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자점

색인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213 처지: 능지, 돌아온 일지매, 도원수, 마의 (드라마), 명나라, 문화방송, 민회빈 강씨, 배일집, 개성특급시, 박근형, 강희맹, 박종관, 박영규 (배우), 강원도, 강홍립, 거열, 경기도, 공조, 공주시, 병자호란, 병조, 광양시, 북인,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권태원, 귀인 조씨 (인조), 기자헌, 기축옥사, 김류, 김류 (1571년), 김구, 김굉필, 김자점, 김장생, 김익훈, 김종직, 김질, 김질 (1422년), 김집 (1574년), 김육, 김탁, 김상용, 김상헌, 김순철, 김여물, 김성동 (1452년), 김식, 김홍욱, 대명 (드라마), 대광보국숭록대부, ..., 구굉, 구사맹, 남인, 남한산성 (드라마), 낙안읍성, 효명옹주, 효종실록, 우의정, 승정원, 장렬왕후, 장만, 장유, 임경업, 임진왜란, 이경유, 이경석 (1595년), 이괄, 이괄의 난, 이귀, 이기축, 이이, 이이첨, 이조, 이천군, 이서, 이서 (1580년), 이시백, 이원익, 인렬왕후, 인목왕후, 인조반정, 일지매, 일지매 (만화), 음력 12월 17일, 음서, 의금부, 의정부, 제주도, 전라도, 전라남도, 정랑, 정묘호란, 정인지, 정창손, 정철, 정충신, 정태화, 정사공신, 정성모, 조민기, 조광조, 조헌, 조선, 조선 광해군, 조선 효종, 조선 인조, 조선 선조, 좌의정, 중국, 청나라, 유교, 유홍, 윤근수, 윤두수, 윤의립, 윤증, 윤휴, 윤선도, 윤선거, 상의원, 숭선군, 영의정, 호조, 최명길, 최명길 (1586년), 어영청, 연립정부, 연경, 연좌, 허목, 허균, 사림파, 사간원, 사은사, 사헌부, 삼총사, 삼학사, 성리학, 성수침, 성혼, 서궁, 서인, 서산시, 송익필, 송준길, 송한필, 송시열, 소현세자, 해주시, 한명련, 한국방송공사, 한성부, 한성부판윤, 안방준 (1573년), 신경희, 신경진, 신흠, 신숙주, 심기원, 원두표, 홍천군, 홍성민, 황해남도, 화정 (드라마), JTBC, TvN, 12월 17일, 1452년, 1495년, 1524년, 1529년, 1588년, 1594년, 1620년, 1622년, 1623년, 1624년, 1625년, 1627년, 1628년, 1630년, 1631년, 1633년, 1636년, 1637년, 1639년, 1640년, 1642년, 1643년, 1644년, 1645년, 1646년, 1649년, 1650년, 1651년, 1652년, 1976년, 1981년, 1986년, 1987년, 1995년, 1월, 2009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월, 3월, 7월, 8월, 8월 24일,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63 더) »

능지

랑스 선교사들이 중국에서 능지처참 당하는 1858년 삽화 능지(凌遲)란 고대 중국에서 청대까지 걸쳐 시행되었던 중국의 사형 방법의 하나로, 한국 등에서도 행해졌.

새로운!!: 김자점와 능지 · 더보기 »

돌아온 일지매

《돌아온 일지매》는 MBC에서 2009년 1월 21일부터 2009년 4월 9일까지 방영된 수목 미니시리즈이.

새로운!!: 김자점와 돌아온 일지매 · 더보기 »

도원수

원수(都元帥)는 고려, 조선 시대때 임시로 임명되었던 관직으로 품계는 정2품이.

새로운!!: 김자점와 도원수 · 더보기 »

마의 (드라마)

《마의》(馬醫)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3년 3월 25일까지 MBC에서 방송된 50부작 창사 51주년 특별기획 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마의 (드라마) · 더보기 »

명나라

명나라(明朝, 1368년 ~ 1644년)는 중국 역대 왕조 중 하나로 주원장(朱元璋)이 원나라를 몰아내고 세운 한족 왕조이.

새로운!!: 김자점와 명나라 · 더보기 »

문화방송

문화방송(文化放送)은 대한민국 수도권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공영방송사이.

