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다중심언어

색인 다중심언어

중심언어 또는 복수중심언어(pluricentric language, polycentric language)는 복수의 규범화된 판(표준어 또는 이에 준하는 것)이 존재하는 언어를 말하며, 주로 여러 나라에 걸쳐 같은 언어의 현지판이 발생하는 경우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독일어, 한국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아르메니아어 및 중국어는 다중심언어의 특성을 갖고 있는 예로 소. 이와 상대 개념으로 오직 한 종류의 표준화된 언어만이 존재하는 언어로 단일중심언어(monocentric language)라는 개념이 존재하며, 러시아어 와 일본어를 그 예로 들 수 있. 같은 언어에 바탕을 둔 다른 언어들이 각자의 지역에서 사용되어 이윽고 표준어로 규정되는 예는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 또는 힌디어 와 우르두어에서처럼 존재.

173 처지: ß, 러시아어, 델리, 독일, 독일어, 라틴 아메리카, 레바논, 레콩키스타, 로만슈어, 루마니아어, 루이지애나 주, 루신어, 말라얄람어, 말레이어,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어,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 맨어, 마그레브 아랍어, 마드리드, 마요르카섬,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어, 메소포타미아, 모어, 몬테비데오,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어, 몰도바, 몰도바어,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 문화어, 미국 영어, 미즈라히 유대인, 민족, 민어, 방언, 백화문, 발렌시아, 발렌시아어, 바레인, 바이에른 주, 베이징어, 벵골어, 고전 아르메니아어, 보고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보스니아어, ..., 보크몰, 볼차노 현, 관화, 권설음, 불가리아어, 부에노스아이레스, 기독교인, 대한민국, 대한민국 표준어, 두샨베,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 다리어, 스베알란드, 스페인, 스페인어,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왕국, 스위스, 스웨덴, 스웨덴어, 스와힐리어, 우루과이, 우르두어, 우크라이나어, 요르단, 힌두스탄어, 힌디어, 히브리어, 페르시아 문자, 페르시아어, 잉글랜드 왕국,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어, 포르투갈어, 포흐얀마, 이란, 이라크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 인도, 인도네시아어, 일본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중국어, 중화민국, 중화민국 국어, 중화인민공화국, , 카불, 카나리아 제도, 카탈루냐어, 카타르, 캐나다 영어, 콥트어, 콜롬비아, 코미어, 쿠르드어, 쿠웨이트, 유럽 연합, 유대-말라얄람어, 파슈토어,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상호 의사 소통성, 타이완, 타지크어, 타지키스탄, 순환선, 영국 영어,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오스트리아, 오페라, 예탈란드, 현대 표준 아랍어, 언어학, 양층언어, 에스놀로그, 푸퉁화, 표준 독일어, 표준 중국어, 표준어, 키릴 문자, 사우디아라비아, 프랑스어,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비아, 세르비아어, 세계어, 세파르디 유대인, 서울특별시, 토마스주의, 한문, 알바니아어, 한국어,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한국어의 호칭 문제, 한자 문화권, 안도라, 아랍 문자, 아랍어, 아랍에미리트, 아람어, 아르메니아어, 아르헨티나, 아메리카, 아슈케나지 유대인, 아이슬란드어, 아일랜드어, 아카디, 아프가니스탄, 핀란드, 테헤란, 싱가포르, 시리아, 시리아어, 퀘벡 주, 외래어, 왈라키아, 왈롱어, 1898년, 1949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23 더) »

ß

ß는 독일어 알파벳에서만 쓰이는 글자로 에스체트 또는 샤르페스 에스라고 불린.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ß · 더보기 »

러시아어

시아어()는 인도유럽어족의 동슬라브어군에 속한 언어이며 슬라브어파의 언어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이자, 러시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러시아어 · 더보기 »

델리

번개가 인디아 게이트 근처에 떨어지고 있다. 델리는 대부분의 강수가 7월과 8월의 몬순 기간에 집중된다. 델리(Delhi)는 인도 북부의 대도시권이자 인도의 상업·공업·정치 중심지의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델리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독일 · 더보기 »

독일어

독일어(獨逸語, deutsche Sprache, Deutsch)는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국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언어로 세계의 주요언어 중 하나로 여. 독일어는 학술어로서 그 중요성이 크며 세계 출판업계에서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독일어 · 더보기 »

라틴 아메리카

아메리카()는 인도유럽어족의 로망어가 사용되는 아메리카 내의 독립국 및 속령을 가리키는 지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라틴 아메리카 · 더보기 »

