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동아시아의 별자리

색인 동아시아의 별자리

3원 28수의 체계로 대표되는 동아시아의 별자리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서 현대 천문학이 보급되기 전까지 수천 년 간 관측 기록에 쓰였.

44 처지: 데네브, 백제본기, 고려, 고려사, 고구려, 고인돌, 보천가, 별자리, 북두칠성, 기토라 고분, 기원전 5세기, 남병길, 땅꾼자리, 당나라, 자미원, 이순지, 이십팔수, 일본, 조선, 조선 철종, 조선 태조, 조선 세종, 조선왕조실록, 중국, 증후을묘, , 청동기 시대, 천문류초, 천문학, 천상열차분야지도, 천시원, 처녀자리, 태미원, 수나라, 사기 (역사서), 사자자리, 삼국 시대, 삼국사기, 삼태성, 성경 (천문서), 송나라, 한국, 황도, 1247년.

데네브

브(Deneb)는 여름철 별자리중 하나인 백조자리의 꼬리부분에 위치한 알파별로, 거문고자리의 직녀성, 독수리자리의 견우성과 함께 여름의 대삼각형을 이. 이 항성은 청색 초거성에 속하며, 겉보기 등급은 1.25로 밤하늘에서 20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데네브 · 더보기 »

백제본기

《백제본기》(百濟本記)는 백제의 사서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백제본기 · 더보기 »

고려

(高麗, 918년~1392년)는 918년 태봉의 궁예를 축출하고 왕건이 즉위한 이후, 이성계에 의해 멸망하기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였던 국가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고려 · 더보기 »

고려사

《고려사》(高麗史)는 조선 초기 1392년부터 1451년까지 59년 동안 조선 태조, 태종, 세종, 문종에 이르기까지 만들고 수정한 고려 시대에 대한 역사서로서, 기전체(紀傳體)로 된 고려 왕조의 정사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고려사 · 더보기 »

고구려

(高句麗, 기원전 37년 ~ 668년)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백제 및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한 주요 국가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고구려 · 더보기 »

고인돌

강화도 부근리 고인돌 (유네스코 세계유산) 고인돌(지석묘; 支石墓, dolmen)은 크고 평평한 바위를 몇 개의 바위로 괴어 놓은 고대의 거석 구조물(Megalith)을 말. 아시아와 유럽, 북아프리카에 6만기 정도가 분포하며, 숫자상으로 한국에 남·북한을 합쳐 4만기 정도로 가장 많. 고인돌은 윗부분이 평평하며, 내부에는 방이 마련되어 있. 세워진 연대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유럽과 아프리카는 기원전 5,000년 ~ 기원전 4,000년, 동아시아는 기원전 2,500년 ~ 기원전 수백 년 전후로 추정.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고인돌 · 더보기 »

보천가

보천가는 수나라의 단원자가 지은 별과 별자리를 해설한 책으로, 책의 이름은 '하늘을 걷는 노래'라는 뜻을 가지고 있. 조선의 교양인들은 보천가를 이용하여 28수 별자리의 체계와 위치를 알고 있었.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보천가 · 더보기 »

별자리

17세기 네덜란드의 별자리판 별자리 또는 성좌(星座)는 천구(天球)의 별을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에 따라 이어서 어떤 사물을 연상하도록 이름을 붙인 것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별자리 · 더보기 »

북두칠성

큰곰자리의 북두칠성 부분 북두칠성(北斗七星)은 자미원에 속하는 동양의 별자리로, 큰곰자리의 꼬리와 엉덩이 부분의 일곱 별을 말. 그 모양은 말 단위의 양을 재는 국자 모양과 닮았.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북두칠성 · 더보기 »

기토라 고분

분 기토라 고분(キトラ古墳)은 나라현 다카이치 군 아스카 촌에 있는 고분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기토라 고분 · 더보기 »

기원전 5세기

원전 5세기는 기원전 500년부터 기원전 401년까지를 말.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기원전 5세기 · 더보기 »

남병길

병길(南秉吉, 1820년~1869년)는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천문·역법서의 저자로 알려져 있.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자상(字裳)·원상(元裳), 호는 육일재(六一齋)·혜천(惠泉)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남병길 · 더보기 »

땅꾼자리

밤하늘의 뱀주인자리 땅꾼자리() 또는 뱀주인자리는 뱀을 들고 있는 형상의 별자리로, 프톨레마이오스의 48별자리 중 하나였.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땅꾼자리 · 더보기 »

당나라

당(唐, 618년 ~ 907년)은 수나라 멸망 뒤 건국된 중국의 정통왕조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당나라 · 더보기 »

자미원

자미원(紫微垣)은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삼원의 하나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자미원 · 더보기 »

이순지

이순지(李純之, 1406년 ~ 1465년)는 조선 초기의 문신·천문학자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이순지 · 더보기 »

이십팔수

이십팔수(二十八宿) 이십팔수(二十八宿)는 고대로부터 동아시아에서 사용되어 온 황도와 천구의 적도 주변에 있는 28개의 별자리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이십팔수 · 더보기 »

일본

일본국(닛폰코쿠), 약칭 일본(日本,, 닛폰)은 동아시아에 있는 국. 국토는 태평양에 있는 일본 열도의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를 중심으로 주변에 산재한 작은 섬으로 구성되어 있. 총 면적은 37만 7835 km2인데 이는 노르웨이(스발바르 제도와 얀마옌을 포함한 경우)보다 작으며 독일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일본 · 더보기 »

