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경복궁

색인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196 처지: 러시아, 덩굴식물,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 덕수궁, 동물, 동궁, 류성룡, 매실나무, 모란, 명성황후, 백호, 갑오개혁, 박쥐, 가을, 거북, 건청궁, 건축가, 경복궁,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타령, 경복궁역, 경회루, 광복절, 광해, 왕이 된 남자, 광화문, 광화문역, , 봉황, 북악산, 근정전,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비변사, 대나무, 대조전, 대한민국, 대한민국 문화재청, 대한민국의 국보,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계년사, 대한제국 고종, 교태전, 교태전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 국화과, 국화속, 군국기무처, 두루미, ..., 낙산, 노무현, 단경왕후, 당백전, 용산구, 승정원, 자격루, 자경전 십장생 굴뚝, 자금성, 자선당, 장영실, 임진왜란, 폐비 윤씨, 폐비 신씨, 흥례문, 흥선대원군, 이승만, 이토 히로부미, 이황 (1497년), 인성왕후, 인왕산, 일성정시의, 일월오봉도, 음력 10월, 음력 4월 13일, 음력 4월 2일, 을미사변, 은행나무, 정도전, 정교, 정순왕후 (조선 영조), 조선, 조선 덕종, 조선 명종, 조선 문종, 조선 단종, 조선 인종, 조선 진종, 조선 태조, 조선 태종, 조선 영조, 조선 연산군, 조선 선조, 조선 세조, 조선 세종, 조선총독부, 종로구, 종묘, 중국, 중앙일보, 집현전, 창덕궁, 창경궁, 철인왕후, 청룡, 청와대, 태조실록, , 순회세자, 영지, 오버워치, 온돌, 현무, 향원정, 어진, 역경, 연꽃, 풍수, 사군자, 사슴, 사직 (역사), 산청군, 삼봉집, 세종로, 서울특별시, 소나무, 해태, 한국 전쟁, 한성부, 암석, 아관파천,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신정왕후 (조선), 심덕부, 십장생, 시경, 훈민정음, 월산대군, 홍문관, 10월 18일, 12월, 1392년, 1394년, 1395년, 1411년, 1426년, 1429년, 1456년, 1553년, 1592년, 1865년, 1867년, 1873년, 1894년, 1896년, 1909년, 1961년, 1963년, 1966년, 1970년, 1972년, 1979년, 1982년, 1990년, 1990년대,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1월 21일, 1월 8일, 2001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10년,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 2011년, 2013년, 2016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30년, 20세기, 4월 26일, 5·16 군사 정변, 5월 7일, 8월 15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6 더) »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경복궁와 러시아 · 더보기 »

덩굴식물

휘어있는 덩굴손 덩굴식물()은 땅바닥으로 벋거나 다른 것에 감겨 오르는 식물의 줄기를 지닌 식물을 가리.

새로운!!: 경복궁와 덩굴식물 · 더보기 »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는 SNK가 발표한 킹 오브 파이터즈 시리즈의 네 번째 게임이.

새로운!!: 경복궁와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 · 더보기 »

덕수궁

덕수궁(德壽宮)은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로서, 대한민국의 사적 제124호이며 면적은 63,069m2이.

새로운!!: 경복궁와 덕수궁 · 더보기 »

동물

동물(動物) 또는 뭍사리는 동물계(動物界, Animalia)로 분류되는 생물의 총칭이.

새로운!!: 경복궁와 동물 · 더보기 »

동궁

동궁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경복궁와 동궁 · 더보기 »

류성룡

성룡(柳成龍, 1542년 11월 7일(음력 10월 1일) ~ 1607년 5월 31일(음력 5월 6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인문학자, 의학자, 저술가이.

새로운!!: 경복궁와 류성룡 · 더보기 »

매실나무

''Prunus mume'' 매실나무(梅實-)는 장미과에 속하는 나무로, 매화나무(梅花-). 꽃은 3~4월에 잎이 나기 전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동그랗게 익. 열매를 매실이라 하여 먹. 꽃말은 충실이.