레바논

바논 공화국() 또는 레바논()은 중동의 지중해 동부 연안에 있는 이슬람교 54%, 기독교 40.5%의 다종교 국가로, 시리아와 이스라엘과 국경을 접하고 있으며, 수도는 베이루트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레바논 · 더보기 »

레콩키스타

락프란치스코 프라디야 오르티즈의 1882년 작품 레콩키스타()는 718년부터 1492년까지, 약 7세기 반에 걸쳐서 이베리아 반도 북부의 로마 가톨릭 왕국들이 이베리아 반도 남부의 이슬람 국가가톨릭 국가에서는 이베리아 반도의 무슬림을 흔히 무어인이라 불. 를 축출하고 이베리아 반도를 회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 레콩키스타는 에스파냐어와 포르투갈어로 ‘재정복’을 뜻하며 한국어로는 '국토 회복 운동'으로 번역.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레콩키스타 · 더보기 »

로만슈어

만슈어(Rumantsch)는 독일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와 함께 스위스에서 쓰이는 4개의 공용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로만슈어 · 더보기 »

루마니아어

마니아어()는 로망스어군에서 5번째로 사용자가 많은 언어로 루마니아, 몰도바, 보이보디나(세르비아의 자치주)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루마니아어 · 더보기 »

루이지애나 주

이지애나 주(루이지애나 프랑스어: La Louisiane, /la lwizjan/ 또한 /la luzjan/, 표준 프랑스어: État de Louisiane, /lwizjan/ , 루이지애나 크리올: Léta de la Lwizyàn, 스페인어: Luisiana, /lwiziana/)는 미국 남부의 주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루이지애나 주 · 더보기 »

루신어

신어(русиньска бесїда, русиньскый язык)는 중앙유럽에 거주하는 루신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동슬라브어군에 속.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자치주의 공용어 가운데 하나이며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탸 주와 슬로바키아 동부, 폴란드 남동부, 헝가리, 루마니아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 우크라이나어와의 공통점이 많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어의 방언으로 여.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루신어 · 더보기 »

말라얄람어

말라얄람어는 인도의 케랄라 주에서 사용되는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말라얄람어 · 더보기 »

말레이어

말레이어(Bahasa Melayu, 자위: بهاس ملايو)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말레이 반도의 말레이족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말레이어 · 더보기 »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 있는 연방제 입헌 군주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말레이시아 · 더보기 »

말레이시아어

말레이시아어()는 말레이시아의 공용어로, 말레이어의 믈라카 방언을 표준어화한 것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말레이시아어 · 더보기 »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는 똑같은 말레이어이지만, 일부 문법, 단어, 어휘, 철자법 등에서 차이가 있.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을 알기 위해서는, 이 언어의 역사를 알아야.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말레이시아어와 인도네시아어의 차이점 · 더보기 »

맨어

맨어 또는 맹크스어는 영국 왕실령인 맨 섬에서 쓰이는 켈트어파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맨어 · 더보기 »

마그레브 아랍어

마그레브 아랍어(Maghrebi Arabic)는 아랍어의 일종으로서 모로코, 튀니지, 알제리, 리비아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마그레브 아랍어 · 더보기 »

마드리드

마드리드 중심부에 위치한 메트로폴리스 빌딩 마드리드 중심을 관통하는 그란비아 거리 마드리드(Madrid)는 스페인의 수도로, 나라의 중앙부에 있. 인구는 약 300만 명 (부산광역시, 경상남도 수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마드리드 · 더보기 »

마요르카섬

형도. 행정구역. 마요르카 섬()은 지중해 발레아레스 제도에 있는 스페인에서 가장 큰 섬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마요르카섬 · 더보기 »

마케도니아

마케도니아 왕국의 수도 마케도니아(Macedonia)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마케도니아 · 더보기 »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마케돈스키)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마케도니아어 · 더보기 »

메소포타미아

메소포타미아(Mesopotamia)는 고대 그리스어 'Μεσοποταμία'에서 온 말로서 '메소'는 중간이라는 뜻을, '포타미아'는 강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기원전 4세기 후반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대 이래로 역사, 지리학 및 고고학적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메소포타미아 · 더보기 »

모어

모어(母語)란 사람이 태어나서 처음 습득하여 익힌 언어를 말. 모국어(母國語), 제1언어(L1, first language) 등으로도 부른.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모어 · 더보기 »

몬테비데오

몬테비데오()는 우루과이의 수도이자 최대의 무역항이며, 우루과이 국내에서 인구가 백만이 넘는 도시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몬테비데오 · 더보기 »

