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김장생와 송익필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김장생와 송익필의 차이

김장생 vs. 송익필

장생(金長生, 1548년 7월 8일 ~ 1631년 8월 3일)은 조선의 유학자, 정치인, 문신이. 송익필(宋翼弼, 1534년 2월 10일 ∼ 1599년 8월 8일)은 조선 중기의 서얼 출신 유학자, 정치인이.

김장생와 송익필의 유사점

김장생와 송익필는 공통적으로 48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경기도, 관찰사, 기축옥사, 김반, 김집 (1574년), 임진왜란, 평안도, 이귀, 이이, 이산해, 인조반정, 전라도, 정철, 정홍명, 조광조, 조헌, 조선, 좌의정, 참판, 충청도, 추증, 유교, 윤증, 윤선거, 사헌부, 성리학, 성혼, 서인, 송준길, 송사련, ..., 송한필, 송시열, 한성부, 안방준 (1573년), 안당, 1558년, 1566년, 1575년, 1584년, 1586년, 1589년, 1591년, 1598년, 1599년, 1625년, 1910년, 8월, 9월.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경기도

경기도(京畿道)는 대한민국의 북서부에 있는 도이.

경기도와 김장생 · 경기도와 송익필 · 더보기 »

관찰사

사(觀察使)는, 중국 당대(唐代)에서 비롯하여 훗날 한국의 조선(朝鮮), 나아가 헤이안 시대(平安時代) 초기 일본에도 설치되었던 지방행정 감찰을 맡은 관직이.

관찰사와 김장생 · 관찰사와 송익필 · 더보기 »

기축옥사

축옥사(己丑獄事)는 조선 선조 때의 옥사로 1589년 10월의 정여립이 모반을 꾸민다는 고변으로부터 시작되어 정여립과 함께 3년여간 그와 연루된 많은 동인이 희생된 사건이.

기축옥사와 김장생 · 기축옥사와 송익필 · 더보기 »

김반

반 (金泮, ? ~ ?)은 조선 초의 학자이.

김반와 김장생 · 김반와 송익필 · 더보기 »

김집 (1574년)

집(金集, 1574년 음력 6월 6일 ~ 1656년 음력 윤 5월 13일)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유학자, 작가이.

김장생와 김집 (1574년) · 김집 (1574년)와 송익필 · 더보기 »

임진왜란

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시작되어 1598년(선조 31)까지 이어진 전쟁이.

김장생와 임진왜란 · 송익필와 임진왜란 · 더보기 »

평안도

조선후기 평안도 평안도(平安道)는 조선 시대의 행정 구역이.

김장생와 평안도 · 송익필와 평안도 · 더보기 »

이귀

이귀(李貴, 1557년 ∼ 1633년)는 조선의 문신이.

김장생와 이귀 · 송익필와 이귀 · 더보기 »

이이

이이(李珥, 1537년 1월 7일(1536년 음력 12월 26일) ~ 1584년 2월 27일(음력 1월 16일))는 조선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

김장생와 이이 · 송익필와 이이 · 더보기 »

이산해

이산해(李山海, 1539년 7월 20일 ~ 1609년 음력 8월 23일)는 조선 중기의 문신, 정치인, 시인이며 성리학자, 교육자, 화가이.

김장생와 이산해 · 송익필와 이산해 · 더보기 »

인조반정

인조반정(仁祖反正)은 1623년 4월 11일(음력 3월 12일) 서인 일파가 광해군 및 대북을 몰아내고 능양군 이종을 옹립한 사건을 말.

김장생와 인조반정 · 송익필와 인조반정 · 더보기 »

전라도

전라도(全羅道)는 전라북도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

김장생와 전라도 · 송익필와 전라도 · 더보기 »

정철

정철(鄭澈, 1536년 12월 18일(음력 12월 6일) ~ 1594년 2월 7일(1593년 음력 12월 18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시인이자 문신, 정치인, 학자, 작가이.

김장생와 정철 · 송익필와 정철 · 더보기 »

정홍명

정홍명(鄭弘溟, 1582년 3월 7일 - 1650년 10월 2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문신, 정치인, 작가이.

김장생와 정홍명 · 송익필와 정홍명 · 더보기 »

조광조

조광조(趙光祖, 1482년 8월 23일/음력 8월 10일 ~ 1520년 1월 10일/1519년 음력 12월 20일)는 조선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이.

김장생와 조광조 · 송익필와 조광조 · 더보기 »

조헌

조헌(趙憲, 1544년 ~ 1592년)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유학자이자 경세사상가, 의병장이.

김장생와 조헌 · 송익필와 조헌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김장생와 조선 · 송익필와 조선 · 더보기 »

좌의정

좌의정(左議政)은 의정부 3의정의 하나인 정 1품 관직이.