새로운!!: 경복궁와 매실나무 · 더보기 »

모란

모란(牡丹, Paeonia suffruticosa)은 작약과의 잎지는 떨기나무이.

새로운!!: 경복궁와 모란 · 더보기 »

명성황후

쪽.

새로운!!: 경복궁와 명성황후 · 더보기 »

백호

백호 백호(白虎)는 사신(四神)의 하나로 서쪽(西)을 관장하고 있. 벽화에 그려지는 백호는 일반적으로 용의 모습, 또는 흰호랑이의 머리에 용의 몸통으.

새로운!!: 경복궁와 백호 · 더보기 »

갑오개혁

군국기무처 갑오개혁(甲午改革)은 1894년 7월 27일(음력 6월 25일)부터 1895년 7월 6일(음력 윤5월 14일)까지 조선 정부에서 전개한 제도 개혁을 말. 10년 전 갑신정변의 실패 후 망명했던 개화파들이 청일전쟁에 승리한 일본의 위세를 업고 돌아와 추진한 일본식 개혁으로서 갑오경장(甲午更張)이라고도 불. 내각의 변화에 따라 제1차 갑오개혁과 제2차 갑오개혁으로 세분하며, 이후 을미개혁(제3차 갑오개혁)으로 이어.

새로운!!: 경복궁와 갑오개혁 · 더보기 »

박쥐

박쥐는 박쥐목 또는 익수목(翼手目, Chiroptera) 포유류의 총칭이.

새로운!!: 경복궁와 박쥐 · 더보기 »

가을

을은 온대 지방의 네 계절 중 하나이.

새로운!!: 경복궁와 가을 · 더보기 »

거북

북()은 거북목에 속하는 파충류 동물의 총칭이.

새로운!!: 경복궁와 거북 · 더보기 »

건청궁

청궁은 전각의 이름으로 다음의 궁전 안에 있.

새로운!!: 경복궁와 건청궁 · 더보기 »

건축가

축가(建築家)는 건물을 건축할 때, 계획을 세우고 설계를 하며 감독하는 사람이.

새로운!!: 경복궁와 건축가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새로운!!: 경복궁와 경복궁 · 더보기 »

경복궁 아미산 굴뚝

경복궁 아미산의 굴뚝(景福宮峨嵋山-)은 경복궁 교태전(交泰殿)의 구들과 연결된 굴뚝이.

새로운!!: 경복궁와 경복궁 아미산 굴뚝 · 더보기 »

경복궁타령

경복궁타령(景福宮打令)은 경기도 민요의 일종이.

새로운!!: 경복궁와 경복궁타령 · 더보기 »

경복궁역

경복궁(정부서울청사)역(景福宮(政府서울廳舍)驛)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적선동에 있는 서울 지하철 3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경복궁와 경복궁역 · 더보기 »

경회루

경회루(慶會樓)는 경복궁에 있는 누각으로, 조선 시대에 연회 하던곳이.

새로운!!: 경복궁와 경회루 · 더보기 »

광복절

광복절(光復節)은 한반도가 일본 제국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는 날로,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국경일로 법제화함으로써 매년 양력 8월 15일에 기념하고 있. '광복'은“빛(光)을 되찾음(復)”, 즉, 주권을 되찾았다는 뜻으로 쓰인.

새로운!!: 경복궁와 광복절 · 더보기 »

광해, 왕이 된 남자

《광해, 왕이 된 남자》는 2012년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

새로운!!: 경복궁와 광해, 왕이 된 남자 · 더보기 »

광화문

2011년 11월 광화문 광화문(光化門)은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이.

새로운!!: 경복궁와 광화문 · 더보기 »

광화문역

광화문(세종문화회관)역(光化門(世宗文化會館)驛)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 있는 서울 지하철 5호선의 지하철역이.

새로운!!: 경복궁와 광화문역 · 더보기 »

봄은 온대 지방의 네 가지 계절 중 하나이.

