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와 최씨정권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고려와 최씨정권의 차이

고려 vs. 최씨정권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씨정권(崔氏政權)은 명종 26년인 1196년에 최씨정변으로 생긴 정권이.

고려와 최씨정권의 유사점

고려와 최씨정권는 공통적으로 3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랴오둥반도, 몽골, 몽골족, 개성특급시, 박서, 거란, 경주 황룡사지, 경주시, 고려 명종, 고려 고종, 고려 신종, 고려-몽골 전쟁, 관노, 금나라, 김윤후, 대장군, 교정도감, 구이저우성, 노비, 이의민, 이의방, 저고여, 상장군, 최우, 최충수, 최충헌, 여진, 살리타이, 서경 (고려),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합천군, 압록강, 황태자, 1196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 더) »

랴오둥반도

오둥 반도의 위치 랴오둥 반도() 또는 요동 반도(문화어,: 료동 반도)는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 성(遼寧省) 남부의 반도이.

고려와 랴오둥반도 · 랴오둥반도와 최씨정권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고려와 몽골 · 몽골와 최씨정권 · 더보기 »

몽골족

몽골족()은 몽골, 러시아, 중국(주로 내몽골 자치구)에 거주하는 민족이.

고려와 몽골족 · 몽골족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개성특급시와 고려 · 개성특급시와 최씨정권 · 더보기 »

박서

박서(朴犀, 생몰년 미상)는 고려 후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죽산(竹山)이.

고려와 박서 · 박서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거란와 고려 · 거란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경주 황룡사지

황룡사(皇龍寺)는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사찰로서, 경주에서 가장 컸던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한국사 > 고대사회의 발전 > 삼국의 성립과 발전 > 고대문화의 발전 > 황룡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현재는 터만 남아 있. 황룡사는 9층 목탑과 장륙상(丈六像)과 더불어 신라 삼보(三寶)의 하나로 유명하였.

경주 황룡사지와 고려 · 경주 황룡사지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경주시

경주시(慶州市)는 대한민국 경상북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경주시와 고려 · 경주시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고려 명종

명종(明宗, 1131년 11월 8일 (음력 10월 17일) ~ 1202년 12월 3일 (음력 11월 17일)은 고려 제19대 국왕(재위: 1170년 ~ 1197년)이다. 휘는 호(晧), 자는 지단(之旦), 묘호는 명종, 시호는 황명광효대왕(皇明光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任氏)의 셋째 아들이며 의종의 동생이다.

고려와 고려 명종 · 고려 명종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고려 고종

종(高宗, 1192년 2월 3일 (음력 1월 18일) ~ 1259년 7월 21일 (음력 6월 30일)은 고려 제23대 국왕(재위: 1213년 ~ 1259년)이다. 휘는 철(皞), 자는 천우(天祐), 묘호는 고종(高宗),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헌왕(忠憲王)이며 고려에서 올린 시호는 안효대왕(安孝大王)이다. 강종과 원덕태후(元德太后) 문화 류씨(柳氏)의 맏아들이다. 비(妃)는 희종의 딸 안혜태후(安惠太后) 류씨(柳氏)이다.

고려와 고려 고종 · 고려 고종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고려 신종

신종(神宗, 1144년 8월 11일 (음력 7월 11일) ~ 1204년 2월 15일 (음력 1월 13일)은 고려 제20대 국왕(재위: 1197년 ~ 1204년)이다. 휘는 탁(晫), 자는 지화(至華),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경공정효대왕(敬恭靖孝大王)이다. 인종과 공예태후 임씨(恭睿太后 任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의종과 명종의 막내동생이다. 1197년부터 1204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최충헌(崔忠獻)이 실권을 맡았다.

고려와 고려 신종 · 고려 신종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고려-몽골 전쟁

씨의 무단정치(武斷政治) 하에 있는 동안 중앙아시아 대륙에서는 테무친이 등장하여 몽골족을 통일하고, 1206년(희종 2년)에는 칭기즈 칸이라 칭하고 강대한 제국(帝國)으로 군림하였.

