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69 처지: DivX, DScaler, DTS (사운드 시스템), DVD, 돌비 디지털, 레드북, 리얼비디오, 리얼오디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모션 JPEG, 미디어 플레이어, 고급 오디오 부호화, 고급 시스템 포맷, 비디오 CD, 비디오1, 디지털 영상, 다이렉트쇼, FLAC, H.263, H.264/MPEG-4 AVC, Huffyuv, Indeo, IOS, 슈퍼 비디오 CD, 자막, 펄스 부호 변조, 판도라TV, 유니코드, 윈도우 2000, 윈도우 7,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 윈도우 XP, 윈앰프, 영상 코덱,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 오디오 코덱, 엠플레이어, 플래시 비디오, 애플 무손실,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아이스캐스트, 테오라, 시네팩, 퀵타임, Matroska, MKV, Monkey's Audio, ...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9 더) »
- 2002년 소프트웨어
- 윈도우용 미디어 플레이어
- 파스칼 소프트웨어
DivX
DivX(디빅 또는 디빅스)는 DivX 사가 MPEG-4 기술을 기반으로 독자적으로 개발한 영상 코덱이.
DScaler
DScaler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에서 돌아가는 오픈 소스 비디오 디인터레이스 및 스케일링 프로그램이.
DTS (사운드 시스템)
DTS는 상용/극장/소비자 등급에 쓰이는 다중 채널 디지털 서라운드 사운드 포맷이.
DVD
DVD-R 4.7 기가바이트를 지원하는 자줏빛 염료를 가진 DVD-R DVD 레코더용 DVD-RAM 일반 DVD 비디오 파일 구조. DVD 로고 DVD(디브이디)는 CD에서 더 발전한 저장매체이.
돌비 디지털
비 디지털 로고 돌비 디지털()은 돌비 연구소가 개발한 손실 오디오 압축 기술에 대한 상표이.
레드북
북(red book, redbook)은 다음을 가리.
리얼비디오
리얼비디오(RealVideo)는 리얼네트웍스사가 개발한 사유 비디오 파일 포맷이.
리얼오디오
리얼오디오(RealAudio)는 리얼네트웍스사가 개발한 사유 오디오 포맷이.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마이크로소프트 윈도스)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
모션 JPEG
멀티미디어에서 모션 JPEG(Motion JPEG, M-JPEG)는 각 비디오 프레임이나 비월 주사 방식의 디지털 오디오 시퀀스가 JPEG 이미지로 따로 압축되어 있다는 영상 포맷 계열을 가리키는 비공식 이름이.
미디어 플레이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재생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두루 일컫는 낱말이.
고급 오디오 부호화
급 오디오 부호화(Advanced Audio Coding, AAC, 표준문서ISO/IEC 13818-7)는 디지털 오디오에서 쓰이는 표준적인 손실 데이터 압축방식이.
고급 시스템 포맷
급 시스템 포맷(Advanced Systems Format, ASF)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만든, 디지털 소리와 영상을 담는 포맷이며, 특히 스트리밍 미디어를 뜻. 과거에는 능동 스트리밍 포맷(Active Streaming Format), 고급 스트리밍 포맷(Advanced Streaming Format)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
비디오 CD
비디오 CD(Video CD, View CD, VCD)는 콤팩트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라고도 하며, 콤팩트 디스크에 영상을 저장하는 표준 디지털 영상 포맷이.
비디오1
비디오1(Video1)은 초기의 동영상을 압축하고 해제하는 알고리즘 (코덱)으로 마이크로소프트 비디오 포 윈도의 1.0 버전에서 공개된 것이.
디지털 영상
영상(Digital video)은 디지털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영상 녹화 시스템의 하나로, 영상 신호로서의 아날로그 영상와 상반.
다이렉트쇼
이렉트쇼(DirectShow, 줄여서 DS, DShow, 코드이름: Quartz)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미디어 파일이나 스트림을 가지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소프트사가 개발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자 API이.
FLAC
FLAC(Free Lossless Audio Codec)은 오디오 데이터 압축을 위한 파일 형식이.
H.263
H.263은 화상 회의와 화상 전화를 응용하기 위한 영상 압축 코딩 표준 문서이.
H.264/MPEG-4 AVC
블록 단위 움직임 보상 기반의 영상 압축 표준인 H.264 또는 MPEG-4 파트 10, Advanced Video Coding (MPEG-4 AVC)는 동영상 녹화, 압축, 배포를 위한 방식들 중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포맷이.
Huffyuv
thumb Huffyuv(또는 HuffYUV)는 영상 코덱 가운데 하나로 만든 이는 Ben Rudiak-Gould이.
Indeo
인데오 비디오(Indeo Video)는 1992년에 인텔이 개발한 영상 코덱이.
IOS
iOS(2010년 6월 이전까진 iPhone OS)는 애플의 모바일 운영 체제이.
슈퍼 비디오 CD
슈퍼 비디오 CD(Super Video CD, SVCD)는 표준 콤팩트 디스크에 비디오를 저장하는 데에 쓰이는 포맷이.
