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규식와 김순애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규식와 김순애의 차이

김규식 vs. 김순애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순애(金淳愛, 1889년 6월 10일(음력 5월 12일) ~ 1976년 5월 17일)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회운동가이.

김규식와 김순애의 유사점

김규식와 김순애는 공통적으로 11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지사, 만포시, 만주, 모스크바, 몽골, 무소속, 미국, 민족자주연맹, 개신교, 건국훈장, 고황경, 부산광역시, 기독교, 김마리아, 김규식, 김구, 김우애, 김진동 (독립운동가), 김염, 김성수 (1891년), 김필순, 대한민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대한적십자사, 남북협상, 난징 시, 장로교, 장연군, 평양직할시, ..., 이승만, 이정식, 이시영 (1868년), 일본, 일제 강점기, 음력 5월 12일, 전라남도, 정율성, 정신여학교, 조만식, 조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총독부, 좌우합작운동, 중국, 충칭 시, 윤치호, 파리 (프랑스), 파리 강화회담, 상하이 시, 여운형, 엄항섭, 삼청장, 쓰촨성, 서경석, 서병호, 서울특별시, 송병조, 함태영, 한국 광복군, 한국 전쟁, 한국독립당, 한국의 군정기, 한성부, 안미생, 안재홍, 안창호, 신한청년당, 황해도, 10월 1일, 11월, 11월 23일, 12월, 1885년, 1889년, 1904년, 1911년, 1918년, 1919년, 1920년, 1921년, 1922년, 1923년, 1930년, 1942년, 1943년, 1944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48년, 1949년, 1950년, 1970년, 1972년, 1976년, 1월, 1월 27일, 2·8 독립 선언, 2월, 2월 28일, 3·1 운동, 3월 1일, 4월, 5월 17일, 6월 10일, 6월 7일, 7월 7일, 8월, 8월 20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80 더) »

도지사

사(道知事) 또는 주지사(州知事)는 지방자치단체의 수장을 말.

김규식와 도지사 · 김순애와 도지사 · 더보기 »

만포시

만포시(滿浦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자강도 북서부에 있는 도시이.

김규식와 만포시 · 김순애와 만포시 · 더보기 »

만주

붉은색은 둥베이(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 지방이고, 조금 연한 부분은 내몽골 자치구 동부 지역, 가장 연한 부분은 외만주이다. 만주()는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광활한 지역을 일컫.

김규식와 만주 · 김순애와 만주 · 더보기 »

모스크바

모스크바()는 러시아의 수도이.

김규식와 모스크바 · 김순애와 모스크바 · 더보기 »

몽골

몽골국(음차: 몽고(蒙古))), 약칭 몽골은 동아시아의 내륙국이다. 가장 큰 도시는 수도인 울란바토르고, 정치 체제는 의회 공화국이다. 1992년 민주주의 체제로 변경되었다. 1,564,116km2의 넓은 영토를 가진 몽골은 카자흐스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내륙국이나, 인구는 약 300만 명 으로 적다. 13세기 칭기즈 칸이 몽골 제국을 건국했으며,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몽골 제국의 제5대 칸인 쿠빌라이 칸 시절에는 국호를 원으로 개칭하고, 이후 명나라가 중원을 탈환하게 되어서 몽골 초원지대로 물러났다. 이후 1688년 만주족이 세운 청나라에 복속하여 외몽골로 불렸다. 1911년 제1차 혁명을 일으켰으나 1920년 철폐되었고, 러시아의 10월 혁명에 영향을 받아 1921년 제2차 혁명을 일으켜 현재의 형태로 독립하였다. 북쪽으로 러시아, 남쪽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접하여 있다.

김규식와 몽골 · 김순애와 몽골 · 더보기 »

무소속

무소속(無所屬)이란 일반적으로 어느 곳에도 소속되지 않음을 의미.

김규식와 무소속 · 김순애와 무소속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김규식와 미국 · 김순애와 미국 · 더보기 »

민족자주연맹

민국의 시계열적 정당 지도 민족자주연맹(民族自主聯盟, Federation Korean National Independence, KNI)은 1947년 12월 20일 김규식 등에 의해서 창당, 발족된 대한민국의 정당이.

