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리만 제타 함수

색인 리만 제타 함수

각을 나타내며, 적색은 양의 실수, 연두색은 양의 허수, 옥색은 음의 실수, 남색은 음의 허수를 나타낸다. 수론에서, 리만 제타 함수() \zeta(s)는 소수들의 정수론적 성질을 해석적으로 내포하는 유리형 함수이.

30 처지: 레온하르트 오일러, 리만 가설, 베른하르트 리만,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복소수, 급수, 등비수열, 디리클레 급수, 니븐 상수, 편각 (수학), 제타 함수, 절댓값, 정칙 함수, 정수론, 조화급수, 초월수, 유리형 함수, 색상, 오일러의 곱셈 공식, 산술의 기본 정리, 세타 함수, 소수 (수론), 소수 정리, 해석적 수론, 해석적 연속, 해석학 (수학), 아페리 상수, 원주율, 후르비츠 제타 함수, L-함수.

레온하르트 오일러

온하르트 오일러(1707년 4월 15일~1783년 9월 18일)는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난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레온하르트 오일러 · 더보기 »

리만 가설

임계선 위에 위치한 리만 제타 함수 근의 실수부(적색)과 허수부(청색)를 보여주는 그래프.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근의 허수부 Im(s)는 ±14.135i, ±21.022i, ±25.011i로 시작한다. 수학에서, 리만 가설(-假說) 또는 리만 제타 추측 은 리만 제타 함수의 자명하지 않은 모든 영점의 실수부가 ½라는 추측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리만 가설 · 더보기 »

베른하르트 리만

오르크 프리드리히 베른하르트 리만(1826년 9월 17일~1866년 7월 20일)은 독일의 수학자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베른하르트 리만 · 더보기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손 입자들이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나타나는 물질의 상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더보기 »

복소수

수학에서, 복소수(複素數)는 a+bi (a,b는 실수) 꼴의 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복소수 · 더보기 »

급수

수학에서, 급수(級數)는 수열의 모든 항을 더한 것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급수 · 더보기 »

등비수열

등비수열(等比數列) 또는 기하수열(幾何數列)은 각 항이 그 앞 항. 일정한 비를 가지는 수열을 말. 그리고, 이 일정한 비를 공비(共比, common ratio).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등비수열 · 더보기 »

디리클레 급수

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는 복소수 s, 복소 수열 \에 대하여 로 정의되는 급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디리클레 급수 · 더보기 »

니븐 상수

수 이론에서 니븐 상수(Niven constant)는 이반 니븐(Ivan Niven)의 이름을 따서 지어 졌는데, "자연적으로" 자연수 n 의 소수 분해에 나타나는 가장 큰 지수.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니븐 상수 · 더보기 »

편각 (수학)

위 복소수 ''z''.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편각 (수학) · 더보기 »

제타 함수

제타 함수()는 그리스 문자 ζ(제타)를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지는 함수를 의미.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제타 함수 · 더보기 »

절댓값

수학에서, 절댓값(絶對-)은 실수가 실수선의 원점과, 복소수가 복소평면의 원점과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는 음이 아닌 실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절댓값 · 더보기 »

정칙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정칙 함수(正則函數)는 복소 함수에 대한, 미분 가능 함수와 해석 함수에 동시에 대응하는 개념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정칙 함수 · 더보기 »

정수론

타원곡선 정수론(整數論) 또는 수론(數論)은 수학의 한 분야로, 각종 수의 성질을 대상으.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정수론 · 더보기 »

조화급수

조화급수(harmonic series) 란 다음의 발산하는 무한급수를 가리.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조화급수 · 더보기 »

초월수

월수(超越數)는 계수가 유리수인 어떤 다항 방정식의 해도 될 수 없는 복소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초월수 · 더보기 »

유리형 함수

복소해석학에서, 유리형 함수(有理型函數)는 극점을 가질 수 있지만 본질적 특이점을 가지지 않고, 특이점을 제외한 다른 모든 점에서 정칙인 복소 함수.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유리형 함수 · 더보기 »

색상

RGB로 표현된 색상 색상(色相)은 명도, 채도와 함께 색의 주요한 세 속성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색상 · 더보기 »

오일러의 곱셈 공식

오일러의 곱셈 공식(Euler product formula)은 모든 소수에 대한 디리클레 급수(Dirichlet series)를 무한곱으로 표현한 것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오일러의 곱셈 공식 · 더보기 »

산술의 기본 정리

산술의 기본 정리(算術의基本定理)는 모든 양의 정수는 유일한 소인수 분해를 갖는다는 정리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산술의 기본 정리 · 더보기 »

세타 함수

수학에서 세타 함수()는 타원 곡선 또는 아벨 다양체 위의 선다발의 단면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세타 함수 · 더보기 »

소수 (수론)

소수(素數, 발음: 소쑤)는 자신보다 작은 두 개의 자연수를 곱하여 만들 수 없는, 1보다 큰 자연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소수 (수론) · 더보기 »

소수 정리

석적 수론에서, 소수 정리(素數定理,, 약자 PNT)는 소수의 분포를 근사적으로 기술하는 정리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소수 정리 · 더보기 »

해석적 수론

정수론에서 해석적 수론(解析的數論)은 소수나 다른 수론적 대상의 분포•밀도•크기 따위를 복소해석학적 기법을 사용해서 어림잡는 분야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해석적 수론 · 더보기 »

해석적 연속

복소해석학에서, 해석적 연속(解析的連續, analytic continuation),은 주어진 정칙함수에 대한 정의역을 늘이는 방법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해석적 연속 · 더보기 »

해석학 (수학)

석학(解析學)은 미적분학을 엄밀하게 형식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시작된 수학의 한 분야로, 수열이나 함수의 극한 및 무한급수, 미분, 적분, 측도 및 해석함수 등의 개념을.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해석학 (수학) · 더보기 »

아페리 상수

수학에서, 아페리 상수(Apéry's constant)는 여러 곳에서 발견되는 상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아페리 상수 · 더보기 »

원주율

원주율(圓周率)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원주율 · 더보기 »

후르비츠 제타 함수

수학에서, 후르비츠 제타 함수()는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후르비츠 제타 함수 · 더보기 »

L-함수

리만 제타 함수는 모든 L-함수의 원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L-함수(L-function)는 복소평면에서 정의된 유리형 함수로 몇 가지 수학적 대상과 연결되어 있. L-시리즈는 디리클레 급수로 복소 상반 평면에서 수렴하며 해석적 확장을 통해 L-함수를 만들 수 있. L-함수 이론은 본질적이지만, 여전히 주로 추측에 의존하는 현대 해석적 수론의 일부이.

새로운!!: 리만 제타 함수와 L-함수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