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마르틴 루터

색인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1483년 11월 10일~1546년 2월 18일)는 독일의 종교개혁가이.

225 처지: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도덕, 도미니코 수도회, 독일, 독일 농민전쟁, 독일어, 라이프치히, 라이프치히 논쟁, 라틴어, 로마, 로마 가톨릭교회, 로마 교황청, 뢰번, 맥주,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의 신학, 모든 성인 대축일, 목사, 문법, 문화, 뮌헨 대학교, 미국, 미사, 민중, 방울새, 개신교,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바르트부르크 성, 박사, 경전, 법률가, 고지 독일어, 고해성사, 보름스, 보름스 회의, 보수, 보수적 복음주의, 공무원, 복음, 복음과 상황, 복음주의, 복지, 계급투쟁, 변증법, 북유럽, 부활, 그레고리오 성가, 그리스도, 그리스도인의 자유, 귀족, ..., 기도, 기독교, 기독교 근본주의, 기독교 사상, 기독교인, 기독교한국루터회, 기하학, , 비판, 비텐베르크, 김영한 (교수), 대사 (가톨릭), 대한민국, 대학, 교리, 교권주의, 교회, 교수, 교황, 교황 레오 10세, 구원, 나이팅게일, 노동, 논리, 논문, 다섯 솔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트리어 선제후국, 회개, 요한 폰 스타우피츠, 요한 에크, 요한 테첼, 요한의 복음서, 장 칼뱅, 장미, 재세례파, 작센안할트 주, 포도주, 이콘, 이사야, 이성, 이신칭의, 인도주의, 인문주의, 음악, 적그리스도, 전통, 정치, 종교, 종교 개혁, 종교 개혁가, 주님의 기도, 질병, 착취, , 체코슬로바키아, 천문학, 천국, 출판, 축자영감설, 칭의, 카를 5세, 칼케돈 신경, 유럽, 윤리학, 율법, 파문, 탁상담화, 술집, 수도사, 수도원, 수녀, 수사학, 영방국가, 영광의 신학, 영광송, 영혼, 오직 성경, 예레미야, 예배, 예수, 예언자, 협박, 언어학, 얀 후스, 에르푸르트,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역사, 연옥 (기독교), 표준 독일어, 사람, 사랑, 사도 파울로스, 사회, 사회학, 사제, 산술, 플루트, 프리드리히 3세 폰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설교, 성령, 성경, 성경 번역, 성인 (종교), 성직자, 성찬, 성서비평학, 성서학, 세계 공의회, 토라, 토마스 뮌처, 토마스 카예탄, 토머스 크랜머, 토머스 칼라일,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야훼, 한국, 한국의 기독교,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하나님, 하이델베르크, 하이델베르크 논쟁, 필리프 멜란히톤,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아우크스부르크, 아이슬레벤, , 학문, 학습, 신성 로마 제국, 신약성경, 신학, 십자가, 십자가의 신학, 시민혁명, 시편, 황금, 황제, 10월 12일, 10월 31일, 11월 10일, 12월 10일, 1414년, 1418년, 1483년, 1502년, 1505년, 1515년, 1516년, 1517년, 1518년, 1519년, 1520년, 1521년, 1522년, 1523년, 1524년, 1525년, 1528년, 1545년, 1546년, 1월 3일, 2008년, 2월 18일, 3월 6일, 4월 16일, 4월 17일, 6월 13일, 6월 24일, 7월 17일, 7월 2일, 95개 논제.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75 더)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1466년 10월 27일 ~ 1536년 7월 12일)는 일반적으로 에라스무스로 부르는데 네덜란드 태생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인문주의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 더보기 »

도덕

덕(道德, 영어 "Morality"는 라틴어moralitas에서 유래했다.), 곧 "예의범절, 성품, 예의바른 행동"(manner, character, proper behavior")은 덕과 악덕을 분간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도덕 · 더보기 »

도미니코 수도회

미니코 수도회의 문장 설교자들의 수도회, 도미니코 수도회(O.P.)는 1206년 에스파냐의 사제 성 도미니코(도밍고 데 구스만)에 의해 설립되어 1216년에 교황 호노리오 3세로부터 인가를 받은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 기독교 수도회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도미니코 수도회 · 더보기 »

