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마젤란운

색인 대마젤란운

마젤란운(LMC)은 근처의 은하로, 우리은하의 위성은하이.

78 처지: ESA, ESO, 레드클럼프, 마젤란 은하, 막대나선은하, 메시에 106, 미국, 미국 항공우주국, 거성, 겉보기등급, 고질량 엑스선 쌍성, 보름달, 공전, 광도, 광년, 불규칙은하,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금속함량, 구상성단, 국부은하군, 나선은하, 스펙트럼, 우리은하, 우리은하의 위성 은하 목록, 우주 거리 사다리, 페르디난드 마젤란, 페르시아, 큰개자리 왜소은하, 은하, 은하 좌표계, 은하면, 적경, 적위,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 적외선, 전자볼트, 조석, 존스턴 환초, 주요 은하 목록, 중력, 질소, 지구,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천문학자, 초 (시간), 초거성, 초대형 망원경, 초신성 1987A, 초신성잔해, ..., 쌍성, 유럽 남방 천문대, 파섹, 위성은하, 태양질량, 타란툴라성운, 수소선,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행성상성운, 에르그, 허블 우주망원경, 허블순차, 엑스선, 킬로미터, 산개성단, 삼각형자리 은하, 석탄자루 성운, 성단, 세페이드 변광성, 토르 미사일, 소마젤란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 아메리고 베스푸치,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 테이블산자리, 황새치자리, 왜소나선은하, 와트.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8 더) »

ESA

ESA는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ESA · 더보기 »

ESO

ESO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ESO · 더보기 »

레드클럼프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는 항성이 초기 질량에 따라 어떤 운명을 맞을지를 보여준다. 레드클럼프(Red clump)는 별의 헤르츠스프룽-러셀 도표 특징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레드클럼프 · 더보기 »

마젤란 은하

마젤란 은하는 우리 은하 주위에 있는 불규칙 왜소 은하로, 국부은하군에 속. 마젤란 성운이라고 불리.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마젤란 은하 · 더보기 »

막대나선은하

의 정면으로 보이는 막대나선은하 NGC 1300,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하였다. 막대나선 폭발적 항성생성 은하인 화로자리 은하 (2MASS) 막대나선은하()는 중심에 별들로 구성된 막대모양의 구조를 가진 나선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막대나선은하 · 더보기 »

메시에 106

NASA/CXC/메릴랜드 대학에서 각각 촬영한 M106. 적외선, X선, 전파, 가시 광선의 색은 다음과 같다(X선 - 파랑, 빛 - 금색, IR(적외선) - 빨강, 전파 - 자주) M 106 은하와 NGC 4217, NGC 4248의 모습. 메이저 은하()는 사냥개자리에 있는 나선 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메시에 106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미국 · 더보기 »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의 기 미국 항공우주국(美國航空宇宙局)은 미국의 국가 기관으로서 우주 계획 및 장기적인 일반 항공 연구 등을 실행하고 있. 1958년 소비에트 연방의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스푸트니크 충격을 받은 미국은 1958년 7월 29일 NASA를 발족시.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미국 항공우주국 · 더보기 »

거성

성(巨星)은 동일한 표면온도의 주계열성(또는 왜성)보다 반지름 및 광도가 상당히 큰 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거성 · 더보기 »

겉보기등급

소행성 Cybele와 (절대등급 11.6)과 HD 217121 (절대등급 8.7)과 HD 216932 (절대등급 9.1)의 절대등급을 비교했다.두 항성은 50mm이상의 쌍안경으로 보인다. 이 사진 오른쪽 위 HD216932 주위에 은하 PGC 194570과 PGC 101645가 보인다. 겉보기등급 또는 실시등급(實視等級), 안시등급(眼視等級)은 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겉보기등급 · 더보기 »

고질량 엑스선 쌍성

량 엑스선 쌍성(high-mass X-ray binary, HMXB)은 항성계 구성원 중 한 쪽이 중성자별이거나 블랙홀인 경우에 해당되는 쌍성계를 말. 다른 쪽 별은 보통 비이형 별이거나 청색 초거성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고질량 엑스선 쌍성 · 더보기 »

