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대튀르크 전쟁

색인 대튀르크 전쟁

르크 전쟁(Great Turkish War)은 17세기 중반 기간 신성 동맹으로 뭉친 유럽의 세력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일련의 분쟁을 말.

50 처지: 러시아, 러시아 차르국, 러시아-튀르크 전쟁,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메흐메트 4세, 모레아, 무라드 기라이, 무스타파 2세, 미하우 코리부트 비시니오비에츠키, 바르샤바, 베네치아 공화국, 보흐단 흐멜니츠키, 그리스, , 빈 전투, 교황 인노첸시오 11세, 달마티아, 스페인 제국, 슬라보니아, 우크라이나, 트란실바니아, 펠로폰네소스반도,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가), 크림 칸국, 포돌리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폴란드-오스만 전쟁, 젠타 전투, 조공, 카라 무스타파 파샤, 카를로비츠 조약, 유럽, 파사로비츠 조약, 오스만 제국,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오스트리아, 얀 3세 소비에스키, 헝가리,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헤트만, 표트르 1세, 세르비아, 합스부르크 군주국, 아우구스트 2세, 아조프, 쉴레이만 2세, 신성 동맹 (1684년), 신성 로마 제국, 외젠 드 사부아 공자.

러시아

시아 연방() 또는 러시아()는 동유럽과 북아시아에 걸쳐 있는 연방제 국가로, 세계에서 가장 영토가 넓은 국가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러시아 · 더보기 »

러시아 차르국

시아 차르국() 또는 모스크바 차르국은 1547년 이반 4세가 차르의 칭호를 사용한 이후 1721년 표트르 대제가 러시아 제국의 건국을 선언할 때까지 사용된 러시아의 공식 국가 칭호.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러시아 차르국 · 더보기 »

러시아-튀르크 전쟁

시아-튀르크 전쟁(Russo-Turkish War)은 러시아 제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서 벌어진 군사 충돌을 말.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러시아-튀르크 전쟁 · 더보기 »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200px 레오폴트 1세(Leopold Ignaz Joseph Balthasar Felician,, 1640년 6월 9일 ~ 1705년 5월 5일)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보헤미아의 국왕, 헝가리의 국왕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레오폴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 더보기 »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막시밀리안 2세(Maximilian II, 1662년 7월 11일 뮌헨 – 1726년 2월 26일 뮌헨)는 대개 막스 에마누엘(Max Emanuel) 혹은 막시밀리안 에마누엘(Maximilian Emanuel)로 알려져 있다. 그는 바이에른의 비텔스바흐 가의 지배자로서 신성로마제국의 선제후(Kurfürst)이다. 또한 스페인령 네덜란드의 마지막 총독이자 룩셈부르크 공작이었다. 유능한 군인이었지만, 그의 야망은 그를 전쟁에 끌어들였고, 한계에 이르렀으나 결국 최종적으로 열망하던 왕가의 꿈을 이루었다. 그는 뮌헨의 바이에른 선제후 페르디난트 마리아와 사보이의 헨리에테 아델하이트(Enrichetta Adelaide di Savoia, 1676년 죽음)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외가의 조부모는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Victor Amadeus I of Savoy)와 프랑스의 마리아 크리스티나였다.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프랑스의 앙리 4세와 2번째 부인인 마리 드 메디시스의 둘째딸이었다.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 · 더보기 »

메흐메트 4세

메흐메트 4세(1642년 1월 2일~1693년 1월 6일)는 오스만 제국의 제19대 술탄 이었.(재위 1648년 8월 8일 ~ 1687년 11월 8일).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메흐메트 4세 · 더보기 »

모레아

중세 펠레폰네소스 반도 및 공국들을 보여주는 지도 모레아(그리스어: Μωρέας 또는 Μωριάς, 알바니아어: More, 프랑스어: Morée, 이탈리아어: Morea)는 중세 시대와 근대 초에 그리스 남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일컫던 명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모레아 · 더보기 »

무라드 기라이

무라드 기라이 또는 무라드 칸 기라이()는 1627년 ~ 1696년 사이 동안 통치했던 크림 칸국의 칸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무라드 기라이 · 더보기 »

무스타파 2세

22대 오스만 술탄 무스타파 2세. 무스타파 2세(1664년 2월 6일 ~ 1703년 12월 29/30일)는 1695년부터 1703년까지 재위한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무스타파 2세 · 더보기 »

미하우 코리부트 비시니오비에츠키

미하우 코리부트 비시니오비에츠키(1640년 7월 31일 ~ 1673년 11월 10일)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국왕(재위: 1669년 6월 19일 ~ 1673년 11월 10일)으로 폴란드의 국왕이자 리투아니아의 대공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미하우 코리부트 비시니오비에츠키 · 더보기 »

