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극대거성

색인 극대거성

청색극대거성, 황색극대거성, 적색초거성, 적색극대거성의 비교. 적색극대거성은 우리 태양계 바깥에 놓여져 있다. 파란색 고리는 해왕성의 궤도를 의미한다. 극대거성(極大巨星)은 매우 큰 질량손실률을 보이는 아주 밝은 별이.

53 처지: 독수리자리, 밝은 청색변광성, 방패자리 UY, 백조자리, 백조자리 NML, 백조자리 OB2-12, 백조자리 P, 반지름순 항성 목록, 볼프–레이에별, 광구, 궁수자리 VX, 금속함량, 비브코드, 대류, 대마젤란운, 대폭발, 용골자리,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성운, 용골자리 V382, 펄서, 큰개자리 VY, 은하, 절대등급, 전갈자리 제타1, 천체물리학 저널, 초거성, 초신성, 카시오페이아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로, 카시오페이아자리 V509, 쌍성, 유럽 남방 천문대, 태양질량, 색등급도, 수소, 에딩턴 한계, 헬륨, 피스톨별, 성단 1806-20, 성협, 세페우스자리 RW, 세페우스자리 VV, 센타우루스자리 V766, 항성분류, 항성풍, 원자, 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 S, 황색극대거성, ..., LBV 1806-20, R 66과 R 126, WOH G64.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 더) »

독수리자리

독수리자리(Aquila)는 하늘의 적도 부근에 놓여 있는, 여름 저녁 하늘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로, 독수리가 날개를 펼친 형상으.

새로운!!: 극대거성와 독수리자리 · 더보기 »

밝은 청색변광성

LBV의 대표적 예인 용골자리 AG. 허블 우주 망원경 촬영. 태양의 150배에 육박한다. 밝은 청색변광성(LBV, Luminous blue variables)은 밝기와 스펙트럼의 변화가 변덕스럽고 그 폭이 크며, 질량이 크고 항성 진화 단계의 후반부를 지나고 있는 항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밝은 청색변광성 · 더보기 »

방패자리 UY

방패자리 UY는 방패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9500 광년 떨어져 있는 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방패자리 UY · 더보기 »

백조자리

백조자리(Cygnus)는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고니자리로도 불린.

새로운!!: 극대거성와 백조자리 · 더보기 »

백조자리 NML

백조자리 NML 또는 백조자리 V1489는 백조자리 방향에 있는 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백조자리 NML · 더보기 »

백조자리 OB2-12

백조자리 OB2 #12는 백조자리 방향에 있는 청색 극대거성으로 우리 은하 내 별 중 매우 밝고 무거운 존재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백조자리 OB2-12 · 더보기 »

백조자리 P

백조자리 P는 백조자리에 있는 변광성이며, 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백조자리 P · 더보기 »

반지름순 항성 목록

의 크기를 보여주는 그림. 1. 수성 2. 지구 3. 목성 4. 시리우스 5. 알데바란 6. 베텔게우스 가시광선으로 본 방패자리 UY 아래는 현재까지 관측된 별들을 반지름이 큰 순서대로 정렬한 표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반지름순 항성 목록 · 더보기 »

볼프–레이에별

볼프-레이에별 WR 124와 그 주위의 M1-67 성운을 촬영한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볼프-레이에별(약칭 WR)은 주계열성이었을 때 질량이 약 20 이상인 별들이 나이를 먹고 진화한 별으로, 초속 2천 킬로미터 이상의 강력한 항성풍을 통해 질량을 상실하고 있는 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볼프–레이에별 · 더보기 »

광구

광구(光球)란 천체에서 광학적 깊이(광심)가 1이 되는 영역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광구 · 더보기 »

궁수자리 VX

궁수자리 VX(VX Sagittarii)는 궁수자리μ별과 삼렬성운(Trifid Nebula) 사이에 위치한 별로 태양계로부터 약 5,150광년(1,570파섹)만큼 떨어져 있다. 태양 반지름의 약 832~1,520배로 현 시점에서 발견된 항성들 중 물리적 부피만 따질 경우 9번째로 큰 별에 해당한다.

