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구이신왕

색인 구이신왕

이신왕(久尒辛王, ? ~ 427년, 재위: 420년 ~ 427년)은 백제의 제19대 국왕이.

61 처지: 목만치, 백제, 백제의 역대 국왕, 걸복치반, 고려 목종, 고구려, 북량, 북위, 북위 태무제, 북연, 금관가야, 비유왕, 눌지 마립간, 군주, 장수왕, 이순, 인교 천황, 일본서기, 전지왕, 저거몽손, 좌지왕, 취희왕, 칠지도, 유의부, 유유, 유송 문제, 탁발사, 혁련발발, 혁련창, 헌애왕후, 풍발, 삼국사기, 섭정, 서량, 서진, 송 (남조), 해충 (백제), 하 (오호 십육국), 신라, , 401년, 407년, 409년, 412년, 413년, 417년, 420년, 421년, 422년, 423년, ..., 424년, 425년, 427년, 428년, 430년, 433년, 451년, 452년, 453년, 458년, 491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1 더) »

목만치

목만치(木滿致, 403년~475년)는 백제(百濟)의 귀족이자 관인, 무장으로, 대성팔족 중의 하나인 목(木)씨 출신 귀족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목만치 · 더보기 »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새로운!!: 구이신왕와 백제 · 더보기 »

백제의 역대 국왕

음은 백제를 다스린 역대 임금의 연대표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백제의 역대 국왕 · 더보기 »

걸복치반

복치반(乞伏熾磐, ? ~ 428년)은 중국 오호십육국 시대의 서진의 제3대의 군주(재위: 412년 ~ 428년).

새로운!!: 구이신왕와 걸복치반 · 더보기 »

고려 목종

목종(穆宗, 980년 7월 5일 (음력 5월 20일) ~ 1009년 3월 2일 (음력 2월 3일))은 고려 제7대 국왕(재위: 997년~1009년)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고려 목종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고구려 · 더보기 »

북량

북량(北涼, 397년 ~ 439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 간쑤성(甘肅省)에서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북량 · 더보기 »

북위

북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구이신왕와 북위 · 더보기 »

북위 태무제

위 세조 태무황제 탁발도(魏 世祖 太武皇帝 拓跋燾, 408년 ~ 452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북위의 제3대 황제(재위: 423년 ~ 452년)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북위 태무제 · 더보기 »

북연

위진 남북조 시대 왕조들의 계통도 북연(北燕, 407년 ~ 436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고구려의 왕족 출신인 고운이 후연을 멸망시키고 건국한 국가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북연 · 더보기 »

금관가야

야(金官伽倻), 본가야(本伽倻)는 42년부터 532년까지 존재했던 나라로, 신라에게 멸망하기 전 국명은 가락국(駕洛國)이었.

새로운!!: 구이신왕와 금관가야 · 더보기 »

비유왕

비유왕(毗有王, ? ~ 455년, 재위: 427년 ~ 455년)은 백제의 제20대 국왕이다. 휘는 비유(毗有) 또는 비(毗)이고, 송서 이만전 백제조(宋書 夷蠻傳 百濟條)에서는 여비(餘毗)로 나와있다. 구이신왕(久爾辛王)의 맏아들이다. 《삼국사기》는 전지왕의 서자라는 설도 있으나 분명치 않다고 기록하고 있다. 용모가 아름답고 언변이 좋았다고 한다. 그의 다른 이름은 곤유왕(昆有王), 피류왕(避流王)이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비유왕 · 더보기 »

눌지 마립간

마립간(訥祗 麻立干, ? ~ 458년, 재위 417년 ~ 458년)은 신라의 제19대 임금이자, 삼국사기에 따르면 최초로 마립간의 칭호를 사용한 임금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눌지 마립간 · 더보기 »

군주

주(君主)는 군주제 국가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군주 · 더보기 »

장수왕

장수왕(長壽王, 394년~491년, 재위: 412년? 음력 10월~491년 음력 12월)은 고구려의 제20대 군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장수왕 · 더보기 »

이순

이순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구이신왕와 이순 · 더보기 »

인교 천황

인교 천황(376년? ~ 453년 2월 8일)은 제19대 일본 천황(재위: 412년 12월 ~ 453년 1월 14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인교 천황 · 더보기 »

일본서기

350px 일본서기()는 일본에 존재하는 가장 오래된 정사(正史)로, 일본의 육국사(六國史)의 첫 번째에 해당.

새로운!!: 구이신왕와 일본서기 · 더보기 »

전지왕

전지왕(腆支王, ? ~ 420년, 재위: 405년~420년)은 백제의 제18대 국왕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전지왕 · 더보기 »

저거몽손

저거몽손(沮渠蒙遜, 368년 ~ 433년, 재위:401년 ~ 433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의 북량의 실질적 건국자.

새로운!!: 구이신왕와 저거몽손 · 더보기 »

좌지왕

좌지왕(坐知王, ? ~ 421년 5월 29일(음력 4월 12일)) 혹은 김질왕(金叱王), 김토왕(金吐王)은 가락국의 제6대 국왕(재위: 407년 6월 1일(음력 4월 10일) ~ 421년 5월 29일(음력 4월 12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좌지왕 · 더보기 »

취희왕

희왕(吹希王, ? ~ 451년 음력 2월 3일)혹은 김희왕(金喜王), 질가왕(叱嘉王), 취지왕(吹知王)은 가야의 군주로, 가락국의 제 7대 국왕(재위: 421년 5월 29일(음력 4월 12일) ~ 451년 3월 20일(음력 2월 3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취희왕 · 더보기 »