고려와 고려-몽골 전쟁 · 고려-몽골 전쟁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관노

(官奴)는 관아(官衙) 소유의 노비이.

고려와 관노 · 관노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금나라

(大金, 1115년~1234년) 또는 암반 안취운 구룬(여진어: Amban Anʧu-un Gurun)은 여진족이 중국 동북지방, 몽골, 화베이 일대에 세운 왕조이자 동진국, 청나라와 더불어 만주의 제족 중 대표적인 퉁구스계 국가였.

고려와 금나라 · 금나라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김윤후

윤후(金允侯, 생몰년 미상)는 고려 고종 때의 승장(僧將)이.

고려와 김윤후 · 김윤후와 최씨정권 · 더보기 »

대장군

장군(大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고려와 대장군 · 대장군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교정도감

정도감(敎定都監)은 최충헌이 설치한 무신정권의 최고 정치 기구로 교정소(敎定所).

고려와 교정도감 · 교정도감와 최씨정권 · 더보기 »

구이저우성

이저우 성(귀주성)은 중화인민공화국 남서부에 있는 성이.

고려와 구이저우성 · 구이저우성와 최씨정권 · 더보기 »

노비

비(奴婢)는 한국의 과거 신분제 사회에서 다른 사람에게 예속되어 있던 천민 사회 계급을 가리.

고려와 노비 · 노비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이의민

이의민(李義旼, ? ~ 1196년 5월 7일 (음력 4월 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가이자 무신정권의 지도자이.

고려와 이의민 · 이의민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이의방

이의방(李義方, 1121년 ~ 1175년 1월 12일(1174년 음력 12월 18일))은 고려 중기의 무신이.

고려와 이의방 · 이의방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저고여

저고여(著古與, ? ~ 1225년)는 몽골 제국의 장군으로 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된 사람이.

고려와 저고여 · 저고여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상장군

상장군(上將軍)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상 자주 나타나는 무관 관직이.

고려와 상장군 · 상장군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최우

우(崔瑀, 1166년 ~ 1249년 12월 10일 (음력 11월 5일))는 고려 중기, 후기의 무신(武臣), 권신(權臣), 정치가(政治家)이.

고려와 최우 · 최씨정권와 최우 · 더보기 »

최충수

충수(崔忠粹, 1152년 ~ 1197년)는 고려시대 중기 ~ 후기의 무신이.

고려와 최충수 · 최씨정권와 최충수 · 더보기 »

최충헌

충헌(崔忠獻, 1149년~1219년 10월 29일 (음력 9월 20일))은 고려 시대의 무신이자 군인, 정치가이.

고려와 최충헌 · 최씨정권와 최충헌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고려와 여진 · 여진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살리타이

살리타이(? ~ 1232년) 는 몽골 제국의 장군이.

고려와 살리타이 · 살리타이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서경 (고려)

서경(西京)은 고려삼경(高麗三京)의 하나로서 오늘날의 평양이.

고려와 서경 (고려) · 서경 (고려)와 최씨정권 · 더보기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陜川 海印寺 大藏經板) 또는 팔만대장경(八萬大藏經),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 트리피타카 코레아나)은 경상남도 합천군 해인사에 있는, 고려가 몽골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막아내고자 1236년(고종 23년) 강화군에서 조판에 착수하여 15년이 지난 1251년(고종 38년)까지 총 16년에 걸쳐 완성한 고려의 대장경이.

고려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최씨정권와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더보기 »

합천군

합천군(陜川郡)은 대한민국 경상남도 서북부에 있는 군이.

고려와 합천군 · 최씨정권와 합천군 · 더보기 »

압록강

'''압록강'''(鴨綠江) 압록강(鴨綠江)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경을 이루는 한반도 북서부의 강이.

고려와 압록강 · 압록강와 최씨정권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고려와 황태자 · 최씨정권와 황태자 · 더보기 »

1196년

설명이 없습니다.

1196년와 고려 · 1196년와 최씨정권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고려와 최씨정권의 비교.

고려에는 330 개의 관계가 있고 최씨정권에는 118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7.59%입니다 = 34 / (330 + 118).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고려와 최씨정권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