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마르키아누스

색인 마르키아누스

마르키아누스(Flavius Marcianus, 396년 - 457년)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450년 - 457년), 테오도시우스 1세가 세운 왕조의 마지막 황제이.

34 처지: 동방 정교회, 레오 1세 (비잔티움 제국), 로마 군단, 반달족, 가이세리크, 북아프리카, 그리스도, 비잔티움 제국,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단성설, 트라키아, 히포 레기우스, 이단, 이집트, 주교, 칼케돈 공의회, 풀케리아, 사산 제국, 성부, 성자, 성인 (종교), 서로마 제국, 아틸라, 테오도시우스 1세, 테오도시우스 2세, 시리아, 원로원, 훈족, 2월 17일, 396년, 431년, 450년, 451년, 457년.

동방 정교회

이콘 동방 정교회(東方正敎會,)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교세가 큰 기독교로 약 2억 5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믿고 있.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 중의 하나로 (아나톨리아를 포함한) 그리스와 동유럽, 캅카스, 근동의 역사와 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 정교회(正敎會) 또는 보편 정교회라고도 불린.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동방 정교회 · 더보기 »

레오 1세 (비잔티움 제국)

오 1세(Flavius Valerius Leo, 401년 - 474년 1월 18일)는 로마 제국의 황제로 457년부터 474년 죽을 때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레오 1세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로마 군단

마 백인대장(재현) 로마 군단병 (재현) 로마 군단(Legion)은, 초기에는 그리스의 밀집 장창보병대와 다를 바 없었으나, 긴 역사를 통해 다양한 전술을 습득함으로써 근대 이전 가장 강력한 보병집단이 되었.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로마 군단 · 더보기 »

반달족

반달족(Vandals)은 동부 게르만족의 일파로, 오늘날 폴란드 남부 지역에서 거주했던 것으로 역사에서 처음 등장하며, 이후 유럽 여기저기로 이동하여 서기 5세기에는 스페인과 북아프리카에 성공적으로 왕국을 세웠.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반달족 · 더보기 »

가이세리크

이세리크(Gaiseric, 389년 ~ 477년)는 반달족의 왕이며 군데리크의 동생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가이세리크 · 더보기 »

북아프리카

북아프리카의 범위 북아프리카는 대체로 다음 나라들을 말.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북아프리카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그리스도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

마 제국 또는 동로마 제국, 중세 로마 제국, 비잔티움 제국, 비잔틴 제국()은 중세 시대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천도 이후의 로마 제국을 일컫는 명칭으로, 수도는 콘스탄티노폴리스(현재의 이스탄불)였고 로마 황제가 다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비잔티움 제국 · 더보기 »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기 다음은 동로마 제국, 즉 비잔티움 제국의 역대 황제들의 목록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 목록 · 더보기 »

단성설

성설(單性說) 또는 단성론 (單性論) 이란, 기독교에서 그리스도론을 신학적으로 정의할 때 사용되는 용어로서, 육신을 지니고 세상에 나온 예수에게는 단일한 성질(나투라)만이 존재한다는 뜻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단성설 · 더보기 »

트라키아

아와 현재의 국경 고대의 트라키아와 그 주변 트라키아(또는 트라키(고대 그리스어로는 트라케), 트라키야()는 역사적, 지리적으로 발칸반도의 남동쪽을 부르는 지명이다. 전통적으로 흑해, 에게 해, 마르마라 해의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져 있는 지역을 말한다. 터키에서는 루멜리(Rumeli)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오늘날 트라키아는 불가리아 남부(북부 트라키야), 그리스 북동부(서부 트라키), 터키의 유럽 영토(동부 트라크야)를 일컫는다. 트라키아의 경계는 시대마다 변화가 있었다. 고대 트라키아(인종상 트라키아인이 살던 곳)는 오늘날 불가리아, 터키령 유럽, 그리스 북동부, 세르비아 동부 일부 지방, 마케도니아 공화국 동부 등지를 포괄하였다. 그 경계선은 북쪽으로는 도나우 강이고, 남쪽으로는 에게 해, 동쪽으로는 흑해와 마르마라 해, 서쪽으로는 바르다르 강, 대 모라바 강이었다. 로마 시대 트라키아 속주는 이보다 작아서, 동쪽으로는 바다를 경계로 삼지만, 북쪽으로는 발칸 산맥까지였으며, 서쪽으로는 메스타 강에 국한되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트라키아 · 더보기 »

