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차이

김영삼 vs. 대한민국 제6공화국

영삼(金泳三, 1927년 12월 20일 ~ 2015년 11월 22일)은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이. 제6공화국(第六共和國)은 대한민국에서 1987년의 6월 항쟁의 결과로 1987년 10월 29일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로 하여 민주적으로 개정된 헌법 제10호에 의해 성립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헌정체제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유사점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는 공통적으로 84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민정당, 민주자유당, 민주정의당, 민주주의, 박근혜, 박정희, 박종철, 경제협력개발기구, 공산주의, 금융실명제, 김대중, 김대중 정부, 김일성, 김영삼 정부, 김현철 (1959년), 대통령,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 제5공화국, 대한민국의 대통령,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노무현, 노벨 평화상, 노태우, ..., 노태우 정부, IMF, 자유민주연합, 자유한국당, 이명박,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두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지방 자치, 유엔, 새정치국민회의, 헌법재판소, 소련, 통일민주당, 하나회, 신민주공화당, 신한국당, 10.26 사건, 10월 27일, 10월 29일, 12.12 군사 반란, 1979년, 1980년, 1987년, 1988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10년, 2012년, 2월 24일, 2월 25일, 3당 합당, 5·16 군사 정변, 5·17 쿠데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29 선언, 6월 10일, 6월 9일, 6월 항쟁, 7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54 더) »

민정당

민정당(民政黨)은 1963년부터 1965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김영삼와 민정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민정당 · 더보기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약칭 민자당)은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존재하였던 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이.

김영삼와 민주자유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민주자유당 · 더보기 »

민주정의당

민주정의당(民主正義黨)은 대한민국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 노태우 정부 시기의 집권 여당이었.

김영삼와 민주정의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민주정의당 · 더보기 »

민주주의

민주주의(民主主義)는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고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며 국민을 위하여 정치를 행하는 제도, 또는 그러한 정치를 지향하는 사상이.

김영삼와 민주주의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민주주의 · 더보기 »

박근혜

박근혜(朴槿惠, 1952년 2월 2일 ~)는 대한민국의 제18대 대통령이자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민주적인 절차를 통하여 탄핵당한 대통령이.

김영삼와 박근혜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박근혜 · 더보기 »

박정희

박정희(朴正熙, 1917년 11월 14일 ~ 1979년 10월 26일)는 대한민국의 제5·6·7·8·9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박정희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박정희 · 더보기 »

박종철

박종철(朴鍾哲, 1964년 4월 1일 ~ 1987년 1월 14일, 부산 출생)은 대한민국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학생회장이던 그는 제5공화국 말기인 1987년 사망.

김영삼와 박종철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박종철 · 더보기 »

경제협력개발기구

창립 이후에 가입한 회원국 경제협력개발기구(經濟協力開發機構,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는 세계적인 국제 기구 중 하나이.

경제협력개발기구와 김영삼 · 경제협력개발기구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공산주의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는 자본가 계급이 소멸되고, 노동자 계급이 주체가 된 생산수단의 공공 소유에 기반을 둔 무계급 사회 조직, 공동체 형성에 관한 이론, 또는 그러한 체제를 목표로 삼는다고 주장하는 다양한 정치 운동들을 일컫.

공산주의와 김영삼 · 공산주의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금융실명제

융실명제(金融實名制)는 금융 기관에서 금융 거래를 할 때에 가명 혹은 무기명에 의한 거래를 금지하고 실명임을 확인한 후에만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도이.

금융실명제와 김영삼 · 금융실명제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김대중

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이.

김대중와 김영삼 · 김대중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김대중 정부

중 정부(金大中 政府, 1998년 ~ 2003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세 번째 정부이.

김대중 정부와 김영삼 · 김대중 정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김일성

일성(金日成, 1912년 4월 15일 ~ 1994년 7월 8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독재자.

김영삼와 김일성 · 김일성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김영삼 정부

영삼 정부(金泳三 政府, 1993년 ~ 1998년)는 대한민국의 제6공화국의 두 번째 정부이.