새로운!!: 극대거성와 궁수자리 VX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금속함량 · 더보기 »

비브코드

비브코드()는 천문학 학술 정보 시스템에서 인용될 수 있는 문헌에 대하여 부여하는 고유 식별자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비브코드 · 더보기 »

대류

(對流)란 유체내에서의 분자들이 확산이나 이류를 통해 이동하는 현상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대류 · 더보기 »

대마젤란운

마젤란운(LMC)은 근처의 은하로,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대마젤란운 · 더보기 »

대폭발

은하들간의 거리도 부풀어 오르는 빵 속의 건포도처럼 멀어지고 있다. 위의 개념도는 평면 우주의 일부가 팽창하는 모습을 간략화한 그림이다. 대폭발(大爆發) 또는 빅뱅() 은 천문학 또는 물리학에서,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 모형으로,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37억 년 전의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보는 이론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대폭발 · 더보기 »

용골자리

용골자리(龍骨-, Carina)는 천구의 남쪽에 있는 별자리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용골자리 · 더보기 »

용골자리 에타

용골자리 에타(η Carinae, η Car)는 용골자리에 있는 매우 밝은 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용골자리 에타 · 더보기 »

용골자리 성운

용골자리 성운(Carina Nebula), 또는 NGC 3372로 불리는 이 성운은 용골자리에 있는 발광 성운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용골자리 성운 · 더보기 »

용골자리 V382

용골자리 V382() 또는 용골자리 x는 용골자리에 있는 분광형 G의 황색 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용골자리 V382 · 더보기 »

펄서

서의 개념도. 중앙에 있는 구체는 중성자별을 뜻하며, 주변의 곡선은 자기장의 선을, 중성자별을 관통하고 있는 푸른 광선은 방출 빔을 의미한다. 가시광선 및 엑스선 영역으로 관측한 게성운을 합성한 사진. 주변 펄서풍 성운에서 자기장과 중심부 펄서에서 나오는 입자들로 인해, 싱크로트론 방출을 보여주고 있다. 맥동전파원(脈動電波源, 펄서)은 고도로 자기화된, 관측 가능한 전파의 형태로 전자기파의 광선을 뿜는, 자전하는 중성자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펄서 · 더보기 »

큰개자리 VY

자리 VY(VY Canis Majoris, VY CMa)는 큰개자리에 있는 항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큰개자리 VY · 더보기 »

은하

머리털자리의 나선 은하 NGC 4414 은하(銀河)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은하 · 더보기 »

절대등급

절대등급()은 천체의 광도를 등급으로 나타낸 로그함수로, 천체가 정확히 10 파섹 (32.6 광년) 떨어져 있고 우주진에 의한 소광이 없다고 가정했을 때의 겉보기등급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절대등급 · 더보기 »

전갈자리 제타1

전갈자리 제타1은 전갈자리 방향으로 약 2,600 광년 떨어져 있는 초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전갈자리 제타1 · 더보기 »

천체물리학 저널

《천체물리학 저널》(디 아스트로피지컬 저널; 압제이)은 1895년 미국의 천문학자 조지 엘러리 헤일과 제임스 에드워드 킬러가 창간한 천체물리학 분야의 동료평가 학술지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천체물리학 저널 · 더보기 »

초거성

성(超巨星)은 매우 무겁고 밝은 별 중 하나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초거성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극대거성와 초신성 · 더보기 »

카시오페이아자리

시오페이아자리(Cassiopeia)는 북쪽 하늘의 별자리로, 자만하여 겨룰 이가 없는 아름다움을 자랑했던 카시오페이아 여왕을 나타낸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왕량' 별자리에 해당된다.

새로운!!: 극대거성와 카시오페이아자리 · 더보기 »

카시오페이아자리 로

시오페이아자리 로(Rho Cassiopeiae)는 카시오페이아자리에 있는 황색극대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카시오페이아자리 로 · 더보기 »

카시오페이아자리 V509

시오페이아자리 V509 또는 HR 8752는 카시오페이아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4,500 광년 떨어져 있는 항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카시오페이아자리 V509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쌍성 · 더보기 »

유럽 남방 천문대

유럽 남방 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in the Southern Hemisphere, ESO)는 국제 천문학 연구 기관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유럽 남방 천문대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태양질량 · 더보기 »

