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일손와 남곤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일손와 남곤의 차이

김일손 vs. 남곤

일손(金馹孫, 1464년 ~ 1498년 7월)은 조선 성종·연산군 때의 문신이며 학자, 사관, 시인이. (南袞, 1471년 ~ 1527년 3월 10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유학자이며 정치인, 교육자, 작가, 시인이.

김일손와 남곤의 유사점

김일손와 남곤는 공통적으로 60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류자광, 명나라, 무오사화, 백이정, 갑자사화, 박경, 밀양시, 관찰사, 권근, 권우 (1363년), 부관참시, 길재, 김굉필, 김전, 김정국, 김종직, 김숙자 (1389년), 김안국, 남효온, 임사홍, 폐비 윤씨, 이맹전, 이목 (1471년), 이기 (1476년), 이제현, 이색, 이숭인, 이수형 (1435년), 이심원, 정도전, ..., 정몽주, 정광필, 정인지, 정여창, 정여창 (1450년), 정여해, 조광조, 조선, 조선 연산군, 조선 성종, 조선 세종, 중종반정, 참판, 유교, 윤필상, 생원, 예문관, 사림파, 사가독서, 성리학, 성균관, 성준 (조선), 한성부, 안향, 훈구파, 1489년, 1496년, 1498년, 1504년, 1508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0 더) »

류자광

자광(柳子光, 1439년 ~ 1512년 6월)은 조선의 초기의 무신, 군인, 교육자, 유학자, 작가이.

김일손와 류자광 · 남곤와 류자광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김일손와 명나라 · 남곤와 명나라 · 더보기 »

무오사화

무오사화(戊午士禍)는 1498년(연산군 4년) 음력 7월 유자광과 연산군이 김일손 등의 신진세력인 사림파를 제거한 사화이.

김일손와 무오사화 · 남곤와 무오사화 · 더보기 »

백이정

백이정(白頤正, 1247년~1323년)은 고려의 후기의 문신, 성리학자이.

김일손와 백이정 · 남곤와 백이정 · 더보기 »

갑자사화

갑자사화 (甲子士禍)는 1504년(연산군 10년)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의 복위 문제로 인하여 일어난 사화이.

갑자사화와 김일손 · 갑자사화와 남곤 · 더보기 »

박경

박경(1992년 7월 8일 ~)은 대한민국 보이 그룹 블락비의 리드래퍼를 말고 있.

김일손와 박경 · 남곤와 박경 · 더보기 »

밀양시

밀양시(密陽市)는 대한민국 경상남도 동북부에 있는 시이.

김일손와 밀양시 · 남곤와 밀양시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관찰사와 김일손 · 관찰사와 남곤 · 더보기 »

권근

(權近, 1352년~1409년)은 고려 말 조선 초의 학자·문신이.

권근와 김일손 · 권근와 남곤 · 더보기 »

권우 (1363년)

우(權遇, 1363년 - 1419년)는 고려 말기·조선 초기의 학자이며, 포은 정몽주의 제자이자 세종대왕, 학역재 정인지의 스승이.

권우 (1363년)와 김일손 · 권우 (1363년)와 남곤 · 더보기 »

부관참시

존 위클리프의 부관화형 부관참시(剖棺斬屍) 또는 부관참두(剖棺斬頭), 육시(戮屍)는 이미 사망한 사람이 사망 후에 큰 죄가 드러났을 때 처하는 극형을 말. 이 극형은 무덤에서 관을 꺼내어, 그 관을 부수고 시신을 참수하는 것으로, 사람을 두 번 죽이는 형벌로 여겨졌으나, 부관참시 자체는 명예형이.

김일손와 부관참시 · 남곤와 부관참시 · 더보기 »

길재

야은 길재 길재(吉再, 1353년~1419년)는 고려후기의 문신이자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이.

길재와 김일손 · 길재와 남곤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김굉필와 김일손 · 김굉필와 남곤 · 더보기 »

김전

전(金詮, 1458년 ~ 1523년)은 조선 전기, 중기의 문신, 학자로 자는 중륜(仲倫), 호는 나헌(懶軒)·능인(能人), 시호는 충정공(忠貞公)이.