몬테네그로

몬테네그로(츠르나고라)는 유럽 남동부 발칸 반도의 아드리아 해 연안에 자리잡은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몬테네그로 · 더보기 »

몬테네그로어

몬테네그로어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몬테네그로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몬테네그로어 · 더보기 »

몰도바

몰도바 공화국()은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 사이에 자리한 동유럽의 내륙국이며, 공용어는 루마니아어(2013년까지는 몰도바어로 부름), 수도는 키시너우, 민족은 라틴계의 후손인 몰도바인이 다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몰도바 · 더보기 »

몰도바어

몰도바어(Limba moldovenească, Лимба молдовеняскэ)는 루마니아어의 다른 이름으로 몰도바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몰도바어 · 더보기 »

명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명 · 더보기 »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無聲 齒莖口蓋 摩擦音)은 치경구개에서 마찰을 일으켜 내는 무성음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무성 치경구개 마찰음 · 더보기 »

무성 후치경 파찰음

무성 후치경 파찰음(無聲 後齒莖 破擦音) 또는 무성 후치경 폐찰음(無聲 後齒莖 閉擦音)은 윗니의 잇몸 뒤쪽에 둔 뒤, 혀가 떨어진 순간에 혀와 잇몸 뒷면 사이에 있는 틈새로 숨을 쉼으로써 생기는 호흡의 마찰에 의해 조음되는 파찰음의 무성음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무성 후치경 파찰음 · 더보기 »

문화어

문화어(文化語)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표준어를 말. 《조선말대사전》(1992년)에 의하면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라고 되어있.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문화어 · 더보기 »

미국 영어

미국 영어(美國英語) 또는 합중국 영어(合衆國英語)는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영어의 방언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미국 영어 · 더보기 »

미즈라히 유대인

미즈라히 유대인 또는 미즈라힘()은 중동(서아시아·캅카스)에 기원을 가지는 유대인 집단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미즈라히 유대인 · 더보기 »

민족

민족(民族) 또는 겨레는 인종, 문화, 언어, 역사 또는 종교와 같은 전통으로서 정체성을 가지게 되는 인간 집단을 말. 민족의 일원끼리는 일반적으로 유전적으로 또는 문화적으로 유사한 것이 일반적이나, 이는 절대적이지 않. 민족의 일원들은 일반적으로 강력한 역사적 영속성을 주장.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민족 · 더보기 »

민어

민어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민어 · 더보기 »

방언

방언(方言)은 특정 집단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방언 · 더보기 »

백화문

백화(白話)는 당나라 대에 발생하여, 송, 원, 명, 청 시대를 거치면서 확립된 중국어의 구어체를 말하며, 이를 글로 표기한 것을 백화문(白話文)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백화문 · 더보기 »

발렌시아

발렌시아()는 스페인 발렌시아 주의 주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발렌시아 · 더보기 »

발렌시아어

발렌시아어(Valencià)는 발렌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카탈루냐어를 의미.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발렌시아어 · 더보기 »

바레인

바레인 왕국(바레인王國), 줄여서 바레인()은 페르시아 만에 있는 섬나라로, 입헌 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바레인 · 더보기 »

바이에른 주

바이에른 자유주()는 독일 남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뮌헨이며 면적은 70,549.44km2, 인구 12,843,514명(2015년 기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바이에른 주 · 더보기 »

베이징어

베이징어() 또는 북경어()는 중국 베이징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베이징어 · 더보기 »

벵골어

벵골어(বাংলা, "방라")는 벵골인의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벵골어 · 더보기 »

고전 아르메니아어

바르샤바 성 히아신스 성당에 있는 고전 아르메니아어 비문 고전 아르메니아어(Armenian: գրաբար, grabar)는 가장 오래된 형태의 아르메니아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고전 아르메니아어 · 더보기 »

보고타

International Center 보고타 보고타()는 콜롬비아의 수도이며, 쿤디나마르카 주의 주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보고타 · 더보기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right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남동부 유럽 발칸 반도에 있는 나라로 동쪽 및 남동쪽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북쪽과 서쪽은 크로아티아와 접. 이 나라는 거의 내륙국에 가까운데, 해안선의 길이는 21km에 불., The World Factbook, 2006-08-22 국토 내륙에서 중앙과 남부는 산지이고, 북서부는 구릉지이며, 북동쪽은 평지로 이루어져 있. 내륙 지방의 상당 부분은 여름엔 덥고 겨울엔 눈이 많이 내리는 대륙성 기후를 보인.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더보기 »

보스니아어

보스니아어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 중의.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보스니아어 · 더보기 »