칠지도

국립부여박물관에 전시 중인 칠지도 모사품 칠지도(七支刀)는 일본 나라현 덴리 시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에 보관 중인 길이 74.9cm의 양 옆으로 모두 6개의 가지가 뻗은 철제 칼로 칼에는 표면(앞면)에 35자, 이면(뒷면)에 27자로 총 62자의 금상감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X-레이 촬영결과 앞면에 十(십)자가 숨겨져 있음이 발견되어 1자가 늘었다.) 명문(銘文)의 해석을 둘러싸고 한일 역사학계에서는 서로 해석을 달리하고 있. 해석 문제는 광개토왕릉비와 더불어 임나일본부설의 실재 여부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기 때문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칠지도 · 더보기 »

유의부

유의부(劉義符, 406년 ~ 424년)는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제 2대 황제(재위: 422년 ~ 424년)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유의부 · 더보기 »

유유

유유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구이신왕와 유유 · 더보기 »

유송 문제

유의륭 송 태조 문황제 유의륭(宋 太祖 文皇帝 劉義隆, 407년 ~ 453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 유송의 제3대 황제(재위: 424년 ~ 453년)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유송 문제 · 더보기 »

탁발사

탁발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구이신왕와 탁발사 · 더보기 »

혁련발발

세조 무열황제 혁련발발(夏 世祖 武烈皇帝 赫連勃勃, 381년 ~ 425년)은 중국 오호십육국시대의 하나라의 창건자(재위:407년 ~ 425년).

새로운!!: 구이신왕와 혁련발발 · 더보기 »

혁련창

혁련 창(赫連昌, ? ~ 434년)은, 오호십육국시대의 하나라의 제2대 황제(재위:425년 ~ 428년).

새로운!!: 구이신왕와 혁련창 · 더보기 »

헌애왕후

애왕후(獻哀王后, 964년 ~ 1029년 1월 20일 (음력 1월 3일)는 고려의 왕족, 왕비로 고려의 5대 왕 경종의 세 번째 왕비이다. 7대 왕 목종의 모후로, 태조의 아들인 대종과 선의왕후에서 출생하였다. 시호로는 응천계성정덕왕태후(應天啓聖靜德王太后)라 하며 흔히 천추태후(千秋太后)라고도 한다. 경종 사후 궐밖에 나가 살다가 외가 쪽 친척인 김치양과 자주 만나던 중 사통하여 아들을 얻었고, 목종 즉위 후 섭정을 하였으나 자신의 친조카 대량원군을 암살하려 하였다. 경종의 제1비인 헌숙왕후와는 고종 사촌간이었고, 제4비 헌정왕후는 그의 친동생이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헌애왕후 · 더보기 »

풍발

연 태조 문성황제 풍발(燕 太祖 文成皇帝 馮跋, ? ~ 430년)은 중국의 오호 십육국 시대의 북연의 제 2대 천왕(재위:409년 ~ 430년).

새로운!!: 구이신왕와 풍발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섭정

섭정(攝政)은 군주(군왕)가 통치하는 국가(군주국)에서 군주가 아직 어려서 정무를 수행할 능력이 없거나 병으로 정사를 돌보지 못할 때 국왕을 대신해서 통치권을 받아 국가를 다스리던 사람이나 그 일을 가리.

새로운!!: 구이신왕와 섭정 · 더보기 »

서량

서량(西涼, 400년 ~ 421년)은 중국 오호 십육국 시대 때 한족인 이고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서량 · 더보기 »

서진

서진(西晉, 265년 ~ 317년)은 중국의 왕조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서진 · 더보기 »

송 (남조)

위진 남북조 시대(220~589) 왕조들의 계통도: 위진 시대는 220~420, 남북조 시대는 439~589 송(宋, 420년 ~ 479년)은 중국 남북조 시대(439년 ~ 589년) 강남 지방에서 유유(劉裕)에 의해 건국된 남조 첫 번째 왕조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송 (남조) · 더보기 »

해충 (백제)

충(解忠 ? ~ ?)는 백제 전지왕(腆支王) 때의 대신이자 정치가이며, 대성팔족(大姓八族) 중의 하나인 해(解)씨 출신 귀족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해충 (백제) · 더보기 »

하 (오호 십육국)

(夏, 407년 ~ 431년)는 오호십육국시대 남흉노(南匈奴)의 후예인 혁련발발(赫連勃勃)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하 (오호 십육국) · 더보기 »

신라

신라(新羅, 기원전 57년 ~ 935년)는 고구려, 백제와 함께 고대 한반도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던 국가로, 세계적으로 오래 존속한 왕조들 중 하나로 꼽힌.

새로운!!: 구이신왕와 신라 · 더보기 »

16세기 중국에서 작성된 세계지도. 왜(倭)는 일본국(日本國)의 아래에 표기되어있다. 왜(倭) 또는 왜국(倭國, 왜나라)은 중국 등지에서 일본 열도 남서부에 위치했던 고대의 부족국가들을 일컫던 말이.

새로운!!: 구이신왕와 왜 · 더보기 »

40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01년 · 더보기 »

40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07년 · 더보기 »

40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09년 · 더보기 »

41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12년 · 더보기 »

41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13년 · 더보기 »

4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17년 · 더보기 »

4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0년 · 더보기 »

4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1년 · 더보기 »

4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2년 · 더보기 »

4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3년 · 더보기 »

4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4년 · 더보기 »

4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5년 · 더보기 »

42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7년 · 더보기 »

4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28년 · 더보기 »

43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30년 · 더보기 »

43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33년 · 더보기 »

4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51년 · 더보기 »

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52년 · 더보기 »

45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53년 · 더보기 »

45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58년 · 더보기 »

49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구이신왕와 491년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백제 구이신왕, 부여구이신.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