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구와 박중양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구와 박중양의 차이

김구 vs. 박중양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박중양(朴重陽, 일본식 이름: 朴忠重陽 호추 시게요, 1872년 5월 3일 ~ 1959년 4월 23일)은 일본과 대한제국의 관료, 외교관이며, 일제시대의 관료, 사상가이.

김구와 박중양의 유사점

김구와 박중양는 공통적으로 222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쿄,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동아일보, 미 군정, 미국, 민족주의, 감리교, 배정자, 개성특급시, 강준만, 경찰, 경성부, 검찰, 보은군, 불교, 기독교, 금강산, 김규식, 김구, 김성수 (1891년), 김홍집 (1842년), 대통령, 대한민국, 대한제국, 대한제국 고종, 국회의원, 남북협상, 내무부, 농상공부, 노백린, ..., 단발령, 승려, 장덕수, 장면, 장택상, 임진왜란, 폐렴, 평양직할시, 평안도, 평안북도, 평안남도, 이동녕, 이동휘, 이광수, 이승만, 이윤영 (1890년), 이상정, 이토 히로부미, 이시영 (1868년), 이완용, 인천광역시, 일본, 일본 제국, 일본 천황, 일본 외무성, 일본군, 일본인, 일본어, 일제 강점기, 을사조약, 제1공화국 (드라마), 전라북도, 전북대학교, 정부, 조선, 조선인, 조선총독부, 존 하지, 종로 (서울), 중국, 중일 전쟁, 청나라, 청일 전쟁, 천도교, 충청북도, 친일반민족행위자, 유동열, 유교, 육군, 윤치영, 윤치호, 상공회의소, 상하이 시, , 양기탁, 허정, 사과나무, 사회주의, 성리학, 서대문형무소, 서울대학교, 서울특별시, 송진우 (1890년), 소련, 쇼와 천황, 해주군, 해주시, 한국, 한국 전쟁, 한국인, 안창호, 학교, 황해도, 황해남도, 10월, 10월 21일, 10월 22일, 10월 27일, 10월 28일, 10월 30일, 11월, 11월 12일, 11월 30일, 11월 4일, 11월 8일, 12월, 12월 19일, 12월 1일, 12월 31일, 12월 4일, 12월 8일, 1876년, 1892년, 1894년, 1896년, 1897년, 1900년, 1903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1909년, 1910년, 1911년, 1912년, 1914년, 1915년, 1916년, 1918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3년, 1924년, 1925년, 1926년, 1927년, 1929년, 1930년, 1930년대, 1931년, 1932년, 1933년, 1934년, 1935년, 1936년, 1937년, 1938년, 1939년, 1940년, 1941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8년, 1949년, 1953년, 1955년, 1959년, 1960년, 1962년, 1981년, 1984년, 1991년, 1997년, 1998년, 1월, 1월 12일, 1월 1일, 1월 8일, 2002년, 2004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5년, 2월, 2월 10일, 2월 11일, 2월 12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22일, 2월 24일, 3·1 운동, 3·1절, 3월, 3월 1일, 3월 3일, 3월 4일, 4월, 4월 21일, 4월 23일, 4월 29일, 4월 6일, 5월, 5월 10일, 6월, 6월 11일, 6월 26일, 7월, 8월, 8월 15일, 8월 1일, 8월 23일, 8월 27일, 9월, 9월 17일, 9월 22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92 더) »

도쿄

신주쿠의 마천루들 도쿄()는 일본의 혼슈 동부에 있는, 메이지 시대 이후 사실상 일본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김구와 도쿄 · 도쿄와 박중양 · 더보기 »

독립문 (1984년 드라마)

독립문(獨立門)은 KBS1TV에서 1984년 1월 1일부터 1984년 12월 30일까지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김구와 독립문 (1984년 드라마) · 독립문 (1984년 드라마)와 박중양 · 더보기 »

동아일보

《동아일보》(東亞日報, Dong-A Ilbo)는 신문 발행 업체인 동아일보사가 서울에서 발행하는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

김구와 동아일보 · 동아일보와 박중양 · 더보기 »

미 군정

미 군정(美軍政, 米軍政)은 다음과 같은 뜻이 있.

김구와 미 군정 · 미 군정와 박중양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김구와 미국 · 미국와 박중양 · 더보기 »

민족주의

민족주의(民族主義) 또는 혈통적 국민주의()는 민족(ethnic group)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 대표적인 예로 1992년 독립을 선포한 압하스인들의 자신들의 민족만의 나라를 건설하고 이민족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한 압하지야 공화국이나 근대 이탈리아와 독일에서 일어난 통일 국가 수립 운동이 있.