새로운!!: 경복궁와 봄 · 더보기 »

봉황

봉황 봉황(鳳凰)은 동아시아의 신화 및 전설에 나오는 상상의 동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봉황 · 더보기 »

북악산

북악산(北岳山)은 서울의 경복궁 북쪽에 있는 산으로, 백악산(白岳山)이.

새로운!!: 경복궁와 북악산 · 더보기 »

근정전

정전(勤政殿)은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으로, 다포계 팔작 지붕의 중층 건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근정전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새로운!!: 경복궁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더보기 »

비변사

비변사(備邊司)는 조선 중기 이후의 행정 관청이.

새로운!!: 경복궁와 비변사 · 더보기 »

대나무

무 또는 죽(竹)은 벼과, 대나무아과의 여러해살이 상록 식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나무 · 더보기 »

대조전

창덕궁 대조전(昌德宮 大造殿)은 창덕궁 내전 중 가장 으뜸가는 건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조전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문화재청

문화재청(文化財廳,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약칭: CHA)은 문화재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의 중앙행정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민국 문화재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보

숭례문(국보 제1호) 대한민국의 국보(大韓民國 國寶)는 대한민국에서, 건축물이나 유물 등의 유형 문화재 가운데에 중요한 가치를 가져 보물로 지정될 만한 문화재 가운데 인류문화적으로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독특하고 희귀한 것 등으로 인정되어 따로 지정된 문화유산을 말. 국보와 보물을 나눈 기준은 특별히 엄격하지 않으며 다만 제작 연도가 오래되었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이나 제작 기술이 특별히 우수한 것 등을 국보로 지정하였.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민국의 국보 · 더보기 »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민국의 사적 · 더보기 »

대한계년사

사(大韓季年史)는 고종 1년(1864)부터 대한제국 멸망(1910)까지 조선 시대 말년의 역사를 다루는 정교의 역사서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계년사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대한제국 고종 · 더보기 »

교태전

전은 다음과 같은 뜻을 내포한다.

새로운!!: 경복궁와 교태전 · 더보기 »

교태전 (경복궁)

전 교태전(交泰殿)은 경복궁에 있는 조선 시대 왕비의 침전이.

새로운!!: 경복궁와 교태전 (경복궁) · 더보기 »

국립민속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國立民俗博物館, National Folk Museam of Korea)은 한민족과 세계 각국의 생활양식·풍속 및 관습과 이에 사용된 도구 및 자료의 수집·보존·조사·연구·전시·교육 및 교류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립민속박물관 · 더보기 »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은 궁중유물의 연구·조사·수집·보관 및 전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재청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립고궁박물관 · 더보기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國立中央博物館, National Museum of Korea)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번지에 위치한 국립박물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립중앙박물관 · 더보기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내부1 국립현대미술관(國立現代美術館,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약칭: MMCA)은 미술작품 및 자료의 수집·보존·전시·조사 및 연구와 이에 관한 국제교류 및 미술활동의 보급을 통한 국민의 미술문화의식 향상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의 소속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립현대미술관 · 더보기 »

국화과

국화과(菊花科)는 국화목에 속하는 분류군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화과 · 더보기 »

국화속

국화속(菊花屬, Chrysanthemum)은 국화과에 속하는 대년생 식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국화속 · 더보기 »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 군국기무처(軍國機務處)는 1894년 1차 갑오개혁 때 만들어진 관청이.

새로운!!: 경복궁와 군국기무처 · 더보기 »

두루미

미는 두루미목 두루미과 한 종으로, 한국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겨울철새이.

새로운!!: 경복궁와 두루미 · 더보기 »

낙산

낙산(駱山)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성북구에 걸쳐 있는 산이.

새로운!!: 경복궁와 낙산 · 더보기 »

노무현

무현(盧武鉉, 1946년 9월 1일 ~ 2009년 5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이.

