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팔리 삼장

색인 팔리 삼장

리 삼장 또는 티피타카(띠삐따까, Tipiṭaka) 또는 팔리어 삼장은 3가지(ti)로 분류된 팔리어 불경을 함께 부르는 말이.

22 처지: 맛지마 니까야, 밀린다왕문경, 법구경, 불경, 빠띠삼비다막가, 디가 니까야, 담마빠다, 우다나, 자타카, 쿳다까 니까야, 팔리 경장, 팔리 논장, 팔리 율장, 팔리어, 팔리어 대장경, 상윳따 니까야, 숫타니파타, 오부, 삼장, 아함경, 앙굿따라 니까야, 5부 (니까야).

맛지마 니까야

맛지마 니까야(Majjhima Nikāya, M, MN) 또는 중부(中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두번째 묶음으로, 중간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맛지마 니까야 · 더보기 »

밀린다왕문경

《밀린다왕문경(Milinda王問經)》 또는 《미란다왕문경(彌蘭陀王問經)》은 밀린다팡하(Milinda Pañha, 약호 Mil)의 한역으로 《나선비구경(那先比丘經)》이라고 하는데, 경이라고 하지만 불설(佛說)이 아니며, 팔리어 삼장에서는 장외(藏外)에 들어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밀린다왕문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기원전 100년의 인도-그리스 왕국 기원전 2세기 후반에 서북 인도를 지배한 인도-그리스 왕국(박트리아)의 국왕인 그리스인 밀린다(메난드로스 1세)가 비구(比丘, 불교승) 나가세나(那先)에게 불교 교리에 대해서 질문하면 나가세나가가 이에 해답(解答)을 하는 대화 형식으로 된 성전으로서, 성립 시기는 기원전 1세기 후반에서 기원후 1세기 전반 사이로 되어 있. 내용은 대별해서 3편 내지 4편으로 되어 있으며 제1편은 밀린다와 나가세나의 전생(前生) 이야기를 서술한 서론과 두 사람이 3일간에 걸친 대화 끝에 밀린다가 제자가 되는 이야기(서론과 대화의 부분을 2편으로 본다면 4편이 된다), 제2편은 밀린다가 불교 교리상의 어려운 문제를 들어 그 해답을 나가세나에게 구한 대화, 제3편은 수행자가 지켜야 할 덕목(德目)을 비유로써 풀이한 대화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밀린다왕문경 · 더보기 »

법구경

《법구경》(法句經, K.1021, T.0210)은 서기 원년 전후의 인물인 인도의 다르마트라타()가 편찬한 불교의 경전으로 석가모니 사후 삼백년 후에 여러 경로를 거쳐 기록된 부처의 말씀을 묶어 만들었.

새로운!!: 팔리 삼장와 법구경 · 더보기 »

불경

불경(佛經)은 석가모니와 그 제자들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불경 · 더보기 »

빠띠삼비다막가

빠띠삼비다막가(약호 Paṭis 또는 Pṭs) 또는 무애해도(無礙解道)는 기존 불경, 주로 4부 니까야를 을 인용해 수행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논서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빠띠삼비다막가 · 더보기 »

디가 니까야

야(Dīgha Nikāya, D, DN) 또는 장부(長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 중 첫 번째 경전 묶음으로, 길이가 긴 경을 모은 것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디가 니까야 · 더보기 »

담마빠다

《담마빠다》(담마파다, Dhammapada, Dhp) 또는 법구경(法句經)은 붓다의 가르침을 모은 초기 경전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담마빠다 · 더보기 »

우다나

우다나(약호 Ud) 또는 자설경(自說經)은 불경의 분류 중 하나로, 질문하는 사람 없이 붓다가 혼자 스스로 이야기를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 12부경(十二部經)의 하나이며, 팔리 삼장 소부(小部, 굿다카 니까야) 우다나로 분류된 8품(vagga), 80개의 경(經)을 말. 무문자설(無問自說) 또는 자설(自說)이라고도 하며, 팔리어 우다나에는 감흥에 따라 자발적으로 나오는 말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감흥게(感興偈) 또는 감흥어(感興語).

새로운!!: 팔리 삼장와 우다나 · 더보기 »

자타카

《자타카(Jataka)》 또는 《본생담(本生譚)》은 팔리어로 씌어진 고대 인도의 불교 설화집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자타카 · 더보기 »

쿳다까 니까야

쿳다까 니까야(굿다까 니까야, Khuddaka Nikāya, K, KN) 또는 소부(小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의 마지막 묶음으로, 결집이 끝난 후 남은 것들을 다시 모은 것으로 알려져있.

새로운!!: 팔리 삼장와 쿳다까 니까야 · 더보기 »

팔리 경장

리 경장 또는 숫타 삐따까(Sutta Piṭaka)는 팔리어 불경 중 경전을 모은 것으로, 팔리 삼장(Tipiṭaka) 중 두번째 묶음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팔리 경장 · 더보기 »

팔리 논장

리 논장 또는 아비담마 삐따까(Abhidhamma Piṭaka)는 팔리어 불경 중 중요 논서를 모은 것으로, 팔리 삼장(Tipiṭaka)) 중 마지막 3번째 묶음이다. 7개 만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7론(七論)이라고도 하며, 이 7개 이외의 논서는 모두 주석서인 앗타까타(aṭṭhakathā)나 장외(藏外)로 취급된다.

새로운!!: 팔리 삼장와 팔리 논장 · 더보기 »

팔리 율장

리 율장 또는 위나야 삐따까(Vinaya Piṭaka)는 팔리어 불경 중 계율에 관한 부분을 묶은 것으로, 팔리 삼장의 첫번째 묶음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팔리 율장 · 더보기 »

팔리어

빨리어 또는 빠알리어(Pāḷi, Pāli, पाऴि)는 인도아리아어군의 중세 인도아리아어(중기 인도아리아어) 즉 프라크리트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팔리어 · 더보기 »

팔리어 대장경

리어 대장경 또는 팔리어 경전은 팔리어로 씌어진 불교 경전의 총칭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팔리어 대장경 · 더보기 »

상윳따 니까야

상윳따 니까야(쌍윳따 니까야, Saṃyutta Nikāya, 약호 S 또는 SN) 또는 상응부(相應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의 세번째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상윳따 니까야 · 더보기 »

숫타니파타

《숫타니파타》(수타니파타, Sutta Nipāta, 經集, Sn)는 최초로 성립된 불교의 경전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숫타니파타 · 더보기 »

오부

오부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팔리 삼장와 오부 · 더보기 »

삼장

삼장(三藏)은 불교의 경전을 경, 율, 논의 3가지로 분류하고 이를 합쳐서 부르는 것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삼장 · 더보기 »

아함경

《아함경(阿含經)》은 불교 초기의 경전 모음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아함경 · 더보기 »

앙굿따라 니까야

앙굿따라 니까야(Aṅguttara Nikāya, A, AN) 또는 증지부(增支部)는 팔리 경장(Sutta Piṭaka) 5부(Pañca Nikāya, 五部) 중 네번째 묶음으로, 짧은 길이의 경을 모은 것이.

새로운!!: 팔리 삼장와 앙굿따라 니까야 · 더보기 »

5부 (니까야)

5부(五部) 또는 다섯 니까야(Pañca Nikāya)는 팔리 경장(숫따 삐따까)을 구성하는 다섯 묶음의 경전을 말. 쿳다까 니까야(소부)를 제외한 4부 니까야는 《아함경》으로 한역(漢譯)되었.

새로운!!: 팔리 삼장와 5부 (니까야)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