김구와 민족주의 · 민족주의와 박중양 · 더보기 »

감리교

리교회(監理敎會)는 성서를 중심으로 한 이성, 전통, 체험을 기독교의 근간으로 이해하는 복음주의적이며 경건한 신학적 입장을 가진 개신교 교파이.

감리교와 김구 · 감리교와 박중양 · 더보기 »

배정자

배정자(裵貞子, 일본식 이름: 田山貞子(다야마 사다코), 1870년 2월 23일1870년 2월 27일 설도 있다. ~ 1952년 2월 27일)는 조선의 비구니이자 일본 제국의 조선 정보원, 외교관이.

김구와 배정자 · 박중양와 배정자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개성특급시와 김구 · 개성특급시와 박중양 · 더보기 »

강준만

강준만(康俊晩, 1956년 1월 5일 ~)은 대한민국의 정치평론가·사회과학자·언론인이자 대학교수이.

강준만와 김구 · 강준만와 박중양 · 더보기 »

경찰

독일 함부르크의 경찰관 일본의 경찰관 경찰(警察)은 사회의 일반적인 법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정부의 행정 활동, 또는 그러한 목적을 위해 조직된 국가 기관을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 경찰은 공무원에 속. 따라서 경찰은 국가 행정기관을 뜻하는 말로도 흔하게 쓰이며, 이를 위한 행정 활동은 공권력이라고 표현.

경찰와 김구 · 경찰와 박중양 · 더보기 »

경성부

경성부(京城府) 또는 게이조 부()는 일제 강점기 때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 해당.

경성부와 김구 · 경성부와 박중양 · 더보기 »

검찰

(檢察)은 범죄 수사 및 공소 제기 등 국가의 권력 작용이.

검찰와 김구 · 검찰와 박중양 · 더보기 »

보은군

보은군(報恩郡)은 대한민국 충청북도 중남부에 있는 군이.

김구와 보은군 · 박중양와 보은군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김구와 불교 · 박중양와 불교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기독교와 김구 · 기독교와 박중양 · 더보기 »

금강산

강산(金剛山)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금강군 · 고성군 · 통천군에 걸쳐있는 산이.

금강산와 김구 · 금강산와 박중양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김구와 김규식 · 김규식와 박중양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김구와 김구 · 김구와 박중양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구와 김성수 (1891년) · 김성수 (189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김홍집 (1842년)

홍집(金弘集, 1842년 ~ 1896년 2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 정치가이다. 자(字)는 경능(敬能), 호는 도원(道園)·이정학재(以政學齋), 시호는 충헌(忠獻), 본관은 경주이다. 1880년 수신사 일행으로 일본을 방문한 뒤, 신문물을 견학하고 돌아와 개화, 개항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한편으로 위정척사파 계열 인사들도 중용하는 등의 정책을 펼쳤으나 급진 개화파로 몰렸고, 1884년 갑신정변(甲申政變) 진압 후 우의정, 좌의정 등으로 전권대신(全權大臣)이 되어 한성조약(漢城條約)을 체결하였다. 그 뒤 1896년 관제 개정 이후 동학 농민 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끌어들인 일본측의 지원으로 총리대신이 되었으며, 총리대신 재직 중 신분제 폐지, 단발령 등을 강행하는 한편, 함께 일본의 도움으로 개혁, 개방을 단행한 뒤에는 친일파로 몰려 아관파천 때 친러파의 군인들에게 살해당하였다. 원래 이름은 김홍집(金弘集)이었으나, 청 고종(高宗) 건륭황제의 휘가 ‘홍력’(弘歷)이었기 때문에 이를 피하기 위해 김굉집(金宏集)으로 가운데 자(字)를 바꾸었다. 조선말기의 문신이자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부통령을 지낸 이시영은 그의 사위였다. 박규수, 오경석, 강위의 문인이다.

김구와 김홍집 (1842년) · 김홍집 (184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김구와 대통령 · 대통령와 박중양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김구와 대한민국 · 대한민국와 박중양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김구와 대한제국 · 대한제국와 박중양 · 더보기 »

대한제국 고종

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은 대한제국의 초대 황제 (재위: 1897년 ~ 1907년)이자, 조선의 제26대 마지막 왕(재위: 1863년 ~ 1897년)이.

김구와 대한제국 고종 · 대한제국 고종와 박중양 · 더보기 »

국회의원

국회의원(國會議員,, MP)은 유권자를 대표해 의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

국회의원와 김구 · 국회의원와 박중양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김구와 남북협상 · 남북협상와 박중양 · 더보기 »

내무부

무부(內務部, Ministry of Internal Affairs)는 국가 내정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 일반적으로 쓰이는 행정부 부처 이름이.