보름달

abbr.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보름달 · 더보기 »

공전

공전(公轉)은 한 천체가 다른 천체 주위를 원이나 타원 궤도를 따라 도는 것을 말. 천문학에서 일컫는 공전은 은하 내의 항성들이 은하 중심에 대하여 도는 것도 공전이라고 부른.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공전 · 더보기 »

광도

광도는 인간이 전자기파를 시각으로 인식하는 감도인 시감도에 기초하여, 광원의 밝기를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광도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광년 · 더보기 »

불규칙은하

불규칙 은하의 예 중 하나인 NGC 1427A이다. 약 5,200만 광년 떨어져있다. 불규칙은하(不規則銀河)는 나선은하나 타원은하와 달리 뚜렷한 특정 모양을 가지지 않는 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불규칙은하 · 더보기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지금까지도 발행되는 것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영어로 쓰인 백과사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더보기 »

금속함량

M80. 구상성단에 있는 별들은 대부분 금속함량이 적은, 항성종족 II이다. 금속함량(金屬含量) 또는 금속함량비(金屬含量比), 금속함유량(金屬含有量), 중원소함량(重元素含量)은 천문학과 우주론에서, 한 천체를 구성하는 수소와 헬륨을 제외한 화학 원소로 만들어진 물질의 비율을 뜻. 이 용어는 보통 화학에서 사용하는 금속과는 다른 의미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금속함량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구상성단 · 더보기 »

국부은하군

국부은하군의 3차원 지도 국부은하군(局部銀河群)은 우리 은하가 포함된 은하군으로, 안드로메다 은하를 포함한 크고 작은 40개 이상의 은하로 이루어져 있. 지름 5백만 광년으로, 우리 은하 뿐만 아니라 안드로메다 은하도 속해있.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국부은하군 · 더보기 »

나선은하

선은하 중 하나인 바람개비 은하(메시에 101 또는 NGC 5457) 허블 우주 망원경이 촬영한 나선 은하 NGC 4414 나선은하(螺旋銀河) 는 1936년에 발표된 에드윈 허블의 저서, 성운의 왕국(The Realm of the Nebulae)에서 처음으로 기술되어 허블 순차의 일부를 구성하는 특정 은하의 유형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나선은하 · 더보기 »

스펙트럼

무지개에서 발생하는 스펙트럼 현상. 스펙트럼(spectrum)은 흔히 빛을 프리즘 등의 도구로 색깔에 따라 분해해서 살펴보는 것을 일컫.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스펙트럼 · 더보기 »

우리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 모습. 우리은하(―銀河) 는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우리은하 · 더보기 »

우리은하의 위성 은하 목록

은하수 준은하군()의 일부로서, 우리 은하는 우리 은하의 중력으로 속박된 몇 개의 작은 은하들을 가지고 있. 이 준은하군은 국부 은하군의 일부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우리은하의 위성 은하 목록 · 더보기 »

우주 거리 사다리

우주 거리 사다리(cosmic distance ladder), 또는 표준촉광(標準燭光, standard candle)은 천체와 지구와의 거리를 재는 방법들을 일컫는 용어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우주 거리 사다리 · 더보기 »

페르디난드 마젤란

르낭 드 마갈량이스(1480년 봄 ~ 1521년 4월 27일)는 포르투갈 출신의 항해가, 탐험가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페르디난드 마젤란 · 더보기 »

페르시아

르시아()는 다음을 의미.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페르시아 · 더보기 »

큰개자리 왜소은하

자리 왜소 은하(Canis Major Dwarf Galaxy)는 큰개자리에 있는 불규칙 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큰개자리 왜소은하 · 더보기 »

은하

머리털자리의 나선 은하 NGC 4414 은하(銀河)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은하 · 더보기 »

은하 좌표계

thumb thumb 은하 좌표계(銀河座標系) 는 은하적도를 제일기준원으로 하며 은경과 은위의 두 요소로 목표 천체의 좌표를 표시하는 좌표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은하 좌표계 · 더보기 »