새로운!!: 김자점와 문화방송 · 더보기 »

민회빈 강씨

민회빈 강씨(愍懷嬪 姜氏, 1611년 ~ 1646년 4월 30일/음력 3월 15일)는 조선 소현세자의 부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민회빈 강씨 · 더보기 »

배일집

배일집(裵一集, 1947년 1월 14일 ~)은 대한민국의 남성 코미디언이.

새로운!!: 김자점와 배일집 · 더보기 »

개성특급시

성특급시(開城特級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북도의 남부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김자점와 개성특급시 · 더보기 »

박근형

박근형(1940년 6월 7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근형 · 더보기 »

강희맹

강희맹(姜希孟, 1424년 ~ 1483년)은 조선 초기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강희맹 · 더보기 »

박종관

박종관(朴鍾官, 1946년 2월 15일 ~)은 대한민국의 연기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종관 · 더보기 »

박영규 (배우)

박영규(1953년 10월 28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박영규 (배우) · 더보기 »

강원도

조선 후기 강원도 강원도(江原道)는 관동 지방(關東地方)에 해당하는 지역이.

새로운!!: 김자점와 강원도 · 더보기 »

강홍립

강홍립(姜弘立, 1560년 ~ 1627년 9월 6일(음력 7월 27일))은 조선의 문관, 군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강홍립 · 더보기 »

거열

투팍 아마루 2세의 거열 거열(車裂) 또는 환열(轘裂), 오우분시(五牛分屍) 또는 오마분시(五馬分屍)는 죄인의 사지와 머리를 말이나 소에 묶고 각 방향으로 달리게 하여 사지를 찢는 형벌이.

새로운!!: 김자점와 거열 · 더보기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자점와 경기도 · 더보기 »

공조

공조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김자점와 공조 · 더보기 »

공주시

공주시(公州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중앙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자점와 공주시 · 더보기 »

병자호란

병자호란(丙子胡亂)은 1636년 12월 28일(음력 12월 2일)부터 1637년 2월 24일(음력 1월 30일)까지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자점와 병자호란 · 더보기 »

병조

병조(兵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병조 · 더보기 »

광양시

광양시(光陽市)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동남부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자점와 광양시 · 더보기 »

북인

북인(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김자점와 북인 · 더보기 »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은 2013년 3월 23일부터 2013년 9월 8일까지 JTBC에서 방송된 주말연속극이.

새로운!!: 김자점와 궁중잔혹사 꽃들의 전쟁 · 더보기 »

권태원

원(權泰元, 1961년 3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권태원 · 더보기 »

귀인 조씨 (인조)

인 조씨(貴人 趙氏, ? ~ 1651년 음력 12월 14일(1652년 1월 24일))는 조선의 제16대 왕 조선 인조의 총관후궁이.

새로운!!: 김자점와 귀인 조씨 (인조) · 더보기 »

기자헌

자헌(奇自獻, 1562년 ~ 1624년)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기자헌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새로운!!: 김자점와 기축옥사 · 더보기 »

김류

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김자점와 김류 · 더보기 »

김류 (1571년)

(金瑬, 1571년 ~ 1648년 3월 5일)는 조선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류 (1571년) · 더보기 »

김구

(金九, 1876년 8월 29일 ~ 1949년 6월 26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대한민국의 종교인, 교육자, 통일운동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구 · 더보기 »

김굉필

굉필(金宏弼, 1454년 ~ 1504년)은 조선 전기의 문인, 교육자, 성리학자로 호(號)는 한훤당(寒暄堂)·사옹(蓑翁), 또는 한훤(寒暄)이며 자는 대유(大猷), 시호는 문경(文敬)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굉필 · 더보기 »

김자점

자점(金自點, 1588년 ~ 1651년 12월 1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이자 정치가, 군인, 성리학자이며 인조의 서녀 효명옹주의 시조부로 왕실의 인척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김자점 · 더보기 »

김장생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장생 · 더보기 »

김익훈

익훈(金益勳, 1619년 ~ 1689년 3월 11일)은 조선의 외척이며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익훈 · 더보기 »

김종직

종직(金宗直, 1431년 6월 ~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종직 · 더보기 »

김질

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김질 · 더보기 »

김질 (1422년)

(金礩, 1422년 ~ 1478년 2월 24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무신, 문신,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질 (1422년)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집 (1574년) · 더보기 »

김육

육(金堉, 1580년 8월 23일(음력 7월 14일)~1658년 10월 1일(음력 9월 5일))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실학자, 사상가, 작가, 정치가, 철학자이며, 효종·현종 연간에 대동법의 시행을 주장, 추진하였으며 화폐의 보급에 힘썼.