독일

독일 연방공화국(), 줄여서 독일()은 중앙유럽에 있는 나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독일 · 더보기 »

독일 농민전쟁

독일 농민전쟁(獨逸農民戰爭)은 1524년부터 1525년 사이 중부 유럽의 독일어 권역에서 광범위하게 확산되었던 농민들의 항쟁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독일 농민전쟁 · 더보기 »

독일어

독일어(獨逸語, deutsche Sprache, Deutsch)는 게르만어파 서게르만어군에 속하는 국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언어로 세계의 주요언어 중 하나로 여. 독일어는 학술어로서 그 중요성이 크며 세계 출판업계에서 영어 다음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독일어 · 더보기 »

라이프치히

이프치히(소르브어: Lipsk)는 독일 작센 주의 가장 큰 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라이프치히 · 더보기 »

라이프치히 논쟁

마르틴 루터와 에크 사이의 라이프치히 논쟁을 그린 당시의 삽화 라이프치히 논쟁(Leipziger Disputation 또는 Leipzig Debate)은 독일에서 종교개혁 당시 1519년 6월 27일∼7월 16일에 마르틴 루터,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필리프 멜란히톤과 로마 가톨릭교회를 대변하는 잉골슈타트(Ingolstadt) 대학교 교수이며 한 때 루터의 친구였던 요한 에크 (Johann Eck)라는 신학자가 라이프치히에서 연옥교리, 면죄부 판매, 고해성사, 교황의 권위에 대해 치열한 논쟁을 벌인 역사적 사건을 말. 여기서 루터는 오직 성경만이 기독교 신앙의 기초(basis of Christian belief) 이며, 교황은 권위를 가지고 있지 않고 성경에도 언급되지 않았으며, 연옥은 성경에도 없는데 그곳에 있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성도들에게 면죄부를 판매하는 것을 비판하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라이프치히 논쟁 · 더보기 »

라틴어

어(Lingua Latīna)는 이탈리아 반도의 중부에 있는 고대 로마와 그 주변 지역 라티움(Latium)에 정착하여 살던 라티움 사람들이 쓰던 언어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라틴어 · 더보기 »

로마

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라치오 주의 주도로, 테베레 강 연안에 있. 로마시의 행정구역 면적은 1,285km2로 서울시의 2배정도이고, 2014년 인구는 290여만명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로마 · 더보기 »

로마 가톨릭교회

마 가톨릭교회(), 천주교(天主敎) 또는 가톨릭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약 12억 명의 신자를 가진 세계 최대 규모의 기독교 교파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로마 가톨릭교회 · 더보기 »

로마 교황청

마 교황청(~敎皇廳)은 기독교에서 성좌의 행정기관이며 교황과 더불어 로마 가톨릭교회 전체를 통솔하는 중앙통제기구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로마 교황청 · 더보기 »

뢰번

번 시청 뢰번() 또는 루뱅()은 벨기에 중부 플람스브라반트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뢰번 · 더보기 »

맥주

200px 200px 맥주(麥酒) 또는 비어()는 보리를 가공한 맥아(麥芽)를 발효한 술로서 알코올은 맥주의 종류에 따라 2~18% 정도의 다양한 도수를 가진 술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맥주 · 더보기 »

마르틴 루터

마르틴 루터(1483년 11월 10일~1546년 2월 18일)는 독일의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마르틴 루터 · 더보기 »

마르틴 루터의 신학

221x221픽셀 마르틴 루터의 신학(theology of Martin Luther)은 특별히 이신칭의, 율법과 복음의 관계(루터란에서 중요한 요소), 그리고 다양한 여러 신학적 개념들을 다루는 주제들과 개신교 종교개혁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마르틴 루터의 신학 · 더보기 »

모든 성인 대축일

모든 성인 대축일(라틴어: Sollemnitas Omnium Sanctorum)은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천국에 있는 모든 성인을 기리는 대축일로, 하느님과 함께 영광을 누리는 성인들의 모범을 본받고자 다짐하는 날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모든 성인 대축일 · 더보기 »