김영삼와 김영삼 정부 · 김영삼 정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김현철 (1959년)

현철(金賢哲, 1959년 3월 8일 ~)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김영삼의 차남이.

김영삼와 김현철 (1959년) · 김현철 (1959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통령

통령(大統領, president)은 공화제 국가의 국가원수로서 나라에 따라 임기가 다르고, 선출하는 방식도 국민의 직접 투표 혹은 의회에서 선출하는 방식으.

김영삼와 대통령 · 대통령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통령 선거

통령 선거(大統領選擧)는 공식 직함이 대통령인 국가원수를 선출하는 선거이.

김영삼와 대통령 선거 · 대통령 선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 대한민국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로, 6월 항쟁의 결과로 만들어진 현행 헌법에 따라 1987년 12월 16일 수요일에 직선제로 실시되었.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선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13대 총선은 대한민국 제13대 국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는 대한민국의 제14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한 선거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 선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민국 제14대 총선은 대한민국 제14대 국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선거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대한민국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4공화국

제4공화국(第四共和國)은 1972년 10월 유신으로 수립된 대한민국의 네 번째 공화 헌정 체제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4공화국 · 대한민국 제4공화국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 제5공화국

민국 제5공화국(第五共和國)은 1979년 12·12 군사 반란과 1980년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이후 헌법 개정을 통해 탄생한 대한민국의 다섯 번째 공화국이.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5공화국 · 대한민국 제5공화국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대한민국의 대통령

민국 대통령(大韓民國 大統領)은 대한민국의 국가원수이자 정부수반으로서 임기는 5년이며 연임과 중임이 불가능.

김영삼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대한민국의 대통령 · 더보기 »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국무총리의 휘장 국무총리(國務總理)는 대한민국의 정무직 공무원으로 현행 대한민국 헌법 하에서 대통령을 보좌하며, 행정에 관하여 대통령의 명령을 받아 행정 각부를 통할(통괄 및 관할)하는 역할을 맡는다(헌법 제86조 제2항).

김영삼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대한민국의 국무총리 · 더보기 »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1997년 12월 3일 ~ 2001년 8월 23일)은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대한민국이 IMF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 양해각서를 체결한 사건이.

김영삼와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대한민국의 IMF 구제금융 요청 · 더보기 »

노무현

무현(盧武鉉, 1946년 9월 1일 ~ 2009년 5월 23일)은 대한민국의 제16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노무현 · 노무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노벨 평화상

벨 평화상(- 平和賞)은 스웨덴 출신의 기업가이자 발명가인 노벨의 유언으로 만들어진 5가지 부문 중의 하나인 노벨상이.

김영삼와 노벨 평화상 · 노벨 평화상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노태우

우(盧泰愚, 1932년 12월 4일 ~)는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노태우 · 노태우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노태우 정부

우 정부(盧泰愚政府, 1988년 ~ 1993년)는 6월 항쟁의 결과로 성립된 제6공화국의 첫 번째 정부이.

김영삼와 노태우 정부 · 노태우 정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IMF

IMF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IMF와 김영삼 · IMF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自由民主聯合, 약칭 자민련)은 1995년 3월 30일에 창당돼 2006년 4월 7일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보수정당이.

김영삼와 자유민주연합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자유민주연합 · 더보기 »

자유한국당

자유한국당(自由韓國黨)은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정당이.

김영삼와 자유한국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자유한국당 · 더보기 »

이명박

이명박(李明博, 1941년 12월 19일 ~)은 대한민국의 제17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이명박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이명박 · 더보기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1995년 6월 27일 화요일 대한민국 전국에서 실시된 지방의회 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을 뽑는 선거이.

김영삼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더보기 »

전두환

전두환 (全斗煥, 1931년 1월 18일 ~)은 대한민국 제11•12대 대통령이.

