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정종 (3대)

색인 고려 정종 (3대)

정종(定宗, 923년~949년 4월 13일(음력 3월 13일)은 고려 제3대 황제(재위: 945년 10월 23일~949년 4월 13일)이다. 휘는 요(堯), 자는 의천(義天), 묘호는 정종(定宗), 시호는 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이다. 정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사이의 아들이며, 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 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 박씨로 박영규와 견훤의 딸인 국대부인 견씨 사이의 딸들이다. 왕식렴의 도움으로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규의 난을 진압한 뒤에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정통성 문제로 집권기반이 취약하였다. 서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였으나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80 처지: 류승수, 문공왕후, 문성왕후, 문화방송, 묘호, 개성특급시, 박술희, 박수문, 박수경, 박영규, 강화도, 거란, 견훤, 경춘원군, 고려, 고려 광종, 고려 정종 (10대), 고려 정종 (3대), 고려 태조, 고려 혜종, 고려 세조, 고려의 역대 국왕, 고구려, 불교,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김긍률, 김영찬 (1994년), 국대부인 견씨,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효성태자, 자 (이름), 임금, 평양직할시, 흥화궁군, 이름, 음력 3월 13일, 제국의 아침, 정종, 청주남원부인, 충주시, 유긍달, 위숙왕후, 태조 왕건 (드라마), 태사, 최승로, 최재성 (배우), 여진, 서경, 서경 (고려), 한국방송공사, ..., 한국의 역사, 안릉 (고려), 신명순성왕후, 시호, 후진 (오대), 홍종현 (배우), 황태자, 왕규, 왕규 (함규), 왕규의 난, 왕평달, 왕태, 왕식렴, SBS, 10월 23일, 1월, 2000년, 2002년, 2003년, 2015년, 2016년, 3월, 4월 13일, 900, 923년, 945년, 946년, 947년, 949년,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 더) »

류승수

승수(1971년 8월 12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작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류승수 · 더보기 »

문공왕후

문공왕후 박씨(文恭王后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문공왕후 · 더보기 »

문성왕후

문성왕후 박씨(文成王后 朴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제2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문성왕후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묘호

묘호(廟號)는 중국, 한국, 베트남 등 동양의 봉건 왕조 국가에서 황제 또는 국왕과 같은 군주에게만 붙인 칭호로 군주가 승하한 뒤 태묘(太廟, 또는 종묘)에서 군주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낼 때 사용되었.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묘호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박술희

박술희(朴述熙 또는 朴述希, ? ~945년 10월 24일(음력 9월 16일))는 신라(新羅) 말기와 후삼국시대(後三國時代, 사람이며, 고려(高麗) 초기의 무신(武神)이다. 태조(太祖)의 측근 중의 한 사람이다. 면천 박씨(沔川朴氏)의 시조로 고려高麗) 전기의 무신(武神)이자, 개국공신으로 시호는 엄의(嚴毅)이다. 대승(大丞) 득의(得宜)의 아들이다. 눌지 마립간(訥祗 麻立干)시대의 문신 박제상(朴堤上)과 백결 선생(百結 先生)의 후손이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박술희 · 더보기 »

박수문

박수문 (朴守文) 고려의 전기 공신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박수문 · 더보기 »

박수경

박수경(朴守卿, ? ~ 964년)은 고려 초기의 무신으로 본관은 평주(平州)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박수경 · 더보기 »

박영규

박영규는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박영규 · 더보기 »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강화도 · 더보기 »

거란

1000년경 거란의 영향권. 유목민의 생활 거란(契丹(글안▽)) 또는 키탄(Khitan)은 4세기 중엽부터 내몽골의 시라무렌 강 유역에 나타나 거주하던 몽골계와 퉁구스계의 혼혈족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거란 · 더보기 »

견훤

훤(甄萱, 867년~936년 9월 27일(음력 9월 9일) 재위:892년/900년~935년 음력 3월)은 후백제를 건국한 후백제의 시조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견훤 · 더보기 »