바르샤바

바르샤바()는 폴란드의 수도이자 폴란드 최대 도시이고, 마조프셰 주의 대표 도시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바르샤바 · 더보기 »

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은 이탈리아 북부의 도시 베네치아에 있던 도시국가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베네치아 공화국 · 더보기 »

보흐단 흐멜니츠키

보흐단 흐멜니츠키 보흐단 흐멜니츠키(1595년경 ~ 1657년 8월 6일)는 우크라이나의 카자크 지도자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보흐단 흐멜니츠키 · 더보기 »

그리스

리스()는 남유럽 발칸 반도 남쪽 끝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그리스 · 더보기 »

빈()은 도나우 강변에 있는 오스트리아의 수도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빈 · 더보기 »

빈 전투

빈 전투는 1683년 9월 11일과 9월 12일에 빈에서 발발.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빈 전투 · 더보기 »

교황 인노첸시오 11세

황 인노첸시오 11세(라틴어: Beatus Innocentius XI, 이탈리아어: Beato Papa Innocenzo XI)는 제240대 교황(재위: 1676년 9월 21일 - 1689년 8월 11일/12일)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교황 인노첸시오 11세 · 더보기 »

달마티아

아티아의 지도; 강조된 부분이 달마티아 로마 제국 시절의 달마티아 달마티아()는 아드리아 해 동부 연안에 면한 크로아티아의 지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달마티아 · 더보기 »

스페인 제국

스페인 제국()은 스페인이 한때 전 세계적 패권을 이룩했던 역사상의 제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스페인 제국 · 더보기 »

슬라보니아

아티아 지도에 표시된 슬라보니아의 위치 슬라보니아()는 크로아티아 동부에 있는 역사적 지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슬라보니아 · 더보기 »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는 동유럽의 국가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우크라이나 · 더보기 »

트란실바니아

마니아 지도에서 노란색 칠한 부분이 트란실바니아이다 right 트란실바니아()는 루마니아의 중서부 지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트란실바니아 · 더보기 »

펠로폰네소스반도

소스 반도 지도 위성 사진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중세에는 모레아 반도(그리스어: Μωρέας 또는 Μωριάς, 알바니아어: More, 프랑스어: Morée, 이탈리아어: Morea, 터키어: Mora)라고 불. 펠로폰네소스 반도는 그리스 남부의 반도로 면적은 21,549 km^2이며, 동서.남북에 길이는 다같이 250 km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펠로폰네소스반도 · 더보기 »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가)

아티아 왕국() 또는 합스부르크 크로아티아는 1527년부터 1868년까지 크로아티아에 존재했던 행정 지역으로, 합스부르크 군주국 (1804년부터 오스트리아 제국)의 영토였.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크로아티아 왕국 (합스부르크가) · 더보기 »

크림 칸국

림 칸국()은 우크라이나의 크림 반도에 형성된 킵차크 칸국에서 독립한 칸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크림 칸국 · 더보기 »

포돌리아

리아()는 동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의 우크라이나 중서부와 남서부, 몰도바 북동부에 위. 동유럽 평원에 위치하며 남부흐 강, 드니스테르 강과 접. 빈니차 주, 흐멜니츠키 주, 테르노필 주 남부, 트란스니스트리아를.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포돌리아 · 더보기 »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와 스웨덴의 왕 지기문트 3세의 결혼식 행렬에서 폴란드 왕관 대기수(Grand Standard Bearer of the Polish Crown (Chorąży Wielki Koronny)인 스타니스와프 소비에스키(Stanisław Sobieski), 1605년경 스톡홀름 소장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혹은 폴란드 제1공화국 또는 2민족 공화국은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물적국가 합동에 의해 1569년 성립된 복합 군주제 국가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 더보기 »

폴란드-오스만 전쟁

-오스만 전쟁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과 오스만 제국사이에서 벌어진 몇차례 분쟁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폴란드-오스만 전쟁 · 더보기 »

젠타 전투

젠타 전투(Battle of Zenta; 젠토라고도 함.) 또는 센타 전투(Battle of Senta; 센터라고도 함.)는 1697년 9월 11일 현대 세르비아의 센타 지방(세르비아어 키릴 문자: Сента, 독일어와 헝가리어: Zenta)의 바로 남쪽, 티서 강(Tisa)의 동쪽에서 벌어진 전투로 대튀르크 전쟁(Great Turkish War 1683–1699)의 주요한 사건 중 하나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젠타 전투 · 더보기 »

조공

조공(朝貢)은 한 집단이 다른 집단에게 예물을 바치는 행위를 말하며 역사적으로 국력이 약한 나라가 강한 나라에게 군사적,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예물을 바친 행위를 일컫.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조공 · 더보기 »

카라 무스타파 파샤

무스타파 파샤 카라 무스타파 파샤(Kara Mustafa Paşa, 1634/1635년 ~ 1683년 12월 25일)는 오스만 제국의 재상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카라 무스타파 파샤 · 더보기 »