새로운!!: 김자점와 김육 · 더보기 »

김탁

탁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김탁 · 더보기 »

김상용

상용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김자점와 김상용 · 더보기 »

김상헌

상헌(金尙憲, 1570년 ~ 1652년)은 조선 중·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상헌 · 더보기 »

김순철

순철(金淳哲, 1960년 7월 25일 ~)은 대한민국의 공무원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순철 · 더보기 »

김여물

여물(金汝岉, 1548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여물 · 더보기 »

김성동 (1452년)

성동(金誠童, 1452년 ~ 1495년)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정치인으로 본관은 (구)안동.

새로운!!: 김자점와 김성동 (1452년) · 더보기 »

김식

식은 다음 사람을 가리.

새로운!!: 김자점와 김식 · 더보기 »

김홍욱

홍욱(金弘郁, 1602년 ~ 1654년)은 조선후기의 문신, 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김홍욱 · 더보기 »

대명 (드라마)

명은 KBS1TV에서 1981년 1월 5일부터 1981년 12월 28일까지 매주 월요일에 방영되었던 대하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대명 (드라마) · 더보기 »

대광보국숭록대부

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는 조선의 가장 높은 품계로, 정1품의 상계에 해당하는 품계이.

새로운!!: 김자점와 대광보국숭록대부 · 더보기 »

구굉

굉(具宏, 1577년 ~ 1642년)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자 외척이.

새로운!!: 김자점와 구굉 · 더보기 »

구사맹

사맹(具思孟, 1531년 ~ 1604년 음력 4월 1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구사맹 · 더보기 »

남인

인(南人)은 조선 붕당정치의 당파로, 조선 중기 이후 동인이 북인과 남인으로 분파되면서 발생.

새로운!!: 김자점와 남인 · 더보기 »

남한산성 (드라마)

《남한산성》은 MBC 정통 사극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일곱 번째 작품으로, 1986년 11월 3일부터 1987년 1월 27일까지 방영되었.

새로운!!: 김자점와 남한산성 (드라마) · 더보기 »

낙안읍성

순천 낙안읍성(順天 樂安邑城)은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이.

새로운!!: 김자점와 낙안읍성 · 더보기 »

효명옹주

효명옹주(孝明翁主, 1637년 ~ 1700년)는 조선의 왕족이.

새로운!!: 김자점와 효명옹주 · 더보기 »

효종실록

《효종대왕실록》(孝宗大王實錄) 또는 《효종실록》(孝宗實錄)은 1649년 음력 5월부터 1659년 음력 5월까지 조선 효종 시대의 사실을 기록한 실록이.

새로운!!: 김자점와 효종실록 · 더보기 »

우의정

우의정(右議政)은 의정부 3의정 가운데 하나로 조선시대 정1품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우의정 · 더보기 »

승정원

승정원(承政院)은 정삼품아문으로, 조선과 대한제국(승선원으로 개칭)에서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승정원 · 더보기 »

장렬왕후

장렬왕후 조씨(莊烈王后 趙氏, 1624년 12월 16일(음력 11월 7일) ~ 1688년 9월 20일(음력 8월 26일))는 조선의 제16대 국왕인 인조의 계비(繼妃)이.