새로운!!: 경복궁와 노무현 · 더보기 »

단경왕후

경왕후 신씨(端敬王后 愼氏, 1487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1557년 12월 27일(음력 12월 7일)는 조선 중종의 정비(正妃)이다. 시호는 공소순열단경왕후(恭昭順烈端敬王后)이다. 익창부원군 신도공 신수근(愼守勤)과 청원부부인 한씨(淸原府夫人 韓氏)의 딸로, 본관은 거창(居昌)이다. 조선의 역대 왕비 중 제일 짧은 7일의 재위 기간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적의 딸로 연좌되어 폐출된 후 영조 때에 부모와 함께 복위되었다. 능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리에 위치한 온릉이다.

새로운!!: 경복궁와 단경왕후 · 더보기 »

당백전

당백전(當百錢)은 조선 말기인 1866년(고종 3년)에 흥선 대원군 이하응이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주조한 화폐로, 법정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100배에 해당하였으나, 실제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5 ~ 6배 가치에 불과하였.

새로운!!: 경복궁와 당백전 · 더보기 »

용산구

용산구(龍山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한강 위쪽 중간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경복궁와 용산구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승정원 · 더보기 »

자격루

자격루(自擊漏)는 조선 세종 때의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

새로운!!: 경복궁와 자격루 · 더보기 »

자경전 십장생 굴뚝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景福宮慈慶殿十長生-)은 경복궁 자경전 뒤꼍 담의 중앙부에 위치한 조선 시대 굴뚝이.

새로운!!: 경복궁와 자경전 십장생 굴뚝 · 더보기 »

자금성

자금성 자금성()은 베이징의 중심에 있는 명과 청 왕조의 궁궐이.

새로운!!: 경복궁와 자금성 · 더보기 »

자선당

자선당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경복궁와 자선당 · 더보기 »

장영실

장영실 동상 장영실 동상 (천안아산역 소재) 장영실(蔣英實, 1390년? ~ 1450년?)은 조선 전기의 관료이며 과학자, 기술자, 발명가이.

새로운!!: 경복궁와 장영실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경복궁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새로운!!: 경복궁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폐비 신씨

비 신씨(廢妃 愼氏, 1476년 12월 15일(음력 11월 29일)~1537년 5월 16일(음력 4월 8일)) 는 조선 연산군(燕山君)의 왕비(王妃)이.

새로운!!: 경복궁와 폐비 신씨 · 더보기 »

흥례문

흥례문 흥례문(興禮門)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과 근정전의 정문인 근정문 사이에 있는 중문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중층 목조 건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흥례문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새로운!!: 경복궁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새로운!!: 경복궁와 이승만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경복궁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황 (1497년)

이황(李𩔇, 1498년 1월 10일/1497년 음력 12월 18일 ~ 1506년 10월 10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제10대 왕인 연산군의 적장자이.

새로운!!: 경복궁와 이황 (1497년) · 더보기 »

인성왕후

인성왕후 박씨(仁聖王后 朴氏, 1514년 10월 7일/음력 9월 20일 ~ 1578년 1월 6일/1577년 음력 11월 29일)는 조선 인종의 왕비이며 정식시호는 효순공의인성왕후(孝順恭懿仁聖王后)이.

새로운!!: 경복궁와 인성왕후 · 더보기 »

인왕산

인왕산(仁王山)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서대문구에 걸쳐있는 산이며 전체 면적은 1,086,696.50m2이.

새로운!!: 경복궁와 인왕산 · 더보기 »

일성정시의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는 1437년 5월 19일(조선 세종 19년 음력 4월 15일)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세종이 이천, 정인지, 정초에게 명하여 해시계와 별시계의 기능을 하나로 모아 고안하여 낮과 밤의 시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만들게 하여 장영실 등이 만든 주야간 시계이.

새로운!!: 경복궁와 일성정시의 · 더보기 »

일월오봉도

경복궁 사정전의 일월오봉도 일월오봉도(日月五峰圖)란 한자어 그대로 달과 해 앞의 다섯 산봉우리를 그린 그림이란 뜻이.

