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gle Play 스토어에서 Unionpedia 앱을 복원하기 위해 작업 중입니다
나가는들어오는
🌟더 나은 탐색을 위해 디자인을 단순화했습니다!
Instagram Facebook X LinkedIn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색인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蔚珍三陟武裝共匪浸透事件)은 1968년 10월 30일부터 11월 2일까지 3차례에 걸쳐 북한의 무장 공비 120명이 울진·삼척 지역에 침투하여 12월 28일 대한민국의 토벌대에 소탕되기까지 약 2개월간 게릴라전을 벌인 사건이.

목차

  1. 46 처지: AK-47,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마오쩌둥,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박정희, 베트남, 경전선, 광복절, 김대중, 김일성, 대한민국 예비군, 냐짱, 구정 대공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다낭, 울진군, 이승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청와대, 체코, 초등학교, 판문점, 유격전, 위조지폐, 여의도, 삼척시, 삼선 개헌, 프라하, 프라하의 봄, 서귀포시, 서산시, 통일혁명당 사건, 한국 전쟁, 신민당 (1967년), M1 카빈, M16 소총, M18A1 클레이모어, UH-1 이로쿼이, 10월 30일, 11월 2일, 12월 28일, 1968년, 1·21 사태, 4.19 혁명, 5·16 군사 정변.

AK-47

접철식 개머리판을 가진 AK-47S 1947년형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은 미하일 칼라시니코프가 1947년에 발명한 돌격소총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AK-47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F-4 팬텀은 맥도넬 더글러스사가 제작한 2인승, 초음속, 장거리, 전천후 전폭기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맥도넬 더글러스 F-4 팬텀

마오쩌둥

천안문에 있는 유화 마오쩌둥(1893년 12월 26일 ~ 1976년 9월 9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가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마오쩌둥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1968년 8월 20일-21일 간의 밤에 소련과 바르샤바 조약 동맹군은 프라하의 봄을 저지하고자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고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서기 알렉산데르 둡체크의 개혁으로 촉발된 프라하의 봄은 소련군의 주둔으로 완전히 멈.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江陵地域武裝共匪侵透事件)은 1996년 9월 북한 상어급 잠수함이 강릉시 부근에서 좌초된 후 잠수함에 탑승한 인민무력부 정찰국 소속 특수부대원 26명이 강릉 일대로 침투한 사건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박정희

베트남

당시 베트남 전쟁 이전의 베트남 공산당 마크 베트남 전쟁 전에 베트남 내부의 공산당 마크이다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은 동남아시아 국가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베트남

경전선

경전선(慶全線)은 경부선 삼랑진역과 호남선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 노선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경전선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광복절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김대중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김일성

대한민국 예비군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장 제66동원보병사단 소속) 대한민국 예비군(大韓民國 豫備軍, Republic of Korea Reserve Forces, ROK Reserve Forces, ROKRF)은 평상시에는 사회 생활을 하다가 유사시(有事時)에 소집되는 대한민국 국군의 예비 전력으로, 향토예비군(鄕土豫備軍)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대한민국 예비군

냐짱

짱 해변 냐짱 석가상 냐짱()은 베트남 남부에 위치한 카인호아 성의 성도로, 호찌민에서 북동쪽으로 약 450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면적은 251km2, 인구는 350,375명(2005년 기준)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냐짱

구정 대공세

정 대공세(舊正攻勢) 또는 테트 공세()는 1968년 1월 30일 밤부터 전개 된 베트남 인민군(NVA)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NLF, 베트콩)의 대공세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구정 대공세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1964년 초, 남베트남 지역의 공산주의 유격대들의 움직임 1964년 12월 24일,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이 폭격한 지역의 모습. 2명의 미군이 사망하였다. 배트남 전쟁 당시 사살한 베트콩 시체 2구에 스페이드 에이스 카드를 넣어서 문제가 된 영상이다.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남베트남 민족해방전선

다낭

낭(沱灢)은 베트남 남중부() 지역의 최대 상업 및 항구도시이자 베트남의 다섯 개의 직할시 중 하나이고, 베트남에서 호찌민 시, 하노이, 하이퐁 다음으로 네 번째 큰 도시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다낭

울진군

울진군(蔚珍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해안 최북단에 있는 군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울진군

이승복

이승복(李承福, 1959년 12월 9일 ~ 1968년 12월 9일)은 대한민국의 학생으로 1968년에 발생한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의 희생자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이승복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청와대