새로운!!: 김자점와 장렬왕후 · 더보기 »

장만

장만(張晩, 1566년 ~ 1629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장만 · 더보기 »

장유

장유(張維, 1588년 1월 22일(음력 1587년 12월 25일)∼1638년 4월 30일(음력 3월 17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장유 · 더보기 »

임경업

임경업(林慶業, 1594년 ~ 1646년 8월 1일(음력 6월 20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친명배청파(親明排淸派) 무장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임경업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새로운!!: 김자점와 임진왜란 · 더보기 »

이경유

이경유(李慶裕, 1562년 8월 26일-1620년 11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왕족 출신 무신, 군인으로 본관은 전주이며 자(字)는 자수(子綬) 또는 중유(仲裕)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경유 · 더보기 »

이경석 (1595년)

이경석(李景奭, 1595년 12월 18일(음력 11월 18일) ~ 1671년 10월 26일(음력 9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작가, 성리학자이자 서예가로, 자는 상보(尙輔), 호는 백헌(白軒)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경석 (1595년) · 더보기 »

이괄

이괄(李适, 1587년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 군인, 정치인, 반란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괄 · 더보기 »

이괄의 난

이괄의 난(李适—亂)은 1624년(인조 2년)에 이괄이 조선 왕가 종실 흥안군 이제를 천립하며 일으킨 반란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괄의 난 · 더보기 »

이귀

이귀(李貴, 1557년 ∼ 1633년)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귀 · 더보기 »

이기축

이기축(李起築, 1589년 10월 7일 ~ 1645년 6월 6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왕족 출신 무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기축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이 · 더보기 »

이이첨

이이첨(李爾瞻, 1560년 ~ 1623년 3월 14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이첨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조 · 더보기 »

이천군

이천군(伊川郡)은 강원도의 서남부에 위치하는 군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천군 · 더보기 »

이서

이서는 다음과 같은 뜻이 있.

새로운!!: 김자점와 이서 · 더보기 »

이서 (1580년)

이서(李曙, 1580년 ~ 1637년)는 조선 중기의 무신, 왕족이자 정국공신(靖國功臣)으로, 인조 반정의 반정군 지휘관의 한사람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서 (1580년) · 더보기 »

이시백

이시백(李時白, 1581년 11월 5일(음력 10월 10일)∼ 1660년 6월 9일(음력 5월 2일))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시백 · 더보기 »

이원익

이원익(李元翼, 문화어: 리원익, 1547년 12월 5일 ~ 1634년 2월 26일)은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왕족 종실 출신 문신, 시인, 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이원익 · 더보기 »

인렬왕후

인렬왕후 한씨(仁烈王后 韓氏, 1594년 8월 16일(음력 7월 1일) ~ 1636년 1월 16일(1635년 음력 12월 9일))은 조선의 제16대 왕인 인조의 정비(正妃)로, 소현세자와 제17대 왕 효종의 모후이.

새로운!!: 김자점와 인렬왕후 · 더보기 »

인목왕후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년 12월 15일/음력 11월 14일 ~ 1632년 8월 13일/음력 6월 28일)는 조선 선조(宣祖)의 계비(繼妃, 임금이 다시 장가를 가서 맞은 아내)이.

새로운!!: 김자점와 인목왕후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새로운!!: 김자점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일지매

일지매(一枝梅)는 백성들의 재물을 빼앗는 탐관오리들의 재물을 빼앗아 그 자리에 매화나무 한가지의 그림을 두고 사라지는 중국의 가공 인물이.

새로운!!: 김자점와 일지매 · 더보기 »

일지매 (만화)

《일지매》는 만화가 고우영이 스포츠신문 일간스포츠에서 1975년부터 1977년까지 연재했고, 이후 단행본으로 출간된 창작 사극 만화이.

새로운!!: 김자점와 일지매 (만화) · 더보기 »

음력 12월 17일

음력 12월 17일은 음력 12월의 17번째 날이.

새로운!!: 김자점와 음력 12월 17일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새로운!!: 김자점와 음서 · 더보기 »

의금부

의금부 터 의금부(義禁府)는 고려와 조선의 수사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의금부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의정부 · 더보기 »

제주도

제주도(濟州島, Jeju-do)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속하며, 한반도 남쪽 바다 건너에 있. 섬의 면적은 1833.2 km²인데 이는 대한민국 면적의 1.83%에 해당.