경춘원군

경춘원군(慶春院君, ? ~ 960년 이후)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경춘원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광종

광종(光宗, 925년~975년 7월 4일 (음력 5월 23일)은 고려 제4대 황제(재위: 949년~975년)이다. 휘는 소(昭), 자는 일화(日華), 묘호는 광종, 시호는 홍도선열평세숙헌의효강혜대성황제(弘道宣烈平世肅憲懿孝康惠大成皇帝)이다. 태조의 넷째 아들, 신명순성왕후의 셋째 아들로서 요절한 왕태, 정종의 동생이다. 비는 대목왕후 황보씨(皇甫氏)로 태조와 신정왕후의 딸로 이복누이이며, 후궁인 경화궁부인 임씨(慶和宮夫人)는 배다른 형 혜종의 딸이다. 949년 3월 동복 형 정종의 선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중국의 연호를 사용하지 않고 949년 광덕(光德), 960년 준풍(峻豊)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고, 중국 후주로부터 과거제도를 받아들여 처음 과거를 실시하였다. 노비안검법으로 부당하게 노비가 된 양민들을 석방하였고, 민생안정과 백성구휼에 힘을 썼다. 그러나 960년 평농서사(評農書史) 권신Daum 지식 http://durl.kr/5fyrth 이 대상(大相) 준홍(俊弘) 등의 역모를 고변한 이후 이를 빌미로 호족들을 대량으로 숙청하였고, 이복형 혜종의 아들 흥화궁군, 동복형 정종의 아들 경춘원군, 태조의 서자인 이복동생 효은태자 등을 처형하였고 자신의 장남인 태자 주(胄) 역시 의심하였다. 과거 시험으로 선발된 관료들과 후주에서 귀화한 관료들을 통해 호족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는 한편 관복 제도를 새로 제정하여 조정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불교 장려에도 관심을 갖고 사찰의 중건과 중수를 지원하였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광종 · 더보기 »

고려 정종 (10대)

정종(靖宗) 1018년 8월 31일 (음력 7월 18일) ~ 1046년 6월 24일 (음력 5월 18일)은 고려 제10대 국왕(제위: 1034년 ~ 1046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정종 (10대) · 더보기 »

고려 정종 (3대)

정종(定宗, 923년~949년 4월 13일(음력 3월 13일)은 고려 제3대 황제(재위: 945년 10월 23일~949년 4월 13일)이다. 휘는 요(堯), 자는 의천(義天), 묘호는 정종(定宗), 시호는 지덕장경정숙영인경간장원문명대왕(至德章敬正肅令仁簡敬莊元文明大王)이다. 정종은 태조 왕건과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 사이의 아들이며, 비(妃)는 문공왕후(文恭王后) 박씨(朴氏)와 문성왕후(文成王后) 박씨로 박영규와 견훤의 딸인 국대부인 견씨 사이의 딸들이다. 왕식렴의 도움으로 박술희를 제거하고 왕규의 난을 진압한 뒤에 신하들의 추대로 즉위하였으나, 정통성 문제로 집권기반이 취약하였다. 서경으로의 천도를 계획하였으나 성사시키지 못하였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정종 (3대) · 더보기 »

고려 태조

조(高麗 太祖, 877년 1월 31일 (음력 1월 14일)《고려사절요》 제1권 태조 신성대왕〈고려사절요/제1권/태조 신성대왕〉"신라 헌강왕(憲康王) 3년 정유(877) 정월 14일 병술에 태조를 송악 남쪽 사제(私第)에서 낳으니" ~ 943년 7월 4일 (음력 5월 29일))는 후삼국 시대(後三國 時代) 후고구려(後高句麗)의 장군(將軍)이자 고려(高麗)의 초대 황제(재위:918년 7월 25일~943년 7월 4일)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태조 · 더보기 »

