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의 차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vs. 일본 제국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의 차이는 없습니다.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의 유사점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는 공통적으로 48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러일 전쟁, 러시아 내전, 독일, 루거우차오 사건, 만주국, 만주사변, 메이지 천황, 메이지 유신, 간토 대지진, 가나가와 조약, 경복궁, 고메이 천황, 대공황, 대한제국, 대한제국 순종, 국제 연맹, 난징 대학살, 다이쇼 천황, 장제스, 폐번치현, 포츠머스 조약, 이토 히로부미, 일본, 일본제국 헌법, 을미사변, 을사조약,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일 전쟁, 중화민국, ..., 청나라, 청일 전쟁, 천황기관설, 판적봉환, 태평양 전쟁, 영일 동맹, 푸이, 쓰시마섬, 소련, 쇼와 천황, 한일 병합 조약, 아관파천, 신해혁명, 시모노세키 조약, 홍콩, 21개조 요구, 2·26 사건, 5·4 운동.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8 더) »

러일 전쟁

일 전쟁()은 1904년 2월 8일에 발발하여 1905년 가을까지 계속된 전쟁으로 러시아 제국과 일본 제국이 한반도에서 주도권을 쟁취하려는 무력 충돌이었.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러일 전쟁 · 러일 전쟁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러시아 내전

시아 내전(1917년 11월 – 1922년 10월)은 옛 러시아 제국에서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벌어진 직후 발생한 여러 당파 간의 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러시아 내전 · 러시아 내전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독일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독일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루거우차오 사건

우차오 사건은 1937년 7월 7일에 베이핑(현 베이징 시) 서남쪽 방향 루거우차오(루거우 다리)에서 일본군의 자작극으로 벌어진 발포 사건으로, 중일 전쟁의 발단이 되었.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루거우차오 사건 · 루거우차오 사건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만주국

만주국의 영역 만주국()은 일본 제국이 만주 사변 직후부터 만주 지역에 세운 괴뢰국가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만주국 · 만주국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만주사변

만주 사변(滿洲事變) 혹은 9·18 사변은 일본 제국이 1931년 9월 18일 류탸오후 사건(柳條湖事件)을 조작해 일본 관동군이 만주를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의 병참 기지로 만들고 식민지화하기 위해 벌인 침략 전쟁을 말. 제1차 세계 대전 종전(1918년) 이후, 일본이 지원하는 중국의 군벌 봉천파(장쭤린)는 장제스의 국민혁명군에 밀리기 시작하여 일본 본국 정부는 장쭤린에게 퇴각을 권고했고, 만주에서 그를 보호하려 하였.(1927년) 일본 정부의 시각에 반발해, 관동군의 일부 참모들이 모의하여 장쭤린을 암살(1928년)하는데 성공하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만주사변 · 만주사변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메이지 천황

메이지 천황(1852년 11월 3일 ~ 1912년 7월 30일)은 일본의 제122대 천황(재위: 1867년 1월 30일 ~ 1912년 7월 30일)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메이지 천황 · 메이지 천황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메이지 유신

메이지 유신()은 막번 체제를 해체하고 왕정 복고를 통한 중앙 통일 권력의 확립에 이르는 광범위한 변혁 과정을 총칭.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유신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간토 대지진

화재가 일어난 마루노우치. 요코하마에서 본 간토 대지진의 피해 간토 대지진()은 1923년 9월 1일 11시 58분 32초(일본 표준시)에 일본 가나가와현 사가미 만을 진앙지로 발생했던 큰 지진이.

간토 대지진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간토 대지진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가나가와 조약

와 조약 문서 가나가와 조약 문서2 시모다에 있는 매튜 C. 페리의 흉상 가나가와 조약() 혹은 미일화친조약(日米和親条約)은 1854년 3월 31일 미 해군의 매튜 C. 페리와 일본의 막부의 전권대신 하야시 후쿠사이 사이에서 체결한 조약이.

가나가와 조약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가나가와 조약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경복궁

경복궁(景福宮)은 대한민국 서울 세종로에 있는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 정궁)이.

경복궁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경복궁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고메이 천황

메이 천황(1831년 7월 22일 ~ 1867년 1월 30일)은 1846년 3월 10일부터 1867년 1월 30일까지 재위했던 121대 일본 천황이.