보크몰

중립 보크몰(원어 Bokmål의 글자 뜻은 "책 언어")은 노르웨이어에서 뉘노르스크(란스몰)와 함께 공식 표준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보크몰 · 더보기 »

볼차노 현

알토아디제 주와 볼차노 현 볼차노 자치현()은 이탈리아 북부 트렌티노알토아디제 주(트렌티노쥐트티롤 주)에 있는 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볼차노 현 · 더보기 »

관화

300px 관화()는 중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관화 · 더보기 »

권설음

설음(捲舌音, retro-flex consonant) 또는 혀말이소리는 후치경음과 조음점이 같지만 경구개를 향하여 혀끝을 말아 올려 설첨이나 설단과, 후치경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권설음 · 더보기 »

불가리아어

불가리아어(벌가르스키)는 불가리아의 공용어이며,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불가리아어 · 더보기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Buenos Aires)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며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부에노스아이레스 · 더보기 »

기독교인

독교인(基督敎人), 기독교도(基督敎徒), 기독인(基督人) 또는 그리스도인()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성경에서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기독교인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한민국 표준어

민국 표준어(大韓民國標準語)는 대한민국에서 표준으로 쓰이는 한국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대한민국 표준어 · 더보기 »

두샨베

샨베()는 타지키스탄의 수도로 인구는 58만 2,400명(1991년 통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두샨베 · 더보기 »

노르웨이어

르웨이어(norsk)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게르만어파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노르웨이어 · 더보기 »

뉘노르스크

중립 뉘노르스크(Nynorsk, IPA:, ‘새 노르웨이어’)는 보크몰과 함께 노르웨이어의 두 공용어 중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뉘노르스크 · 더보기 »

다리어

리어()는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의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다리어 · 더보기 »

스베알란드

스베알란드 스베알란드()는 스웨덴 중부에 위치한 전통적인 지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베알란드 · 더보기 »

스페인

스페인 왕국()은 유럽 남서부 이베리아 반도에 있는 나라로, 북쪽으로는 안도라와 프랑스, 서쪽으로는 포르투갈과 마주하고 있으며, 유럽 연합 회원국 가운데 프랑스에 이어서 두 번째로 영토가 넓은.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페인 · 더보기 »

스페인어

스페인어(이디오마 에스파뇰) 또는 카스티야어(이디오마 카스테야노)는 이베리아로망스어군에 속하는 로망스어의 하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페인어 · 더보기 »

스코틀랜드 게일어

스코틀랜드 게일어는 영국의 스코틀랜드에서 쓰이는 켈트계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코틀랜드 게일어 · 더보기 »

스코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Kingdom of Scotland)은 그레이트브리튼 섬의 북쪽 1/3을 차지하고 있던 유럽의 옛 나라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코틀랜드 왕국 · 더보기 »

스위스

스위스()는 중앙유럽에 있는 연방 공화국이며, 내륙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위스 · 더보기 »

스웨덴

스웨덴 왕국(), 약칭 스웨덴()은 북유럽 스칸디나비아 반도 동반부를 차지하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스톡홀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웨덴 · 더보기 »

스웨덴어

스웨덴어()는 북게르만어군에 속한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웨덴어 · 더보기 »

스와힐리어

스와힐리어는 아프리카 동부에서 널리 쓰이는 반투어군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스와힐리어 · 더보기 »

우루과이

우루과이강 동안공화국(우루과이江東岸共和國), 약칭 우루과이는 남아메리카 남동부에 있는 공화국이.주요 도시로는 몬테비데오, 리베라 등이 있. 우루과이강의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국명이 여기서 유래되었.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우루과이 · 더보기 »

우르두어

우르두어(اُردو)는 인도의 고대 언어인 산스크리트어에 이슬람의 진출로 인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발달한 인도-셈족-아리안계의 독특한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우르두어 · 더보기 »

우크라이나어

우크라이나어는 우크라이나의 공용어이며, 러시아어와 비슷한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에 속.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우크라이나어 · 더보기 »

요르단

요르단()은 중동에 있는 입헌 군주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요르단 · 더보기 »

힌두스탄어

힌두스탄어는 서부 힌두어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힌두스탄어 · 더보기 »

힌디어

힌디어 방언의 분포 힌디어(हिन्दी)는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영어와 함께 1965년 1월 26일 이후로 인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힌디어 · 더보기 »

히브리어

히브리어(이브리트)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로 분류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히브리어 · 더보기 »

페르시아 문자

르시아 문자(الفبای فارسی)는 페르시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페르시아 문자 · 더보기 »

