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

색인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아우내 3·1運動 獨立史蹟址)는 이화학당 학생이었던 유관순이 3·1 운동 때 서울시위에 참여한 후에 학교가 휴교하자 고향 병천으로 내려와 천안·청주의 교회와 유림대표 및 마을의 대표들과 협의하여 음력 3월 1일에 만세 시위를 하였던 곳이.

15 처지: 병천면, 김충현, 장우성, 정인보,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천안시, 충청남도,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유관순, 10월 14일, 11월 19일, 1947년, 1972년, 1986년, 3·1 운동.

병천면

병천면(竝川面)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있는 면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병천면 · 더보기 »

김충현

충현(金忠顯, 1921년 4월 2일 ~ 2006년 11월 19일)은 대한민국의 서예가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김충현 · 더보기 »

장우성

장우성(張遇聖, 1912년 6월 22일 ~ 2005년 2월 28일)은 한국의 현대 화가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장우성 · 더보기 »

정인보

정인보(鄭寅普, 음력 1893년 5월 6일/양력 1893년 6월 19일 ~ 1950년 9월 7일)는 일제 강점기의 한학자·역사학자·작가이며, 대한민국의 언론인·정치인·작가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정인보 · 더보기 »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안 유관순 열사 유적(天安 柳寬順 烈士 遺蹟)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에 위치하고 있. 1972년 10월 14일 국가에서 사적지로 지정하였.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천안 유관순 열사 유적 · 더보기 »

천안시

안시의 전경 천안시(天安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동북부 내륙에 있는 시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천안시 · 더보기 »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충청남도 · 더보기 »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는 지방유형문화재 중에서 충청남도에 있는 문화재를 의미.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 더보기 »

유관순

순(柳寬順, 유관순, 1902년 12월 16일 ~ 1920년 9월 28일) 열사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유관순 · 더보기 »

10월 14일

10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7번째(윤년일 경우 28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10월 14일 · 더보기 »

11월 19일

11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3번째(윤년일 경우 32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11월 19일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1947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1972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1986년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새로운!!: 아우내 3·1 운동 독립사적지와 3·1 운동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아우내3.1운동독립사적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