김구와 내무부 · 내무부와 박중양 · 더보기 »

농상공부

농상공부(農商工部) 또는 농상아문(農商衙門)은 조선 후기 농업, 상업, 공업, 통신, 해운 등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이.

김구와 농상공부 · 농상공부와 박중양 · 더보기 »

노백린

백린 노백린(盧伯麟, 1875년 양력 2월 15일(음력 1월 10일)~1926년 양력 1월 22일)은 대한제국의 군인, 계몽사상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비행사이.

김구와 노백린 · 노백린와 박중양 · 더보기 »

단발령

발령(斷髮令)은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인 1895년 12월 30일(음력 11월 15일)에 공포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이.

김구와 단발령 · 단발령와 박중양 · 더보기 »

승려

이의 불교 수도승 승려(僧侶)는 불교의 출가 수행자를 가리카는 말이.

김구와 승려 · 박중양와 승려 · 더보기 »

장덕수

장덕수(張德秀, 1894년 12월 10일 ~ 1947년 12월 2일)는 한국의 친일파, 정치인, 교육자, 학자, 언론인이.

김구와 장덕수 · 박중양와 장덕수 · 더보기 »

장면

장면(張勉 1899년 8월 28일 ~ 1966년 6월 4일)은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가·번역가·출판인·문인·저술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가·외교관·교육자·정치인이.

김구와 장면 · 박중양와 장면 · 더보기 »

장택상

장택상(張澤相, 1893년 10월 22일 ~ 1969년 8월 1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겸 정치인, 작가이.

김구와 장택상 · 박중양와 장택상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김구와 임진왜란 · 박중양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폐렴

(肺炎)은 폐에 염증이 일어나는 반응을 말. 원인으로는 세균을 통한 감염이 가장 많으며, 바이러스, 균류, 또는 기타 미생물도 원인이 될 수가 있. 드물게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자극적인 화학 물질을 흡입해 발생.

김구와 폐렴 · 박중양와 폐렴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김구와 평양직할시 · 박중양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김구와 평안도 · 박중양와 평안도 · 더보기 »

평안북도

평안북도(平安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북부에 있는 도이.

김구와 평안북도 · 박중양와 평안북도 · 더보기 »

평안남도

평안남도(平安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김구와 평안남도 · 박중양와 평안남도 · 더보기 »

이동녕

이동녕(李東寧, 1869년 2월 17일 ~ 1940년 3월 13일)은 대한제국의 계몽운동가·언론인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였.

김구와 이동녕 · 박중양와 이동녕 · 더보기 »

이동휘

이동휘(李東輝,, 1873년 6월 20일 ~ 1935년 1월 31일)는 대한제국의 군인, 정치가이자 한국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이.

김구와 이동휘 · 박중양와 이동휘 · 더보기 »