은하면

NGC 4452 은하는 지구에서 바라보았을 때, 중심의 은하핵을 볼 수 있다. 나선은하 NGC 891은 은하면에 많은 먼지가 있다. 은하면(銀河面)은 원반 모양으로 은하 질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평면을 말. 불규칙 은하에서는 뚜렷한 은하면이 없을 수 있. 분류:우리은하.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은하면 · 더보기 »

적경

적경(赤經)은 천문학 용어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적경 · 더보기 »

적위

적도 좌표계. 파란색은 적경을 나타내고, 녹색이 적위를 나타낸다. 적위(赤緯)는 천문학 용어의 하나로, 적도 좌표계에서 천구상의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두 개의 좌표 중의 하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적위 · 더보기 »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TRGB)는 천문학에서 주로 이용되는 거리지표로, 어떤 은하에서 가장 밝은 적색거성가지 별의 광도를 통해 그 은하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표준촉광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적색거성가지의 첨단부 · 더보기 »

적외선

적외선(赤外線, infrared) 또는 넘빨강살은 전자기파중의 하나로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고 전자레인지에 사용하는 마이크로파보다는 파장이 짧. 일상적으로 어둠 속에서 열을 내는 물체를 가까이 하면 피부로 온도를 느낄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적외선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적외선 · 더보기 »

전자볼트

전자볼트(기호 eV)는 에너지의 단위로, 전자 하나가 1 볼트의 전위를 거슬러 올라갈 때 드는 일로 정의.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전자볼트 · 더보기 »

조석

조석(潮汐)은 지구의 바다가 태양과 달이 지구에 미치는 기조력에 의해 오르내리는 현상을 말. 조석 현상에 의해 바다의 깊이가 바뀌며, 조류라 불리는 바닷물의 흐름을 만들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조석 · 더보기 »

존스턴 환초

비공식 깃발 존스턴 환초(Johnston Atoll)는 태평양에 있는 환초로, 미국령의 해외 영토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존스턴 환초 · 더보기 »

주요 은하 목록

PGC 2555 (메시에 32) newspaper.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주요 은하 목록 · 더보기 »

중력

중력(重力)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중력 · 더보기 »

질소

소(窒素←)는 비금속 화학 원소로, 기호는 N(←)이고 원자 번호는 7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질소 · 더보기 »

지구

(地球, Earth)는 태양으로 부터 세번째 행성이며, 엷은 대기층으로 둘러싸여 있고, 지구형 행성 중에서 가장.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지구 · 더보기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엑스선 관측선은 1999년 7월 23일 미국 항공우주국이 STS-93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더보기 »

(鐵) 또는 쇠는 화학 원소로 기호는 Fe(←)이고 원자 번호는 26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철 · 더보기 »

천문학자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 천문학자(天文學者)는 행성, 항성, 은하 등 천체및 여러 천문현상들을 연구하는 과학자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천문학자 · 더보기 »

초 (시간)

략 1초에 한 번 깜빡이는 불빛의 모습. 초(秒, 기호 s)는 시간의 단위로, 국제단위계의 기본단위 중 하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초 (시간) · 더보기 »

초거성

성(超巨星)은 매우 무겁고 밝은 별 중 하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초거성 · 더보기 »

초대형 망원경

형 망원경(extremely large telescope, ELT)은 자외선, 가시성 근적외선 파장을 포함하는 광 파장의 반사망원경을 논할 때 20미터에서 최대 100미터에 이르는 주경을 위한 조리개가 있는 망원경 기능을 갖춘 천문대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초대형 망원경 · 더보기 »

초신성 1987A

신성 폭발이 있기 2만 년 전 본체에서 방출된 고리 형태의 물질들이, 확장 중인 초신성 잔해와 충돌하는 장면. 허블 우주 망원경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촬영한 사진. 초신성 1987A(SN 1987A)는 대마젤란 성운의 독거미 성운 근처에 존재했던 초신성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초신성 1987A · 더보기 »