고메이 천황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고메이 천황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대공황

어 랭의 사진 작품, 1936년 3월 캘리포니아 니포모에서 7살 된 딸을 데리고 배급권을 기다리는 32세 여성 모습. 대공황(大恐慌)은 1928년에 일부 국가에서 야기된 경제공황이 1929년 10월 24일, 뉴욕 주식시장 대폭락, 즉 ‘검은 목요일’로 촉발되어 전 세계로 확대된 경제공황을 뜻.

대공황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대공황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제국()은 1897년(광무 원년) 10월 12일부터 1910년 8월 29일까지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를 통치하였던 전제군주제 국가이.

대한제국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대한제국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대한제국 순종

순종(純宗, 1874년 3월 25일(음력 2월 8일) ~ 1926년 4월 25일)은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반도 역사상 마지막 군주이.

대한제국 순종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대한제국 순종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국제 연맹

1939년부터 1941년까지 사용되었던 국제 연맹의 반(半)공식적인 엠블럼. 국제 연맹(國際聯盟)은 제1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인 1920년 당시 미국의 대통령이었던 우드로 윌슨의 제안으로 만들어진 국제 기구였.

국제 연맹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국제 연맹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난징 대학살

징 대학살 때 촬영된 사진들. 최근에 공개되었다. 난징 대학살()이란 중일 전쟁 때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한 일본이 군대를 동원해 중국인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이.

난징 대학살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난징 대학살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다이쇼 천황

이쇼 천황(1879년 8월 31일 ~ 1926년 12월 25일)은 일본의 제123대 천황으로 본명은 요시히토(), 어릴 적 칭호는 하루노미야()이.

다이쇼 천황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다이쇼 천황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장제스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국부천대 사태 이후 1950년대 후반 시절의 장제스 장제스(), 창카이섹() 또는 장중정(1887년 10월 31일 ~ 1975년 4월 5일)은 중화민국의 군인, 정치·군사 지도자이자, 중화민국 국민정부의 제2, 4대 총통 및 국부천대 이후 제1, 3대 총통(재임: 1925년 3월 18일 ~ 1975년 4월 5일)이었.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장제스 · 일본 제국와 장제스 · 더보기 »

폐번치현

번치현()은 메이지 유신 시기인 1871년 8월 29일(메이지 4년 7월 14일)에, 이전까지 지방 통치를 담당하였던 번을 폐지하고, 지방 통치 기관을 중앙 정부가 통제하는 부(府)와 현(縣)으로 일원화한 행정 개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폐번치현 · 일본 제국와 폐번치현 · 더보기 »

포츠머스 조약

머스 조약(Treaty of Portsmouth)은 1905년 9월 5일 시어도어 루스벨트 미국의 대통령의 중재로 미국 뉴햄프셔 주에 있는 군항 도시 포츠머스에서 일본 제국의 전권외상 고무라 주타로와 러시아 제국의 재무장관 세르게이 비테 간에 맺은 러일 전쟁의 강화 조약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포츠머스 조약 · 일본 제국와 포츠머스 조약 · 더보기 »

이토 히로부미

이토 히로부미(1841년 10월 16일 ~ 1909년 10월 26일)는 에도 시대 후기의 무사(조슈 번사)이자 일본 제국의 헌법학자, 정치가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이토 히로부미 · 이토 히로부미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 일본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일본제국 헌법

1889년(메이지 22년) 헌법반포약도 대일본제국 헌법() 또는 대일본 제국 헌법(大日本帝國憲法)은 1889년 2월 11일에 공포되어 1890년 11월 29일에 시행된 근대 입헌주의에 기초한 일본 제국의 헌법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제국 헌법 · 일본 제국와 일본제국 헌법 · 더보기 »

을미사변

명성황후 추정 사진 을미사변(乙未事變)은 1895년 10월 8일 경복궁(景福宮)에서 명성황후 민씨가 조선 주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의 지휘 아래 일본군 한성 수비대 미야모토 다케타로(宮本竹太郞) 등에게 암살된 사건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을미사변 · 을미사변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을사조약

