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닿소리와 후음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닿소리와 후음의 차이

닿소리 vs. 후음

닿소리(자음(子音), Consonant)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 후음(喉音) 또는 목구멍소리(목소리)는 목구멍에서 나오는 소리의 뜻으로 두자음들을 분류하였던 전통적 음운학에서 쓰인 말이.

닿소리와 후음의 유사점

닿소리와 후음는 공통적으로 17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 , 된소리와 예사소리, 마찰음, 무기음, 무성음, 반모음, 경구개음, 비강음, 유기음, 유음, 유성음, 파찰음, 파열음, 연구개음, 성문음, 홀소리.

(히읗)은 한글 낱자의 열넷째 글자이.

ㅎ와 닿소리 · ㅎ와 후음 · 더보기 »

(이응)은 한글 닿소리 중 여덟 번째 글자이.

ㅇ와 닿소리 · ㅇ와 후음 · 더보기 »

된소리와 예사소리

소리(경음, 硬音, fortis)와 예사소리(例事--, 연음, 軟音, lenis)는 음운의 구분되는 자질의 하나이.

닿소리와 된소리와 예사소리 · 된소리와 예사소리와 후음 · 더보기 »

마찰음

마찰음(摩擦音, Fricat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공기가 좁은 틈을 통과되면서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이.

닿소리와 마찰음 · 마찰음와 후음 · 더보기 »

무기음

무기음(無氣音)은 언어음을 발음할 때 수반한 공기가 거세게 나지 않는 닿소리이.

닿소리와 무기음 · 무기음와 후음 · 더보기 »

무성음

무성음(無聲音,, voiceless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지 않거나 유성음보다 덜 울리는 소리이며 안울림소리.

닿소리와 무성음 · 무성음와 후음 · 더보기 »

반모음

반모음(半母音,; semiconsonant)은 /이, 우, 으/같은 모음의 음가를 가지고 있지만 위턱 조음점과 아랫턱 조음체 사이에 만드는 틈이 좁고 지속 시간도 짧아서 자음의 자리에만 나오는 소리.

닿소리와 반모음 · 반모음와 후음 · 더보기 »

경구개음

경구개음(硬口蓋音) 또는 센입천장소리는 전설과 경구개 사이에서 조음해서 내는 자음이.

경구개음와 닿소리 · 경구개음와 후음 · 더보기 »

비강음

비강음 또는 비음()은 구강 안에서 폐쇄를 만들어 폐로부터 온 공기를 막았다가 연구개를 낮추어 공기의 일부를 코로 내보내면서 내는 소리를 말. 조음적인 측면에선 폐쇄음이기도 한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

닿소리와 비강음 · 비강음와 후음 · 더보기 »

유기음

유기음(有氣音)은 폐쇄음을 낼 때 거센 바람을 터트리며 내는 소리이.

닿소리와 유기음 · 유기음와 후음 · 더보기 »

유음

유음(流音,liquid)은 조음할 때 공기의 흐름을 적게 막아서 내는 닿소리이.

닿소리와 유음 · 유음와 후음 · 더보기 »

유성음

유성음(有聲音,, voiced consonant)은 조음할 때 성대(목청)의 울림을 수반하는 소리.

닿소리와 유성음 · 유성음와 후음 · 더보기 »

파찰음

음(破擦音, Affricat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폐쇄를 형성해서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완전히 파열하지 않고 조금씩 개방해서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내는 소리.

닿소리와 파찰음 · 파찰음와 후음 · 더보기 »

파열음

열음(破裂音, plosive)은 닿소리를 발음할 때 허파로부터 성대를 통해 나오던 공기가 완전한 폐쇄를 당했다 터져 나오면서 나는 소리이.

닿소리와 파열음 · 파열음와 후음 · 더보기 »

연구개음

연구개음(軟口蓋音) 또는 여린입천장소리는 후설과 연구개 사이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닿소리와 연구개음 · 연구개음와 후음 · 더보기 »

성문음

성문음(聲門音) 또는 울대문소리는 성문에서 조음하는 자음이.

닿소리와 성문음 · 성문음와 후음 · 더보기 »

홀소리

홀소리(모음(母音), Vowel)는 음성학에서 자음과 차별되는 음운이.

닿소리와 홀소리 · 홀소리와 후음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닿소리와 후음의 비교.

닿소리에는 78 개의 관계가 있고 후음에는 30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7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5.74%입니다 = 17 / (78 + 30).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닿소리와 후음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