고려 혜종

혜종(惠宗, 912년~945년 10월 23일 (음력 9월 15일))은 고려(高麗) 제2대 군주(재위:943년~945년)이다. 자(字)는 승건(承乾), 휘(暉)는 무(武), 묘호(廟號)는 혜종(惠宗), 시호(諡號)는 인덕명효선현고평경헌의공대왕(仁德明孝宣顯高平景憲義恭大王)이다. 왕건(王建)의 맏아들이다. 어머니는 오다련(吳多憐)의 딸 장화왕후(莊和王后) 오씨(吳氏)이며, 비(妃)는 대광(大匡) 임희(林曦)의 딸인 의화왕후(義和王后)이다. 외가의 가세가 미약하여 지위의 위협을 받게 되자 부왕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고려(高麗) 건국 직후 그를 바로 정윤(正尹)으로 삼은 뒤에 921년 정식으로 태자에 책봉하였다. 재위 3년만에 사망하였으나 사망원인은 불명확하다. 태조 왕건(太祖 王建)의 적통을 이어받아 왕위에 오른 혜종(惠宗)의 위상은 남다른 바가 있으니 고려사(高麗史) 태묘악장(太廟樂章)에서 혜종(惠宗)은 어느 왕들보다 칭송을 받게 된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혜종 · 더보기 »

고려 세조

세조 왕륭(高麗 世祖 王隆, ? ~ 897년 5월)은 후삼국시대 후고구려의 군인이자 정치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 세조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고구려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불교 · 더보기 »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빛나거나 미치거나》는 2015년 1월 19일부터 2015년 4월 7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 특별 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빛나거나 미치거나 (드라마) · 더보기 »

김긍률

긍률(金兢律, 생몰년 미상) 고려(高麗) 전기의 척족(戚族).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김긍률 · 더보기 »

김영찬 (1994년)

영찬(1994년 9월 2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김영찬 (1994년) · 더보기 »

국대부인 견씨

국대부인 견씨(國大夫人 甄氏)는 후백제(後百濟)의 초대 군주(君主) 견훤(甄萱)과 왕비 박씨(王妃 朴氏)의 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국대부인 견씨 · 더보기 »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는 SBS에서 2016년 8월 29일부터 2016년 11월 1일까지 방영된 월화 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 더보기 »

효성태자

효성태자(孝成太子, ? - 976년)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천안부원부인(天安府院夫人) 장남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효성태자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자 (이름) · 더보기 »

임금

임금에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임금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흥화궁군

흥화궁군(興化宮君, ? ~ 960년 이후)은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고려(高麗)의 제2대 국왕 혜종과 의화왕후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흥화궁군 · 더보기 »

이름

왕족 이름을 뜻한다. 이름은 "이르다"의 명사형으로, 물건, 사람, 장소, 생각, 개념 등을 다른 것과 구별하기 위해 부르는 말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이름 · 더보기 »

음력 3월 13일

음력 3월 13일은 음력 3월의 13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음력 3월 13일 · 더보기 »

제국의 아침

《제국의 아침》(帝國의 아침)은 2002년 3월 2일부터 2003년 1월 26일까지 KBS가 방영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제국의 아침 · 더보기 »

정종

정종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정종 · 더보기 »

청주남원부인

청주남원부인 김씨(淸州南院夫人 金氏,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제3대 왕 정종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청주남원부인 · 더보기 »

충주시

충주시(忠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북도 북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충주시 · 더보기 »

유긍달

유긍달(劉兢達)은 후고구려(後高句麗)의 무장이자 태조(太祖)의 장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유긍달 · 더보기 »

위숙왕후

위숙왕후(威肅王后)은 고려의 추존 왕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위숙왕후 · 더보기 »

태조 왕건 (드라마)

《태조 왕건》(太祖 王建)은 KBS에서 후삼국시대부터 삼별초, 공민왕 시대까지 다룬 고려사 시리즈 중 첫 번째로 2000년 4월 1일부터 2002년 2월 24일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태조 왕건 (드라마) · 더보기 »

태사

사(太姒)는 주문왕의 부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태사 · 더보기 »

최승로

승로(崔承老, 927년 ~ 989년 6월 17일(음력 5월 12일))는 고려 초의 유학자, 문관, 시인, 문장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최승로 · 더보기 »

