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고려 충숙왕

색인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50 처지: 덕흥군, 덕흥군 (고려), 로마 가톨릭교회, 강양공, 경화공주, 고려, 고려 공민왕, 고려 충렬왕, 고려 충목왕, 고려 충정왕, 고려 충숙왕, 고려 충혜왕, 고려 충선왕, 고려의 역대 국왕, 복국장공주, 공원왕후, 권렴, 불교, 기독교, 기황후, 교황 요한 22세, 군주, 네스토리우스파, 다루마바라, 용산원자, 자 (이름), 음력 3월 24일, 음력 7월 7일, 의비 야속진, 조국장공주, 쿠빌라이 칸, 수비 권씨, 연합뉴스, 연안군, 한반도, 한종유, 심양왕, 시호, 원나라, 왕감, 왕석기, 1294년, 1313년, 1325년, 1330년, 1332년, 1333년, 1339년, 5월 3일, 7월 30일.

덕흥군

덕흥군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덕흥군 · 더보기 »

덕흥군 (고려)

덕흥군 왕혜(德興君 王譓, 생몰년 미상)는 고려의 왕족이자 무관 관료 군인, 불교 승려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덕흥군 (고려)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강양공

강양공 왕자(江陽公 王滋, ? ~ 1308년 음력 4월 12일)는 고려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강양공 · 더보기 »

경화공주

경화공주(慶華公主, 생년 미상 ~ 1344년 음력 6월)은 고려의 제27대 왕 충숙왕의 제3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경화공주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 더보기 »

고려 공민왕

공민왕(恭愍王, 1330년 5월 23일 (음력 5월 6일) ~ 1374년 10월 27일 (음력 9월 22일), 재위: 1351년 ~ 1374년)은 고려의 제31대 국왕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공민왕 · 더보기 »

고려 충렬왕

충렬왕(忠烈王, 1236년 4월 3일 (음력 2월 26일) ~ 1308년 7월 30일 (음력 7월 13일))은 고려 제25대 국왕(재위: 1274년 ~ 1298년, 복위:1299년 ~ 1308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렬왕 · 더보기 »

고려 충목왕

충목왕(忠穆王, 1337년 5월 15일 (음력 4월 15일) ~ 1348년 12월 25일 (음력 12월 5일)은 고려 제29대 국왕(재위: 1344년~1348년)이다. 휘는 흔(昕), 몽골 이름은 파드마도르지(),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목왕(忠穆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다. 충혜왕와 덕녕공주(德寧公主)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없이 요절한다.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그의 모후인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목왕 · 더보기 »

고려 충정왕

충정왕(忠定王, 1338년 1월 ~ 1352년 3월 23일 (음력 3월 7일))은 고려 제30대 국왕(재위: 1348년 ~ 1351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정왕 · 더보기 »

고려 충숙왕

충숙왕(忠肅王, 1294년 7월 30일 (음력 7월 7일) ~ 1339년 5월 3일 (음력 3월 24일)은 고려 제27대 국왕(재위: 1313년~1330년, 복위 1332년~1339년)이다. 초명은 도(燾), 휘는 만(卍), 자는 의효(宜孝), 몽골 이름은 아라트나슈리().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숙왕(忠肅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의효대왕(懿孝大王)이다. 충선왕과 원 출신의 의비 야속진의 둘째아들이다. 사촌인 심양왕의 무고로 원나라에서 유수생활을 하고 옥새를 원나라 조정으로부터 압수당하기도 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숙왕 · 더보기 »

고려 충혜왕

충혜왕(忠惠王, 1315년 2월 22일 (음력 1월 18일) ~ 1344년 1월 30일 (음력 1월 15일))은 고려 제28대 국왕(재위: 1330년 ~ 1332년, 복위 1339년 ~ 1344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혜왕 · 더보기 »

고려 충선왕

충선왕(忠宣王, 1275년 10월 20일 (음력 9월 30일) ~ 1325년 6월 23일 (음력 5월 13일)은 고려 제26대 국왕(재위: 1298년, 복위: 1308년~1313년)이다. 초휘는 원(願), 휘는 장(璋), 자는 중앙(仲昻), 원에서 내린 시호는 충선왕(忠宣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선효대왕(宣孝大王)이다. 몽골식 이름은 이지르부카()이며, 정비(正妃)는 계국대장공주이다. 고려에서 처음으로 즉위하였다가 폐위된 후 다시 복귀한 군주이기도 하다. 생애 후반에는 귀국을 기피하고 원나라에 체류하며 만권당을 세워 독서와 학문 연구, 서화 그리기 등에 전념하기도 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 충선왕 · 더보기 »

고려의 역대 국왕

의 역대 황제는 흔히 조, 종의 묘호로 부르나, 원나라의 내정간섭이 시작된 충렬왕 이후부터는 묘호를 사용하지 못하여 시호를 통칭으로 사용하며, 우왕과 창왕은 성명이 통용.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고려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복국장공주

복국장공주(濮國長公主, ? ~ 1319년 음력 9월 26일)는 고려의 제27대 왕 충숙왕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복국장공주 · 더보기 »