김장생와 좌의정 · 송익필와 좌의정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김장생와 참판 · 송익필와 참판 · 더보기 »

충청도

조선후기 충청도 충청도(忠淸道)는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으로 호서 지방(湖西地方)에 해당.

김장생와 충청도 · 송익필와 충청도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김장생와 추증 · 송익필와 추증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김장생와 유교 · 송익필와 유교 · 더보기 »

윤증

윤증 초상 윤증 윤증(尹拯, 1629년 ~ 1714년 1월 30일)은 조선 후기의 학자, 정치인, 사상가이.

김장생와 윤증 · 송익필와 윤증 · 더보기 »

윤선거

윤선거(尹宣擧, 1610년 ∼ 1669년 4월 21일)는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

김장생와 윤선거 · 송익필와 윤선거 · 더보기 »

사헌부

사헌부는 고려와 조선의 종이품아문 S 조선 최대의 거리, '육조거리' 행정기관이.

김장생와 사헌부 · 사헌부와 송익필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김장생와 성리학 · 성리학와 송익필 · 더보기 »

성혼

성혼(成渾, 1535년 6월 25일 ~ 1598년 6월 6일)은 조선중기의 문신, 작가, 시인이며 성리학자, 철학자, 정치인이.

김장생와 성혼 · 성혼와 송익필 · 더보기 »

서인

서인(西人)은 조선 시대 붕당정치 초기의 당파로, 1575년(선조 8)의 동서분당(東西分黨)으로 생긴 당파의 하나이.

김장생와 서인 · 서인와 송익필 · 더보기 »

송준길

송준길(宋浚吉, 1606년 12월 28일 ~ 1672년 12월 2일)은 조선시대 후기의 문신·성리학자·정치가로서 유교 주자학의 대가였.

김장생와 송준길 · 송익필와 송준길 · 더보기 »

송사련

송사련(宋祀連, 1496년(연산군 2) ~ 1575년(선조 8))은 조선 중기 신사무옥의 밀고자이.

김장생와 송사련 · 송사련와 송익필 · 더보기 »

송한필

송한필(宋翰弼, 1539년 ~ ?)은 조선의 학자이.

김장생와 송한필 · 송익필와 송한필 · 더보기 »

송시열

송시열(宋時烈, 1607년 12월 30일(음력 11월 12일) ~ 1689년 7월 19일(음력 6월 3일))은 조선의 문신·성리학자이.

김장생와 송시열 · 송시열와 송익필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김장생와 한성부 · 송익필와 한성부 · 더보기 »

안방준 (1573년)

안방준(安邦俊, 1573년 11월 20일 ~ 1654년 11월 13일)은 조선시대 중기의 의병장, 문신, 성리학자이.

김장생와 안방준 (1573년) · 송익필와 안방준 (1573년) · 더보기 »

안당

안당(安瑭, 1460년 ~ 1521년)은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자는 언보, 호는 영모당, 시호는 정민, 본관은 순흥이.

김장생와 안당 · 송익필와 안당 · 더보기 »

1558년

설명이 없습니다.

1558년와 김장생 · 1558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66년

설명이 없습니다.

1566년와 김장생 · 1566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75년

설명이 없습니다.

1575년와 김장생 · 1575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84년

1584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584년와 김장생 · 1584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86년

1586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86년와 김장생 · 1586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89년

15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89년와 김장생 · 1589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91년

1591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91년와 김장생 · 1591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98년

159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98년와 김장생 · 1598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599년

1599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599년와 김장생 · 1599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625년

1625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625년와 김장생 · 1625년와 송익필 · 더보기 »

1910년

1910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10년와 김장생 · 1910년와 송익필 · 더보기 »

8월

8월(八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여덟 번째 달이며, 31일까지 있. 이 달부터 연말까지는 2의 배수가 오는 달마다 31일까지 있. 이 달과 그 해의 11월은 항상 같은 요일로 끝. 또한, 윤년인 경우 이 달과 그 해의 2월은 같은 요일로 시작되며, 다음 해도 평년인 경우 다음 해 5월과 같은 요일이.

8월와 김장생 · 8월와 송익필 · 더보기 »

9월

9월(九月)은 그레고리력에서 한 해의 아홉 번째 달이며, 30일까지 있. 한국, 중국, 일본, 미국과 같은 북반구에는 가을이 되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과 같은 남반구에는 봄이.

9월와 김장생 · 9월와 송익필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김장생와 송익필의 비교.

김장생에는 247 개의 관계가 있고 송익필에는 122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48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3.01%입니다 = 48 / (247 + 122).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김장생와 송익필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