조선

조선(朝鮮,, 1392년~1897년(혹은 1910년))은 이성계가 세운 나라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조선 · 더보기 »

조선 철종

종(哲宗, 1831년 7월 25일(음력 6월 17일) ~ 1864년 1월 16일(1863년 음력 12월 8일))은 조선의 제25대 왕(재위 1849년 7월 28일 ~ 1864년 1월 16일)이자 대한제국 추존황제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조선 철종 · 더보기 »

조선 태조

조선 태조(朝鮮 太祖, 1335년 10월 27일 (음력 10월 11일) ~ 1408년 6월 18일 (음력 5월 24일), 재위: 1392년 8월 5일 (음력 7월 17일) ~ 1398년 10월 14일 (음력 9월 5일))는 고려 말의 무신 겸 정치가이자 조선의 초대 왕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조선 태조 · 더보기 »

조선 세종

조선 세종(朝鮮 世宗, 1397년 5월 15일 (음력 4월 10일) ~ 1450년 3월 30일 (음력 2월 17일), 재위 1418년 ~ 1450년)은 조선의 제4대 군주이며 언어학자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조선 세종 · 더보기 »

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은 태조(1392년)부터 철종(1863년)까지 25대에 걸친 472년간 조선 왕조의 역사적 사실을 연월일순(年月日順)에 따라 편년체로 기술한 역사서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조선왕조실록 · 더보기 »

중국

중국()은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 그리고 태평양 서부 연안의 도서 지방을 포괄하는 지명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중국 · 더보기 »

증후을묘

증후을묘()는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 성(湖北省) 쑤이저우 시(隨州市)에 있는 고분으로 중요한 고고학적 유적지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증후을묘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책(冊)은 일정한 목적으로 쓴 글 및 참고 자료 등을 덧붙여 묶은 것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책 · 더보기 »

청동기 시대

Muséum de Toulouse 청동기 시대 (靑銅器時代)는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위르겐센 톰센이 제창한 선사 시대의 역사 구분법 중의 하나로 문명의 발전 단계 중 선진적 금속 제련을 통하여 구리를 제련하여 청동기를 만들어 사용하던 시대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청동기 시대 · 더보기 »

천문류초

문류초(天文類秒)는 조선 세종 때에 이순지가 편술한 천문(天文) 설명서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천문류초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천문학 · 더보기 »

천상열차분야지도

370px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초기부터 석각본, 목판본, 필사본 등으로 제작·보급된 한국의 전천천문도(全天天文圖)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천상열차분야지도 · 더보기 »

천시원

시원(天市垣)은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삼원의 하나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천시원 · 더보기 »

처녀자리

자리(Virgo,, 기호: ♍)는 하늘의 적도 부근의 비교적 큰 별자리로, 황도12궁 중 하나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처녀자리 · 더보기 »

태미원

미원(太微垣)은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삼원의 하나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태미원 · 더보기 »

수나라

수나라와 그 외 국가 형세 수(隋, 581년 3월 4일 ~ 619년 5월 23일)는 중국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진정시키고, 서진이 멸망한 후 분열되었던 중국을 약 300년 만에 재통일한 국. 그러나 제2대 황제인 양제 때 폭정으로 인해 약간의 혼란기를 거친 후 멸망하였고, 그 후 당나라가 중국을 재통일하였.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수나라 · 더보기 »

사기 (역사서)

《사기》(史記)는, 중국 전한 왕조 무제 시대에 사마천이 저술한 중국의 역사서이며, 중국 이십사사의 하나이자 정사의 으뜸으로 꼽힌.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사기 (역사서) · 더보기 »

사자자리

사자자리(Leo, 기호 20px, 유니코드 ♌))는 황도 12궁에 속하는 별자리이다. 서쪽의 게자리와 동쪽의 처녀자리 사이에 놓여 있다. 봄철 초저녁 하늘에서 찾아볼 수 있는 별자리이다. 동아시아의 별자리에서는 사자자리의 머리부분은 성수(星宿)의 '헌원' 별자리의 머리쪽에 해당되며, 사자의 뒷다리와 꼬리 부분은 태미원의 동쪽 담장에 해당된다.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사자자리 · 더보기 »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삼국 시대 · 더보기 »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삼국사기 · 더보기 »

삼태성

삼태성 삼태성(三台星)은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의 물을 담는 쪽에 길게 비스듬히 늘어선 세 쌍의 별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삼태성 · 더보기 »

성경 (천문서)

성경(星鏡)은 조선 철종(1861년) 때에 남병길이 저술한 천문(天文) 설명서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성경 (천문서) · 더보기 »

송나라

송(宋, 960년 ~ 1279년)은 중국의 옛 왕조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송나라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한국 · 더보기 »

황도

지동설에서의 황도. 황도(黃道)는 하늘에서 해가 한 해 동안 지나는 길로, 지구의 공전에 의. 황도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지구의 궤도면과 천구가 만나는 커다란 원이며, 하늘의 적도와 약 23.5˚기울어져 있. 춘/추분에 하늘의 적도와 교차하므로 이때 해의 위치를 춘/추분점이라 하고 하지일 때를 하지점, 동지일 때를 동지점이.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황도 · 더보기 »

124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동아시아의 별자리와 124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