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남연군와 이진익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남연군와 이진익의 차이

남연군 vs. 이진익

연군 이구(南延君 李球, 1788년 8월 22일 ~ 1836년 3월 19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문신, 왕족으로 이름은 구(球), 자는 치수(稚受)이며 원래 이름은 채중(采重) 또는 채중(寀重)이. 이진익(李鎭翼, 1728년 9월 25일 ~ 1796년 4월 26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문신이.

남연군와 이진익의 유사점

남연군와 이진익는 공통적으로 28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능창대군, 복녕군, 군부인, 낙천군, 흥선대원군, 이병원, 이조, 인평대군, 음서, 의정부, 은신군, 조선, 조선 인조, 조선 순조, 조선 숙종, 조선 영조, 좌찬성, 참판, 추증, 유교, 성리학, 한성부, 1728년, 1796년, 1803년, 1816년, 1864년, 1월 1일.

능창대군

능창군 이전(綾昌君 李佺, 또는 증 능창대군 이전(贈 綾昌大君 李佺), 1599년 7월 16일 ~ 1615년 11월 17일)은 조선의 왕족 종실이.

남연군와 능창대군 · 능창대군와 이진익 · 더보기 »

복녕군

복녕군(福寧君, 1639년 ~ 1670년 음력 10월 15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

남연군와 복녕군 · 복녕군와 이진익 · 더보기 »

군부인

부인(郡夫人)은 조선 시대 군의 정실 부인을 지칭하는 말이.

군부인와 남연군 · 군부인와 이진익 · 더보기 »

낙천군

낙천군 이온(洛川君 李縕, 락천군 1720년 11월 26일(음력 10월 21일 - 1737년 9월 28일)은 조선 시대 후기의 왕족 종실이며 숙종의 서자(庶子)인 연령군의 양자이며 경종, 영조의 조카이다. 낙천군 이온의 경우 본래는 조선 선조의 서 6대손으로, 생부는 선조의 아홉째 서자였던 경창군 이주(慶昌君 李珘)의 5대손 이채(李埰)이다. 가계상 남연군의 할아버지뻘, 흥선대원군의 증조부뻘이 된다. 초명은 수신(守愼), 자는 온중(蘊仲)이다. 원래 조선 선조의 아홉번째 서자 경창군의 6대손이었으나, 아들 없이 사망한 연령군의 사후 양자가 되었다. 그러나 그도 아들이 없이 사망하였다. 일설에는 은신군(사도세자의 서2남)이 그의 제사 받들기를 꺼렸다는 풍문이 나돌았으나, 은신군은 죽은 뒤에 1777년 이복형 정조에 의해 연령군의 봉사손이 되었다. 관직은 수덕대부(綏德大夫) 에 이르렀고, 부인은 서종수(徐宗秀)의 딸이다. 호적상 흥선대원군의 증조부가 된다.

낙천군와 남연군 · 낙천군와 이진익 · 더보기 »

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0년 12월 21일(음력 11월 16일) ~ 1898년 2월 22일(음력 2월 2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화가이며 조선의 추존왕이.

남연군와 흥선대원군 · 이진익와 흥선대원군 · 더보기 »

이병원

이병원(李秉源, 1752년 4월 6일 ~ 1822년 11월 11일)은 조선 후기의 왕족 종실이.

남연군와 이병원 · 이병원와 이진익 · 더보기 »

이조

이조(吏曹)는 고려와 조선의 행정기관이.

남연군와 이조 · 이조와 이진익 · 더보기 »

인평대군

인평대군 이요(麟坪大君 李㴭, 1622년 12월 10일 ~ 1658년 5월 13일)은 조선 인조의 셋째 아들이자, 효종의 동생이.

남연군와 인평대군 · 이진익와 인평대군 · 더보기 »

음서

음서(蔭敍) 또는 음서제(蔭敍制)는 고려와 조선 시대에 중신 및 양반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와 같은 선발 기준이 아닌 출신을 고려하여 관리로 사용하는 제도이.

