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공 (불교)와 삼론종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공 (불교)와 삼론종의 차이

공 (불교) vs. 삼론종

공(空)은 순야타()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 삼론종(三論宗)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三論)에 의거한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논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론(三論)은 도안(道安: 312-385)의 권유로 쿠차국에서 초빙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대품반야》《소품반야》 등의 초기 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 c.150-c.250) 계통의 중관파 논서들 가운에, 용수의 《중론(中論)》 4권(409년에 한역)과 《십이문론(十二門論)》1권(409년에 한역)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A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2권(404년에 한역)을 가리.

공 (불교)와 삼론종의 유사점

공 (불교)와 삼론종는 공통적으로 13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공 (불교), 불교, 불교의 역사, 부처,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대승 경전, 용수, 중도 (불교), 중론, 중관파, 중국의 불교, 진속이제, 삼론종.

공 (불교)

공(空)은 순야타()를 번역한 것으로, 일체개공(一切皆空)을 주장하는 공 사상(空思想)은 불교를 일관하는 기본 교의 또는 사상이.

공 (불교)와 공 (불교) · 공 (불교)와 삼론종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공 (불교)와 불교 · 불교와 삼론종 · 더보기 »

불교의 역사

이 문서는 인도에서 전개된 불교의 역사인 인도 불교의 역사, 즉 인도 불교사에 대해 특히.

공 (불교)와 불교의 역사 · 불교의 역사와 삼론종 · 더보기 »

부처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부처 또는 여래(如來), 세존(世尊), 붓다()는 인도 불교에서 "깨달은 자", "눈을 뜬 자"라는 뜻이.

공 (불교)와 부처 · 부처와 삼론종 · 더보기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世界大百科事典)은 2004년 도서출판 범한에서 출판한 백과사전으로, 다음(지금의 카카오)이 라이선스를 사들여 2008년 11월 한국어 위키백과에 기증.

공 (불교)와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 · 글로벌세계대백과사전와 삼론종 · 더보기 »

대승 경전

승 경전(大乘經典)은 석가모니 부처님 사후의 대승운동이 일어나면서 편찬된 불교 경전 중에서 대승 사상을 포함한 경전을 말. 대표적으로는 한국의 조계종의 소의 경전인 금강경을 비롯하여, 미륵경, 법화경, 화엄경, 지장경, 아미타경 등이 여기에 속. 대승불교 경전도 대부분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처럼 되어 있으나, 고증에 의하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직접 말한 것은 아님이 밝혀져 위경 논쟁이 벌어졌으며, 대승 불교에서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직설은 아니지만 진설이라는 입장이.

공 (불교)와 대승 경전 · 대승 경전와 삼론종 · 더보기 »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공 (불교)와 용수 · 삼론종와 용수 · 더보기 »

중도 (불교)

중도(中道)는 불교에서 치우치지 아니하는 바른 도리를 말. 고타마 붓다는 29세에 출가하여 35세에 깨달음을 얻어 불타로 될 때까지의 6년간 그 대부분을 가혹한 고행의 길에 정진하였.

공 (불교)와 중도 (불교) · 삼론종와 중도 (불교) · 더보기 »

중론

《중론(中論)》()은 용수가 만든 449구의 간결한 게송인 《중송(中頌)》()—《중관론송(中觀論頌)》이라고도 한다—에 청목(靑目: 4세기 전반)이 주석을 단 인도 불교의 논서이.

공 (불교)와 중론 · 삼론종와 중론 · 더보기 »

중관파

중관파(中觀派) 또는 중관학파(中觀學派)는 용수(龍樹: 150~250)의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인도 대승불교의 종파이.

공 (불교)와 중관파 · 삼론종와 중관파 · 더보기 »

중국의 불교

중국의 불교(中國의 佛敎, Chinese Buddhism), 중국불교(中國佛敎) 또는 한전불교(漢傳佛敎)는 중국에서 전개된 불교를 가리.

공 (불교)와 중국의 불교 · 삼론종와 중국의 불교 · 더보기 »

진속이제

속이제(眞俗二諦Two truths)는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를 통칭하는 불교 용어로, 줄여서 이제(二諦).

공 (불교)와 진속이제 · 삼론종와 진속이제 · 더보기 »

삼론종

삼론종(三論宗)은 《중론》《십이문론》《백론》의 삼론(三論)에 의거한 중국 불교의 논종(論宗)이다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논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분파 > 중국불교의 종파 > 삼론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삼론(三論)은 도안(道安: 312-385)의 권유로 쿠차국에서 초빙된 구마라습(鳩摩羅什: 344-413)이 한역한 《대품반야》《소품반야》 등의 초기 대승경전과 이에 입각한 용수(龍樹: c.150-c.250) 계통의 중관파 논서들 가운에, 용수의 《중론(中論)》 4권(409년에 한역)과 《십이문론(十二門論)》1권(409년에 한역) 그리고 용수의 제자인 제바(提婆Aryadeva: 170-270)의 《백론(百論)》 2권(404년에 한역)을 가리.

공 (불교)와 삼론종 · 삼론종와 삼론종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공 (불교)와 삼론종의 비교.

공 (불교)에는 58 개의 관계가 있고 삼론종에는 3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4.61%입니다 = 13 / (58 + 3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공 (불교)와 삼론종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