색등급도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초거성, 거성, 주계열성, 백색왜성 등이 표시되어 있다. 색등급도(色等級圖, color-magnitude diagram)란 항성천문학에서 절대등급, 광도, 항성분류, 그리고 표면온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색등급도 · 더보기 »

수소

수소(水素)는 주기율표의 가장 첫 번째(1족 1주기)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H(←)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수소 · 더보기 »

에딩턴 한계

에딩턴 한계()라고도 표현되는 에딩턴 광도()는 (항성 같은)물체가 외부로 작용하는 복사력과 안쪽으로 작용하는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상태에 있을 때 도달할 수 있는 최대 광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에딩턴 한계 · 더보기 »

헬륨

헬륨(←)은 화학 원소로, He(←)이고 원자번호는 2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헬륨 · 더보기 »

피스톨별

스톨별(Pistol Star)은 우리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피스톨별 · 더보기 »

성단 1806-20

성단 1806-20은 궁수자리에 있는 성단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성단 1806-20 · 더보기 »

성협

성협(星協, star association) 은 매우 느슨하게 묶여 있는 별의 집단(星團)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성협 · 더보기 »

세페우스자리 RW

세페우스자리 RW는 황색 또는 적색 극대거성으로, 지구에서 약 11,500광년 떨어져 있. 이 별은 성협 세페우스자리 OB1의 구성원 중 하나로, 해당 성협은 북반구 하늘의 세페우스자리 영역에 있. 외관상 세페우스자리 RW와 다중성계 도마뱀자리 CSU가 이중성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둘 사이는 중력으로 묶여 있지 않으며 아무 관계 없는 독립된 항성계로, RW는 지구에서 훨씬 더 멀리 떨어진 곳에 있.

새로운!!: 극대거성와 세페우스자리 RW · 더보기 »

세페우스자리 VV

세페우스자리 VV(VV Cephei)는 지구에서 약 4,900광년 떨어진 세페우스자리에 있는 식쌍성(蝕雙星)(식변광성)이자 알골형 변광성이며, 극대거성 A와 청색 거성으로 추측되는 B로 구성.

새로운!!: 극대거성와 세페우스자리 VV · 더보기 »

센타우루스자리 V766

센타우루스자리 V766 또는 HD 119796, HR 5171은 센타우루스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11,700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황색 초거성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센타우루스자리 V766 · 더보기 »

항성분류

항성분류(恒星分類, stellar classification)는 항성들을 특정 기준에 따라 구별하는 것을 의미.

새로운!!: 극대거성와 항성분류 · 더보기 »

항성풍

항성풍(恒星風, stellar wind)은 항성의 상층부 대기에서 분출되는 하전 입자의 흐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항성풍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극대거성와 원자 · 더보기 »

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Dorado)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황새치자리 · 더보기 »

황새치자리 S

황새치자리 S는 대마젤란 은하에서 가장 밝은 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황새치자리 S · 더보기 »

황색극대거성

황색극대거성(yellow hypergiant)은 질량이 태양의 20~50배로 매우 무겁고, 분광형은 차가운 A형에서 K이고, 대기 바깥쪽이 팽창하여 거대하게 부풀어 오른 항성을 말. 대표적인 예로 카시오페이아자리 로를 들 수 있는데, 이 별은 외곽 대기에서 주기적인 분출이 일어나서 별의 밝기가 규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

새로운!!: 극대거성와 황색극대거성 · 더보기 »

LBV 1806-20

LBV 1806-20은 '밝은 청색변광성'이자 극대거성이며 지구에서 은하 중심방향으로 30,000~49,000광년 떨어져 있.

새로운!!: 극대거성와 LBV 1806-20 · 더보기 »

R 66과 R 126

R 66(또는 R 126A)과 태양계를 비교한 크기. 태양과 행성들의 크기는 왜곡되었다. R 66, R 126 항성계의 그래프 자료. R 66과 R 126은 미국 항공우주국의 스피처 우주 망원경이 대마젤란 성운 내에서 발견한 항성계이.

새로운!!: 극대거성와 R 66과 R 126 · 더보기 »

WOH G64

WOH G64는 우리 은하의 동반 은하 대마젤란 성운에서 발견된 항성들 중 가장 반지름이 큰 별이며, 황새치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16만 3천 광년 떨어진 곳에 있.

새로운!!: 극대거성와 WOH G64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극초거성, 초초거성.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