남연군와 음서 · 음서와 이진익 · 더보기 »

의정부

의정부(議政府)는 조선의 법제상 최고 정무기관이.

남연군와 의정부 · 의정부와 이진익 · 더보기 »

은신군

은신군 이진(恩信君 李禛, 1755년 음력 1월 11일 ~ 1771년 음력 3월 29일)은 조선시대의 왕자, 왕족이.

남연군와 은신군 · 은신군와 이진익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남연군와 조선 · 이진익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인조

인조(仁祖, 1595년 12월 7일 (음력 11월 7일) ~ 1649년 6월 17일 (음력 5월 8일), 재위 기간: 1623년 ~ 1649년)는 조선의 제16대 임금이.

남연군와 조선 인조 · 이진익와 조선 인조 · 더보기 »

조선 순조

순조(純祖, 1790년 7월 29일 (음력 6월 18일) ~ 1834년 12월 13일 (음력 11월 13일))는 조선의 제23대 왕(재위 1800년-1834년)이며 대한제국의 추존황제이.

남연군와 조선 순조 · 이진익와 조선 순조 · 더보기 »

조선 숙종

숙종(肅宗, 1661년 10월 7일(음력 8월 15일) ~ 1720년 7월 12일(음력 6월 8일))은 조선의 제19대 왕이.

남연군와 조선 숙종 · 이진익와 조선 숙종 · 더보기 »

조선 영조

영조(英祖, 1694년 10월 31일(음력 9월 13일) ~ 1776년 4월 22일(음력 3월 5일))는 조선의 제21대 왕(재위, 1724년 10월 16일 ~ 1776년 4월 22일)이.

남연군와 조선 영조 · 이진익와 조선 영조 · 더보기 »

좌찬성

좌찬성(左贊成)은 의정부 2찬성 가운데 하나로 종1품에 해당되는 조선조 의정부의 관직이었.

남연군와 좌찬성 · 이진익와 좌찬성 · 더보기 »

참판

(參判)은 조선의 종2품 당상관직으로 각 조의 수장인 판서를 보좌하는 역할을 하였.

남연군와 참판 · 이진익와 참판 · 더보기 »

추증

증(追贈)이란 관료의 사후에 직급을 높이는 일, 또는 관직 없이 죽은 사람에게 사후 관직을 내리는 일을 말.

남연군와 추증 · 이진익와 추증 · 더보기 »

유교

유교(儒敎)는 중국 춘추시대(기원전 770~403) 말기에 공자(孔子)가 체계화한 사상인 유학(儒學)의 학문을 이르는 말이.

남연군와 유교 · 유교와 이진익 · 더보기 »

성리학

성리학(性理學) 12세기에 남송의 주희(朱熹)가 집대성한 유교의 주류 학파이.

남연군와 성리학 · 성리학와 이진익 · 더보기 »

한성부

경복궁 앞 근정문 근정전 어좌의 모습 한성(漢城)은 조선의 도읍지(수도)였.

남연군와 한성부 · 이진익와 한성부 · 더보기 »

1728년

1728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728년와 남연군 · 1728년와 이진익 · 더보기 »

1796년

179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796년와 남연군 · 1796년와 이진익 · 더보기 »

1803년

1803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803년와 남연군 · 1803년와 이진익 · 더보기 »

1816년

1816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16년와 남연군 · 1816년와 이진익 · 더보기 »

1864년

1864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1864년와 남연군 · 1864년와 이진익 · 더보기 »

1월 1일

1월 1일은 양력(그레고리력)으로 첫 번째 날을 말.

1월 1일와 남연군 · 1월 1일와 이진익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남연군와 이진익의 비교.

남연군에는 176 개의 관계가 있고 이진익에는 69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28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1.43%입니다 = 28 / (176 + 69).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남연군와 이진익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