김규식와 민족자주연맹 · 김순애와 민족자주연맹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개신교와 김규식 · 개신교와 김순애 · 더보기 »

건국훈장

여운형의 건국훈장 훈장증 건국훈장(建國勳章)은 〈상훈법〉 제11조에 따라 대한민국의 건국에 공로가 뚜렷하거나, 국가의 기초를 공고히 하는 데에 이바지한 공적이 뚜렷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한민국의 훈장이.

건국훈장와 김규식 · 건국훈장와 김순애 · 더보기 »

고황경

황경(高凰京, 1909년 3월 6일 ~ 2000년 11월 2일)은 한국의 사회학자이며 대학교수이.

고황경와 김규식 · 고황경와 김순애 · 더보기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釜山廣域市)는 대한민국 동남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

김규식와 부산광역시 · 김순애와 부산광역시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기독교와 김규식 · 기독교와 김순애 · 더보기 »

김마리아

마리아(金瑪利亞, 1891년 6월 18일 ~ 1944년 3월 13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

김규식와 김마리아 · 김마리아와 김순애 · 더보기 »

김규식

식(金奎植, 1881년 2월 28일 ~ 1950년 12월 10일)은 대한제국의 종교가, 교육자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 학자, 시인, 사회운동가, 교육자였다 언더우드 선교사의 비서, 경신학교의 교수와 학감 등을 지내고 미국에 유학하였.

김규식와 김규식 · 김규식와 김순애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김구와 김규식 · 김구와 김순애 · 더보기 »

김우애

우애(金尤愛, 1925년 ~ 2001년 1월)는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

김규식와 김우애 · 김순애와 김우애 · 더보기 »

김진동 (독립운동가)

동(金鎭東, 1912년 ~ 1997년)은 일제강점기 조선의 독립운동가 김규식의 둘째 아들이며 언론인, 번역가이.

김규식와 김진동 (독립운동가) · 김순애와 김진동 (독립운동가) · 더보기 »

김염

염(金焰,, 1910년 4월 8일 ~ 1983년 12월 27일)은 대한제국 한성부 태생 중화인민공화국 상하이 시에서 활동한 영화배우이며 본명은 덕린(德麟)이.

김규식와 김염 · 김순애와 김염 · 더보기 »

김성수 (1891년)

성수(金性洙, 1891년 10월 11일 ~ 1955년 2월 18일)는 대한제국의 교육인 겸 언론인·기업인·근대주의 운동가였으며, 일제 강점기 말기에 친일 행적 논란이 있. 대한민국 초기 정치인, 언론인, 교육인, 서예가였.

김규식와 김성수 (1891년) · 김성수 (1891년)와 김순애 · 더보기 »

김필순

순 김필순(金弼淳 1878년 6월 25일 ~ 1919년 9월 1일) 은 대한제국의 의사 이자 일제강점기에는 만주로 건너가 독립군 주치의로 활약한 독립운동가이.

김규식와 김필순 · 김순애와 김필순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김규식와 대한민국 · 김순애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임시 정부

민국 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1919년 ~ 1948년)는 1919년 3월 1일 경성(京城)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 제국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1919년 4월 11일 중화민국 상하이에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정부이.

김규식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김순애와 대한민국 임시 정부 · 더보기 »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1920년 3월1일 미국 워싱턴에서 3·1절 1주년 기념식을 마치고 기념촬영을 한 임정 구미위원부 간부들.(앞줄 가운데가 이승만 박사, 그 오른쪽이 김규식 박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구미외교위원회)는 1919년 8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 워싱턴 D.C.에 설치한 미국, 유럽 각국을 대상으로 한 외교행정업무를 주관하는 부서였.

김규식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 김순애와 대한민국임시정부 구미외교위원부 · 더보기 »

대한적십자사

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Korean Red Cross)는 대한민국의 비영리 특수법인이.

김규식와 대한적십자사 · 김순애와 대한적십자사 · 더보기 »

남북협상

북협상(南北協商) 또는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또는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 는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을 말. 1948년 4월 19일부터 시작된 이 회의는,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며, 실현 가능성도 없는 합의문을 채택하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나고 말았.

김규식와 남북협상 · 김순애와 남북협상 · 더보기 »

난징 시

징()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쑤 성의 성도인 부성급시이.