이광수

이광수(李光洙), 1892년 3월 4일 평안북도 정주군 ~ 1950년 10월 25일)는 조선,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소설가, 언론인, 시인, 문학평론가, 작가, 반민족행위자이다. 본관은 전주이며, 조선 목조의 장남 안원대군의 후손이다. 사상가, 기자, 번역가, 자유주의 운동가이기도 했다. 일제 강점기에 한민족 독립 운동에 참여, 신한청년당, 상하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고, 임정 사료편찬위원회 그리고 신한청년당의 독립운동지 신한청년(新韓靑年)에도 주필로서 참여하였다. 그는 아시아 근대 문학과 지성의 태동기에서 대한의 재생과 광복을 꿈꾸고 기획하였으며, 여성 해방과 자유 연애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언론인 활동으로 일제 강점기에서 동아일보 편집국장과 조선일보 부사장을 지냈고 또한 문학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영미권의 작품을 한글로 번안하여 국내에 소개하기도 했다. 1909년 첫 작품 사랑인가를 발표한 이후 일본 유학 중에 소설과 시, 논설 등을 발표하였고, 귀국 후 오산학교에서 교편을 잡다가 망명, 1919년 도쿄(東京)의 조선인 유학생의 2·8 독립 선언을 주도했으며, 2·8 독립 선언서를 기초한 후 3·1 운동 전후 상하이로 건너가 상하이 임시정부에 참가하고 그후 독립운동지 신한청년 등에서 주필을 역임하였다. 또한 임시정부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대한제국의 독립의 정당성과 의지를 세계에 알리는데 노력했다. 또한 임시정부에서 발간하는 기관지인 《독립신문사》 사장을 맡아 활동했다. 하지만 허영숙이 상하이로 찾아와 귀국을 종용하자 상하이에서 독립운동을 접고 1921년 3월 귀국하여 허영숙과 결혼하였다. 종학원에서 철학, 윤리, 심리, 종교 등을 강의했고 경성학교와 경신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잡지《개벽》에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출판법위반으로 입건되었다가 석방되었으며 1922년 5월 개벽지(誌)에 《민족개조론》을 발표하여 우리민족이 쇠퇴한 것은 도덕적 타락 때문이라고 했다. 1923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편집국장을 지내고, 1933년 《조선일보》 부사장을 거치는 등 언론계에서 활약하면서 《재생(再生)》, 《마의태자(麻衣太子)》, 《단종애사(端宗哀史)》, 《흙》 등 많은 작품을 쓰는 등 독립운동을 계속해서 전개하였다. 1937년 수양동우회(修養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반 년 만에 병보석되었는데, 이때부터 본격적인 친일 행위로 기울어져 1939년에는 친일어용단체인 조선문인협회(朝鮮文人協會) 회장이 되었으며 같은 달 20일 조선문인협회 회장으로 협회 주체 전선(戰線) 병사 위문대·위문문 보내기 행사를 주도하였다. 1940년 2월 15일자 『매일신보』에 「국민문학의 의의」를 게재하고 황민화운동을 지지하였으며, 2월 20일자 『매일신보』의 「창씨(創氏)와 나」에서는 자신의 이름을 향산광랑(香山光郞)으로 바꾼 이유를 밝히고, 일제의 창씨개명 정책을 지지하기도 하였다. 3월부터 7월까지 『녹기(綠旗)』에 「진정 마음이 만나서야말로」를 연재하였으며, 9월 직접 작사한 노래 「지원병 장행가(壯行歌)」가 경성중앙방송국 제2방송에서 방송되었다. 12월에는 『국민총력』에 지원병훈련소 참관기인 「지원병훈련소의 하루」를 발표하였고, 황도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41년 일본어 산문집 『동포에 부침』이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간행되었다. 8월 임전대책협의회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9월 3∼5일자 『매일신보』에 「반도민중의 애국운동」을 게재해 일본의 대동아공영권(大東亞共榮圈)을 지지하였다. 12월 조선임전보국단 전시생활부장으로, 영미타도대강연회에서 ‘사상 함께 영미를 격멸하라’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기도 하였다. 1942년 5월 조선임전보국단이 주최한 징병제도 연설회에서는 ‘획기적 대선물’이라는 제목으로 연설하였으며, 『신시대』 1942년 4월호 「징병과 여성」을 게재해 징병제 실시를 환영하는 입장을 보였다. 6월 조선문인협회 주최의 ‘일본 군인이 되는 마음가짐’을 듣는 좌담회, 11월 도쿄에서 열린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가하였다. 1943년 4월 조선문인보국회 이사로 선출되었고, 11월 임시특별지원병제도 경성익찬회 종로위원회 실행위원과 연사로 활동하였다. 같은 달 최남선 등과 함께 일본 내 한국인 유학생들의 입대를 권유하는 ‘선배 격려대’에 참여하였다. 1944년 6월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결전태세즉응(決戰態勢卽應) 재선(在鮮) 문학자 총궐기대회 의장을 맡았다. 8월 적국항복 문인대강연회에서 ‘전쟁과 문학’이란 제목으로 강연을하였으며, 11월 제3회 대동아문학자대회에 참석하였다. 1945년 2월 대화동맹 준비위원 겸 이사,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과 대의당(大義黨) 위원이 되었다. 해방 이후로 백범일지의 교정, 윤문과 안창호의 일대기 집필을 직접 맡아 주관하기도 했다. 1949년 반민특위에 기소가 제기됐으나 석방되었고, 1950년 6월 한국 전쟁때는 서울에 있다가 북한 인민군에게 납북되었다. 그간 생사불명이다가 1950년 만포(滿浦)에서 병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순한글체 소설을 쓰는 등 소설 문학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기도 하였다. 소설가로는 구한 말과 일제 강점기 시대 동안 '만인의 연인'이라는 별명과 함께 청소년 남녀 문인들의 우상이었고, 최남선, 홍명희와 더불어 조선의 3대 천재로 대표되었던 인물이었다. 자는 보경(寶鏡), 호는 춘원(春園)·고주(孤舟)·외배·올보리·장백산인(長白山人)이며, 필명으로 춘원생, 경서학인(京西學人), 노아자닷뫼당백, Y생, 장백, 장백산인 등을 썼다.