목사

목사(牧師)는 개신교의 성직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목사 · 더보기 »

문법

문법(文法)은 언어의 사용과 관련된 규칙들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문법 · 더보기 »

문화

인간의 상징체계로서 선사시대의 문화의 행동 현대성을 보여주는 얄타미아 동굴 벽화(Altamira) 한국의 봉산탈춤 (중요무형문화재 제17호) 문화(文化)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 체계를 말. 문화란 세계관, 사회사상, 가치관, 행동양식 등의 차이에 따른 다양한 관점의 이론적 기반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정의가 존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문화 · 더보기 »

뮌헨 대학교

비히-막시밀리안 뮌헨 대학교()는 독일 뮌헨에 있는 공립 대학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뮌헨 대학교 · 더보기 »

미국

미합중국(美合衆國,, U.S.A.), 약칭 합중국(U.S.) 또는 미국(美國)은 주 50개와 특별구 1개로 이루어진 연방제 공화국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미국 · 더보기 »

미사

미사()는 가톨릭에서 하느님을 찬양하는 대표적인 종교 의식이며,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일곱 가지 성사 가운데 하나인 성체성사가 중심을 이루는 라틴 전례 양식이 일반적인 미사의 개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미사 · 더보기 »

민중

민중(民衆)은 인민대중의 줄임말로, 일본이나 한국에서 국가나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민중 · 더보기 »

방울새

방울새 방울새는 참새목 되새과의 한 종으로, 한국에서는 텃새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방울새 · 더보기 »

개신교

신교(改新敎) 또는 프로테스탄트(Protestantism)는 16세기 교회의 개혁가들의 종교개혁을 통해 생겨난 기독교의 한 전통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개신교 · 더보기 »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갈라디아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또는 갈라디아서는 사도 바울의 서신 중 하나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갈라디아인들에게 보낸 편지 · 더보기 »

바르트부르크 성

바르트부르크 성은 독일 튀링겐(Thüringen)주의 아이제나흐(Eisenach) 인근의 성으로서 중세 튀링겐 지방의 문화의 중심지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바르트부르크 성 · 더보기 »

박사

박사(博士, Doctor)는 대학교나 학술전문연구기관에서 가장 높은 학위를 소지한자 또는 특정 분야(이를테면 철학박사)의 전문가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박사 · 더보기 »

경전

경전(經典)은 종교의 믿음 또는 교리의 근간을 이루는 문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경전 · 더보기 »

법률가

미국 연방 대법원 건물 앞에 있는 석상으로서, 법의 권위를 상징한다. 대한민국 서울의 국회의사당 건물. 법률가(法律家)는 일반적으로 법률을 적용하는 법률 업무 종사자에서 넓게는 법률에 대해 연구 · 해석하는 법학자까지를 의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법률가 · 더보기 »

고지 독일어

독일어(高地 獨逸語, Hochdeutsch)는 다음을 부르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고지 독일어 · 더보기 »

고해성사

주세페 몰테니, 《고해성사》(''La confessione'') 고해성사(告解聖事)는 그리스도인이 자신이 지은 죄를 진심으로 뉘우치면서 사제를 통해 하느님께 죄를 고백하고 용서의 은총을 받는 성사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고해성사 · 더보기 »

보름스

보름스의 위치 보름스(Worms)는 독일 남서부 라인란트팔츠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보름스 · 더보기 »

보름스 회의

안톤 폰 베르너 작 보름스 회의의 루터,1877 보름스에 있는 루터상 보름스 회의(Diet of Worms, Reichstag zu Worms) 또는 보름스 제국회의는 1521년 3월 신성로마제국 황제 카를 5세가 보름스에서 제국의회를 소집하고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를 소환해 루터의 견해를 심의한 사건을 말.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보름스 회의 · 더보기 »

보수

보수에는 다음의 뜻이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보수 · 더보기 »

보수적 복음주의

보수적 복음주의는 기독교 근본주의에 뿌리를 둔 미국식 복음주의를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보수적 복음주의 · 더보기 »

