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의 차이

계금취 vs. 백이십팔근본번뇌

(戒禁取)는 5견(五見), 즉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중 하나로, 그릇된 계행(戒行)을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그릇된 계율이나 금지 조항을 바른 것으로 간주하여 거기에 집착하는 것을 말. 그리고, 이에 따라, 인(因) 아닌 것을 인이라 하고, 참된 해탈도(解脫道)가 아닌 것을 참된 해탈도라고 집착하는 잘못된 견해 말. 계금취견(戒禁取見), 계금등취견(戒禁等取見), 계도견(戒盜見) 또는 계취견(戒取見)이.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의 유사점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는 공통적으로 16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작용, 반야, 견취, 계 (불교), 변집견,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 용어 목록/ㅂ, 불교 용어 목록/수, 부정견, 부파불교, 유신견, 사견, 삼수 (불교), 설일체유부, 아비달마품류족론, 십육심.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계금취와 마음작용 · 마음작용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계금취와 반야 · 반야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더보기 »

견취

(見取)는 5견(五見), 즉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염오견(染汚見) 중 하나로, 그릇된 견해를 올바른 것이라고 집착하는 것, 즉 유신견변집견사견 등을 일으킨 후 이를 고집하여 진실하고 뛰어난 견해라고 집착하는 것을 말. 견취견(見取見)이.

견취와 계금취 · 견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더보기 »

계 (불교)

불교에서 계(戒)는 덕, 바른 행동, 도덕, 도덕의 규율, 계율을 말하며, 그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 계는 정(定), 혜(慧)와 함께 삼학(三學)에 속하며, 바라밀의 두 번째 행인 지계(持戒)이.

계 (불교)와 계금취 · 계 (불교)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더보기 »

변집견

변집견(邊執見,,,, extreme view)은 단(斷)과 상(常)의 두 극단에 집착하는 견해, 즉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말. 변집견은 줄여서 변견(邊見)이라고도 하며, 2가지 변견이라는 뜻에서 2변(二邊)이라고도 하며, 변견(邊見)을 번역하여 극단적인 견해라고도 하고 2변(二邊)을 번역하여 두 극단이.

계금취와 변집견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변집견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ㅎ

1.

계금취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ㅎ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ㅂ

바깥은 내적인 것에 대해 외적인 것을 뜻. 예를 들어, 근(根)경(境)식(識)에서 가설적 존재로서의 나를 기준으로 할 때 근과 식은 내적인 것이며 경은 외적인 것이.

계금취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ㅂ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계금취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부정견

부정견(不正見) 또는 악견(惡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계금취와 부정견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정견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계금취와 부파불교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파불교 · 더보기 »

유신견

유신견(有身見,,,, self view, identity view) 또는 살가야견(薩迦耶見)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계금취와 유신견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유신견 · 더보기 »

사견

사견(邪見)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뜻이 있. 첫 번째의 사견(邪見)은 모든 잘못된 견해를 통칭하는 말이.

계금취와 사견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사견 · 더보기 »

삼수 (불교)

3수(三受)는 불교에서 느낌지각정서의 마음작용인 수(受) 또는 수온(受蘊)을 3가지로 세분한 고수(苦受)낙수(樂受)사수(捨受)를 말.

계금취와 삼수 (불교)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삼수 (불교)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계금취와 설일체유부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K.0949, T.1542) 약칭 《품류족론》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아비달마 논서들 중의 하나로,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우(世友,: 1~2세기)가 저술한 논서이.

계금취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더보기 »

십육심

16심(十六心,, ṣoḍaśa-cittaka) 또는 16찰나의 마음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계금취와 십육심 ·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십육심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의 비교.

계금취에는 23 개의 관계가 있고 백이십팔근본번뇌에는 173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8.16%입니다 = 16 / (23 + 173).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계금취와 백이십팔근본번뇌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