공원왕후

공원왕후 홍씨(恭元王后 洪氏, 1298년 음력 7월 18일 ~ 1380년 음력 1월), 또는 명덕태후(明德太后)는 고려 제27대 왕 충숙왕의 왕비로, 충혜왕과 공민왕의 모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공원왕후 · 더보기 »

권렴

(權廉, 1302년 ~ 1340년)은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권렴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불교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기독교 · 더보기 »

기황후

황후(奇皇后, 1315년 ~ 1369년)는 원나라 혜종의 세 번째 제1카툰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기황후 · 더보기 »

교황 요한 22세

황 요한 22세(라틴어: Ioannes PP. XXII, 이탈리아어: Papa Giovanni XXII)는 제196대 교황(재위: 1316년 8월 7일 - 1334년 12월 4일)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교황 요한 22세 · 더보기 »

군주

주(君主)는 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군주 · 더보기 »

네스토리우스파

스토리우스파(Nestorianism) 또는 경교(景敎)는 콘스탄티노플의 네스토리우스(?∼451?) 총주교를 시조로 하는 기독교의 일파를 말. 아시리아 동방교회로 소급.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네스토리우스파 · 더보기 »

다루마바라

보르지긴 다루마바라(1264년 ~ 1292년)는 원나라의 황족으로, 쿠빌라이의 아들 친킴 태자와 코코진 사이의 차남이며, 테무르의 형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다루마바라 · 더보기 »

용산원자

용산원자(龍山元子, 1325년 ~ 1341년)는 고려 시대의 왕족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용산원자 · 더보기 »

자 (이름)

자(字)는 한자 문화권, 특히 중국이나 한국, 일본에서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을 말. 이는 이름이 부모가 주신 것으로서 부모님이나 스승, 왕(혹은 황제)외에는 함부로 부르지 못하는 것으로 인식하던 데에 기인.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자 (이름) · 더보기 »

음력 3월 24일

음력 3월 24일은 음력 3월의 24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음력 3월 24일 · 더보기 »

음력 7월 7일

음력 7월 7일은 음력 7월의 7번째 날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음력 7월 7일 · 더보기 »

의비 야속진

의비(懿妃, ? ~ 1316년 음력 7월 18일)는 고려의 제26대 왕 충선왕의 후궁이자 충숙왕의 생모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의비 야속진 · 더보기 »

조국장공주

조국장공주(曹國長公主, 1308년 ~ 1325년 음력 10월 20일《고려사》권35〈세가〉권35)는 고려의 제27대 왕 충숙왕의 왕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조국장공주 · 더보기 »

쿠빌라이 칸

원 세조 쿠빌라이 칸(元 世祖 忽必烈, 1215년 9월 23일 ~ 1294년 2월 18일)은 몽골 제국의 제5대 대칸(재위: 1260년 ~ 1294년)이자 원의 초대 황제이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쿠빌라이 칸 · 더보기 »

수비 권씨

수비 권씨(壽妃 權氏, ? ~ 1340년 4월 29일/음력 4월 3일)은 고려의 제27대 왕 충숙왕의 후궁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수비 권씨 · 더보기 »

연합뉴스

연합뉴스(聯合뉴스, Yonhap News Agency)는 방송과 신문, 정부, 포털 사이트, 기타 예약 구독자에게 기사를 공급하는 뉴스통신사.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연합뉴스 · 더보기 »

연안군

연안군(延安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에 있는 군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연안군 · 더보기 »

한반도

인공위성에서 바라본 한반도의 모양 한반도(韓半島)는 정치지리학적으로 동아시아에 위치해 있으며, 지형학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동북쪽 끝에 있는 반도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한반도 · 더보기 »

한종유

종유(韓宗愈, 1287년-1354년)는 고려의 문신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한종유 · 더보기 »

심양왕

충선왕 시절 고려와 심양의 지도 심양왕(瀋陽王, 1307 또는 1308~1310) 및 심왕(瀋王, 1310~1375)은 고려의 왕이 원나라 황제로부터 받은 봉작(封爵)의 하나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심양왕 · 더보기 »

시호

시호(諡號)는 죽은 인물에게 국가에서 내려주거나 죽은 군주에게 다음 군주가 올리는 특별한 이름으로, 동양의 군주제 국가에서 시행되었.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시호 · 더보기 »

원나라

원나라(元朝)은 13세기 몽골 제국이 세운 국가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원나라 · 더보기 »

왕감

광릉군 왕감(廣陵君 王鑑, ? - 1310년 5월)은 고려 후기의 왕자로 고려의 26대 왕 충선왕의 서장자이자 충숙왕의 친형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왕감 · 더보기 »

왕석기

왕석기(王釋器, ~ 1375년)는 고려의 왕족이며 불교 승려이.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왕석기 · 더보기 »

129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294년 · 더보기 »

13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13년 · 더보기 »

13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25년 · 더보기 »

13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30년 · 더보기 »

133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32년 · 더보기 »

13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33년 · 더보기 »

133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1339년 · 더보기 »

5월 3일

5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3번째(윤년일 경우 124번째), 뒤에서부터는 24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5월 3일 · 더보기 »

7월 30일

7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1번째(윤년일 경우 21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고려 충숙왕와 7월 30일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의효대왕, 충숙왕, 왕만.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