새로운!!: 경복궁와 일월오봉도 · 더보기 »

음력 10월

음력 10월(陰曆十月)은 음력에서 열 번째 달이.

새로운!!: 경복궁와 음력 10월 · 더보기 »

음력 4월 13일

음력 4월 13일은 음력 4월의 13번째 날이.

새로운!!: 경복궁와 음력 4월 13일 · 더보기 »

음력 4월 2일

음력 4월 2일은 음력 4월의 2번째 날이.

새로운!!: 경복궁와 음력 4월 2일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새로운!!: 경복궁와 을미사변 · 더보기 »

은행나무

은행나무(銀杏 -,Ginkgo biloba)는 행자목이라고도 하며, 겉씨식물에 속하는 낙엽성 침엽수로 대한민국·중화인민공화국·일본 등지에 고루 분. 원래 신생대 에오세에 번성하였던 식물로, 현존하는 종은 은행나무문 가운데 유일하게 남아있어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불린.

새로운!!: 경복궁와 은행나무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새로운!!: 경복궁와 정도전 · 더보기 »

정교

정교(鄭喬 1856년 7월 8일 서울∼1925년 3월 15일 이리)는 일제 강점기의 학자·항일 우국지사.

새로운!!: 경복궁와 정교 · 더보기 »

정순왕후 (조선 영조)

정순왕후 김씨(貞純王后, 1745년 12월 2일 ~ 1805년 2월 11일)는 조선의 21대왕인 영조(英祖)의 계비이.

새로운!!: 경복궁와 정순왕후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덕종

덕종(德宗, 1438년 ~ 1457년 9월 20일 (음력 9월 2일)은 조선 초기의 왕족이자 왕세자(王世子), 작가이다. 세종의 첫 손자이자 세조의 장자이며 예종의 형이다. 월산대군, 성종 형제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정희왕후 윤씨이다. 1455년 세자(世子)에 책봉되었으나 2년 만에 20세의 나이에 요절한다. 사후 차자 성종이 즉위하면서 왕(王)으로 추존되었다. 바로 의경왕(懿敬王)에 추존되었다가 회간왕(懷簡王)으로 추존되고 뒤에 덕종(德宗)의 묘호가 올려졌다. 정식 시호는 덕종회간선숙공현온문의경대왕(德宗懷簡宣肅恭顯溫文懿敬大王)이며 왕에 추존되기 전에는 의경세자(懿敬世子)로 불렸다. 성은 이(李), 휘는 장(暲), 초명은 숭(崇), 현동(賢同), 자는 원명(原明),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덕종 · 더보기 »

조선 명종

명종(明宗, 1534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1567년 8월 2일 (음력 6월 28일))은 조선의 제13대 임금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명종 · 더보기 »

조선 문종

문종(文宗, 1414년 11월 15일 (음력 10월 3일) ~ 1452년 6월 1일 (음력 5월 14일), 재위 1450년 ~ 1452년)은 조선의 제5대 임금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문종 · 더보기 »

조선 단종

종(端宗, 1441년 8월 9일 (음력 7월 23일) ~ 1457년 11월 7일 (음력 10월 21일), 재위 1452년~1455년)은 조선의 제6대 왕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단종 · 더보기 »

조선 인종

인종(仁宗, 1515년 3월 10일 (음력 2월 25일) ~ 1545년 8월 7일(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2대 임금(재위 1544년 ~ 1545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인종 · 더보기 »

조선 진종

종(眞宗, 1719년 4월 4일(음력 2월 15일) ~ 1728년 12월 16일(음력 11월 16일))은 조선의 왕세자이자 추존왕,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진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태종

종(太宗, 1367년 6월 13일 (음력 5월 16일) ~ 1422년 5월 30일 (음력 5월 10일) 재위 1400년 ~ 1418년)은 고려, 조선의 문신이자 조선의 제3대 임금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태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조선 세조

세조(世祖, 1417년 11월 2일 (음력 9월 24일) ~ 1468년 9월 23일 (음력 9월 8일), 재위 1455년~1468년)는 조선의 제7대 임금, 시인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세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새로운!!: 경복궁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종로구

종로구(鐘路區)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의 중북부에 있는 자치구이.