김영삼와 전두환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전두환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김영삼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김영삼와 중화인민공화국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지방 자치

방 자치(地方自治)는 민주주의와 지방 분권을 기반으로 하는 행정 형태로, 일정한 지역을 기초로 하는 단체나 일정한 지역의 주민 자신이 선출한 기관을 통해서 그 지방의 행정을 처리하는 제도를 말. 지방 자치는 국가와 지방 단체와의 관계에서 단체 자치의 요소를, 지방 단체와 주민과의 관계에서 주민 자치의 요소를 아울러 가지고 있. 풀뿌리 민주 정치를 실현하고 권력 통제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헌법이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 자치 단체는 행정 조직에서 지방 분권적 조직에 속. 국가의 행정은 국가 기관 그 자체에 의하여 처리되는 것도 있고 독립된 지방 자치 단체를 만들어 지방 자치 단체로 하여금 그것을 처리하게 하는 것도 있. 따라서 국가 기관 그 자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행정을 ‘관치행정’(官治行政)이라 하고, 지방 자치 단체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행정을 ‘지방 자치’.

김영삼와 지방 자치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지방 자치 · 더보기 »

유엔

유엔() 또는 국제 연합(國際 聯合)은 세계 거의 모든 나라를 아우르는 국제 기구이.

김영삼와 유엔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유엔 · 더보기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新政治國民會議)는 1990년대 중후반에 존재하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김영삼와 새정치국민회의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새정치국민회의 · 더보기 »

헌법재판소

법재판소(憲法裁判所)는 헌법에 관한 분쟁을 담당하는 독립된 헌법 기관으로 제4부로 불리.

김영삼와 헌법재판소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헌법재판소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김영삼와 소련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소련 · 더보기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統一民主黨)은 1987년 창당되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

김영삼와 통일민주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통일민주당 · 더보기 »

하나회

회 혹은 신군부(新軍部)는 1963년 전두환, 노태우, 정호용, 김복동 등 대한민국의 육군사관학교 11기생들의 주도로 비밀리에 결성한 군 사조직이.

김영삼와 하나회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하나회 · 더보기 »

신민주공화당

신민주공화당(新民主共和黨)은 1987년부터 1990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정당이었.

김영삼와 신민주공화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신민주공화당 · 더보기 »

신한국당

신한국당(新韓國黨, New Korea Party)은 1995년 12월 6일부터 1997년 11월 21일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중도우파 정당이.

김영삼와 신한국당 · 대한민국 제6공화국와 신한국당 · 더보기 »

10.26 사건

10.26 사건(十二六事件) 또는 박정희 암살 사건(朴正煕暗殺事件), 박정희 사살 사건(朴正煕射殺事件), 박정희 총살 사건(朴正煕銃殺事件), 궁정동 사건(宮井洞事件)은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등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경호실장을 총살한 사건이.

10.26 사건와 김영삼 · 10.26 사건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0월 27일

11월 2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0번째(윤년일 경우 301번째) 날에 해당.

10월 27일와 김영삼 · 10월 27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0월 29일

10월 2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2번째(윤년일 경우 303번째) 날에 해당.

10월 29일와 김영삼 · 10월 29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2.12 군사 반란

12.12 군사 반란 또는 12.12 사태는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등을 체포한 사건이.

12.12 군사 반란와 김영삼 · 12.12 군사 반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9년와 김영삼 · 1979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80년

198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0년와 김영삼 · 1980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7년와 김영삼 · 1987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88년

19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88년와 김영삼 · 1988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0년

1990년 10월 3일. 동독의 다섯 주가 서독으로 편입되면서 41년간 분단되었던 '''독일'''이 '''통일'''되었다. 199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0년와 김영삼 · 1990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1년

1991년 9월 17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유엔'''에 '''동시 가입'''했다. (사진은 유엔 본사) 19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1년와 김영삼 · 1991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2년

보스니아 내전으로 파괴된 도서관에서 한 첼리스트가 연주를 하고 있다. 199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92년와 김영삼 · 1992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3년

8월 7일 ~ 11월 7일 동안 열린 '''대전엑스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상징 조형물인 '''한빛탑'''. 1993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3년와 김영삼 · 1993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4년

19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4년와 김영삼 · 1994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5년와 김영삼 · 1995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6년

199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996년와 김영삼 · 1996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7년

1997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7년와 김영삼 · 1997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1998년

19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98년와 김영삼 · 1998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2년

2002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며, 이 해는 21세기의 첫 대규모 행사의 해이.