공무원

공무원(公務員)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또는 공공 단체의 사무를 맡아보는 사람을 이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공무원 · 더보기 »

복음

독교에서 복음(福音)이란 예수 그리스도가 인류에게 가져다 준 구원에 관한 '좋은 소식'을 한자어로 풀이한 것으로서 하느님의 나라의 도래, 예수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로 인한 하느님과 인류 사이의 관계 회복을 의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복음 · 더보기 »

복음과 상황

복음과 상황(약칭:복상)은 복음주의 성격의 개신교월간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복음과 상황 · 더보기 »

복음주의

복음주의(福音主義)는 기독교에서 16세기 종교개혁 이후 형성된 전통적인 종교개혁 세력을 지칭하는 용어에서 시작되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복음주의 · 더보기 »

복지

복지(福祉)는 좋은 건강, 윤택한 생활, 안락한 환경들이 어우러져 행복을 누릴 수 있는 상태를 말. 사회복지학에서는 높은 삶의 질이 보장되는 것을 뜻. 구빈 정책, 노동자 권익 보호와 같은 특정 집단에 대한 지원 뿐만 아니라 국민 일반에게 사회 복지를 제공하는 것을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가운데 하나로 삼는 국가를 복지국.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복지 · 더보기 »

계급투쟁

급 투쟁이란 노동자와 자본가의 이해관계에 따른 사회적 분쟁을 사회주의적 시각으로 본 개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계급투쟁 · 더보기 »

변증법

변증법 (辯證法, dialectics)이란 이성적 주장을 통해 진리를 확립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가진 두 명 이상의 사람들 사이의 담론(談論)이.비슷한말은 대화법, 문답법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변증법 · 더보기 »

북유럽

르딕 5개국과 발트 3국) 북유럽은 유럽대륙의 북부 지역을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북유럽 · 더보기 »

부활

부활(復活)은 죽은 생명이 다시 살아나는 것을 말하며 불사(不死).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부활 · 더보기 »

그레고리오 성가

입당송 - Gaudeamus omnes(모두 함께 기뻐하세) 그레고리오 성가(Gregorian chant)는 천주교의 전통적인 단선율 전례 성가의 한 축을 이루는 성가로서 로마 전례 양식 때 사용하는 무반주의 종교 음악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그레고리오 성가 · 더보기 »

그리스도

리스도, 크리스트, 크라이스트 또는 기독(基督)은 에서 온 말로 70인역에서 히브리어의 메시아()를 옮기는 데 처음 사용되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그리스도 · 더보기 »

그리스도인의 자유

리스도인의 자유⟫()는 루터의 종교 개혁 논문 중 하나로서, 독일어와 라틴어로 쓰여 동시에 출판되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그리스도인의 자유 · 더보기 »

귀족

족(貴族)이란 혈통이나 문벌에 의해 사회적 특권을 인정받고 있는 사람이나 그 일족, 또는 그 신분을 말. 많게는 세습되지만, 특별한 공적에 의해 새로 귀족이 될 수도 있. 군주의 일족을 특히 '황족(皇族)', '왕족(王族)', '공족(公族)' 등으로 칭해, 이를 귀족에 포함하지 않는 용어법도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귀족 · 더보기 »

기도

막달라 마리아 기도(祈禱)는 신 또는 신격화된 대상과 의사소통을 시도하려는 행위, 또는 신에게 무엇인가를 간청하는 행위를 말. 의식 안에서 행하는 기도는 예배.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도 · 더보기 »

기독교

독교(基督敎)From Ancient Greek Khristós (Latinized as Christus), translating Hebrew מָשִׁיחַ, Māšîăḥ, meaning "the anointed one", with the Latin suffixes -ian and -itas.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독교 · 더보기 »