김일손와 김전 · 김전와 남곤 · 더보기 »

김정국

정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일손와 김정국 · 김정국와 남곤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김일손와 김종직 · 김종직와 남곤 · 더보기 »

김숙자 (1389년)

숙자(金叔滋, 1389년 ∼ 1456년)는 조선 전기의 문신·학자로 본관은 선산(善山), 자는 자배(子培), 호는 강호(江湖)·강호산인(江湖散人)으로 불. 선산 출신의 도학자이자 유학자이.

김숙자 (1389년)와 김일손 · 김숙자 (1389년)와 남곤 · 더보기 »

김안국

안국(金安國, 1478년 (성종 9년) 9월 2일 (음력 8월 6일) ~ 1543년 (중종 38년) 2월 7일 (음력 1월 4일))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김안국와 김일손 · 김안국와 남곤 · 더보기 »

남효온

효온의 글씨 남효온(南孝溫, 1454년~1492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고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이.

김일손와 남효온 · 남곤와 남효온 · 더보기 »

임사홍

임사홍(任士洪, 1445년 ~ 1506년 음력 9월 2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 사상가, 성리학자이.

김일손와 임사홍 · 남곤와 임사홍 · 더보기 »

폐비 윤씨

비 윤씨(廢妃 尹氏, 1455년 7월 15일 (음력 윤 6월 1일)폐비 윤씨 태실의 태지에 기록된 내용이다. 현재 폐비 윤씨 태실 등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며, 관련 내용을 국립중앙박물관의 전시 자료 에서 일부 확인 가능하다. ~ 1482년 8월 29일 (음력 8월 16일))는 봉상시 판사(奉常寺 判事) 윤기견(尹起畎, 또는 윤기무, 尹起畝) 와 고령 신씨(申氏)의 딸로 조선의 제9대 임금 성종의 계비이자 둘째부인으로 투기와 남편인 성종의 용안에 상처를 내어 폐위되었.

김일손와 폐비 윤씨 · 남곤와 폐비 윤씨 · 더보기 »

이맹전

이맹전(李孟專, 1392년 ~ 1480년)은 조선 단종 때 문신, 생육신의 한 사람이.

김일손와 이맹전 · 남곤와 이맹전 · 더보기 »

이목 (1471년)

이목(李穆, 1471년 ~ 1498년)은 조선의 문신이.

김일손와 이목 (1471년) · 남곤와 이목 (1471년) · 더보기 »

이기 (1476년)

이기(李芑, 1476년 10월 26일 ~ 1552년 4월 28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권신이.

김일손와 이기 (1476년) · 남곤와 이기 (1476년) · 더보기 »

이제현

이제현 초상(국보110호) 이제현(李齊賢, 1288년 1월 28일(음력 1287년 12월 24일) ~ 1367년 8월 24일(음력 7월 29일))은 고려 후기의 시인·문신·성리학자·역사학자·화가이.

김일손와 이제현 · 남곤와 이제현 · 더보기 »

이색

이색 초상 이색(李穡, 1328년 6월 17일(음력 5월 9일권근, 『양촌집』 권40, 목은 선생 이 문정공 행장) ~ 1396년 6월 12일(음력 5월 7일), 경상북도 영해군)은 고려 말기의 문신이자 정치가이며 유학자, 시인이.

김일손와 이색 · 남곤와 이색 · 더보기 »

이숭인

이숭인(李崇仁, 1347년~1392년 9월 10일(음력 8월 23일))은 고려 말의 시인, 대학자이.

김일손와 이숭인 · 남곤와 이숭인 · 더보기 »

이수형 (1435년)

이수형(李秀亨, 1435년 ~ 1528년 1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시인, 학자이.

김일손와 이수형 (1435년) · 남곤와 이수형 (1435년) · 더보기 »

이심원

이심원(李深源, 1454년 ~ 1504년)은 조선 중기의 왕족,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김일손와 이심원 · 남곤와 이심원 · 더보기 »

정도전

정도전(鄭道傳, 1342년~ 1398년 10월 6일(음력 8월 26일))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이자 유학자, 혁명가(革命家)이.

김일손와 정도전 · 남곤와 정도전 · 더보기 »

정몽주

정몽주(鄭夢周, 양력 1338년 1월 13일 (1337년 음력 12월 22일) ~ 1392년 4월 26일(음력 4월 4일))는 고려왕조의 충신(忠臣)으로 문신·외교관이자, 정치가·교육자·유학자이.

김일손와 정몽주 · 남곤와 정몽주 · 더보기 »

정광필

정광필(鄭光弼, 1462년 ~ 1538년)은 조선의 문신이.