김구와 이광수 · 박중양와 이광수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김구와 이승만 · 박중양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윤영 (1890년)

이윤영(李允榮,1890년 8월 19일 ~ 1975년 10월 15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이며 기독교 감리교 목사이고, 대한민국의 목회자, 정치가이.

김구와 이윤영 (1890년) · 박중양와 이윤영 (1890년) · 더보기 »

이상정

이상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구와 이상정 · 박중양와 이상정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김구와 이토 히로부미 · 박중양와 이토 히로부미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김구와 이시영 (1868년) · 박중양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이완용

이완용(李完用, 1858년 7월 17일(음력 6월 7일) ~ 1926년 양력 2월 12일)은 대한제국의 외교관, 정치가이.

김구와 이완용 · 박중양와 이완용 · 더보기 »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서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김구와 인천광역시 · 박중양와 인천광역시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김구와 일본 · 박중양와 일본 · 더보기 »

일본 제국

일본 제국(日本 帝國)은 1868년 1월 3일부터 1947년 5월 3일 사이의 일본의 입헌 군주제를 기반으로 한 특수한 정치 체제(국가 체제), 혹은 일본 제국주의 시기를 의미.

김구와 일본 제국 · 박중양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 천황

국화문장은 공식 국장은 아니지만 일본 천황의 상징이며, 국장처럼 쓰이기도 한다 일본 천황() 또는 일왕(日王)은 일본의 군주로 일본 황실의 대표이.

김구와 일본 천황 · 박중양와 일본 천황 · 더보기 »

일본 외무성

외무성(Ministry of Foreign Affairs, 약칭: MOFA)은 일본의 행정기관이.

김구와 일본 외무성 · 박중양와 일본 외무성 · 더보기 »

일본군

일본군(日本軍,)은 일본 제국의 군대를 가리.

김구와 일본군 · 박중양와 일본군 · 더보기 »

일본인

일본인(にっぽんじん; 닛폰진으로도 읽힘)은 일본 열도에 사는 야마토 민족, 류큐 민족, 아이누 민족, 윌타 민족, 니브히 민족, 오로치 민족 등을 총칭.

김구와 일본인 · 박중양와 일본인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김구와 일본어 · 박중양와 일본어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김구와 일제 강점기 · 박중양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김구와 을사조약 · 박중양와 을사조약 · 더보기 »

제1공화국 (드라마)

《제1공화국》(第一共和國)은 문화방송이 제1공화국을 배경으로 다룬 정치드라마로서 1981년 4월 2일 첫 방송을 시작해 1982년 2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 밤에 방송된 드라마이.

김구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박중양와 제1공화국 (드라마) · 더보기 »

전라북도

전라북도(全羅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김구와 전라북도 · 박중양와 전라북도 · 더보기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全北大學校, Chonbuk National University)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대한민국의 지방거점 국립대학교이.

김구와 전북대학교 · 박중양와 전북대학교 · 더보기 »

정부

정부(政府, Government)는 어느 지역 또는 국가를 통치하는 단체나 기관을 말. 넓은 의미로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를 모두 포함하며, 좁게는 행정부만을 의미.

김구와 정부 · 박중양와 정부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김구와 조선 · 박중양와 조선 · 더보기 »

조선인

조선인(朝鮮人)은 한국인을 뜻하는 다른 말로서, 다음 뜻으로도 쓰인.

김구와 조선인 · 박중양와 조선인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김구와 조선총독부 · 박중양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존 하지

존 리드 하지(1893년 6월 12일 ~ 1963년 11월 12일)는 미국의 군인 겸 정치가이.

김구와 존 하지 · 박중양와 존 하지 · 더보기 »

종로 (서울)

종로(鍾路)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사거리에서 동대문구 신설동로터리까지 이르는 도로이자 국도 제6호선의 일부분으로 지정되어 있는 대표적인 도로의 하나를 이르는 말로, 그 주변 일대를 묶어 가리킬 때도 사용.

김구와 종로 (서울) · 박중양와 종로 (서울)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김구와 중국 · 박중양와 중국 · 더보기 »

중일 전쟁

중일 전쟁(中日戰爭)은 1937년 7월 7일 일본의 중국 대륙 침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 중화민국과 일본제국 사이의 전쟁이.

김구와 중일 전쟁 · 박중양와 중일 전쟁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김구와 청나라 · 박중양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김구와 청일 전쟁 · 박중양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천도교

(天道敎)는 동학을 계승하여 발전된 한국의 신흥 종교이.