최재성 (배우)

재성(崔宰誠, 1964년 11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최재성 (배우)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여진 · 더보기 »

서경

서경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서경 · 더보기 »

서경 (고려)

서경(西京)은 고려삼경(高麗三京)의 하나로서 오늘날의 평양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서경 (고려)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국의 역사

국의 역사(韓國-歷史) 또는 한국사는 구석기 시대 이후 주로 한반도와 만주, 연해주, 넓게는 동아시아 지역을 바탕으로 발전되어 온 한민족의 역사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한국의 역사 · 더보기 »

안릉 (고려)

안릉(安陵)은 개풍군 청교면 양릉리 안릉동에 위치한 고려 제3대 정종과 정종의 제1비 문공왕후 박씨의 능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안릉 (고려) · 더보기 »

신명순성왕후

신명순성왕후 유씨(神明順成王后 劉氏, ? ~ 951년전) 태조의 제3왕비이며, 정종과 광종의 모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신명순성왕후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시호 · 더보기 »

후진 (오대)

후진(後晉, 936년~946년)은 오대십국 시대 중 오대의 3번째 왕조로써 후당의 실력자였던 석경당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후진 (오대) · 더보기 »

홍종현 (배우)

홍종현(洪宗玄, 1990년 2월 2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모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홍종현 (배우) · 더보기 »

황태자

황태자(皇太子) 또는 왕태자(王太子)는 제국과 독립 왕국의 제위계승이나 왕위 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황자나 왕자를 가리키는 칭호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황태자 · 더보기 »

왕규

왕규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규 · 더보기 »

왕규 (함규)

(咸規, 생년 미상 ~ 945년) 또는 왕규(王規)는 고려 전기의 재신(宰臣)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규 (함규) · 더보기 »

왕규의 난

왕규의 난(王規之亂)은 고려 초기 왕실의 외척 왕규(王規)가 자신의 손자인 광주원군(廣州院君)을 왕위에 등극시키기 위해 일으킨 반란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왕권이 미약한 데에서 발생한 고려 혜종(惠宗) 때의 왕위 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난 사건으로 고려사에서 승자에 의해 왜곡된 기록의 대표적인 사례로 여.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규의 난 · 더보기 »

왕평달

왕평달(王平達)은 신라(新羅)의 문신으로 고려(高麗) 의 태조(太祖)의 숙부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평달 · 더보기 »

왕태

왕태(王泰, ~921년)는 고려(高麗)의 태자(太子)이자 태조(太祖)와 신명순성왕후(神明順成王后)의 장남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태 · 더보기 »

왕식렴

왕식렴(王式廉, 생년 미상 ~ 949년 2월 7일 (음력 1월 7일)은 신라 출신 후고구려의 귀족이자 고려의 왕족으로 태조 왕건의 백부 왕평달의 아들이며 왕건의 사촌동생이다. 국역 《고려명신전》(2004, 남공철 저, 김동주 역 성남 문화원 발행) 32쪽. 고려의 개국공신이자 정종 즉위를 도운 공로로 광국익찬공신에 책록되었다. 왕신과 왕육의 형이며, 왕희순과는 사촌간이다. 본관은 개성(開城) 시호는 위정(威靜).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왕식렴 · 더보기 »

SBS

SBS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지고 있.;방송.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SBS · 더보기 »

10월 23일

10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6번째(윤년일 경우 29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10월 23일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1월 · 더보기 »

2000년

200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세기와 제2천년기의 마지막 해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2000년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2002년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2003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2015년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2016년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3월 · 더보기 »

4월 13일

4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3번째(윤년일 경우 10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4월 13일 · 더보기 »

900

900(구백)은 899보다 크고 901보다 작은 자연수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00 · 더보기 »

9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23년 · 더보기 »

9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45년 · 더보기 »

9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46년 · 더보기 »

9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47년 · 더보기 »

94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49년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고려 정종 (3대)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왕요 (923년), 왕요 (정종).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