새로운!!: 경복궁와 종로구 · 더보기 »

종묘

종묘(宗廟)는 조선 왕조의 역대 국왕들과 왕후들의 신주를 모시고 제례를 봉행하는 유교 사당이.

새로운!!: 경복궁와 종묘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경복궁와 중국 · 더보기 »

중앙일보

《중앙일보》(中央日報)는 대한민국에서 매일 발행되는 조간(朝刊) 신문이며, 미디어 그룹인 중앙미디어네트워크의 핵심 중의 하나이.

새로운!!: 경복궁와 중앙일보 · 더보기 »

집현전

집현전(集賢殿)은 정이품아문으로,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이.

새로운!!: 경복궁와 집현전 · 더보기 »

창덕궁

창덕궁(昌德宮)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 궁궐로 동쪽으로 창경궁과 맞닿아 있. 경복궁의 동쪽에 있어서 조선 시대에는 창경궁과 더불어 동궐(東闕)이라 불. 창덕궁은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중요한 고궁이며, 특히 창덕궁 후원은 한국의 유일한 궁궐후원이라는 점과 한국의 정원을 대표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높.《글로벌 세계대백과》〈창덕궁〉 1997년에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

새로운!!: 경복궁와 창덕궁 · 더보기 »

창경궁

창경궁(昌慶宮)은 서울시에 있는 조선 성종 때에 건축한 궁궐이.

새로운!!: 경복궁와 창경궁 · 더보기 »

철인왕후

인왕후 金氏(哲仁王后, 1837년 4월 27일(음력 3월 23일) ~ 1878년 6월 12일(음력 5월 12일))는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비(妃)이.

새로운!!: 경복궁와 철인왕후 · 더보기 »

청룡

숭례문의 청룡과 황룡 그림. 청룡(靑龍)은 사신(四神)의 하나로 알려진 용의 일종이.

새로운!!: 경복궁와 청룡 · 더보기 »

청와대

청와대 정문 청와대(靑瓦臺, Cheongwadae, Blue House)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관계된 행정기관을 말. 집무공간인 본관, 공식행사공간인 영빈관, 주거공간인 관저, 외빈 접견 장소인 상춘재, 비서 부속기구인 대통령비서실, 경호 부속기구인 대통령경호처, 대언론 창구인 춘추관을.

새로운!!: 경복궁와 청와대 · 더보기 »

태조실록

《태조강헌대왕실록》(太祖康獻大王實錄)은 조선 태조 원년(1392년)부터 태조 7년(1398년)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책으로, 조선왕조실록의 한 부분이.

새로운!!: 경복궁와 태조실록 · 더보기 »

새 또는 조류(鳥類)는 크게 발달된 수각류 공룡을 의미하며, 보통 비행이 가능한 종이 많. 계통적으로는 석형강 공룡상목 조강(鳥綱)에 속. 새는 포유류와 마찬가지로 심장이 2심방 2심실이며, 허파로 호흡하는 항온동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새 · 더보기 »

순회세자

순회세자 이부(順懷世子 李暊, 1551년 7월 1일/음력 5월 28일 ~ 1563년 10월 6일/음력 9월 20일)는 조선 명종과 인순왕후의 외아들이.

새로운!!: 경복궁와 순회세자 · 더보기 »

영지

영지(일본어: reishi; 베트남어: linh chi; Ganoderma lucidum (Leyss. ex. Fr) Karst)는 담자균강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에 속하는 1년생 버섯으로 모양은 계통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새로운!!: 경복궁와 영지 · 더보기 »

오버워치

《오버워치》()는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개발하고 배급하는 다중 사용자 1인칭 슈팅 게임이.

새로운!!: 경복궁와 오버워치 · 더보기 »

온돌

온돌(溫突) 또는 구들은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옥 난방 방법이.