김구와 천도교 · 박중양와 천도교 · 더보기 »

충청북도

충청북도(忠淸北道)는 대한민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도이.

김구와 충청북도 · 박중양와 충청북도 · 더보기 »

친일반민족행위자

일파 이완용 친일반민족행위자(親日反民族行爲者), 간단히 친일파(親日派)는 동아시아 역사에서 일본 제국이 동아시아 각국을 침탈할 무렵에 일본 제국에 가담하여 그들의 침략과 약탈 정책을 지지하거나 옹호하여 추종한 무리를 가리.

김구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박중양와 친일반민족행위자 · 더보기 »

유동열

유동열 (柳東說, 1879년 3월 26일 ~ 1950년 10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

김구와 유동열 · 박중양와 유동열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김구와 유교 · 박중양와 유교 · 더보기 »

육군

육군(陸軍)은 지상 전투를 주임무.

김구와 육군 · 박중양와 육군 · 더보기 »

윤치영

윤치영(尹致暎, 1898년 2월 10일 ~ 1996년 2월 9일)은 대한민국의 친일파겸 사상가, 정치인, 언론인이.

김구와 윤치영 · 박중양와 윤치영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김구와 윤치호 · 박중양와 윤치호 · 더보기 »

상공회의소

일본 사이타마 상공회의소 청사 상공회의소(商工會議所)는 상공업의 개선 · 발전을 목적으로 시 등 일정 지역의 상공업에 의해 조직되는 자유 회원제 공익 경제 단체이.

김구와 상공회의소 · 박중양와 상공회의소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김구와 상하이 시 · 박중양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술(酒)은 에탄올을 1% 이상 함유한 음료의 총칭이.

김구와 술 · 박중양와 술 · 더보기 »

양기탁

양기탁(梁起鐸, 문화어:량기탁, 1871년 4월 2일 ~ 1938년 4월 19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

김구와 양기탁 · 박중양와 양기탁 · 더보기 »

허정

정(許政, 1896년 4월 8일 ~ 1988년 9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정치인이.

김구와 허정 · 박중양와 허정 · 더보기 »

사과나무

사과나무(沙果나무)는 장미목 장미과 배나무아과 사과나무속에 딸린 종이.

김구와 사과나무 · 박중양와 사과나무 · 더보기 »

사회주의

사회주의(社會主義, Socialism)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와 소수 관리에 반대하고 공동체주의와 최대 다수의 행복 실현을 최고 가치로 하는 공동 이익 인간관 을 사회 또는 윤리관의 기반으로 삼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하며 생산수단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협동 경제와 모든 민중이 노동의 대가로서 정당하고 평등하게 분배받는 사회를 지향하는 다양한 사상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며, 또는 그 과정을 의미.

김구와 사회주의 · 박중양와 사회주의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김구와 성리학 · 박중양와 성리학 · 더보기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 형무소(西大門刑務所), 서대문 감옥(西大門監獄)은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이.

김구와 서대문형무소 · 박중양와 서대문형무소 · 더보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정장(Emblem) 서울대학교(서울大學校, Seoul National University)는 대한민국의 국립대학이.

김구와 서울대학교 · 박중양와 서울대학교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김구와 서울특별시 · 박중양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진우 (1890년)

송진우(宋鎭禹, 1890년 5월 8일 ~ 1945년 12월 30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이며 일제 강점기와 해방 직후에 언론인, 교육자, 사상가, 정치인으로 활동하였.

김구와 송진우 (1890년) · 박중양와 송진우 (1890년)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김구와 소련 · 박중양와 소련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김구와 쇼와 천황 · 박중양와 쇼와 천황 · 더보기 »

해주군

주군(海州郡)은 해주시, 청단군, 벽성군, 강령군 북동부, 연평도, 태탄군 일부 지역, 신원군 남부 지역에 1938년까지 존재했던 행정 구역이.

김구와 해주군 · 박중양와 해주군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김구와 해주시 · 박중양와 해주시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김구와 한국 · 박중양와 한국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김구와 한국 전쟁 · 박중양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인

국인(韓國人)은 대한민국 국적자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적을 가진 사람을 말하며, 정식 국적이 아닌 조선적(朝鮮籍)재일 한국인 가운데 대한민국으로 국적을 변경하지 않은 사람을 말. 연합뉴스, 2014.12.29.

김구와 한국인 · 박중양와 한국인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김구와 안창호 · 박중양와 안창호 · 더보기 »

학교

학교(學校) 또는 배움터는 교육을 위한 장소이.