중명전에 전시된 을사조약 문서 을사조약(乙巳條約) 혹은 제2차 한일 협약(第二次韓日協約)은 1905년 11월 17일 대한제국의 외부대신 박제순과 일본 제국의 주한 공사 하야시 곤스케에 의해 체결된 불평등 조약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을사조약 · 을사조약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World War I, WWI 또는 WW1)은 1914년 7월 28일부터 1918년 11월 11일까지 일어난 유럽을 중심으로 한 세계 대전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제1차 세계 대전 · 일본 제국와 제1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제2차 세계 대전 · 일본 제국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중일 전쟁

중일 전쟁(中日戰爭)은 1937년 7월 7일 일본의 중국 대륙 침략으로 시작되어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때까지 계속된 중화민국과 일본제국 사이의 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중일 전쟁 · 일본 제국와 중일 전쟁 · 더보기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동아시아에 위치한 공화국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중화민국 · 일본 제국와 중화민국 · 더보기 »

청나라

청국(大淸國)은 1618년에, 여진 열국을 돌보는의 현명한 한(英明汗)이었던 누르가치가 건국한 대금()을 근간으로, 아들 태종 숭덕제는 대금에서 대청()으로 국호를 바꾸어 중국 대륙을 대표적으로 지배하는 제국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청나라 · 일본 제국와 청나라 · 더보기 »

청일 전쟁

청일 전쟁(淸日戰爭)은 청나라와 일본 제국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청일 전쟁 · 일본 제국와 청일 전쟁 · 더보기 »

천황기관설

황기관설()은 일본 제국 헌법 하에서 확립된 일본의 헌법 학설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천황기관설 · 일본 제국와 천황기관설 · 더보기 »

판적봉환

적봉환()은 1869년 7월 25일 일본의 메이지 시대 초기에 행해진 조치로, 다이묘들이 일본 천황에게 자신들의 '영지(領地)'와 '영민(領民)', 즉 '판적'을 반환하였던 일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판적봉환 · 일본 제국와 판적봉환 · 더보기 »

태평양 전쟁

평양 전쟁, 또는 때때로 아시아-태평양 전쟁,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태평양 전쟁 · 일본 제국와 태평양 전쟁 · 더보기 »

영일 동맹

영일 동맹(英日同盟)은 1902년 1월 30일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하여 이해를 함께하던 영국(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과 일본(일본 제국) 양국이 체결한 군사 동맹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영일 동맹 · 영일 동맹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푸이

1917년 복벽 사건 당시의 선통제 푸이 1922년 당시의 아이신줴뤄 푸이 아이신기오로 푸이(1906년 2월 7일 ~ 1967년 10월 17일)는 청나라의 마지막 12대 황제 선통제(宣統帝, 재위: 1908년 ~ 1912년, 황제의 칭호는 1924년까지 유지.)이자 만주국의 집정 및 황제(재위: 1932년 ~ 1934년, 1934년 ~ 1945년)이다. 만주국 집정으로는 대동왕(大同王, 다퉁왕), 황제로는 강덕제(康德帝, 캉더디)이며 중화인민공화국에서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의 전국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푸이 · 일본 제국와 푸이 · 더보기 »

쓰시마섬

쓰시마()는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중간에 있는 일본 나가사키현의 섬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쓰시마섬 · 쓰시마섬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소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약칭 소비에트 연방()또는 소련(蘇聯) 은 1922년 12월 30일부터 1991년 12월 26일까지 유라시아 북부에 존재하였던 세계 최초의 공산주의 국가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소련 · 소련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쇼와 천황

쇼와 천황(1901년 4월 29일 ~ 1989년 1월 7일)은 일본의 제124대 천황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쇼와 천황 · 쇼와 천황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한일 병합 조약

일 병합 조약() 또는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은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일방적인 위력에 의해 이루어진 합병조약(合倂條約)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한일 병합 조약 · 일본 제국와 한일 병합 조약 · 더보기 »

아관파천

시아 공사관 (1900년경)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의 일부 아관파천(俄館播遷)은 1896년 2월 11일부터 1897년 2월 20일까지 1년간 조선 고종과 세자가 경복궁을 떠나, 어가를 러시아 제국 공사관으로 옮겨서 거처한 사건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아관파천 · 아관파천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신해혁명