기독교 근본주의

독교 근본주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부터 영국과 미국의 보수적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자유주의 신학에 반대하면서 주창한 기독교 신학사조를 말. 최근에는 이슬람 근본주의처럼 신학이나 종교에서 전통적 교리를 고수하며 다른 종교는 물론 개혁적인 변화에 반대하는 사조를 나타내는 말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 이 단어는 말 자체로 근본주의로서 종교 뿐만이 아닌 각국의 문화 내지 관습 및 인간의 기본 존엄성 또한 포함하고 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맞이하여 기독교 근본주의는 큰 도전을 맞이하고 있. 기독교 근본주의의 5대 주장은, ① 성경의 무오(無誤) ② 그리스도의 동정녀 탄생 ③ 그리스도의 대속적 죽음 ④ 육체의 부활 ⑤ 그리스도의 재림 등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독교 근본주의 · 더보기 »

기독교 사상

《기독교 사상》은 1957년부터 기독교 신학을 주제로 대한기독교서회에서 발행하는 잡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독교 사상 · 더보기 »

기독교인

독교인(基督敎人), 기독교도(基督敎徒), 기독인(基督人) 또는 그리스도인()은 기독교를 믿는 사람, 다시 말해 성경에서 메시아로 예언된 예수 그리스도의 삶과 가르침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를 믿는 사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독교인 · 더보기 »

기독교한국루터회

독교한국루터회()는 대한민국의 루터교 신앙을 표방하는 개신교 교파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독교한국루터회 · 더보기 »

기하학

학(幾何學)은 공간에 있는 도형이나 대상들의 치수, 모양, 상대적 위치 등을 연구하는 수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기하학 · 더보기 »

빈()은 도나우 강변에 있는 오스트리아의 수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빈 · 더보기 »

비판

비판(批判)은 어떤 사실·사상(思想)·행동에 관해서 진위(眞僞)·장점·단점·선악 등을 판정하여 평가를 내리는 것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비판 · 더보기 »

비텐베르크

동상이 세워져 있는 비텐베르크의 광장 비텐베르크()는 독일 동부 작센안할트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비텐베르크 · 더보기 »

김영한 (교수)

영한박사 백석대학교 서울 캠퍼스 김영한(金英漢, Yung Han Kim, 1946년 10월 18일 ~)은 대한민국의 기독교철학자이며 신학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김영한 (교수) · 더보기 »

대사 (가톨릭)

1521년 대사 부여를 약속하는 고해 특전 준허 증서 대사(大赦, Indulgentia) 또는 면벌(免罰), 대사부(大赦符)는 라틴어로 ‘은혜’ 또는 ‘관대한 용서’라는 뜻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대사 (가톨릭)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대한민국 · 더보기 »

대학

학교 졸업식. 학사모는 대학 수료의 상징이다 대학(大學,,: "전체"라는 의미)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학위를 수여하는 고등교육 및 연구기관 이. 교육기관을 초등·중등·고등으로 나눠보았을 때 최고 교육기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대학 · 더보기 »

교리

리(敎理, doctrina)는 체계화된 종교의 본질적인 가르침을 뜻. 대부분의 종교는 각자 독자적인 교리를 채택하고 있. 교리는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에게 믿음의 근거와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리 · 더보기 »

교권주의

주의(敎權主義,clericalism)또는 성직권주의는 로마가톨릭교회와 가톨릭교회 성직자(성직권)들의 권력지상주의와 권력에 대한 존중주의를 말. 일찍이 로마 가톨릭에서 교황지상주의(papocäsarismus, 교황이 그 직책과 관련해 신앙과 도덕에 대해 오류를 범할 수 없다는 사상으로, 교회정치적 측면에서는 성직자 서임권이 오직 교황에게 속해 있다고 여기는 주의)로 표출된 로마 가톨릭교회 권력의 절대화 또는 예수회 등 가톨릭 성직자들의 부당한 정치적 세력화를 가리키는 용어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권주의 · 더보기 »

교회

회(敎會)는 일반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고백하는 기독교인들의 신앙 공동체를 일컫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회 · 더보기 »

교수

300px 교수(敎授)는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이나 대학원 등에서 강의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을 일컫.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수 · 더보기 »

교황

황(敎皇)은 《교황청 연감》에 따르면 로마의 주교이자 가톨릭교회 전체의 영적 지도자이며 바티칸 시국의 국가원수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황 · 더보기 »