초신성잔해

SN 1054 잔해 (게성운). 초신성잔해(超新星殘骸, Supernova remnant; SNR)는 초신성 폭발로 인해 형성된 별의 잔해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초신성잔해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쌍성 · 더보기 »

유럽 남방 천문대

유럽 남방 천문대(European Southern Observatory in the Southern Hemisphere, ESO)는 국제 천문학 연구 기관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유럽 남방 천문대 · 더보기 »

파섹

섹(parsec)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파섹 · 더보기 »

위성은하

M110 우리 은하의 가장 큰 위성은하이자, 국부 은하군에서 네 번째로 큰 대마젤란 은하 위성은하(Satellite galaxy)는 중력적 상호작용에 의해 거대한 은하를 공전하는 은. 비록 은하는 서로 연관되지 않은 (별, 행성, 성운 같은)많은 수의 천체들로 구성되어있지만, 구성 천체들의 위치의 (질량에 의한)균등한 무게중심에 해당되는 은하의 질량중심이 있. 이는 모든 물체들이 모든 구성 원자들의 균등한 무게중심에 해당되는 위치에 질량중심을 갖고 있는 것과 같. 공전하는 은하의 쌍 중 한 쪽 은하가 유별나게 큰 경우에 큰 쪽이 주인은하가 되고, 작은 쪽은 위성은.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위성은하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태양질량 · 더보기 »

타란툴라성운

성운(Tarantula Nebula)또는 황새치자리 30(30 Doradus), NGC 2070은 대마젤란 은하(LMC)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타란툴라성운 · 더보기 »

수소선

수소선(hydrogen line), 21 센티미터 선(21 centimeter line), 중성수소선(HI line)은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인 수소 원자의 에너지 상태가 초미세구조사이에서 변하면서 만들어지는 전자기 복사 스펙트럼선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수소선 · 더보기 »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학교(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또는 호주국립대학교, 약칭 ANU는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캔버라에 위치해 있는 국립 대학교로서 1946년 8월 1일 오스트레일리아 의회의 입법으로 설립되었.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 · 더보기 »

행성상성운

고양이 눈 성운의 엑스선 및 가시광선 합성 사진.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PN; 복수형 PNe)은 발광성운의 일종으로, 늙은 적색거성의 외피층이 팽창하여 형성된 전리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Frankowski & Soker 2009, pp.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행성상성운 · 더보기 »

에르그

에르그는 CGS 단위계에서 쓰이는 에너지와 일의 단위로서, "erg"라고 쓴. 이 단위의 명칭은 일을 뜻하는 그리스어 ergon에서 유. 1 에르그는 1 센티미터 길이에 1 다인의 힘이 해낸 일의 양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에르그 · 더보기 »

허블 우주망원경

블우주망원경(Hubble space telescope; HST)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쏘아 올려 지구 대기권 밖에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천문 관측용 망원경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허블 우주망원경 · 더보기 »

허블순차

블순차()는 1936년에 에드윈 허블이 제창한 은하에 관한 형태분류 체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허블순차 · 더보기 »

엑스선

이 찍은 그의 부인 손의 엑스선 사진 (반지 포함) 엑스선(-線)는 파장이 10 ~ 0.01 나노미터이며, 주파수는 30 × 1015헤르츠에서 30 × 1018헤르츠 사이인 전자.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엑스선 · 더보기 »

킬로미터

베이징 동부에 위치한 중국의 베이징 고속도로의 간판. 주요 문구는 중국어로 되어 있으나, 거리 개념은 국제 표준 문자 킬로미터를 사용한다. 킬로미터(간단히 km)는 미터법에서 길이의 단위로, 일 천(1,000) 미터와 같.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킬로미터 · 더보기 »

산개성단

쌍둥이 성단 산개성단(散開星團, open cluster)은 같은 분자구름에서 태어났으며 나이가 거의 같은 수천개의 항성이 모인 집단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산개성단 · 더보기 »

삼각형자리 은하

삼각형자리 은하()는 지구에서 300만 광년 가량 떨어져 있는 삼각형자리에 위치한 나선 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삼각형자리 은하 · 더보기 »