페르시아어

르시아어(فارسی 혹은 پارسی) 간칭 파사어(波斯語)는 이란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며, 아랍어와 마찬가지로 표기에는 아랍 문자가 사용되나, 아랍어와는 전혀 다른 언어이며, 힌디어, 싱할라어, 영어, 러시아어와 같은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페르시아어 · 더보기 »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은 그레이트브리튼 섬의 남쪽을 차지했던 옛 나라로 지금의 웨일스와 잉글랜드를 영. 왕국의 수도는 1066년 노르만 정복 이전까지는 햄프셔 주의 윈체스터였.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잉글랜드 왕국 · 더보기 »

크로아티아

아티아 공화국(), 줄여서 크로아티아()는 남동유럽에 속한 나라로 발칸 반도의 판노니아 평원의 교차점에 자리 잡고 있. 수도는 자그레브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크로아티아 · 더보기 »

크로아티아어

아티아어(Hrvatski)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크로아티아어 · 더보기 »

포르투갈어

르투갈어(português, língua portuguesa) 간칭 포어(葡語)는 현재 북부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갈리시아와 아스투리아스에 있던 중세 갈리시아 왕국의 갈리시아 포트투갈어에서 내려온 라틴어 기반 로망스어의 한 종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포르투갈어 · 더보기 »

포흐얀마

역 문장 포흐얀마의 위치 (빨간색으로 표시된 지역) 포흐얀마()는 핀란드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의 핀란드 북부와 서부에 위. 스웨덴어 이름인 외스테르보텐(Österbotten), 영어 이름인 오스트로보트니아(Ostrobothnia)라고 부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포흐얀마 · 더보기 »

이란

이란()은 서남아시아에 있는 이슬람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이란 · 더보기 »

이라크 아랍어

섬네일 이라크 아랍어는 구어체 아랍어의 하나로, 이라크에서 말해지고 있. 쿠웨이트에서 말해지고 있는 아랍어와도 매우 가깝.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이라크 아랍어 · 더보기 »

이집트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마스리)는 이집트에서 사용되는 아랍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이집트 아랍어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인도 · 더보기 »

인도네시아어

인도네시아어(자위:بهاس إندونيسيا), 통칭 인니어(印尼語)는 인도네시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인도네시아어 · 더보기 »

일본어

일본어(「にっぽんご」를 표제어로 세우고 있는 국어사전은 일본국어대사전 등 소수에 그친다.)는 주로 일본에서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일본어 · 더보기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국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중국 · 더보기 »

중국어

중국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16가지 정도의 언어변이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어(ㄏㄢˋㄩˇ), 화어(ㄏㄨㄚˊㄩˇ), 중문(ㄓㄨㄥㄨㄣˊ)이라고도 한다. 세계 사용자가 가장 많은(약 13억 명) 언어로, 전 세계 인구의 약 1/5이 사용하고 있는 언어이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중국어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중화민국 국어

국어()는 중화민국에서 표준 중국어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중화민국 국어 · 더보기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은 동아시아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중화인민공화국 · 더보기 »

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청 · 더보기 »

카불

불 구(舊)도시의 모습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카불 · 더보기 »

카나리아 제도

리아 제도()는 북아프리카의 서쪽 대서양에 있는 스페인령의 군도를 말. 7개의 주요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도의 수도는 산타크루스데테네리페와 라스팔마스 두 개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카나리아 제도 · 더보기 »

카탈루냐어

어(català)는 이베리아 반도의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 발렌시아 지방, 발레아레스 제도에서 쓰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카탈루냐어 · 더보기 »

카타르

르국(), 약칭 카타르()는 중동에 있는 입헌 군주국이며 수도는 도하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카타르 · 더보기 »

캐나다 영어

영어(Canadian English, CanE)는 캐나다에서 쓰이는 영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캐나다 영어 · 더보기 »

콥트어

콥트어와 이집트 아랍어로 쓰인 옛 카이로교회의 문구 콥트어(Met.Remenkīmi)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고대 이집트어의 직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콥트어 · 더보기 »

콜롬비아

비아 공화국(콜롬비아共和國), 줄여서 콜롬비아()는 남아메리카에 있는 공화국이며 수도는 보고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콜롬비아 · 더보기 »

코미어

미어는 코미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코미어 · 더보기 »

쿠르드어

르드어()는 중동에 있는 쿠르디스탄에서 쓰이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쿠르드어 · 더보기 »

쿠웨이트

웨이트()는 중동에 있는 군주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쿠웨이트 · 더보기 »

유럽 연합

유럽 연합(EU)은 유럽의 28개 회원국으로 이뤄진 국가 연합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유럽 연합 · 더보기 »

