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익훈와 조선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익훈와 조선의 차이

김익훈 vs. 조선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김익훈와 조선의 유사점

김익훈와 조선는 공통적으로 3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강화도, 경신환국, 병자호란, 북벌론, 북인, 남인, 노론, 이이, 음서, 의금부, 의정부, 조선 경종,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태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조선 현종, 유교, 윤선도, 예송, 형조, 여진, 성리학, 서재필, 서인, 송시열, 소론, 한성부, 1680년.

강화도

강화도(江華島)는 대한민국 경기만에 있는 섬이.

강화도와 김익훈 · 강화도와 조선 · 더보기 »

경신환국

경신환국(庚申換局)은 1680년(숙종 6년) 남인 일파가 정치적으로 대거 실각한 일이.

경신환국와 김익훈 · 경신환국와 조선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김익훈와 병자호란 · 병자호란와 조선 · 더보기 »

북벌론

북벌론(北伐論)은 소중화사상에 입각하여 문화수준이 낮은 청나라의 오랑캐에게 당한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등의 수치를 씻고, 임진왜란 당시의 조선을 도와준 명나라에 대한 의리를 지켜 명을 대신하여 복수하자는 주장이.

김익훈와 북벌론 · 북벌론와 조선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김익훈와 북인 · 북인와 조선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김익훈와 남인 · 남인와 조선 · 더보기 »

노론

(老論)은 서인과 같이 성리학적 명분론을 신봉하였지만 숙종 때 서인에서 노론과 소론으로 나뉜 붕당으로 알려져 있. 서인에서 송시열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노론,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사람들은 소론이 되었으며 숙종 이후 조선의 주요 집권 세력이었.

김익훈와 노론 · 노론와 조선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김익훈와 이이 · 이이와 조선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김익훈와 음서 · 음서와 조선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김익훈와 의금부 · 의금부와 조선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김익훈와 의정부 · 의정부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경종

경종(景宗, 1688년 11월 20일(음력 10월 28일) ~ 1724년 10월 11일(음력 8월 25일))은 조선의 제20대 임금이.

김익훈와 조선 경종 · 조선와 조선 경종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김익훈와 조선 효종 · 조선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김익훈와 조선 인조 · 조선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김익훈와 조선 태조 · 조선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김익훈와 조선 숙종 · 조선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김익훈와 조선 영조 · 조선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조선 현종

현종(顯宗, 1641년 3월 14일 (음력 2월 4일) ~ 1674년 9월 17일 (음력 8월 18일), 재위: 1659년 ~ 1674년)은 조선의 제18대 임금이.

김익훈와 조선 현종 · 조선와 조선 현종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김익훈와 유교 · 유교와 조선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김익훈와 윤선도 · 윤선도와 조선 · 더보기 »

예송

예송(禮訟) 또는 예송논쟁(禮訟論爭)은 예절에 관한 논란으로, 효종과 효종비 인선왕후에 대한 계모 자의대비(慈懿大妃)의 복상기간을 둘러싸고 현종, 숙종대에 발생한 서인과 남인간의 논쟁이.

김익훈와 예송 · 예송와 조선 · 더보기 »

형조

형조(刑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김익훈와 형조 · 조선와 형조 · 더보기 »

여진

여진()은 중국의 랴오닝 성, 지린 성, 헤이룽장 성과 한반도의 함경도, 러시아의 연해주, 하바롭스크 지방, 아무르 주에서 거주했던 퉁구스계 민족이.

김익훈와 여진 · 여진와 조선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김익훈와 성리학 · 성리학와 조선 · 더보기 »

서재필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7일 ~ 1951년 1월 5일, 미국 귀화명은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은 조선의 무신, 대한제국의 정치인, 언론인이자 미국 국적의 한국 독립운동가, 의사였.

김익훈와 서재필 · 서재필와 조선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김익훈와 서인 · 서인와 조선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김익훈와 송시열 · 송시열와 조선 · 더보기 »

소론

소론(少論)은 조선 붕당정치의 한 당파이.

김익훈와 소론 · 소론와 조선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김익훈와 한성부 · 조선와 한성부 · 더보기 »

1680년

1680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680년와 김익훈 · 1680년와 조선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익훈와 조선의 비교.

김익훈에는 118 개의 관계가 있고 조선에는 349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6.42%입니다 = 30 / (118 + 349).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익훈와 조선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