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간결와 결 (불교)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간결와 결 (불교)의 차이

간결 vs. 결 (불교)

(慳結)은 애결(愛結)에결(恚結)만결(慢結)무명결(無明結)견결(見結)취결(取結)의결(疑結)질결(嫉結)간결(慳結)의 9결(九結) 가운데 하나이. (結,, bandhana)은 사(使)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

간결와 결 (불교)의 유사점

간결와 결 (불교)는 공통적으로 12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간결, 고 (불교), 계 (불교), 불교 용어 목록, 불교 용어 목록/ㅊ, 불교 용어 목록/구,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 , 아비달마품류족론, 시간 (불교).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간결와 마음 (불교) · 결 (불교)와 마음 (불교) · 더보기 »

간결

(慳結)은 애결(愛結)에결(恚結)만결(慢結)무명결(無明結)견결(見結)취결(取結)의결(疑結)질결(嫉結)간결(慳結)의 9결(九結) 가운데 하나이.

간결와 간결 · 간결와 결 (불교)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간결와 고 (불교) · 결 (불교)와 고 (불교)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간결와 계 (불교) · 결 (불교)와 계 (불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

이 문서는 불교 용어 중 한국어 위키백과에 독립된 문서가 있거나 혹은 될 만한 용어들은 해당 문서의 링크와 간단한 정의를 제공하고, 독립된 문서로 발전할 가능성이 없다고 여겨지는 용어들은 그 정의를 제공하기 위한 문서이.

간결와 불교 용어 목록 · 결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ㅊ

1.차별(差別) 또는 차별상(差別相)은 사물과 다른 사물 간의 상(相,: 모양형상상태성격성질본질, mark, token, sign, characteristic, attribute)의 차이 또는 차별을 말. 사물 간에 서로 상(相)의 차이 또는 차별이 있기 때문에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각각의 사물을 다른 사물과 다른 것으로 표상(요별, 식별)할 수 있. 한편, 마음(6식 또는 8식, 즉, 심왕, 즉 심법)의 이러한 표상작용과 그 세력(적집, 집합)을 상(想) 또는 상온(想蘊)이.

간결와 불교 용어 목록/ㅊ · 결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ㅊ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구

설명이 없습니다.

간결와 불교 용어 목록/구 · 결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구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잡집론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는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3기의 논사인 안혜(安慧: 475~555)가 제1기의 논사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과 무착의 제자이자 동생인 사자각(師子覺)이 지은 《대승아비달마집론》에 대한 주석서를 합하여 편찬한 유식학 논서이.

간결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결 (불교)와 대승아비달마잡집론 · 더보기 »

대승아비달마집론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集論)》()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 총 7권 2분(分) 8품(品) 구성되어 있다. 별칭으로 《대법론(對法論)》 또는 《아비담집론(阿毗曇集論)》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아비달마집론(阿毘達磨集論)》 또는 《집론(集論)》이라고도 한다. 《집론》은 유식유가행파의 교의를 아비달마적으로 분류해서 해설하고 있으며, 아비달마의 특징을 이루는 제법분별(諸法分別) 즉 법상(法相)에 관한 학설을 거의 모두 망라하고 있다. 그리고 《집론》에서 설해진 많은 부분은 《유가사지론》과 《현양성교론》에도 들어 있다. 법상을 이루는 개별 요소들인 갖가지 법들의 명칭정의체계 등이 잘 나타나 있고 설명되어 있어서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大乘阿毗達磨雜集論)》과 함께 여러 다른 논서들에서 옛날부터 널리 인용되었다. 《집론》의 주석서에 해당하는 《대승아비달마잡집론》은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인 11론(十一論) 가운데 하나인데, 무착의 동생이자 제자인 사자각(師子覺)이 《집론》에 대해 붙인 주석 또는 해석을 안혜가 《집론》의 내용과 합하여 편찬한 것이.

간결와 대승아비달마집론 · 결 (불교)와 대승아비달마집론 · 더보기 »

(貪,,,, attachment) 또는 집착(執著) 즉 무언가에 들러붙어서 떠나지 못함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간결와 탐 · 결 (불교)와 탐 · 더보기 »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K.0949, T.1542) 약칭 《품류족론》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아비달마 논서들 중의 하나로,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우(世友,: 1~2세기)가 저술한 논서이.

간결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결 (불교)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더보기 »

시간 (불교)

시(時)시간(時間) 또는 시각(時刻)은 불교에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간결와 시간 (불교) · 결 (불교)와 시간 (불교)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간결와 결 (불교)의 비교.

간결에는 14 개의 관계가 있고 결 (불교)에는 175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6.35%입니다 = 12 / (14 + 175).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간결와 결 (불교)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