김일손와 정광필 · 남곤와 정광필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김일손와 정인지 · 남곤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여창

정여창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김일손와 정여창 · 남곤와 정여창 · 더보기 »

정여창 (1450년)

정여창(鄭汝昌, 1450년 음력 5월 5일 ∼ 1504년)은 조선전기의 문신, 성리학자, 작가이.

김일손와 정여창 (1450년) · 남곤와 정여창 (1450년) · 더보기 »

정여해

정여해(鄭汝諧, 1450~1520)는 조선시대 전기의 성리학자, 철학자이.

김일손와 정여해 · 남곤와 정여해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김일손와 조광조 · 남곤와 조광조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김일손와 조선 · 남곤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연산군

연산군(燕山君, 1476년 11월 23일 (음력 11월 7일) ~ 1506년 11월 20일 (음력 11월 6일), 재위 1494년 ~ 1506년)은 조선의 제10대 왕이.

김일손와 조선 연산군 · 남곤와 조선 연산군 · 더보기 »

조선 성종

조선 성종(成宗, 1457년 8월 19일 (음력 7월 30일) ~ 1495년 1월 19일 (음력 1494년 12월 24일), 재위 1469년 ~ 1494년)은 조선의 제9대 왕이며 시인, 유학자이.

김일손와 조선 성종 · 남곤와 조선 성종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김일손와 조선 세종 · 남곤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중종반정

중종반정(中宗反正)은 1506년 9월 18일(음력 9월 2일) 연산군이 폐위되고 진성대군 이역(李懌)이 옹립된 사건을 말.

김일손와 중종반정 · 남곤와 중종반정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김일손와 참판 · 남곤와 참판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김일손와 유교 · 남곤와 유교 · 더보기 »

윤필상

윤필상(尹弼商, 1427년 ~ 1504년 윤 4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외척이며 훈구 공신이.

김일손와 윤필상 · 남곤와 윤필상 · 더보기 »

생원

생원(生員).

김일손와 생원 · 남곤와 생원 · 더보기 »

예문관

예문관(藝文館)은 조선의 행정기관이자 연구기관으로 예조의 속아문이.

김일손와 예문관 · 남곤와 예문관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김일손와 사림파 · 남곤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가독서

사가독서(賜暇讀書)는 조선 시대 젊은 문신들이 임금의 명으로 직무를 쉬면서 글을 읽고 학문을 닦던 제도이.

김일손와 사가독서 · 남곤와 사가독서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김일손와 성리학 · 남곤와 성리학 · 더보기 »

성균관

성균관(成均館)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국학(國學)을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

김일손와 성균관 · 남곤와 성균관 · 더보기 »

성준 (조선)

성준(成俊, 1436년~150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김일손와 성준 (조선) · 남곤와 성준 (조선)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김일손와 한성부 · 남곤와 한성부 · 더보기 »

안향

안향 초상 (국보 제111호) 안향(安珦, 1243년 ~ 1306년)은 고려의 명신(名臣)·학자이.

김일손와 안향 · 남곤와 안향 · 더보기 »

훈구파

훈구파(勳舊派)는 혁명파 사대부를 계승한 세력으로서 세조의 왕위 찬탈에 협조하여 정치적 실권을 장악한 귀족적 관료학자들을 말. 훈구파라는 명칭은 본래 훈구공신(勳舊功臣), 훈구대신(勳舊大臣) 등 오랫동안 공로를 많이 세웠다는 의미를 지닌 일반 용어였으나, 성종 후반 이후 대두한 신진 정치 세력인 사림파(士林派)와 구별하기 위한 역사적 용어로 쓰이고 있.

김일손와 훈구파 · 남곤와 훈구파 · 더보기 »

1489년

설명이 없습니다.

1489년와 김일손 · 1489년와 남곤 · 더보기 »

1496년

설명이 없습니다.

1496년와 김일손 · 1496년와 남곤 · 더보기 »

1498년

설명이 없습니다.

1498년와 김일손 · 1498년와 남곤 · 더보기 »

1504년

설명이 없습니다.

1504년와 김일손 · 1504년와 남곤 · 더보기 »

1508년

설명이 없습니다.

1508년와 김일손 · 1508년와 남곤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일손와 남곤의 비교.

김일손에는 190 개의 관계가 있고 남곤에는 203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60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5.27%입니다 = 60 / (190 + 203).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일손와 남곤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