김규식와 난징 시 · 김순애와 난징 시 · 더보기 »

장로교

장로교(長老敎, presbyterianism)는 16세기 종교개혁 운동에 의해 형성된 유럽의 칼빈주의적 개혁파 가운데 스코틀랜드의 종교개혁 기간 중에 존 녹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칼빈주의 성격의 개신교 교파이.

김규식와 장로교 · 김순애와 장로교 · 더보기 »

장연군

장연군(長淵郡)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서쪽에 있는 군이.

김규식와 장연군 · 김순애와 장연군 · 더보기 »

평양직할시

평양직할시(平壤直轄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김규식와 평양직할시 · 김순애와 평양직할시 · 더보기 »

이승만

이승만(李承晩, 1875년 5월 1일(음력 3월 26일) ~ 1965년 7월 19일) 또는 리승만은 조선과 대한제국 및 대한민국의 개화파, 언론인, 정치인이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제1·2·3대 대통령이.

김규식와 이승만 · 김순애와 이승만 · 더보기 »

이정식

이정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규식와 이정식 · 김순애와 이정식 · 더보기 »

이시영 (1868년)

이시영(李始榮, 문화어: 리시영, 1868년 12월 3일 한성부 ~ 1953년 4월 17일)은 조선, 대한제국의 관료이자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며 교육자, 정치인이.

김규식와 이시영 (1868년) · 김순애와 이시영 (1868년)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김규식와 일본 · 김순애와 일본 · 더보기 »

일제 강점기

일제강점기(1910년 8월 29일 ~ 1945년 8월 15일)는 한국의 역사에서 한국의 근현대사를 시대별로 나누었을 때 주요 시대 중 하나로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가 일본 제국의 식민 지배 아래 놓였던 시기이.

김규식와 일제 강점기 · 김순애와 일제 강점기 · 더보기 »

음력 5월 12일

음력 5월 12일은 음력 5월의 12번째 날이.

김규식와 음력 5월 12일 · 김순애와 음력 5월 12일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김규식와 전라남도 · 김순애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정율성

정율성(1914년 7월 7일 ~ 1976년 12월 7일)은 일제 강점기 조선에서 출생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작곡가로 본명은 정부은(鄭富恩)이.

김규식와 정율성 · 김순애와 정율성 · 더보기 »

정신여학교

정신여학교(貞信女學校)는 1887년 미국 북장로회 선교인 엘러스(Miss, Annie Ellers)가 서울 정동(貞洞)에 창립한 여성교육단체이.

김규식와 정신여학교 · 김순애와 정신여학교 · 더보기 »

조만식

조만식(曺晩植, 1883년 2월 1일(1882년 음력 12월 24일) ~ 1950년 10월 18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교육자·종교인·언론인·시민사회단체인·정치인이.

김규식와 조만식 · 김순애와 조만식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김규식와 조선 · 김순애와 조선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김규식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순애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의 휘장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거버먼트 제네럴 오브 코리아)는 일본 제국이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조약 체결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이었.

김규식와 조선총독부 · 김순애와 조선총독부 · 더보기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 혹은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는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조선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을 말. 이 운동에는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

김규식와 좌우합작운동 · 김순애와 좌우합작운동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김규식와 중국 · 김순애와 중국 · 더보기 »

충칭 시

충칭(중경)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의 직할시이.

김규식와 충칭 시 · 김순애와 충칭 시 · 더보기 »

윤치호

윤치호(尹致昊, 일본식 이름:, 1865년 1월 23일 ~ 1945년 12월 9일)는 조선, 대한제국의 개혁, 민권운동가·문신이자 외교관·언론인·교육자, 한국의 정치가·교육자·사상가·언론인·종교가이며 기독교운동가였.

김규식와 윤치호 · 김순애와 윤치호 · 더보기 »

파리 (프랑스)

리()는 프랑스의 수도로, 프랑스 북부 일드프랑스 지방의 중앙에 있. 센 강 중류에 있으며, 면적은 105km2.

김규식와 파리 (프랑스) · 김순애와 파리 (프랑스) · 더보기 »

파리 강화회담

리 강화회담(Paris Peace Conference)은 1919년에 제1차 세계 대전의 승전국들이 연합국과 동맹국 간의 평화 조약을 협의하기 위해 개최한 국제 회담이.

김규식와 파리 강화회담 · 김순애와 파리 강화회담 · 더보기 »

상하이 시

상하이()는 중국 본토 동부의 창강() 하구에 있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직할시이.