자막
자막(字幕)은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영화 속 대화를 글로 표현한 것을 말하며 보통 화면의 맨 아래에 표시.
보다 KMPlayer와 자막
펄스 부호 변조
스 부호 변조(Pulse-code modulation, 줄여서 PCM)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표현으로, 신호 등급을 균일한 주기로 표본화한 다음 디지털 (이진) 코드로 양자화 처리.
판도라TV
TV는 2004년 10월에 오픈한 대한민국 최초의 동영상 시청 공유 사이트이고, 유튜브보다 먼저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한 세계 최초의 동영상 시청 공유 사이트이.
유니코드
유니코드 로고. 유니코드(Unicode)는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컴퓨터에서 일관되게 표현하고 다룰 수 있도록 설계된 산업 표준이며, 유니코드 협회(Unicode Consortium)가 제정.
윈도우 2000
윈도우 2000()은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NT 4.0의 후속작으로 2000년 2월 17일에 발표한 윈도우 NT 계열의 32비트 기업용 운영 체제이.
윈도우 7
윈도우 7()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계열 운영 체제이.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
윈도우 미디어 비디오(Windows Media Video, WMV)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미디어 포맷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
윈도우 미디어 오디오(Windows Media Audio, WMA)는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미디어의 핵심이 되어 개발된 음성 코덱의 하나이.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비스타()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PC용 운영 체제이.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
윈도우 드라이버 모델 (Windows Driver Model, WDM)은 컴퓨팅에서 윈도우 95, 윈도우 3.1, 윈도우 NT 드라이버 모델과 같은 오래된 버전의 윈도우에서 쓰였던 VxD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윈도우 95, 윈도우 2000에 도입된 장치 드라이버를 위한 프레임워크이.
윈도우 XP
윈도우 XP()는 가정용/업무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미디어 센터와 같은 일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운영 체제 가운데 하나이.
윈앰프
윈앰프(Winamp)는 널소프트(Nullsoft)가 1997년 4월 21일에 개발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용 미디어 플레이어이.
영상 코덱
영상 코덱(-codec) 또는 비디오 코덱(video codec)은 디지털 영상의 압축 및 압축해제하는 기능의 장치 및 소프트웨어이.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
오디오 비디오 인터리브(AVI)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1992년 11월에 처음 선을 보였고 비디오 포 윈도 기술의 일부인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이.
오디오 코덱
오디오 코덱()은 오디오의 디지털 데이터 스트림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장치를 말. 소프트웨어에서 오디오 코덱은 주어진 오디오 파일이나 스트리밍 미디어 오디오 코딩 포맷에 따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고 압축 해제를 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엠플레이어
엠플레이어(MPlayer)는 오픈 소스 자유 소프트웨어 미디어 재생기이.
플래시 비디오
시 비디오(Flash Video)는 한 때는 매크로미디어사가, 지금은 어도비 시스템즈사가 개발하고 있는 동영상 파일 포맷이.
애플 무손실
애플 무손실 (Apple 無損失) 또는 ALE(Apple Lossless Encoder) 또는 ALAC(Apple Lossless Audio Codec) 은 애플에서 개발한 디지털 음악의 무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이.
안드로이드 (운영 체제)
안드로이드()는 휴대 전화를 비롯한 휴대용 장치를 위한 운영 체제와 미들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표준 응용 프로그램(웹 브라우저, 이메일 클라이언트,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등)을 포함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스택이자 모바일 운영 체제이.
아이스캐스트
아이스캐스트(Icecast)는 Xiph.Org 재단이 무료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로서 발표한 스트리밍 미디어 프로젝트이.
테오라
오라(Theora)는 오픈 포맷(파일 포맷이 공개)인 손실 압축 비디오 압축 포맷이.
시네팩
시네팩(Cinepak)은 슈퍼맥 테크놀로지스 계열사인 슈퍼매치(SuperMatch)사가 개발한 영상 코덱이.
퀵타임
퀵타임(QuickTime)은 애플이 개발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워크이며, 디지털 영상, 미디어 클립, 소리, 텍스트, 애니메이션, 음악, 몇 가지 종류의 퀵타임 VR을 다룰 수 있. 클래식 맥 OS, OS X, 마이크로소프트 윈도 운영 체제를 지원하며, 아이튠스, 퀵타임 플레이어를 포함한 소프트웨어 꾸러미에서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
Matroska
마트료시카 멀티미디어 컨테이너(마트료쉬카 멀티미디어 컨테이너)는 오픈 표준 자유 컨테이너 포맷이.
MKV
MKV는 다음을 가리.
Monkey's Audio
Monkey's Audio(몽키스 오디오)는 무손실 오디오 압축 코덱이.
MP3
MP3(엠피쓰리 또는 엠피스리, MPEG-1 Audio Layer-3)는 MPEG-1의 오디오 규격으로 개발된 손실압축 포맷이.
