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제19원정지원사령부

색인 제19원정지원사령부

제19원정지원사령부()는 주한 미군 육군의 전투지원부대이.

27 처지: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미사일사령부 (미국),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용산기지, 제10지역지원단, 제20지원단, 제23지원단, 제2보병사단 (미국), 제34지원단, 제501지원여단, 제8군 (미국), 제8전구지원사령부, 제8헌병여단, 전투지원부대, 전시,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주한 미군, 칠곡군, 캠프 레드 클라우드, 캠프 페이지, 캠프 캐럴, 캠프 헨리, 캠프 험프리스, 사령관, 하와이주, KCOMZ.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미국 육군 시설 관리 사령부(United States Army Installation Management Command; IMCOM)는 미국 육군의 모든 시설을 관리하는 기능 사령부로서, 육군청에 직접 보고 하는 부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 · 더보기 »

미사일사령부 (미국)

미사일사령부(Missile Command (Air Transport) (MSL CMD))는 냉전 초기에 미국 육군이 창설하여 운용했던 4개 미사일 사령부로서 야전 포병대의 부대였.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미사일사령부 (미국) · 더보기 »

경상북도

경상북도(慶尙北道)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경상북도 · 더보기 »

대구광역시

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동남부 내륙에 있는 광역시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대구광역시 · 더보기 »

용산기지

용산 기지(龍山基地), 용산 미국 육군 기지(龍山美國陸軍基地)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주한 미군 육군의 주둔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용산기지 · 더보기 »

제10지역지원단

제10지역지원단(第10地域支援群)은 오키나와현 도리이 스테이션에 주둔하며 주일 미국 육군에 전구 지원을 수행하고 있는 일본 지역지원단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10지역지원단 · 더보기 »

제20지원단

제20지역지원단(20th Support Group)는 한반도에서 지역별로 전투근무지원을 맡았던 주한 미군 육군의 지원단였.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20지원단 · 더보기 »

제23지원단

제23지원단(23rd Support Group)은 주한 미군의 일원으로서 평택시의 캠프 험프리스를 중심으로 제3지역의 기지 작전 지원을 담당하던 미국 육군의 집단(Group)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23지원단 · 더보기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2nd Infantry Divison, 2ID또는 2nd ID)은 미국 육군의 사단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2보병사단 (미국) · 더보기 »

제34지원단

제34지원단(34th Support Group)는 베트남 전쟁에 참전하고, 주한 미군 부대로서 한반도에 주둔하였던 군수 지원부대였.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34지원단 · 더보기 »

제501지원여단

제501지원여단()는 미국 육군의 지원 여단으로, 제2보병사단에 전투 근무 지원을 제공.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501지원여단 · 더보기 »

제8군 (미국)

미국 제8군()은 미국 육군의 야전군이자,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주한 미군의 지상군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8군 (미국) · 더보기 »

제8전구지원사령부

제8전구지원사령부(8th Theater Sustainment Command)는 미국 태평양 육군 소속의 전구지원사령부로서 포트 샤프터에 주둔하며 태평양-아시아 지역에 주둔하는 모든 부대에 대한 전투근무/전투근무지원을 담당하는 지원부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8전구지원사령부 · 더보기 »

제8헌병여단

제8헌병여단(8th Military Police Brigade)은 미국 육군 헌병여단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제8헌병여단 · 더보기 »

전투지원부대

2009년에 재정된 전투지원여단의 조직 테이블 전투지원부대 혹은 전투유지부대()는 미국 육군의 개편으로 야전군, 군단, 사단의 지원사령부(FASCOM)(COSCOM)(DISCOM)와 군단 지원단, 지역 지원단을 모듈형 부대로 개편한 전투근무지원(CSS) 부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전투지원부대 · 더보기 »

전시

전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전시 · 더보기 »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주한 미국 육군 물자지원사령부(United States Army Materiel Support Command-Korea (USAMSC-K))는 경상북도, 왜관읍, 캠프 캐럴에 있는 제19원정지원사령부 예하 전투근무지원 사령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주한 물자지원사령부 · 더보기 »

주한 미군

주한 미군(駐韓美軍)은 대한민국에 주둔하는 미국의 군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주한 미군 · 더보기 »

칠곡군

곡군(漆谷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 서남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칠곡군 · 더보기 »

캠프 레드 클라우드

우드(Camp Red Colud)는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에 설치된 미국 육군 시설관리사령부(IMCOM) 태평양 지역대에서 관리하는 주한 미국 육군의 군영으로, 제2보병사단/한미연합사단 본부가 주둔하고 있. 본디 명칭이 캠프 잭슨이었던 이 기지는 평안북도 창성군 근처에서 전사한 명예 훈장 수여자인 미첼 레드 클라우드 Jr. 상병의 이름을 따서 1957년 5월 18일에 캠프 레드 클라우드로 개명되었.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캠프 레드 클라우드 · 더보기 »

캠프 페이지

이지(Camp Page)는 한국전쟁 당시 춘천에 제4미사일사령부와 주한 미군 군사 고문단 등이 주둔하기 시작하면서 만들어진 주한 미군의 주둔지로 1983년 5월 5일 중국 민항기 불시착 사건 당시 중국 민항기가 이곳에 착륙한 곳으로 알려져 있. 2005년 대한민국에 반환되었으며 8년간의 정비를 거쳐 2013년 6월에 시민에게 개방되었.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캠프 페이지 · 더보기 »

캠프 캐럴

(Camp Carroll)은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에 있는 주한 미군 육군의 군영이자 창고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캠프 캐럴 · 더보기 »

캠프 헨리

헨리(Camp Henry)는 대구광역시 남구 이천동에 위치한 주한 미군 육군의 기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캠프 헨리 · 더보기 »

캠프 험프리스

리스() 또는 험프리스 미국 육군 기지()는 주한 미군의 주둔지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캠프 험프리스 · 더보기 »

사령관

사령관(司令官)은 주로 육군이라면 군단 이상 해군이라면 함대 이상 등 어느 정도의 큰 규모를 갖는 단위 부대를 지휘 하는 지휘관에 배당된 직책이.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사령관 · 더보기 »

하와이주

와이 주(모쿠아이나 오 하와이이)는 태평양의 하와이 제도에 위치하고 있. 본래는 폴리네시아 민족의 땅으로 여왕이 다스린 왕국이었으나, 사탕수수 상인과 군대를 앞세운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59년 8월 21일 미국의 50번째 주로 편입되었.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하와이주 · 더보기 »

KCOMZ

KCOMZ(), 제8006부대는 대한민국에서 후방기지사령부, 후방관구사령부, 한국병참지대사령부, 한국병참관구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던 한국 전쟁 중에 설립된 미국 육군의 한반도 지역 전투근무지원 사령부였.

새로운!!: 제19원정지원사령부와 KCOMZ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19 원정 지원 사령부, KORSCOM, 제19원정지원사령부 (미국).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