김구와 학교 · 박중양와 학교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김구와 황해도 · 박중양와 황해도 · 더보기 »

황해남도

황해남도(黃海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있는 도이.

김구와 황해남도 · 박중양와 황해남도 · 더보기 »

10월

10월(十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평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1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나고 2월하고도 항상 같은 요일로 끝. 그 다음 해가 윤년일 경우에는 그 다음해 9월과 12월과 같은 요일로 시작.

10월와 김구 · 10월와 박중양 · 더보기 »

10월 21일

10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4번째(윤년일 경우 295번째) 날에 해당.

10월 21일와 김구 · 10월 2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0월 22일

10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95번째(윤년일 경우 296번째) 날에 해당.

10월 22일와 김구 · 10월 2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10월 27일와 김구 · 10월 27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0월 28일

10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1번째(윤년일 경우 302번째) 날에 해당.

10월 28일와 김구 · 10월 28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0월 30일

10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3번째(윤년일 경우 304번째) 날에 해당.

10월 30일와 김구 · 10월 30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11월와 김구 · 11월와 박중양 · 더보기 »

11월 12일

1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6번째(윤년일 경우 317번째) 날에 해당.

11월 12일와 김구 · 11월 1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1월 30일

11월 3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4번째(윤년일 경우 335번째) 날에 해당.

11월 30일와 김구 · 11월 30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1월 4일

11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8번째(윤년일 경우 309번째) 날에 해당.

11월 4일와 김구 · 11월 4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1월 8일

1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2번째(윤년일 경우 313번째) 날에 해당.

11월 8일와 김구 · 11월 8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12월와 김구 · 12월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19일

12월 1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3번째(윤년일 경우 354번째) 날에 해당.

12월 19일와 김구 · 12월 19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1일

12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5번째(윤년일 경우 336번째) 날에 해당.

12월 1일와 김구 · 12월 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31일

12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65번째(윤년일 경우 366번째) 날에 해당하며, 한 해의 마지막 날이.

12월 31일와 김구 · 12월 3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4일

12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8번째(윤년일 경우 349번째) 날에 해당.

12월 4일와 김구 · 12월 4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2월 8일

12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2번째(윤년일 경우 343번째) 날에 해당.

12월 8일와 김구 · 12월 8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876년

187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76년와 김구 · 187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892년

189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92년와 김구 · 189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894년

189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4년와 김구 · 189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896년

189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96년와 김구 · 189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897년

189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97년와 김구 · 189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0년

190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0년와 김구 · 190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3년

190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3년와 김구 · 1903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04년와 김구 · 190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5년

190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5년와 김구 · 190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6년

190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6년와 김구 · 190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7년

1907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7년와 김구 · 190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09년

190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09년와 김구 · 190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와 김구 · 191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1년와 김구 · 191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2년

191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2년와 김구 · 191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4년

191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4년와 김구 · 191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5년

1915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5년와 김구 · 191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6년

1916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16년와 김구 · 191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8년와 김구 · 1918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9년와 김구 · 191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20년와 김구 · 192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1년와 김구 · 192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3년와 김구 · 1923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4년

1924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24년와 김구 · 192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5년

192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5년와 김구 · 192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6년

192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6년와 김구 · 192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7년

192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7년와 김구 · 192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29년

192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9년와 김구 · 192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0년와 김구 · 193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0년대

1930년대는 1930년부터 1939년까지를 가리.

1930년대와 김구 · 1930년대와 박중양 · 더보기 »

1931년

1931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1년와 김구 · 193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2년

1932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2년와 김구 · 193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3년

193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3년와 김구 · 1933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4년

193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4년와 김구 · 193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5년

1935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5년와 김구 · 193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6년

193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36년와 김구 · 193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7년

193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7년와 김구 · 193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8년

193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8년와 김구 · 1938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39년

193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9년와 김구 · 193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0년

194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0년와 김구 · 194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1년

194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1년와 김구 · 194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2년와 김구 · 194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3년

194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3년와 김구 · 1943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4년와 김구 · 194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5년와 김구 · 194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6년와 김구 · 1946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8년와 김구 · 1948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9년와 김구 · 194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53년

195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3년와 김구 · 1953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55년

195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5년와 김구 · 195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59년

195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9년와 김구 · 195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60년

196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60년와 김구 · 1960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62년

196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62년와 김구 · 196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1년와 김구 · 198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84년

19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4년와 김구 · 198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1년와 김구 · 1991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7년와 김구 · 199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8년와 김구 · 1998년와 박중양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1월와 김구 · 1월와 박중양 · 더보기 »

1월 12일

1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2번째(윤년일 경우도 12번째) 날에 해당.