김규식와 상하이 시 · 김순애와 상하이 시 · 더보기 »

여운형

여운형(呂運亨, 1886년 5월 25일 ~ 1947년 7월 19일)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겸 저술가이.

김규식와 여운형 · 김순애와 여운형 · 더보기 »

엄항섭

엄항섭, 여운형, 장면1947년 미소공동위원회 회의장에서(앞줄 왼쪽 선글라스를 낀 남자가 엄항섭, 바로 옆은 여운형, 엄항섭의 뒷쪽 왼편에 흰 양복에 흰 중절모를 쓴 이는 장면‎ 엄항섭(嚴恒燮, 1898년 음력 9월 1일 ~ 1962년 7월 30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중화민국의 공무원이며,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규식와 엄항섭 · 김순애와 엄항섭 · 더보기 »

삼청장

삼청장에서 망중한을 보내는 김규식 (1946년) 삼청장(三淸莊)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부주석 김규식의 개인 사저였.

김규식와 삼청장 · 김순애와 삼청장 · 더보기 »

쓰촨성

사천성()은 중화인민공화국 서부 내륙 지방에 있는 성(省)이.

김규식와 쓰촨성 · 김순애와 쓰촨성 · 더보기 »

서경석

서경석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규식와 서경석 · 김순애와 서경석 · 더보기 »

서병호

서병호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규식와 서병호 · 김순애와 서병호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김규식와 서울특별시 · 김순애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송병조

이시영 송병조(宋秉祚, 1877년 12월 23일 - 1942년 2월 2일)는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

김규식와 송병조 · 김순애와 송병조 · 더보기 »

함태영

영(咸台永, 1873년 10월 22일 ~ 1964년 10월 24일)은 대한제국의 법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종교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

김규식와 함태영 · 김순애와 함태영 · 더보기 »

한국 광복군

광복군 성립 전례식에서의 김구(통수권자)와 지청천(총사령관) 해방 후 어느 광복군(1946년)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은 1940년 9월 17일 중화민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정규군이.

김규식와 한국 광복군 · 김순애와 한국 광복군 · 더보기 »

한국 전쟁

국 전쟁(韓國戰爭)은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이.

김규식와 한국 전쟁 · 김순애와 한국 전쟁 · 더보기 »

한국독립당

국독립당(韓國獨立黨)은 1930년 1월 25일 중화민국 장쑤성 상하이에서 결성된 대한민국의 보수정당,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당이며, 대한의 독립을 위하여 일본과 맞써 싸운 단체로 조소앙, 홍진, 조시원이 중심이 되어 창립되었.

김규식와 한국독립당 · 김순애와 한국독립당 · 더보기 »

한국의 군정기

반도 분단의 원인이 된 미국과 소련의 점령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는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 제국이 연합국에 항복하면서 독립이 확정된 한반도를 북위 38도선 이북에서 소련군이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 38도선 이남에서는 미군이 1945년 9월 9일부터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까지 다스린 기간을 총칭.

김규식와 한국의 군정기 · 김순애와 한국의 군정기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김규식와 한성부 · 김순애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미생

안미생(安美生, 1914년 ~ 2007년)은 중화민국의 조선인 외교관이자 일제 강점기의 대한민국 독립운동가이.

김규식와 안미생 · 김순애와 안미생 · 더보기 »

안재홍

안재홍(安在鴻, 1891년 12월 30일 ~ 1965년 3월 1일)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가이며 언론인, 역사가, 언어학자이.

김규식와 안재홍 · 김순애와 안재홍 · 더보기 »

안창호

안창호(安昌浩, 1878년 11월 9일 ~ 1938년 3월 10일)는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이자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이.

김규식와 안창호 · 김순애와 안창호 · 더보기 »

신한청년당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은 1918년 8월 중국 상하이에서 창립 되어 1919년 3.1 운동 전후에 크게 활약한 한인 청년독립운동단체이.

김규식와 신한청년당 · 김순애와 신한청년당 · 더보기 »

황해도

조선후기 황해도 황해도(黃海道)는 1417년부터 1954년까지 존속한 한반도의 중서부에 있는 도(道)로, 1954년 이후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로 분리되었.

김규식와 황해도 · 김순애와 황해도 · 더보기 »

10월 1일

10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4번째(윤년일 경우 275번째) 날에 해당.