새로운!!: 경복궁와 온돌 · 더보기 »

현무

현무 현무(玄武)는 사신(四神) 중의 하나로 여겨지는 상상의 동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현무 · 더보기 »

향원정

경복궁 향원정 (景福宮 香遠亭)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 내에 있는 조선시대의 건축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향원정 · 더보기 »

어진

조선 태조의 어진 어진(御眞)은 왕의 초상화를 뜻. 어진 말고도 진용(眞容)·진(眞)·진영 (眞影)·수용(睢容)·성용(聖容)·영자(影子)·영정(影幀)·어용(御容)·왕상(王像)·어영(御影) 이라는 단어들로 불리었다가 1713년(숙종 39년) 숙종어진을 그릴 당시 어용도사도감도제조(御容圖寫都監都提調)였던 이이명의 건의에 따라 ‘어진’이라는 명칭으로 통일하였.

새로운!!: 경복궁와 어진 · 더보기 »

역경

《역경(易經)》은 유학(儒學)의 삼경 중 하나로, 세계의 변화에 관한 원리를 기술한 책이라 일컬어지고 있. 《주역(周易)》이.

새로운!!: 경복궁와 역경 · 더보기 »

연꽃

연꽃(蓮,, Nelumbo nucifera)의 원산지는 중국이.

새로운!!: 경복궁와 연꽃 · 더보기 »

풍수

풍수지리(風水地理) 한자어의 뜻을 풀이한 그림 '''자연(風水)이 땅(地)의 모든 기운을 다스림(理)''' 한양의 명당 입지 풍수(風水)는 땅과 공간의 해석과 활용에 대한 동아시아의 고유 사상이.

새로운!!: 경복궁와 풍수 · 더보기 »

사군자

사군자(四君子)는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말. 줄여서 매란국죽(梅蘭菊竹)이.

새로운!!: 경복궁와 사군자 · 더보기 »

사슴

사슴은 사슴과(Cervidae) 동물의 총칭으로, 포유강 소목의 한 과를 이. 일반적으로 사슴이라고 불리는 동물 외에도 노루, 순록, 사불상 등이 사슴과에.

새로운!!: 경복궁와 사슴 · 더보기 »

사직 (역사)

사직(社稷)은, 고대 중국과 그 제도를 모방한 주변의 왕조에서 군주가 토지의 신인 사(社)에게 제사지내는 제단과, 곡식의 신인 직(稷)을 제사지내기 위해 만든 단을 함께 어우르는 말이.

새로운!!: 경복궁와 사직 (역사) · 더보기 »

산청군

산청군(山淸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중서부에 있는 군이.

새로운!!: 경복궁와 산청군 · 더보기 »

삼봉집

《삼봉집》(三峰集)은 정도전이 평생에 걸쳐 쓴 글을 모아 편찬한 것이.

새로운!!: 경복궁와 삼봉집 · 더보기 »

세종로

세종로(世宗路)의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경복궁와 세종로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경복궁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소나무

소나무는 구과목 소나무과의 식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소나무 · 더보기 »

해태

(獬廌·獬豸)는 동아시아에 동아시아 고대 전설 속의 ‘시비와 선악을 판단하여 안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이.

새로운!!: 경복궁와 해태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새로운!!: 경복궁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경복궁와 한성부 · 더보기 »

암석

코스타리카 오로시 근처의 산 시내의 바위면 암석(巖石)은 광물이나 조암 광물이 자연적으로 모여 이루어진 고체이.

새로운!!: 경복궁와 암석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새로운!!: 경복궁와 아관파천 · 더보기 »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아파나시 이바노비치 세레딘사바틴(Afanasy Ivanovich Seredin-Sabatin, 1860년 ~ 1921년)은 1890년부터 1904년까지 조선과 대한제국에서 일했던 러시아 출신의 건축 기사이.

새로운!!: 경복궁와 아파나시 세레딘사바틴 · 더보기 »

신정왕후 (조선)

신정왕후(神貞王后, 1809년 1월 21일(1808년 음력 12월 6일) ~ 1890년 6월 4일(음력 4월 17일))는 조선의 추존왕 문조의 아내이며 헌종의 어머니이.