신해혁명(辛亥革命)은 1911년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을 성립시킨 중국의 혁명이다. 이 혁명은 중국사에서 처음으로 공화국을 수립한 혁명이라서 공화혁명이라고도 불린다. 1900년의 의화단운동 이후 열강들의 침략이 한층 강화하는 가운데 청 조정은 정치개혁을 꾀하는 소위 '신정' 운동을 일으켰으나 납세 거부와 기독교 배척을 위시한 대중운동이 전국으로 번져 입헌군주제를 향한 운동으로 발전하였다.《한국근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년, p142 이런 정세하에서 쑨원은 1905년 중국혁명동맹회(중국동맹회)를 결성하고 삼민주의를 제창하는 일변 혁명파를 지휘, 반청(反淸) 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11년 청나라는 철도 국유령을 내려 민영이었던 철도를 담보로 열강에 차관을 얻어 재정난을 타개하려고 하자 반대하는 운동이 광범하게 일어나 대규모 무장투쟁인 쓰촨봉기로 결국 발전했다. 이를 계기로 10월 10일 혁명파가 한 공작으로 우창에서 신군이 봉기하여 신해혁명의 불길이 당겨져 약 한 달 만에 14 성(省)이 이에 호응하여 궐기했고 12월 말에는 17개 성으로 확대되어 청조에 독립을 선포하였다. 1912년 1월 난징에서 쑨원을 임시 대총통으로 하는 중화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나 혁명 주체의 단결력과 세력이 굳건하지 못한 탓에 청조에게 대권을 부여받은 위안스카이와 타협, 선통제의 퇴위로 청을 멸망시키는 데는 성공한 대신 쑨원이 사임하고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었다. 1911년이 신해년(辛亥年)이라서 신해혁명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혁명(제1차 혁명)으로 공화정이 수립됐지만, 곧 위안스카이가 대총통이 되면서 이후 제제(帝制)의 야심을 품고 혁명파를 탄압하는 일편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가 시작되었는데 1913년 7월 국민당에서 '위안스카이를 타도'하려는 운동하면서 혁명을 호소하여 봉기했다. 이를 제2차 혁명이라고 하나 위안스카이는 군대를 동원해 이를 진압했다. 이후 위안스카이는 1915년 일본의 '21개 조 요구' 수락을 위시해 매판성을 드러내어 이런 위안스카이의 독재정치에 민중은 극심하게 반발했는데 이를 ‘제3차 혁명’(호국전쟁)이라고 부르고 1916년 위안스카이 사후 내전과 군벌의 할거로 혼란이 계속되었다. 우창에서 최초로 봉기한 10월 10일을 중화인민공화국에서는 ‘신해혁명 기념일’로, 중화민국에서는 중요 국경일인 “쌍십절”로 기념한다. 신해혁명은 20세기 아시아에서 일어난 정치사에 관계된 중요한 사건으로 간주된다.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신해혁명 · 신해혁명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시모노세키 조약

《시모노세키 조약》 일본과 청국의 협정 조인식 장면 시모노세키 조약()은1895년 3월 20일부터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 시에서 열린 청일전쟁의 강화회의로 체결된 조약으로서 정식명칭은 일청강화조약()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시모노세키 조약 · 시모노세키 조약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남동부에 있는 특별행정구이.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홍콩 · 일본 제국와 홍콩 · 더보기 »

21개조 요구

21개조 요구()는 1915년 1월 18일 제1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중국에 대해 요구한 21가지 특혜조건을 말. 1914년 유럽에서 제1차 세계 대전(~1918년)이 발발하자 일본은 영일 동맹을 이유로 연합국측에 가담하여 참전.

21개조 요구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21개조 요구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2·26 사건

정 일대를 점령한 장교들 2·26 사건(二・二六事件)은 1936년 2월 26일 일본 육군의 황도파 청년장교들이 1483명의 병력을 이끌고 일으킨 반란사건이.

2·26 사건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2·26 사건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5·4 운동

5·4 운동에 참가 중인 베이징 대학 시위대 오사운동(五四運動, 중국 5·4 운동, 1919년 톈안먼 사건)은 1919년에 조선의 3.1 운동(1919년)의 영향과 러시아 혁명(1917년)의 영향을 받아 중화민국에서 확산한 반제국주의·반봉건주의 혁명운동으로서, 중국에 변화가 발생하는 사건이 되었.

5·4 운동와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 · 5·4 운동와 일본 제국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의 비교.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에는 195 개의 관계가 있고 일본 제국에는 397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48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8.11%입니다 = 48 / (195 + 397).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동아시아 근대사 연표와 일본 제국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