새로운!!: 김자점와 제주도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새로운!!: 김자점와 전라도 · 더보기 »

전라남도

전라남도(全羅南道)는 대한민국의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자점와 전라남도 · 더보기 »

정랑

정랑(正郞)은 조선시대 육조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랑 · 더보기 »

정묘호란

정묘호란(丁卯胡亂)은 1627년(인조 5년)에 후금이 침입해 일어난 전쟁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묘호란 · 더보기 »

정인지

정인지(鄭麟趾, 1396년 12월 28일 ~ 1478년 11월 26일)는 조선 초기의 문신·성리학자이며 한글학자, 역사가,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인지 · 더보기 »

정창손

정창손(鄭昌孫, 1402년 3월 11일 ~ 1487년 1월 27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 언어학자, 유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창손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철 · 더보기 »

정충신

정충신(鄭忠信, 1576년 ~ 1636년 6월 6일(음력 5월 4일))은 조선 중기의 무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충신 · 더보기 »

정태화

정태화(鄭太和, 1602년 2월 12일(음력 1월 21일)~ 1673년 11월 16일(음력 10월 8일))는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태화 · 더보기 »

정사공신

정사공신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정사공신 · 더보기 »

정성모

정성모(鄭性模, 1956년 10월 20일 ~)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정성모 · 더보기 »

조민기

조민기(趙珉基, 1965년 11월 5일 ~ 2018년 3월 9일)는 대한민국의 배우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민기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광조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광해군

광해군(光海君, 1575년 6월 4일 (음력 4월 26일) ~ 1641년 8월 7일 (음력 7월 1일))은 조선의 제15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광해군 · 더보기 »

조선 효종

효종의 한글편지 효종(孝宗, 1619년 7월 3일 (음력 5월 22일) ~ 1659년 6월 23일 (음력 5월 4일), 재위: 1649년 ~ 1659년)은 조선의 제17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효종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선조

선조(宣祖, 1552년 11월 26일 (음력 11월 11일) ~ 1608년 3월 16일 (음력 2월 1일))는 조선의 제14대 임금 (재위 1567년~1608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조선 선조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새로운!!: 김자점와 좌의정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김자점와 중국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새로운!!: 김자점와 청나라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김자점와 유교 · 더보기 »

유홍

유홍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유홍 · 더보기 »

윤근수

윤근수(尹根壽, 1537년~1616년 8월 17일)는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文臣)·시인·화가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근수 · 더보기 »

윤두수

윤두수(尹斗壽, 1533년~1601년)는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두수 · 더보기 »

윤의립

윤의립 (尹毅立, 1568년 ~ 1643년) 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의립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증 · 더보기 »

윤휴

윤휴(尹鑴, 1617년 10월 14일 ~ 1680년 5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휴 · 더보기 »

윤선도

윤선도(尹善道, 1587년 7월 27일(음력 6월 22일) ~ 1671년 7월 16일(음력 6월 11일))는 조선시대 중기, 후기의 시인·문신·작가·정치인이자 음악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선도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윤선거 · 더보기 »

상의원

상의원(尙衣院)은 조선시대 임금의 의복 등 왕실의 재물을 관리, 공급하는 일을 담당하였던 관청이.

새로운!!: 김자점와 상의원 · 더보기 »

숭선군

숭선군 이징(崇善君 李澂, 1639년 음력 10월 17일 ~ 1690년 음력 1월 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새로운!!: 김자점와 숭선군 · 더보기 »

영의정

영의정(領議政)은 의정부 3정승 가운데 하나로 정1품에 해당하는 조선 최고의 중앙관직이었.

새로운!!: 김자점와 영의정 · 더보기 »

호조

호조(戶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호조 · 더보기 »

최명길

명길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김자점와 최명길 · 더보기 »

최명길 (1586년)

명길(崔鳴吉, 1586년 10월 7일(음력 8월 25일)~ 1647년 6월 19일(음력 5월 17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 성리학자, 양명학자, 외교관, 정치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최명길 (1586년) · 더보기 »

어영청

어영청(御營廳)은 1623년(인조 1년) 설치된 5군영 중 3군문(三軍門)의 하나이.

새로운!!: 김자점와 어영청 · 더보기 »

연립정부

연립정부(聯立政府, Coalition Government, 연정)는 의원내각제 국가에서 다수당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을 때 다른 정당과 함께 과반수를 채워 구성한 정부를 이르며 연립정권 또는 연정이.