10월 1일와 김규식 · 10월 1일와 김순애 · 더보기 »

11월

11월(十一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열한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8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고, 그 다음 해가 윤년인 경우 2월과 마지막 요일이 같. 또한, 이 달과 그 해의 3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평년인 경우 그 해의 2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

11월와 김규식 · 11월와 김순애 · 더보기 »

11월 23일

11월 2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27번째(윤년일 경우 328번째) 날에 해당.

11월 23일와 김규식 · 11월 23일와 김순애 · 더보기 »

12월

12월(十二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마지막 달이며, 31일까지 있. 한국, 일본, 중국, 미국에서는 이 달을 대체로 겨울의 시작으로 본.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는 여름이.

12월와 김규식 · 12월와 김순애 · 더보기 »

1885년

188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85년와 김규식 · 1885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889년

1889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89년와 김규식 · 1889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04년

190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04년와 김규식 · 1904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11년

191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1년와 김규식 · 1911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18년

191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8년와 김규식 · 1918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19년

1919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9년와 김규식 · 1919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20년

192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20년와 김규식 · 1920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21년

192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1년와 김규식 · 1921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22년

192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2년와 김규식 · 1922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23년

1923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23년와 김규식 · 1923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30년

193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30년와 김규식 · 1930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2년

1942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2년와 김규식 · 1942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3년

194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3년와 김규식 · 1943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4년

194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4년와 김규식 · 1944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5년

1945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5년와 김규식 · 1945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6년

194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6년와 김규식 · 1946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7년

194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7년와 김규식 · 1947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8년

194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48년와 김규식 · 1948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49년와 김규식 · 1949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50년

한국 전쟁 중 아주머니와 아이가 땔깜용 파편을 구하는 모습. 195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50년와 김규식 · 1950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70년

1970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0년와 김규식 · 1970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72년

197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2년와 김규식 · 1972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76년와 김규식 · 1976년와 김순애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1월와 김규식 · 1월와 김순애 · 더보기 »

1월 27일

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번째(윤년일 경우도 27번째) 날에 해당.

1월 27일와 김규식 · 1월 27일와 김순애 · 더보기 »

2·8 독립 선언

이광수가 2·8 독립 선언을 낭독한 도쿄 히비야 공원 2·8 독립 선언(二·八獨立宣言)은 1919년 일본 도쿄에서 조선 유학생들이 조선의 독립을 선언한 사건이.

2·8 독립 선언와 김규식 · 2·8 독립 선언와 김순애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2월와 김규식 · 2월와 김순애 · 더보기 »

2월 28일

2월 2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9번째(윤년일 경우도 59번째) 날에 해당.

2월 28일와 김규식 · 2월 28일와 김순애 · 더보기 »

3·1 운동

3·1 운동(三一運動) 또는 3·1 만세 운동(三一萬歲運動)은 일제 강점기에 있던 한국인들이 일제의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 3월 1일 한일병합조약의 무효와 한국의 독립을 선언하고 비폭력 만세운동을 시작한 사건이.

3·1 운동와 김규식 · 3·1 운동와 김순애 · 더보기 »

3월 1일

3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0번째(윤년일 경우 61번째) 날에 해당.

3월 1일와 김규식 · 3월 1일와 김순애 · 더보기 »

4월

4월(四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네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대한민국에서는 4월이 과학의 달이.

4월와 김규식 · 4월와 김순애 · 더보기 »

5월 17일

5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37번째(윤년일 경우 138번째) 날에 해당.

5월 17일와 김규식 · 5월 17일와 김순애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6월 10일와 김규식 · 6월 10일와 김순애 · 더보기 »

6월 7일

6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58번째(윤년일 경우 159번째) 날에 해당.

6월 7일와 김규식 · 6월 7일와 김순애 · 더보기 »

7월 7일

7월 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8번째(윤년일 경우 189번째) 날에 해당.

7월 7일와 김규식 · 7월 7일와 김순애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김규식 · 8월와 김순애 · 더보기 »

8월 20일

8월 2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2번째(윤년일 경우 233번째) 날에 해당.

8월 20일와 김규식 · 8월 20일와 김순애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규식와 김순애의 비교.

김규식에는 770 개의 관계가 있고 김순애에는 137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1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2.13%입니다 = 110 / (770 + 137).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규식와 김순애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