체코

공화국(), 줄여서 체코()는 중앙유럽에 있는 공화국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체코

초등학교

등학교(初等學校, (小學校))는 초등교육기관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초등학교

판문점

문점(板門店)은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으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구역상 황해북도 개성특급시 판문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래의 행정구역은 경기도 장단군 진서면 어룡리였.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판문점

유격전

유격전(遊擊戰)은 파르티잔 또는 비정규군에 의한 변칙적인 전투를 말. 게릴라(Guerrilla)라는 말은 1808년 나폴레옹의 페르난도 7세(1784-1833, 에스파냐왕) 유폐에 반대한 에스파냐인 토비(土匪)의 소전투에서 유. 1936년의 에스파냐 내란 이후 전 세계에 퍼져서 현대에는 국민의 무장 투쟁의 전술 혹은 전투 형태의 한 가지를 의미하는 데 쓰인.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유격전

위조지폐

미국 20달러 지폐에 백라이트를 비추어 위조 여부를 확인하는 모습 위조지폐(僞造紙幣)는 진짜 화폐와 비슷하게 만든 가짜 화폐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위조지폐

여의도

여의도(汝矣島)는 서울특별시 한강에 있는 하중도이며, 너섬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여의도

삼척시

삼척시(三陟市)는 대한민국 강원도 동해안 최남단에 있는 시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삼척시

삼선 개헌

삼선개헌(三選改憲)은 1969년 박정희 정권이 정권 연장을 위하여 대통령의 3선이 가능하도록 헌법을 개정한 대한민국의 6번째 헌법개정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삼선 개헌

프라하

()는 체코의 수도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프라하

프라하의 봄

의 봄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비에트 연방이 간섭하던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일어난 민주화 시기를 일컫.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프라하의 봄

서귀포시

서귀포시(西歸浦市)는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남부에 있는 행정시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서귀포시

서산시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서산시

통일혁명당 사건

통일혁명당 사건은 박정희 정부 시절인 1968년 8월 24일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지하당조직사건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통일혁명당 사건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한국 전쟁

신민당 (1967년)

신민당(新民黨)은 1967년 창당, 1980년 헌법 9호 부칙에 의해 해산되기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신민당 (1967년)

M1 카빈

M1 카빈(M1 Carbine, 공식명칭 the United States Carbine, Caliber.30, M1)은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동안 미군의 표준 화기였던 경량 반자동 카빈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M1 카빈

M16 소총

M40 마스크와 M16A1 소총을 가지고 훈련 중인 미군 병사 M203 유탄발사기 장착 M16A1소총으로 무장한 대한민국 병사 미 육군 병사가 M16A2로 사격하고 있다. 5.56 mm 구경 M16 소총(Rifle, Caliber 5.56 mm, M16)은 아말라이트 AR-15 소총의 군용 개량형으로, 미군의 주력 제식소총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M16 소총

M18A1 클레이모어

M18A1 클레이모어(M18 Claymore mine)는 지향성 지뢰의 일종으로 인간을 목표로 하는 대인지뢰이며, 명칭은 스코틀랜드의 중세시대 검인 클레이모어를 차용.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M18A1 클레이모어

UH-1 이로쿼이

베트남 전쟁에서의 UH-1D UH-1 이로쿼이(Iroquois)는 휴이라는 명칭으로 잘 알려진 벨 헬리콥터사의 다목적 군용 헬리콥터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UH-1 이로쿼이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10월 30일

11월 2일

11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6번째(윤년일 경우 307번째) 날에 해당.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11월 2일

12월 28일

1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2번째(윤년일 경우 363번째) 날에 해당.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12월 28일

1968년

1968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1968년

1·21 사태

1·21 사태(-事態)는 김일성의 명령으로 1968년 1월 21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속의 군인 31명이 대한민국의 청와대를 기습하여 대한민국의 대통령 박정희를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1·21 사태

4.19 혁명

1960년 3월 15일자 《동아일보》에 게재된 3.15 부정선거 관련 기사 4·19 혁명(四一九革命) 또는 4월 혁명(四月革命)은 1960년 4월 19일 대한민국에서 제1공화국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개표조작을 하자, 이에 반발하여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는 학생들의 시위에서 비롯된 혁명이.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4.19 혁명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보다 울진·삼척 무장 공비 침투 사건와 5·16 군사 정변

또한 무장 공비, 울진 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