새로운!!: 경복궁와 신정왕후 (조선) · 더보기 »

심덕부

심덕부(沈德符, 1328년 ~ 1401년)는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무신, 공신이.

새로운!!: 경복궁와 심덕부 · 더보기 »

십장생

십장생(十長生)은 열 가지 장생 불사를 표상한 것이.

새로운!!: 경복궁와 십장생 · 더보기 »

시경

《시경(詩經)》은 중국 최초의 시가집이.

새로운!!: 경복궁와 시경 · 더보기 »

훈민정음

《훈민정음》(訓民正音)은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이 지은 책의 제목, 그리고 그 책에서 해설하고 있는 뒷날 한글로 불리게 된 한국어의 표기 문자 체계를 말. 세종대왕이 궁중에 정음청(正音廳)을 두고 성삼문.

새로운!!: 경복궁와 훈민정음 · 더보기 »

월산대군

월산대군(月山大君, 1455년 1월 5일(음력 1454년 12월 18일) ~ 1489년 1월 22일(음력 1488년 12월 21일))은 조선 전기의 왕족, 시인이.

새로운!!: 경복궁와 월산대군 · 더보기 »

홍문관

홍문관(弘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새로운!!: 경복궁와 홍문관 · 더보기 »

10월 18일

10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1번째(윤년일 경우 29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10월 18일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새로운!!: 경복궁와 12월 · 더보기 »

139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392년 · 더보기 »

13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394년 · 더보기 »

13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395년 · 더보기 »

141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411년 · 더보기 »

142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426년 · 더보기 »

14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429년 · 더보기 »

145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456년 · 더보기 »

15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경복궁와 1553년 · 더보기 »

1592년

15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592년 · 더보기 »

1865년

186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865년 · 더보기 »

1867년

186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867년 · 더보기 »

1873년

187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873년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894년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896년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09년 · 더보기 »

1961년

196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61년 · 더보기 »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63년 · 더보기 »

1966년

196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66년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70년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72년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79년 · 더보기 »

1982년

198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82년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0년 · 더보기 »

1990년대

1990년대는 1990년부터 1999년을 가리.

새로운!!: 경복궁와 1990년대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4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5년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6년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7년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8년 · 더보기 »

1999년

19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1999년 · 더보기 »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1월 21일 · 더보기 »

1월 8일

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번째(윤년일 경우도 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1월 8일 · 더보기 »

2001년

9·11 테러로 세계무역센터가 불타는 장면 2001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와 제3천년기의 첫 번째 해이.

새로운!!: 경복궁와 2001년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04년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05년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06년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07년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0년 · 더보기 »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는 G20 주요 경제국의 정상들이 모이는 다섯 번째 모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0년 서울 G20 정상회의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1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3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6년 · 더보기 »

2019년

201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19년 · 더보기 »

2020년

20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0년 · 더보기 »

2021년

2021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1년 · 더보기 »

2022년

202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2년 · 더보기 »

2025년

202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5년 · 더보기 »

2026년

202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6년 · 더보기 »

2027년

20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27년 · 더보기 »

2030년

203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30년 · 더보기 »

20세기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0px 20세기는 1901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이.

새로운!!: 경복궁와 20세기 · 더보기 »

4월 26일

4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6번째(윤년일 경우 11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4월 26일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새로운!!: 경복궁와 5·16 군사 정변 · 더보기 »

5월 7일

5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7번째(윤년일 경우 128번째), 뒤에서부터는 23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5월 7일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경복궁와 8월 15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강녕전, 건춘문, 경복궁 강녕전, 경복궁 건춘문, 경복궁 만춘전, 경복궁 복원사업, 경복궁 집경당, 경복궁 영제교, 경복궁 영추문, 경복궁 소주방, 경복궁 함화당, 근정문, 만춘전, 집경당, 영제교, 영추문, 소주방, 흠경각, 함화당.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