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신유박해

색인 신유박해

신유박해(辛酉迫害)는 1801년(순조 1년)에 발생한 조선의 가톨릭 박해 사건이.

목차

  1. 65 처지: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강완숙, 베이징 시, 벽파, 고순이, 권철신, 기해박해,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건순, 김귀주, 남인, 이가환, 이승훈 (1756년), 음력 1월 10일, 음력 3월 12일, 음력 4월 19일, 음력 6월 28일, 음력 7월 4일, 은언군, 정조실록,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약용, 정약종, 조선, 조선 정조, 조선 순조, 조선 영조, 주문모, 중국인, 참수, 청나라, 새남터, 순교, 순조실록, 수렴청정, 오가작통법, 연좌, 사제, 사형, 선교사, 한강, 신해박해, 시파, 홍필주,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황해도, 10월 4일, 11월 5일,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5 더) »

  2. 1801년 기독교
  3. 1801년 한국
  4. 가톨릭 관련 논란
  5. 가톨릭 박해
  6. 반가톨릭주의
  7. 한국의 기독교사
  8.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보다 신유박해와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보다 신유박해와 로마 교황청

강완숙

강완숙(姜完淑, 1760년 ~ 1801년 7월 2일(음력 5월 22일))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한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강완숙

베이징 시

베이징(북경)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도이.

보다 신유박해와 베이징 시

벽파

벽파(僻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반대한 세력이.

보다 신유박해와 벽파

고순이

순이(高順伊, 1798년 ~ 1839년 12월 29일)는 조선의 천주교 박해 때에 순교한 한국 천주교의 103위 성인 중에 한 사람이.

보다 신유박해와 고순이

권철신

신(權哲身, 1736년 ~ 1801년)은 조선의 학자, 순교한 기독교인이.

보다 신유박해와 권철신

기해박해

박해(己亥迫害)는 조선 후기 1839년(기해년, 헌종 5년)에 발생한 천주교 탄압을 말.

보다 신유박해와 기해박해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보다 신유박해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김건순

순(金健淳, 1776년 ~ 1801년 6월 1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이자 노론 가문 출신의 천주교 신자이자 순교자였.

보다 신유박해와 김건순

김귀주

주(金龜柱, 1740년~1786년)는 조선 후기의 정치가이.

보다 신유박해와 김귀주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보다 신유박해와 남인

이가환

이가환(李家煥, 1742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이가환

이승훈 (1756년)

이승훈(李承薰, 1756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이승훈 (1756년)

음력 1월 10일

음력 1월 10일은 음력 1월의 10번째 날이.

보다 신유박해와 음력 1월 10일

음력 3월 12일

음력 3월 12일은 음력 3월의 12번째 날이.

보다 신유박해와 음력 3월 12일

음력 4월 19일

음력 4월 19일은 음력 4월의 19번째 날이.

보다 신유박해와 음력 4월 19일

음력 6월 28일

음력 6월 28일은 음력 6월의 28번째 날이.

보다 신유박해와 음력 6월 28일

음력 7월 4일

음력 7월 4일은 음력 7월의 4번째 날이.

보다 신유박해와 음력 7월 4일

은언군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䄄, 1754년 5월 29일 ~ 1801년 6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으로, 조선 영조의 손자이자 장조의 서장자이며 정조의 이복동생이.

보다 신유박해와 은언군

정조실록

《정종대왕실록》(正宗大王實錄)은 정조 재위 기간의 실록이.

보다 신유박해와 정조실록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보다 신유박해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약용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정약용(丁若鏞, 1762년 8월 5일(음력 6월 16일) ~ 1836년 4월 7일(음력 2월 22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본관은 나주, 자는 미용(美庸), 호는 다산(茶山)·사암(俟菴)·탁옹(籜翁)·태수(苔叟)·자하도인(紫霞道人)·철마산인(鐵馬山人)·문암일인(門巖逸人), 당호는 여유당(與猶堂)이다.

보다 신유박해와 정약용

정약종

정약종(丁若鍾, 1760년 ~ 1801년 4월 8일)은 조선 정조 때의 학자이며, 천주교 순교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정약종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보다 신유박해와 조선

조선 정조

정조 (正祖, 1752년 10월 28일(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

보다 신유박해와 조선 정조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보다 신유박해와 조선 순조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보다 신유박해와 조선 영조

주문모

주문모(1752년 ~ 1801년 5월 31일)사제는 조선에서 순교한 중국인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

보다 신유박해와 주문모

중국인

칭하이의 티베트족. 중국인(中國人)은 중국(중화인민공화국과 중화민국)의 여러 민족을 총칭하거나, 중국의 국민을 뜻하는 말이.

보다 신유박해와 중국인

참수

2차 세계 대전 당시 호주군 포로 레나드 시플릿 병장을 참수하고 있는 일본군. 참수(斬首)란 살아있는 생명체의 목을 절단하여 동체와 두부를 분리시켜, 죽음에 이르게 하는 것을 말. 엄밀히 말해 법률로 규정된 형벌인 참수형과는 다르.