석탄자루 성운

석탄자루 성운(Coalsack Dark Nebula)은 하늘의 암흑 성운 중 가장 뚜렷한 성운으로, 간단하게 석탄자루(Coalsack).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석탄자루 성운 · 더보기 »

성단

큰부리새자리 47 구상성단의 모습. 남아프리카 대형 망원경(SALT)로 촬영함. 성단(星團, star cluster)은 중력으로 뭉쳐 있는 별들의 무리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성단 · 더보기 »

세페이드 변광성

고물자리 RS 세페이드 변광성은 변광성의 특정 유형으로서 이들의 변광 주기와 절대광도 사이의 정확한 관계성으로 유명.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세페이드 변광성 · 더보기 »

토르 미사일

르 미사일은 러시아 육군의 이동식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토르 미사일 · 더보기 »

소마젤란 은하

소마젤란 은하(NGC 292)는 우리 은하 주위를 도는 왜소 은하이다. 우리 은하와 함께 국부은하군에 속하며, 대마젤란 은하와 가까이 있다. 1억 개의 별이 있다. 약자로 SMC()라 부르기도 한다. 남천인 큰부리새자리에 있으며, 겉보기 밝기는 2.7 등급으로 맨 눈으로 볼 수 있다. 이 은하는 우리로부터 20만 광년 떨어져 있다. 일부 학자들은 소마젤란 은하가 한때 막대나선 은하였으나, 우리 은하의 조석력으로 다소 불규칙하게 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은하는 아직 중심에 막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소마젤란 은하 · 더보기 »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_는 지구로부터 약 780 킬로파섹(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이다. 이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major galaxy)이며, 메시에 31(M31) 또는 NGC 224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옛 문헌에서는 종종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Andromeda大星雲)으로 표현되었다. 은하의 명칭은 은하가 보이는 별자리, 즉 안드로메다자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여기서 안드로메다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안드로메다 공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별자리이다. 폭이 대략 22만 광년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 및 삼각형자리 은하와 대략 44개의 작은 은하들을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초기의 탐사들은 우리은하가 더 많은 암흑물질을 포함하며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클 것이라고 시사하였지만, 2006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관측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2,000~4,000억 개의 별들을 포함할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은하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의 질량이 8.5 × 1011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은 1.5 × 101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2006년의 연구가 우리은하의 질량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의 ~80%임을 제시하였지만, 2009년의 연구에서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이 거의 같음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37억 5천만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 서로 병합하여 거대타원은하 또는 거대 원반은하를 형성할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겉보기 등급은 3.4등급으로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밝다. 때문에 광공해가 적은 지역에서 달이 없는 밤에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큰 망원경을 통해 촬영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시직경)이 보름달보다 여섯배나 크기 때문에 표면밝기 문제로 인해 오로지 밝은 중심 영역만이 맨눈이나 쌍안경,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보인다. 그래서 은하는 실제로 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보인다.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안드로메다 은하 · 더보기 »

아메리고 베스푸치

아메리고 베스푸치(Amerigo Vespucci, 1454년 3월 9일 ~ 1512년 2월 22일)는 이탈리아의 탐험가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아메리고 베스푸치 · 더보기 »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903년 12월 7일 ~ 986년 5월 25일)는 페르시아계 무슬림 천문학자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압드 알라흐만 알수피 · 더보기 »

테이블산자리

이블산자리(Mensa)는 남쪽 하늘에 있는 별자리로, 1751년 ~ 1753년에 라카유(Nicolas Louis de Lacaille)에 의해 도입되었.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테이블산자리 · 더보기 »

황새치자리

황새치자리(Dorado)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황새치자리 · 더보기 »

왜소나선은하

왜소 나선 은하 NGC 5474이다. 왜소나선은하()는 왜소한 나선은하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왜소나선은하 · 더보기 »

와트

1 와트(기호 W)는 1 초 동안의 1 줄(N·m)에 해당하는 일률의 SI 단위이.

새로운!!: 대마젤란운와 와트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마젤란 은하, 대마젤란 성운, 대마젤란은하.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