새로운!!: 김자점와 연립정부 · 더보기 »

연경

연경(燕京)은 중국의 옛 지명이며, 춘추 전국 시대 당시 연나라의 수도였.

새로운!!: 김자점와 연경 · 더보기 »

연좌

연좌(連坐)는 죄인의 죄를 가족·친지들에게도 함께 묻는 제도이.

새로운!!: 김자점와 연좌 · 더보기 »

허목

목(許穆, 1595년 12월 11일 ~ 1682년 4월 27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 및 유학자, 역사가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며,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이.

새로운!!: 김자점와 허목 · 더보기 »

허균

(許筠, 1569년 12월 10일(음력 11월 3일) ~ 1618년 10월 12일(음력 8월 24일))은 조선 중기의 문인으로 학자이자 작가, 정치가, 시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허균 · 더보기 »

사림파

사림파(士林派) 또는 사림(士林)은 전원의 산림(山林)에서 유학을 공부하던 문인·학자로서 15세기 이후 조선 중기 중앙 정계를 주도한 정치집단이.

새로운!!: 김자점와 사림파 · 더보기 »

사간원

사간원(司諫院)은 조선 시대 왕에 대한 간쟁(諫諍)·논박(論駁)을 임무로 하는 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사간원 · 더보기 »

사은사

사은사란 조선시대 명나라와 청나라가 조선에 대하여 은혜를 베풀었을 때 이를 보답하기 위해 보내던 사절 또는 그 사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사은사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사헌부 · 더보기 »

삼총사

삼총사 (三銃士)는 알렉상드르 뒤마가 쓴 소설이.

새로운!!: 김자점와 삼총사 · 더보기 »

삼학사

삼학사(三學士)는 1637년 병자호란 때 조선이 중국 청나라에 항복하는 것을 반대하고 척화론(斥和論)을 주장했다가 청나라에 잡혀가 참혹한 죽음을 당했던 척화파의 강경론자 세 사람, 즉 홍익한, 윤집, 오달제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김자점와 삼학사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새로운!!: 김자점와 성리학 · 더보기 »

성수침

저서 청송서 필첩 성수침(成守琛, 1493년 ~ 1564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성수침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성혼 · 더보기 »

서궁

《서궁》은 KBS2에서 1995년 7월 3일부터 1995년 12월 26일까지 매주 월, 화요일에 방영되었던 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서궁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새로운!!: 김자점와 서인 · 더보기 »

서산시

서산시(瑞山市)는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에 있는 시이.

새로운!!: 김자점와 서산시 · 더보기 »

송익필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새로운!!: 김자점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새로운!!: 김자점와 송준길 · 더보기 »

송한필

송한필(宋翰弼, 1539년 ~ ?)은 조선의 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송한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송시열 · 더보기 »

소현세자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 2월 5일(음력 1월 4일) ~ 1645년 5월 21일(음력 4월 26일))는 인조와 인렬왕후 한씨의 적장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소현세자 · 더보기 »

해주시

주시(海州市)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황해남도 중남부에 있는 시이자 황해남도청 소재지 그리고 황해남도의 유일한 시이.

새로운!!: 김자점와 해주시 · 더보기 »

한명련

명련(韓明璉, ? ~ 1624년 2월 14일)은 조선 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임진왜란 때의 장군이.

새로운!!: 김자점와 한명련 · 더보기 »

한국방송공사

서울에 있는 KBS 사옥 KBS 업무용차량 KBS 전용차 한국방송공사(韓國放送公社,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영 방송을 운영하는 기업이며, 대한민국의 재난방송 및 민방위방송 주관방송사이.

새로운!!: 김자점와 한국방송공사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새로운!!: 김자점와 한성부 · 더보기 »

한성부판윤

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

새로운!!: 김자점와 한성부판윤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새로운!!: 김자점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신경희

신경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신경희 · 더보기 »

신경진

신경진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신경진 · 더보기 »

신흠

신흠(申欽, 1566년 ∼ 1628년)은 조선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신흠 · 더보기 »

신숙주

신숙주(申叔舟, 1417년 8월 2일 (음력 6월 20일) ~ 1475년 7월 23일 (음력 6월 21일))는 조선 전기의 성리학자·문신·정치가이며 언어학자, 외교관이.