교황 레오 10세

황 레오 10세(라틴어: Leo PP. X, 이탈리아어: Papa Leone X)는 제217대 교황(재위: 1513년 3월 9일 - 1521년 12월 1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교황 레오 10세 · 더보기 »

구원

원(한자: 救援, 영어: Salvation, 독어: Erlösung)은 일반적으로 어떤 것에서 구출되고 해방되는 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만, 신학에서 쓰이는 용어로서는 주로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구원 · 더보기 »

나이팅게일

''Luscinia megarhynchos'' 나이팅게일은 참새목에 속하는 새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나이팅게일 · 더보기 »

노동

동(勞動) 또는 근로(勤勞)는 경제활동에서 재화를 창출하기 위해 투입되는 인적 자원 및 그에 따른 인간의 활동을 뜻. 흔히 자본, 토지와 함께 생산의 3대 요소로 불린.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노동 · 더보기 »

논리

리는 다음을 의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논리 · 더보기 »

논문

쇠렌 키르케고르의 논문. 논문(論文)은 어떠한 주제에 대해 저자가 자신의 학문적 연구결과나 의견, 주장을 논리에 맞게 풀어 써서 일관성있고 일정한 형식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쓴 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논문 · 더보기 »

다섯 솔라

섯 솔라(Five Solas)는 종교 개혁 때 처음으로 대두된 기독교의 다섯 가지 표어로, 라틴어로 쓰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다섯 솔라 · 더보기 »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아-콘스탄티노폴시스 신경 (또는)은 니케아 신경을 기초로 381년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채택된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 더보기 »

트리어 선제후국

리어 선제후국(Kurfürstentum Trier, Électorat de Trèves) 또는 트리어 대주교국은 4세기 이래 신성 로마 제국에서 영향력 있는 고위 성직자이자 영주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트리어 선제후국 · 더보기 »

회개

회개(悔改)는 죄스런 생활 태도에서 탈피하여 신께 귀의하는 일을 말. 옛날에 저지른 잘못을 뉘우친 사람이, 그 잘못을 고치고 되풀이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태도를 갗추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회개 · 더보기 »

요한 폰 스타우피츠

요한 폰 스타우피츠(Johann von Staupitz, ca. 1460년- 1524년 12월 28일) 로마 카톨릭 신학자이며, 대학의 설교자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요한 폰 스타우피츠 · 더보기 »

요한 에크

요한 마이어 본 에크(1486년 11월 13일 - 1543년 2월 13일)는 독일의 기독교 신학자로 잉골스타트 대학교 출신으로 개신교의 종교 개혁에 맞서 로마 가톨릭교회를 수호하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요한 에크 · 더보기 »

요한 테첼

요한 테첼(Johann Tetzel, 1465-11 August 1519)은 독일의 로마 카톨릭 도미니카 수사와 설교가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요한 테첼 · 더보기 »

요한의 복음서

요한의 복음서는 공관복음서와 더불어 4복음서를 이루는 복음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요한의 복음서 · 더보기 »

장 칼뱅

장 칼뱅(1509년 7월 10일 - 1564년 5월 27일)은 종교 개혁을 이끈 프랑스 출신의 개혁교회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장 칼뱅 · 더보기 »

장미

장미(薔薇))는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관목의 총칭이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장미 · 더보기 »

재세례파

재세례파(再洗禮派) 또는 재침례파(再浸禮派, Anabaptist)는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급진적 개혁을 따른 기독교 종파를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재세례파 · 더보기 »

작센안할트 주

작센안할트 주()는 독일 동부에 위치한 주로 주도는 마그데부르크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작센안할트 주 · 더보기 »

포도주

주(葡萄酒) 또는 와인() 혹은 뱅()은 포도를 으깨서 나온 즙을 발효시킨 술을 말. 제조 방법상 양조주 중 과실주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포도주 · 더보기 »

이콘

이콘()은 기독교에서 성모 마리아나 그리스도 또는 성인들을 그린 그림이나 조각을 말. 그림을 성화(聖畵), 조각을 성상(聖像)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이콘 · 더보기 »