2002년와 김영삼 · 2002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3년

2003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3년와 김영삼 · 2003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4년

2004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4년와 김영삼 · 2004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6년와 김영삼 · 2006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7년

2007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7년와 김영삼 · 2007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8년와 김영삼 · 2008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0년와 김영삼 · 2010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2012년와 김영삼 · 2012년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월 24일

2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5번째(윤년일 경우도 55번째) 날에 해당.

2월 24일와 김영삼 · 2월 24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2월 25일

2월 2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56번째(윤년일 경우도 56번째) 날에 해당.

2월 25일와 김영삼 · 2월 25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3당 합당

3당 합당(三黨合黨)은 1990년 1월 22일, 당시 집권 여당 민주정의당(약칭 민정당)과 제2야당 통일민주당(약칭 민주당), 제3야당 신민주공화당(약칭 공화당)과 합당해 민주자유당을 출범한 사건을 말. 3당 합당에 비판적인 입장에서는 3당 야합이.

3당 합당와 김영삼 · 3당 합당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5·16 군사 정변

5·16 군사 쿠데타(五一六軍事 coup d’État)는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김포, 부평, 수색, 포천 등에서 쿠데타를 목적으로 일어난 유혈 군사반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 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로 밝혀졌으며 그는 미국에 의해 지방으로 좌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삼군의 참모총장 몰래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모의를 통하여 무력으로 정권을 탈취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김포 공수단 10000000여명, 해병 제1여단 1300여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명, 김형욱 회고록 p.184 "혁명 장교들이 인솔하는 해병대 1300명, 공수단 1000여명 및 6관구 병력 등 도합 4000여명이었다."제6군단 포병단 5개대대 3000여명과 제5사단(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명에 이르렀다. 제2공화국은 이를 진압하고자 했으나, 공병대를 제외하고, 서울 인근에 있는 모든 전투 군부대가 이미 반란군에게 장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평시작전 통제권을 쥐고 있던 주한미군 총사령관이 불개입 의사를 표시하고 2군단장 등이 사후동조를 하면서 휴전선 인근의 일선부대를 대거 차출해야 했던바 진압을 고의적으로 포기해버렸다. 이 사건의 결과로 한명의 민간인과 십여명 이상의 군인이 죽거나 다쳤으며 제2공화국은 와해되고 군인들이 세운 국가재건최고회의가 삼권을 장악해 3여년간의 군부독재를 실시하였다.

5·16 군사 정변와 김영삼 · 5·16 군사 정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5·17 쿠데타

5·17 쿠데타는 1980년 5월 17일 전두환, 노태우를 비롯한 신군부 인사가 정권 장악을 위해 주도한 비상계엄 확대조치에 의해 발생한 사건이.

5·17 쿠데타와 김영삼 · 5·17 쿠데타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5·18 광주 민주화 운동

5·18 광주 민주화 운동(五一八光州民主化運動) 혹은 광주민중항쟁(光州民衆抗爭)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 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

5·18 광주 민주화 운동와 김영삼 · 5·18 광주 민주화 운동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6·29 선언

6·29 선언(六二九宣言)은 1987년 6월 항쟁 직후인 6월 29일에 민주정의당 대표인 노태우가 직선제 개헌요구를 받아들여 발표한 특별선언이.

6·29 선언와 김영삼 · 6·29 선언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6월 10일

6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1번째(윤년일 경우 162번째) 날에 해당.

6월 10일와 김영삼 · 6월 10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6월 9일

6월 9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0번째(윤년일 경우 161번째) 날에 해당.

6월 9일와 김영삼 · 6월 9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6월 항쟁

6월 민주 항쟁(六月民主抗爭)은 1987년 6월 10일부터 6월 29일까지 대한민국에서 전국적으로 벌어진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

6월 항쟁와 김영삼 · 6월 항쟁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7월와 김영삼 · 7월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비교.

김영삼에는 673 개의 관계가 있고 대한민국 제6공화국에는 193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84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9.70%입니다 = 84 / (673 + 193).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영삼와 대한민국 제6공화국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