새로운!!: 김자점와 신숙주 · 더보기 »

심기원

심기원(沈器遠, 1587년 ~ 1644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심기원 · 더보기 »

원두표

원두표(元斗杓, 1593년 ~ 1664년)는 조선후기의 문신, 공신이.

새로운!!: 김자점와 원두표 · 더보기 »

홍천군

홍천군(洪川郡)은 대한민국 강원도 중서부의 군이.

새로운!!: 김자점와 홍천군 · 더보기 »

홍성민

홍성민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김자점와 홍성민 · 더보기 »

황해남도

황해남도(黃海南道)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서남부에 있는 도이.

새로운!!: 김자점와 황해남도 · 더보기 »

화정 (드라마)

《화정》(華政)은 2015년 4월 13일부터 2015년 9월 29일까지 MBC에서 방영된 월화드라마이.

새로운!!: 김자점와 화정 (드라마) · 더보기 »

JTBC

JTBC()는 유료 플랫폼으로 방송하는 한국의 종합편성채널 사업자이자, 종합편성채널이.

새로운!!: 김자점와 JTBC · 더보기 »

TvN

tvN (Total Variety Network)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허가된 CJ E&M 방송사업부문에서 운영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 채널이.

새로운!!: 김자점와 TvN · 더보기 »

12월 17일

1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51번째(윤년일 경우 352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자점와 12월 17일 · 더보기 »

145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자점와 1452년 · 더보기 »

149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자점와 1495년 · 더보기 »

15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자점와 1524년 · 더보기 »

152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김자점와 1529년 · 더보기 »

1588년

1588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588년 · 더보기 »

1594년

1594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594년 · 더보기 »

1620년

16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0년 · 더보기 »

1622년

1622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2년 · 더보기 »

1623년

16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3년 · 더보기 »

1624년

1624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4년 · 더보기 »

1625년

162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5년 · 더보기 »

1627년

1627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7년 · 더보기 »

1628년

162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28년 · 더보기 »

1630년

1630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0년 · 더보기 »

1631년

1631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1년 · 더보기 »

1633년

163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3년 · 더보기 »

1636년

1636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6년 · 더보기 »

1637년

163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7년 · 더보기 »

1639년

163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39년 · 더보기 »

1640년

1640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0년 · 더보기 »

1642년

1642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2년 · 더보기 »

1643년

1643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3년 · 더보기 »

1644년

164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4년 · 더보기 »

1645년

164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5년 · 더보기 »

1646년

164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6년 · 더보기 »

1649년

164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49년 · 더보기 »

1650년

165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50년 · 더보기 »

1651년

1651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51년 · 더보기 »

1652년

1652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652년 · 더보기 »

1976년

1976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976년 · 더보기 »

1981년

1981년(1981年)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981년 · 더보기 »

1986년

19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986년 · 더보기 »

1987년

1987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987년 · 더보기 »

1995년

1995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1995년 · 더보기 »

1월

1월(一月)은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첫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는 7개의 달중 하나이.

새로운!!: 김자점와 1월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2009년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새로운!!: 김자점와 2012년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2013년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2014년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김자점와 2015년 · 더보기 »

2월

2월(二月, February)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두 번째 달이며, 평년일 때에는 28일, 윤년일 때에는 29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0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나며, 이 달과 작년의 6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

새로운!!: 김자점와 2월 · 더보기 »

3월

3월(三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세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북반구에서는 3월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때문에, 대체로 이 달을 봄의 시작으로 본. 남반구는 가을이.

새로운!!: 김자점와 3월 · 더보기 »

7월

7월(七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일곱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4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시작하며, 윤년인 경우 그 해의 1월과도 같은 요일로 시작하고 같은 요일로 끝. 400년 동안 이 달은 수요일, 금요일, 일요일에 58번, 월요일과 화요일에 57번, 목요일과 토요일에는 56번 시작.

새로운!!: 김자점와 7월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새로운!!: 김자점와 8월 · 더보기 »

8월 24일

8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36번째(윤년일 경우 23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김자점와 8월 24일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새로운!!: 김자점와 9월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낙서 김자점, 낙흥군, 낙흥군 김자점, 낙흥부원군, 성지 김자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