유대-말라얄람어

유대-말라얄람어는 유대 제어의 일종으로 인도 남부 케랄라 주에 사는 코친 유대인이 쓰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유대-말라얄람어 · 더보기 »

파슈토어

슈토어(پښتو 파슈토)는 다리어와 함께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며 아프가니스탄의 남동부와 북부 파키스탄에서 사용.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파슈토어 · 더보기 »

파키스탄

스탄()은 남아시아에 있는 국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파키스탄 · 더보기 »

팔레스타인

스타인국()은 팔레스타인 지역 중 팔레스타인 영토 지역(요르단 강 서안 지구와 가자 지구, 동예루살렘을 가리키며 제1차 중동 전쟁 이후의 국경이자 제3차 중동 전쟁 이전의 국경을 가리킴)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는 국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팔레스타인 · 더보기 »

상호 의사 소통성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상호 의사 소통성 · 더보기 »

타이완

이완 또는 대만()은 동아시아에 있는 섬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타이완 · 더보기 »

타지크어

어(Тоҷикӣ)는 페르시아어의 한 방언으로, 타지키스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타지크어 · 더보기 »

타지키스탄

스탄 공화국(), 약칭 타지키스탄()은 중앙아시아에 있는 국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타지키스탄 · 더보기 »

순환선

순환선(循環線) 또는 환상선(環状線)은 각각 교통망(도로와 철도)의 분류의 명칭으로, 도시의 도심이나 교외 혹은 다른 도시를 연결하는 교통망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순환선 · 더보기 »

영국 영어

브리튼 영어(英國英語) 또는 연합왕국 영어(聯合王國英語)는 영국과 영국의 영향력이 있던 지역에서 사용되는 영어를 지칭하는 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영국 영어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영어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오스트레일리아 영어(Australian English, AusE, AuE, AusEng, en-AU) 또는 호주 영어는 호주에서 쓰이는 영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오스트레일리아 영어 · 더보기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줄여서 오스트리아()는 847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앙유럽 알프스 산맥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오스트리아 · 더보기 »

오페라

이탈리아 밀라노의 라 스칼라 극장. 1778년에 새워진 라 스칼라 극장은 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한 오페라 극장 중 하나이다. 오페라(Opera)는 각본이 있는 음악의 한 장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오페라 · 더보기 »

예탈란드

예탈란드 예탈란드()는 스웨덴 남부에 위치한 전통적인 지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예탈란드 · 더보기 »

현대 표준 아랍어

스하(اللغة العربية الفصحى, al-luġatu l-ʿarabiyyatu l-fuṣḥā, 앗루가툴 아라비야툴 후스하, 순정 아랍어, Modern Standard Arabic)는 아랍어에 있어서의 표준 아랍어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현대 표준 아랍어 · 더보기 »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언어학 · 더보기 »

양층언어

양층언어(兩層言語) 또는 디글로시아란 한 사회에서 두개의 (보통 관련도 높은) 언어가 사용되는데 그중 하나는 상위계층(주로 지배계급 혹은 공식문건)에서 사용되고 다른 하나는 하위계층(주로 구어)에서 사용되는 상황을 말. 사회언어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양층언어 · 더보기 »

에스놀로그

에스놀로그(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는 국제 SIL (공식적으로는 하계 언어학 연구소-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로 알려져 있음)의 웹 및 인쇄 출판물로서, 주로 화자들에게 본토어로 성경을 제공할 목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은 언어들을 연구하는 기독교 언어학 봉사 단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에스놀로그 · 더보기 »

푸퉁화

퉁화()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표준 중국어를 이르는 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푸퉁화 · 더보기 »

표준 독일어

준 독일어(Standarddeutsch)는 독일어의 표준어로, 튀링겐 지방에서 말해지고 있는 동중부 방언을 기초로 한 것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표준 독일어 · 더보기 »

표준 중국어

준 중국어 혹은 현대표준한어()는 중화인민공화국, 중화민국의 단독 표준어 및 싱가포르의 네 공용어 중 하나로 사용되는 중국어를 말한다. 표준 중국어의 발음은 베이징 지방의 방언을 바탕으로 두고 있으며, 관화의 어휘를 사용한다. 다른 중국어 방언과 마찬가지로 표준 중국어는 성조를 가지고 있고, 주제 우선 언어의 특징을 띄며, 주어 - 동사 - 목적어 (SVO) 순의 어순을 취한다. 남방 방언과 비교하여 선두의 자음 수가 풍부하나 모음 및 종단 자음 수가 적다. 표준 중국어는 어형 변화가 없는 대신 접사를 통해 의미 부여를 하는 분석적 언어의 특성을 띄고 있으며, 많은 복합어를 갖는다. 표준 중국어는 중화인민공화국에서 푸퉁화('보통화')로 부르는 표준과, 중화민국에서 궈위('국어')라 부르는 표준이 존재한다. 싱가포르에서는 푸퉁화를 화위()라 지칭하며 공용어로 사용한다. 푸퉁화 및 싱가포르의 화위는 간체자로 표기를 하며 한어 병음 로마자 표기를 학습용으로 이용하나, 타이완 지역의 궈위는 정체자와 주음부호를 이용한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표준 중국어 · 더보기 »