이사야

Providence Lithograph Company가 출판한 예언자 이사야의 그림 (1904년 경) 이사야(Isaiah, /aɪˈzeɪ.ə/ 또는 영국에서 /aɪˈzaɪ.ə/, יְשַׁעְיָהוּ, Historical Dictionary of Prophets in Islam and Judaism, B. M. Wheeler, Appendix IIشعيا)는 이사야: 전문mc, 기독교타임즈 기자 기원전 8세기 유다 왕국에 살았던 예언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이사야 · 더보기 »

이성

프란시스코 고야, 〈이성이 잠들면 괴물이 눈뜬다〉 이성(理性)은 일반적으로 인간을 동물과 구별시키는 인간 특유의 뛰어난 능력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여러 가지 뜻을 갖.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이성 · 더보기 »

이신칭의

이신칭의(justification by faith)란 개신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신학적 용어로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다고 칭함을 받는다는 의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이신칭의 · 더보기 »

인도주의

인도주의(人道主義)는 모든 인간이 평등한 인격과 존엄성을 지닌 동등한 인간이라는 입장에서, 인류에게 있어 바람직한 일(예컨대 행복·평화·우애 등)을 인종·민족·국적·체제·종교 여하를 초월하여 타인에게 실천하는 사고 방식 내지 운동을 말. 차별없는 우애를 실천하는 박애주의, 서로 돕는 운동, 자선운동, 사해동포(四海同胞)주의, 평화주의 등으로 나타나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인도주의 · 더보기 »

인문주의

인문주의(人文主義) 또는 인본주의(人本主義)는 존재론적 존재로서, 철학 사유 체계의 근원으로서 인간의 존재를 중요시하고 인간의 능력과 성품 그리고 인간의 현재적 소망과 행복을 귀중하게 생각하는 정신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인문주의 · 더보기 »

음악

음악(音樂)은 소리를 재료로 하는 시간예술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음악 · 더보기 »

적그리스도

적그리스도 적그리스도 혹은 그리스도의 적() 또는 가그리스도(假~)는 일반적으로 기독교에서 그리스도(메시아)를 사칭하는 악의 화신으로 간주.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적그리스도 · 더보기 »

전통

전통(傳統)은 일반적인 의미로는 습속(習俗)이 전대(前代)로부터 후대(後代)로 전해지는 것으로서, 동시에 시간적·공간적 구조를 제시하고 있. 이에 대하여 국가·민족의 전통을 자랑으로 강조하는 경우가 많. 이 경우에는 단순한 습속만이 아니라 정신적·문화적인 것, 즉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것과 그 내용도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전통 · 더보기 »

정치

정치(政治, politics)에 대해 가장 널리 쓰이고 있는 학문적인 정의는 데이비드 이스턴(David Easton)이 내린 "가치의 권위적 배분(authoritative allocation of values)"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정치 · 더보기 »

종교

슬라브 신이교의 상징. 종교(宗敎)란 규정된 믿음을 공유하는 이들로 이루어진 신앙 공동체와 그들이 가진 신앙 체계나 문화적 체계(cultural system)를 말. 종교는 인간과 관련된 존재의 우주적 질서(a cosmic order of existence)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종교 · 더보기 »

종교 개혁

95개조 반박문 종교 개혁(宗敎 改革)은 1517년 10월 31일 종교 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당시 로마 가톨릭 교회의 대사부(면벌부) 판매, 연옥에 대한 교황권 주장, 그리고 공로사상을 비판한 내용의 95개조 반박문을 발표로 시작된 사건으로, 부패한 교회를 오직 성경의 권위와 오직 은혜(sola gratia)와 오직 믿음(sola fide)을 강조함으로써 교회와 교회의 제도를 새롭게 개혁시키고자 했던 교회 개혁 운동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종교 개혁 · 더보기 »

종교 개혁가

종교 개혁가(宗敎 改革家)란 16세기 유럽에서 로마 카톨릭 교회를 개혁하였던 개신교 인물들로서 마르틴 루터, 울리히 츠빙글리, 필리프 멜란히톤, 장 칼뱅, 마르틴 부서, 기욤 파렐, 테오도르 드 베즈, 외콜람파디우스, 볼프강 카피토, 피터 버미글리, 하인리히 불링어, 테오도르 드 베즈, 피에르 비레 와 같은 신학자들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종교 개혁가 · 더보기 »