보다 신유박해와 참수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보다 신유박해와 청나라

새남터

주교 순교성지 새남터 기념성당 새남터(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 80-8)는 한강의 모래사장으로, 풀과 나무를 의미하는 새나무터에서 유. 1801년 주문모, 1846년 김대건 등의 로마 가톨릭 신부들이 순교한 장소라서, 1987년 순교를 기념하는 천주교 성당이 건축되었.

보다 신유박해와 새남터

순교

순교(殉敎)는 어느 종교에서 자신이 믿는 신앙을 지키기 위해서 죽음을 선택하는 것을 말하며, 순교한 사람을 순교자(殉敎者).

보다 신유박해와 순교

순조실록

《순조연덕현도경인순희문안무정헌경성효대왕실록》(純祖淵德顯道景仁純禧文安武靖憲敬成孝大王實錄) 또는 《순조실록》(純祖實錄)은 1800년(순조 즉위년) 음력 7월부터 1834년(순조 34년) 음력 11월까지 순조 시대의 국정 전반에 관한 사실을 편년체로 기록한 실록이.

보다 신유박해와 순조실록

수렴청정

수렴청정(垂簾聽政)은 동아시아에서 나이 어린 왕이 즉위했을 때 왕의 어머니나 할머니, 또는 큰어머니(적모, 백모)나 작은어머니(숙모)가 대리로 정치를 맡는 일을 말한다(→섭정).

보다 신유박해와 수렴청정

오가작통법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은 조선에서 시행된 행정 구역 체계이.

보다 신유박해와 오가작통법

연좌

연좌(連坐)는 죄인의 죄를 가족·친지들에게도 함께 묻는 제도이.

보다 신유박해와 연좌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보다 신유박해와 사제

사형

Cesare Beccaria, ''Dei delitti e delle pene'' 사형(死刑)은 사람의 생명을 박탈하는 형벌로, 생명형(生命刑) 또는 극형(極刑)이.

보다 신유박해와 사형

선교사

선교사(宣敎師,missionary)는 기독교에서는 복음을 타국에서 가서 전하는 사역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선교사

한강

강(漢江)은 대한민국 강원도 태백시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중부를 동에서 서로 관통해 경기도 김포시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 개풍군의 경계에서 황해로 유입되는 한국의 주요 하천이.

보다 신유박해와 한강

신해박해

신해박해(辛亥迫害)는 1791년(신해년, 정조 15년) 조선 최초의 가톨릭에 대한 박해 사건이.

보다 신유박해와 신해박해

시파

시파(時派)는 조선 정조 시기 정조의 탕평책을 지지한 세력이.

보다 신유박해와 시파

홍필주

홍필주(1773년∼1801년 10월 4일)는 1801년 신유박해로 순교한 천주교 신자이.

보다 신유박해와 홍필주

황사영

황사영(黃嗣永, 1775년 ~ 1801년 12월 10일)은 조선의 천주교 순교자.

보다 신유박해와 황사영

황사영 백서

황사영 백서(黃嗣永帛書)는 조선에서,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 때 천주교 신자(信者) 황사영이 중국 로마 가톨릭교회 북경 교구의 주교에게 혹독한 박해를 받는 조선교회의 전말보고와 그 대책을 흰 비단에 적은 밀서(密書)이.

보다 신유박해와 황사영 백서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보다 신유박해와 황해도

10월 4일

10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7번째(윤년일 경우 278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10월 4일

11월 5일

11월 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9번째(윤년일 경우 310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11월 5일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12월 10일

1800년

180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신유박해와 1800년

1801년

180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신유박해와 1801년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신유박해와 2007년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2월 22일

3월 17일

3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76번째(윤년일 경우 77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3월 17일

4월 24일

4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4번째(윤년일 경우 115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4월 24일

4월 28일

4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8번째(윤년일 경우 119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4월 28일

4월 8일

4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8번째(윤년일 경우 99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4월 8일

5월 31일

5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1번째(윤년일 경우 152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5월 31일

6월 13일

6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4번째(윤년일 경우 165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6월 13일

6월 1일

6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2번째(윤년일 경우 153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6월 1일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7월 2일

8월 18일

8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0번째(윤년일 경우 231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8월 18일

8월 23일

8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5번째(윤년일 경우 236번째) 날에 해당.

보다 신유박해와 8월 23일

참고하세요

1801년 기독교

1801년 한국

가톨릭 관련 논란

가톨릭 박해

반가톨릭주의

한국의 기독교사

한국의 로마 가톨릭교회

, 12월 10일, 1800년, 1801년, 2007년, 2월 22일, 3월 17일, 4월 24일, 4월 28일, 4월 8일, 5월 31일, 6월 13일, 6월 1일, 7월 2일, 8월 18일, 8월 23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