게 질서있는 현실의 모든 차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는 없다고 주장.

새로운!!: 섭대승론와 유식설 · 더보기 »

파라마르타

마르타(499-569)는 인도의 승려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현장(玄奘: 602-664)불공(不空: 705-774)과 함께 중국 불교의 4대 역경사 중의 한 명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파라마르타 · 더보기 »

생사

생사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섭대승론와 생사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열반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삼매

삼매(三昧)는 산스크리트어 사마디() 또는 삼마디의 한역어로, 인도의 요가, 불교 등에서 말하는 고요함적멸(寂滅)적정(寂靜)의 명상 상태 또는 정신집중 상태를 말. 보통 독서삼매에 빠졌다고 할 때, 고도의 정신집중으로 매우 고요한 상태에 빠졌다는 의미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삼매 · 더보기 »

삼성 (동음이의)

삼성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삼성 (동음이의) · 더보기 »

섭론종

섭론종(攝論宗)은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 중 하나로,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代乘論)》을 연구강술하는 학파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섭론종 · 더보기 »

해심밀경

《해심밀경》(解深密經)은 인도의 중기 대승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해심밀경 · 더보기 »

한자

자(漢字)는 표어 문자이며, 현재 한국, 중국, 일본등 동아시아 국가에서 쓰이고 있.

새로운!!: 섭대승론와 한자 · 더보기 »

아뢰야식

아뢰야식(阿賴耶識)은 산스크리트어 알라야 비즈냐나(ālaya vijñāna)를 음을 따라 표기한 것으로 아리야식(阿梨耶識)이라고도 하며, 제8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 또는 간단히 제8식(第八識, eighth consciousness)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아뢰야식 · 더보기 »

아상가

아상가 또는 무착(無着)(Asanga, 300년 ~ 390년?)은 인도 대승불교의 사상가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아상가 · 더보기 »

십지

10지(十地,,, ten stages)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십지 · 더보기 »

티베트어

베트어(བོད་སྐད་)는 티베트 지방에서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섭대승론와 티베트어 · 더보기 »

31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섭대승론와 310년 · 더보기 »

39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섭대승론와 390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