표준어

준어(표준말, 標準語)는 어떠한 언어의 공식적인 방언을 이야.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표준어 · 더보기 »

키릴 문자

릴 문자()는 동유럽(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와 몰도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 지역, 크로아티아 일부 지역, 루마니아 일부 지역,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공화국)과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와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일부 지역(압하지야, 남오세티야), 몽골 등 슬라브권의 영향을 받은 나라에서 쓰이는 문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키릴 문자 · 더보기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 (또는)는 중동에 있는 전제군주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사우디아라비아 · 더보기 »

프랑스어

랑스어(le français 또는 la langue française)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프랑스어 · 더보기 »

세르보크로아트어

세르보크로아트어(srpskohrvatski/hrvatskosrpski/српскохрватски)는 서부 남슬라브어군의 여러 방언을 통합 정리한, 슬라브어파의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세르비아 · 더보기 »

세르비아어

right 세르비아어(스르프스키)는 세르비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세르비아어 · 더보기 »

세계어

세계어는 세계에서 제2언어로 사용하는 언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세계어 · 더보기 »

세파르디 유대인

세파라딤(단수형은 세파라디로, 영어 Sephardi Jews)은 이베리아 반도(스페인)를 기원으로 하는 유대인 그룹으로, 주로 독일계 유대인에 해당하는 아슈케나짐과 구분하기 위하여 정의.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세파르디 유대인 · 더보기 »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서울特別市)는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서울특별시 · 더보기 »

토마스주의

마스주의(도마주의, 토마스파, Thomasenes, Thomasines)는 토마스 교회(Thomasine Church)라고도 하는데, 다음 중의 하나를 의미한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토마스주의 · 더보기 »

한문

문(漢文)은 고전 문어체 중국어를 말. 한자로 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한문 · 더보기 »

알바니아어

알바니아어(Shqip)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로 알바니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알바니아어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한국어 · 더보기 »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국어의 남북 간 차이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하는 한국어의 언어적인 차이를 가리.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한국어의 남북 간 차이 · 더보기 »

한국어의 호칭 문제

국어의 호칭 문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또는 그 외의 국가나 지역에서 한국어를 호칭하는 것에 관한 문제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한국어의 호칭 문제 · 더보기 »

한자 문화권

자문화권 지도 한자 문화권의 주요 언어로 "한자 문화권" 표기. 한자 문화권(漢字文化圈)이란 표의문자중 하나인 한자와 그것으로 쓰인 한문을 받아들여 자국어에 관련된 어휘를 대량으로 차용한 동아시아 지역을 가리.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한자 문화권 · 더보기 »

안도라

안도라 공국(-公國), 줄여서 안도라()는 유럽의 카탈루냐와 프랑스 사이에 있는 공국(公國)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안도라 · 더보기 »

아랍 문자

공용 문자 아랍 문자 타자기 right 아랍 문자(al-abjadīyah al-ʻarabīyah, 알 압자디얄 아라비야)는 아랍어를 표기하는데 사용되는 문자로, 세계에서 로마자와 더불어 많이 사용되는 문자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랍 문자 · 더보기 »

아랍어

아랍어(اللغة العربية, 유엔 지명 표준화 회의 식 표기: al-lughatu l-ʻarabīyah, 알루가툴 아라비야, العَرَبِيَّة, al-ʻarabiyyah, 알아라비야, عَرَبِيّ ʻarabī, 아라비)는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주로 서아시아 및 북아프리카의 아랍권에서 사용된다. 표기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며 굴절어에 속한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랍어 · 더보기 »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연합국()은 아랍에미리트 연방, 아랍 토후국 연합이라고도 부르며, 약칭은 UAE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랍에미리트 · 더보기 »

아람어

아람어(아라마야 / 아라미트)는 한때 시리아 지방,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전 500년경부터 기원후 600년 무렵까지 고대 오리엔트 지방의 국제어로 사용되었으며,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셈어파의 북서셈어군에 속하는 언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람어 · 더보기 »