MPEG-1
MPEG-1(Moving Picture Experts Group Phase 1, 엠펙 원)은 ISO/IEC JTC 1의 MPEG 그룹이 만든 표준 동영상 및 멀티미디어 규격 가운데 하나이.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1 오디오 레이어 II(MP2)는 ISO/IEC 11172-3에 의해 규정된 손실 오디오 코덱이.
보다 KMPlayer와 MPEG-1 오디오 레이어 II
MPEG-2
right MPEG-2(엠펙 투)는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이 정한 오디오와 비디오 인코딩(부호화)에 관한 일련의 표준을 말하며, ISO 표준 13818(13818-1은 시스템, 13818-2는 비디오 부호화, 13818-3은 오디오...)로 공표되었.
MPEG-4
MPEG-4(엠펙 포, ISO/IEC 14496)는 영상,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Digital data)로 전송, 저장하기 위한 규격의 하나이.
MPEG-4 파트 14
ISO 기반 미디어 파일 포맷과 MP4 파일 포맷의 관계 MPEG-4 파트 14(MPEG-4 Part 14) 또는 MP4 (공식적으로 ISO/IEC 14496-14:2003)는 MPEG-4의 일부로 규정된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 표준이.
Musepack
Musepack 또는 MPC는 160-180 kbit/s로 스테레오 오디오를 투명 압축하는 데 최적화된 개방형 손실 압축 오디오 코덱이.
NSV
NSV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Ogg
Ogg(오그)는 멀티미디어 컨테이너 포맷이.
QCELP
QCELP()는 초기에 CDMA 네트워크에 사용하든 IS-96A코덱의 음성 품질을 개선하기위해 1994년 퀄컴사가 개발한 음성 코덱이.
SAMI
SAMI(사미, Synchronized Accessible Media Interchange; 접근성 미디어 동기화 교환)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에서 1998년에 발표한 미디어 접근 제안이.
TTA (코덱)
TTA(The True Audio, 티티에이, 더 트루 오디오)는 무손실 가역압축 오디오 포맷이.
VC-1
SMPTE 421M 또는 VC-1는 초기에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사유 영상 포맷으로 개발되었으며, SMPTE 영상 코덱 표준으로 2006년 4월 3일에 발표되었.
VOB
VOB(Video OBject)는 DVD 비디오 미디어를 위한 컨테이너 포맷이.
Vorbis
Vorbis는 Xiph.org에서 개발한 오디오 코덱이.
VP3
On2 트루모션 VP3는 무로열티 손실 영상 압축 포맷 및 영상 코덱이.
VP6
On2 TrueMotion VP6는 사유 손실 영상 압축, 영상 코덱이.
Xvid
Xvid(이전 명칭은 XviD)는 MPEG-4 표준을 따르는 영상 코덱 라이브러리이.
3GP
3GP는 3세대 휴대폰에 사용하도록 만들어진 멀티미디어 컨테이너의 형식이.
참고하세요
2002년 소프트웨어
- BOINC
- DSpace
- Foobar2000
- J 샤프
- KMPlayer
- Nginx
- PCSX2
- 넷서프
- 닷넷 컴팩트 프레임워크
- 닷넷 프레임워크
- 도스박스
- 러스터 (파일 시스템)
- 맥 OS X 10.2
- 모질라 파이어폭스
- 뮤즈스코어
- 미디어위키
- 밸브 안티 치트
- 봉주르 (소프트웨어)
- 아이오 (프로그래밍 언어)
- 아이챗
- 아이포토
- 오픈오피스
- 울트라ISO
- 웹 (웹 브라우저)
- 윈도우 미디어 센터
- 윈도우 저널
- 윈도우 폼
- 이뮬
- 젠투 리눅스
- 지라 (소프트웨어)
- 카미노
- 캠타시아
- 토르 (네트워크)
- 프리캐드
- 피카사
- 하이쿠 (운영 체제)
윈도우용 미디어 플레이어
- AIMP
- DivX
- Foobar2000
- KMPlayer
- SMPlayer
- VLC 미디어 플레이어
- WinDVD
- XMPlay
- 곰플레이어
- 그루브 음악
- 나이팅게일 (소프트웨어)
- 리얼플레이어
- 미디어 플레이어 클래식
- 슈퍼 (소프트웨어)
- 스포티파이
- 아이튠즈
-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
- 엠플레이어
- 윈도우 미디어 센터
-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윈앰프
- 제트오디오
- 코어AVC
- 퀵타임
- 파워DVD
- 팟플레이어
파스칼 소프트웨어
- C++빌더
- Dev-C++
- EPANET
- FL 스튜디오
- FilZip
- HeidiSQL
- KMPlayer
- Peazip
- 델파이
- 라자루스 (IDE)
- 맥 OS의 역사
- 비주얼 컴포넌트 라이브러리
- 셰어 (소프트웨어)
- 솔댓
- 스카이프
- 시스템 6
- 애플 리사
- 이노 셋업
- 토탈 커맨더
- 파워아카이버
- 패스트스톤 이미지 뷰어
- 프리 파스칼
또한 K-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MP플레이어, KM플레이어, The KMPlayer, 케이엠플레이어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