카를로비츠 조약

를로비츠 조약 카를로비츠 조약은 1699년 1월 26일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카를로비츠(Karlowitz, 현재의 세르비아 스렘스키카를로브치)에서 체결된 평화 조약으로 대튀르크 전쟁을 종식시킨 평화 조약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카를로비츠 조약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유럽 · 더보기 »

파사로비츠 조약

1718년 당시의 발칸 반도 정세 파사로비츠 조약은 1718년 7월 21일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파사로비츠(Passarowitz, 현재의 세르비아 포자레바츠)에서 체결된 평화 조약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파사로비츠 조약 · 더보기 »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은 오스만 가문을 왕가로 하여, 현재 터키의 최대 도시인 이스탄불을 수도로 정하여 서쪽의 모로코부터 동쪽의 아제르바이잔에 이르러 북쪽의 우크라이나에서 남쪽의 예멘에 이르는 광대한 영역을 지배했던 제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오스만 제국 · 더보기 »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은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벌어진 전쟁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오스만-합스부르크 전쟁 · 더보기 »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공화국(), 줄여서 오스트리아()는 847만명의 인구가 살고 있는 중앙유럽 알프스 산맥에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오스트리아 · 더보기 »

얀 3세 소비에스키

얀 3세 소비에스키(1629년 8월 17일 ~ 1696년 6월 17일)는 폴란드 왕국과 리투아니아 대공국으로 이루어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가장 뛰어난 국왕 중의 한 명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얀 3세 소비에스키 · 더보기 »

헝가리

헝가리()는 중앙유럽에 있는 내륙국이며 수도는 부다페스트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헝가리 · 더보기 »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헝가리 왕국()은 1526년부터 1867년까지 존재했던 헝가리 왕국은 신성 로마 제국의 외부 영토였지만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토였으며, 1804년 이후부터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이 영토를 계승받.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헝가리 왕국 (1526년-1867년) · 더보기 »

헤트만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헤트만 얀 카롤 코드키에비츠. 헤트만 문장 헤트만(Hetman)은 15세기부터 18세기에 걸쳐 폴란드 왕국,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3국의 연합체인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공화국)에서 국왕 다음의 지위를 지닌 군 사령관직의 호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헤트만 · 더보기 »

표트르 1세

르 1세(1672년 6월 9일 ~ 1725년 2월 8일)는 러시아 제국 로마노프 왕조의 황제(재위 1682년 ~ 1725년)였.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표트르 1세 · 더보기 »

세르비아

세르비아 공화국(), 약칭 세르비아()는 유럽 중앙의 발칸 반도 중앙 판노니아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 내륙국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세르비아 · 더보기 »

합스부르크 군주국

합스부르크 군주국(Habsburgermonarchie) 또는 합스부르크 제국(Habsburgerreich)은 오스트리아 대공 카를 5세가 페르디난트 1세에게 스페인을 제외한 나머지 영지들을 넘겨준 후부터 오스트리아계 합스부르크가 지배하는 영지를 모두 이르는 말로서, 지금의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체코와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등이 포함되어 있었.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합스부르크 군주국 · 더보기 »

아우구스트 2세

아우구스트 2세 강건왕(1670년 5월 12일 ~ 1733년 2월 1일)은 폴란드의 국왕(1697~1706, 1709~1733)이자, 작센의 선제후(1694~1733)를 겸하였.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아우구스트 2세 · 더보기 »

아조프

아조프()는 러시아 로스토프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아조프 · 더보기 »

쉴레이만 2세

슐레이만 2세. 투그라. 쉴레이만 2세(Suleiman II, 1642년 4월 15일 ~ 1691년 6월 22/23일, 오스만 터키어: سليمان ثانى Süleymān-i sānī)는 1687년부터 1691년까지 다스린 오스만 제국의 술탄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쉴레이만 2세 · 더보기 »

신성 동맹 (1684년)

1684년의 신성 동맹(Lega Santa)은 교황 인노첸시오 11세(Pope Innocent XI)가 창시한 것으로 신성 로마 제국, 베네치아 공화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이 참가하였.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신성 동맹 (1684년) · 더보기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중세에서 근대 초까지 이어진 기독교 성향이 강한 유럽 국가들의 정치적 연방체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외젠 드 사부아 공자

사부아카리냥 공자 프랑수아 외젠 (François-Eugène, Prince of Savoy-Carignan, 1663년 10월 18일 – 1736년 4월 21일)은 유럽 역사에서 가장 탁월하며, 성공한 군사 지도자 중 한 명이.

새로운!!: 대튀르크 전쟁와 외젠 드 사부아 공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대 튀르크 전쟁, 대 투르크 전쟁, 대투르크 전쟁.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