아르메니아어

아르메니아어 문헌 아르메니아어(հայերեն)는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인 동시에 아르메니아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르메니아어 · 더보기 »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공화국(-共和國) 줄여서 아르헨티나()는 남아메리카 대륙 남부에 자리 잡고 있으며, 23개의 주와 자치시 1개로 구성된 연방 공화국이.주요 도시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코르도바, 바이아블랑카, 마르델플라타 등이 있. 동쪽의 대서양과 서쪽의 안데스 산맥 사이에 2,766,890 km²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남아메리카에서 브라질에 이어 두 번째로 넓으며, 세계에서 여덟 번째로 큰 나라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르헨티나 · 더보기 »

아메리카

18 세기의 아메리카 지도 CIA의 아메리카 지도 아메리카(음역어: 미주(美洲))는 북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를 함께 부르는 이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메리카 · 더보기 »

아슈케나지 유대인

아슈케나짐()은 유럽에 거주하던 유대인 그룹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슈케나지 유대인 · 더보기 »

아이슬란드어

아이슬란드어(íslenska)는 아이슬란드의 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이슬란드어 · 더보기 »

아일랜드어

아일랜드어 문자는 켈트어 알파벳을 사용한다. 아일랜드어(Gaeilge)는 인도유럽어족 켈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일랜드의 제1공용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일랜드어 · 더보기 »

아카디

아카디아의 깃발 아카디아(Acadia) 또는 아카디()는 북아메리카 북동부의 옛 프랑스 식민지를 부르던 이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카디 · 더보기 »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줄여서 아프가니스탄(), 아프간은 남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걸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아프가니스탄 · 더보기 »

핀란드

()는 북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핀란드 · 더보기 »

테헤란

헤란()은 이란의 수도로 테헤란 주의 인구 1105만명의 중심지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테헤란 · 더보기 »

싱가포르

싱가포르 공화국(줄여서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말레이 반도의 끝에 위치한 섬나라이자 항구 도시로 이루어진 도시 국가이다. 북쪽의 조호르 해협과 남쪽의 싱가포르 해협을 두고 각각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와 약간 분리되어 있다. 1819년 영국의 동인도 회사가 현 싱가포르 남부에 개발한 항구가 시초이다. 1963년에 말레이시아 연방의 일원으로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으며, 1965년에 말레이시아 연방 정부와의 다툼 끝에 결국 연방을 탈퇴하여 독립 국가가 되었다. 독립 당시 인구는 160만명이었으나, 꾸준히 늘어 2010년에는 520만명에 이르렀다. 20세기 후반에 초고속 경제 성장을 이룬 나라 중 하나로, 싱가포르 항구는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구 중 하나이며, 정유시설과 금융산업은 세계에서 각각 3, 4번째로 크다. 2010년 싱가포르의 경제 성장률은 15%로 아시아에서 가장 높았다. 같은 해, 싱가포르 넓이의 500배에 달하는 옛 종주국인 말레이시아를 총 경제 규모로도 추월하였다. 2011년 기준으로 1인당 명목 국민소득은 5만달러, PPP 환산 국민소득은 6만달러에 달하며, 1인당 외환보유고는 세계 최정상권이다. 싱가포르의 면적은 692.7km2로 한국의 서울보다 조금 더 넓고, 인구는 서울의 절반 정도인 567만명(2015년 말 기준)이다. 인간개발지수는 전 세계에서 11위, 아시아에서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싱가포르 · 더보기 »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약칭 시리아()는 중동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시리아 · 더보기 »

시리아어

시리아어는 시리아, 레바논, 터키, 이라크를 중심으로 한 중동의 기독교도에 의해서 사용된 고전어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시리아어 · 더보기 »

퀘벡 주

벡 주()는 캐나다 동부에 있는 주로 프랑스계 주민들이 많이 거주.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퀘벡 주 · 더보기 »

외래어

외래어(外來語)란 고유어가 아닌 외국에서 들여와 자국어(自國語)처럼 사용하는 말을 일컫.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외래어 · 더보기 »

왈라키아

색으로 표시된 지역이 왈리키아 왈라키아(Walachia)는 루마니아 남부의 평원에 있는 지역으로서 대륙성, 지중해성 기후의 비옥한 농업 지대이고 임업 · 목축업이 발. 면적은 약 765,99km2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왈라키아 · 더보기 »

왈롱어

왈롱어()는 로망스어군의 언어로 벨기에의 일부에서 제2언어로 사용.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왈롱어 · 더보기 »

1898년

1898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1898년 · 더보기 »

1949년

1949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새로운!!: 다중심언어와 1949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