히포 레기우스

히포 레기우스 (Hippo Regius)는 옛 로마시대의 도시 이름으로서 오늘날 북아프리카의 알제리의 "안나바" (Annaba 혹은 보네, Bône)로 불리고 있. 도시는 페니키아인이 북아프리카의 해안에 건설한 도시 티로스의 주민이 식민도시로 건설하여 히포라는 이름을 붙인 것으로 기록되고 있. 레기우스 (라틴어: 왕의) 라는 뒷이름은 후에 누미디아의 왕이 히포를 수도로 삼은 것에서 유. 히포는 기원전 46년에 로마에 정복된 후, 북아프리카의 많은 로마의 식민도시들 가운데 하나로 변모되었.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히포 레기우스 · 더보기 »

이단

이단(異端)은 보편적으로 정통 이론에서 많이 벗어난 교리, 주의, 주장 등을 총칭.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이단 · 더보기 »

이집트

이집트 아랍 공화국(-共和國), 줄여서 이집트() 또는 애급 (Egypt, 埃及)은 아프리카의 북동쪽에 자리 잡고 있는 나라로, 시나이 반도를 통해 서아시아와 이어져 있. 영토 면적은 100만1450 km²로, 북쪽에는 지중해, 북동쪽으로는 가자 지구와 이스라엘과 접하고 있고, 동쪽에는 홍해, 남쪽에는 수단, 서쪽에는 리비아가 있. 약 9천만 명의 인구 중 90% 이상이 이집트 전체 면적의 약 5%를 차지하는 나일 강변에 거주하는데, 나일 강변의 약 3만6천 km²는 이집트에서 거의 유일하게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이집트 · 더보기 »

주교

카를로 세레사. 주교(主敎)는 교구나 관구의 사목 책임을 지고 감독하는 기독교의 성직자를 말. 사교(司敎)라고도 하며, 영어로는 Bishop, Right Rev..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주교 · 더보기 »

칼케돈 공의회

공의회(Council of Chalcedon)는 451년 10월 8일부터 11월 1일까지 소아시아의 비티니아의 도시 칼케돈(현재의 터키)에서 열렸던 기독교의 공의회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칼케돈 공의회 · 더보기 »

풀케리아

리아가 새겨져 있는 동전 아일리아 풀케리아(Aelia Pulcheria, 399년 – 453년)는 동로마 황제 아르카디우스와 황후 아일리아 유독시아의 딸로 동생 테오도시우스 2세의 치세와 그 이후에 동로마 제국의 정치에 깊이 관여.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풀케리아 · 더보기 »

사산 제국

사산 왕조()는 아르다시르 1세가 세운 고대 이란 왕조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사산 제국 · 더보기 »

성부

성부(聖父)는 기독교의 삼위일체론에서 말하는 제1위를 지칭하는 호칭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성부 · 더보기 »

성자

성자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성자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서로마 제국

서로마 제국()은 285년부터 476년 또는 480년까지 유럽에 존재하던 제국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서로마 제국 · 더보기 »

아틸라

아틸라의 최대 판도 (434-453) 아틸라(406년 ~ 453년)는 훈족 최후의 왕이며 유럽 훈족 가운데 가장 강력한 왕이었.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아틸라 · 더보기 »

테오도시우스 1세

오도시우스 1세 또는 테오도시우스 대제((347년 1월 11일~395년 1월 17일)은 379년부터 395년 죽을 때까지 로마 황제였다. 그라티아누스 황제로부터 동로마 제국을 다스릴 것을 임명받은 이후 서로마 제국의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2세가 죽은 후, 동로마와 서로마 모두를 통치한 마지막 황제였다. 그가 죽은 후 로마 제국은 동로마와 서로마로 완전히 분리되어 다시는 통일되지 않았다. 그는 또한 기독교를 로마 제국의 공식적인 국교로 만들었다. 그의 강력한 기독교 부흥 정책 때문에 그는 기독교계 역사가들로부터 ‘대제(大帝)’의 칭호를 받았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테오도시우스 1세 · 더보기 »

테오도시우스 2세

오도시우스 2세(Flavius Theodosius, 401년 ~ 450년 7월 28일)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로 408년부터 450년 죽을 때까지 동로마 제국의 황제였.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테오도시우스 2세 · 더보기 »

시리아

시리아 아랍 공화국(), 약칭 시리아()는 중동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시리아 · 더보기 »

원로원

원로원(元老院, 라틴어: Senatus)은 고대사회의 의회 또는 상원 등에 해당하는 회의체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원로원 · 더보기 »

훈족

아틸라의 최대 판도 (434-453) 훈 족(-族, Huns)은 서양사에 등장한 최초의 튀르크계 민족이.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훈족 · 더보기 »

2월 17일

2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8번째(윤년일 경우도 4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2월 17일 · 더보기 »

39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396년 · 더보기 »

43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431년 · 더보기 »

45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450년 · 더보기 »

45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451년 · 더보기 »

45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키아누스와 457년 · 더보기 »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