1월 12일와 김구 · 1월 1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1월 1일와 김구 · 1월 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1월 8일

1월 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8번째(윤년일 경우도 8번째) 날에 해당.

1월 8일와 김구 · 1월 8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2002년와 김구 · 2002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4년와 김구 · 2004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7년와 김구 · 2007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8년와 김구 · 2008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9년와 김구 · 2009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5년와 김구 · 2015년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2월와 김구 · 2월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10일

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1번째(윤년일 경우도 41번째)ㅡㅡㅡ3ㄷ3.

2월 10일와 김구 · 2월 10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11일

2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2번째(윤년일 경우도 42번째) 날에 해당.

2월 11일와 김구 · 2월 1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12일

2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3번째(윤년일 경우도 43번째) 날에 해당.

2월 12일와 김구 · 2월 1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14일

2월 1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5번째(윤년일 경우도 45번째) 날에 해당.

2월 14일와 김구 · 2월 14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15일

2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6번째(윤년일 경우도 46번째) 날에 해당.

2월 15일와 김구 · 2월 15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22일

2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3번째(윤년일 경우도 53번째) 날에 해당.

2월 22일와 김구 · 2월 2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2월 24일

2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5번째(윤년일 경우도 55번째) 날에 해당.

2월 24일와 김구 · 2월 24일와 박중양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3·1 운동와 김구 · 3·1 운동와 박중양 · 더보기 »

3·1절

탑골공원에서 열린 제35주년 3·1절 기념식(1954) 3·1절(三一節)은 1919년 3월 1일에 일어난 3·1 운동을 기념하여 제정된 대한민국의 국경일이자 공휴일이.

3·1절와 김구 · 3·1절와 박중양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3월와 김구 · 3월와 박중양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3월 1일와 김구 · 3월 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3월 3일

3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2번째(윤년일 경우 63번째) 날에 해당.

3월 3일와 김구 · 3월 3일와 박중양 · 더보기 »

3월 4일

3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3번째(윤년일 경우 64번째) 날에 해당.

3월 4일와 김구 · 3월 4일와 박중양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4월와 김구 · 4월와 박중양 · 더보기 »

4월 21일

4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1번째(윤년일 경우 112번째) 날에 해당.

4월 21일와 김구 · 4월 2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4월 23일

4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3번째(윤년일 경우 114번째) 날에 해당.

4월 23일와 김구 · 4월 23일와 박중양 · 더보기 »

4월 29일

4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19번째(윤년일 경우 120번째) 날에 해당.

4월 29일와 김구 · 4월 29일와 박중양 · 더보기 »

4월 6일

4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6번째(윤년일 경우 97번째) 날에 해당.

4월 6일와 김구 · 4월 6일와 박중양 · 더보기 »

5월

5월(五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다섯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5월와 김구 · 5월와 박중양 · 더보기 »

5월 10일

5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0번째(윤년일 경우 131번째) 날에 해당.

5월 10일와 김구 · 5월 10일와 박중양 · 더보기 »

6월

6월(六月)은 에서 한 해의 여섯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는 네개의 달중 하나이.

6월와 김구 · 6월와 박중양 · 더보기 »

6월 11일

6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2번째(윤년일 경우 163번째) 날에 해당.

6월 11일와 김구 · 6월 1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6월 26일

6월 2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7번째(윤년일 경우 178번째) 날에 해당.

6월 26일와 김구 · 6월 26일와 박중양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7월와 김구 · 7월와 박중양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김구 · 8월와 박중양 · 더보기 »

8월 15일

8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7번째(윤년일 경우 228번째) 날에 해당.

8월 15일와 김구 · 8월 15일와 박중양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8월 1일와 김구 · 8월 1일와 박중양 · 더보기 »

8월 23일

8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5번째(윤년일 경우 236번째) 날에 해당.

8월 23일와 김구 · 8월 23일와 박중양 · 더보기 »

8월 27일

8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9번째(윤년일 경우 240번째) 날에 해당.

8월 27일와 김구 · 8월 27일와 박중양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9월와 김구 · 9월와 박중양 · 더보기 »

9월 17일

9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0번째(윤년일 경우 261번째) 날에 해당.

9월 17일와 김구 · 9월 17일와 박중양 · 더보기 »

9월 22일

9월 2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65번째(윤년일 경우 266번째) 날에 해당.

9월 22일와 김구 · 9월 22일와 박중양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구와 박중양의 비교.

김구에는 840 개의 관계가 있고 박중양에는 768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22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3.81%입니다 = 222 / (840 + 768).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구와 박중양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