주님의 기도

주님의 기도는 기독교의 기도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주님의 기도 · 더보기 »

질병

병(疾病)이란 유기체의 신체적 기능이 비정상적으로 된 상태를 일컫.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질병 · 더보기 »

착취

착취(搾取, exploitation)란 계급 사회에서 하위 계급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생산물을 상위 계급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고 취득하는 것을 말.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착취 · 더보기 »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책(冊)은 일정한 목적으로 쓴 글 및 참고 자료 등을 덧붙여 묶은 것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책 · 더보기 »

체코슬로바키아

슬로바키아()는 1918년부터 1992년까지 (제2차 세계 대전 기간을 제외하고) 중앙유럽에 있었던 공화국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체코슬로바키아 · 더보기 »

천문학

불규칙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별 생성영역. 초신성 잔해의 하나인 게 성운 천문학(天文學)은 별이나 행성, 혜성, 은하와 같은 천체와, 지구 대기의 바깥쪽으로부터 비롯된 현상(예를 들면,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천문학 · 더보기 »

천국

국(天國, 하늘나라)은 하늘 또는 그 이상으로 끝없이 확장되는 천상의 영역을 의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천국 · 더보기 »

출판

(出版)이란 판매·배포를 목적으로 문서나 도화(圖畫)를 복제해, 이를 서적이나 잡지의 형태로 발행하는 것을 말. 출판을 전문적으로 하는 회사를 출판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출판 · 더보기 »

축자영감설

축자영감설(逐字靈感說, verbal inspiration)은 성서는 글자까지도 하나님의 영감으로 기록되었기 때문에 단 한 글자도 틀림이 없으며, 오류가 없는 사실이라고 주장하는 기독교 근본주의적 성경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축자영감설 · 더보기 »

칭의

칭의() 또는 의화(義化)는 웹스터 사전에 따르면 하나님에 의해 의로워진 행위, 과정, 상태(the act, process, or state of being justified by God)이며,인간이 죄의 책임과 처벌로 부터 의롭고 자유롭게 여겨지는(made or accounted just, or free) 하나님의 행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칭의 · 더보기 »

카를 5세

를 5세(1500년 2월 24일 - 1558년 9월 21일)는 1519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1530년부터 이탈리아 국왕 카를 5세()였기도 하였고, 1516년에서부터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카를 5세 · 더보기 »

칼케돈 신경

신경 또는 칼케돈 신앙 정식은 서기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채택한 신앙 고백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칼케돈 신경 · 더보기 »

유럽

리 받아들여지는 '''유럽'''의 정의:- 녹색은 지리적 유럽- 진한 파랑색은 문화적 유럽 (옅은 파랑색은 유럽 국가의 아시아 부분) 유럽() 또는 구주(한자: 歐洲), 구라파(한자: 歐羅巴)는 대륙 중 하나로, 우랄 산맥과 캅카스 산맥, 우랄 강, 카스피 해, 흑해와 에게 해의 물길을 분수령으로 하여 아시아와 구분한 지역을 일컫.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유럽 · 더보기 »

윤리학

윤리학(倫理學)은 도덕의 원리, 기원, 발달, 본질과 같은 인간의 올바른 행동과 선한 삶을 사회 전반에 걸쳐 근원적이고 총괄적으로 규명하는 철학의 주요 분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윤리학 · 더보기 »

율법

율법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율법 · 더보기 »

파문

문(破門)은 기독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나 윤리상 중대한 잘못을 저지른 기독교인을 공동체로부터 축출하는 조처를 뜻. 보통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바깥을 뜻하는 Ex와 모든 성인의 통공(사도신경 참조)를 뜻하는 Communion이 더해진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파문 · 더보기 »

탁상담화

《탁상담화》(The Table Talk Of Martin Luther)는 마르틴 루터가 자택 식탁에서 필리프 멜란히톤, 카스파르 크루치거, 유스투스 요나스, 비투스 디트리히, 요한 부겐하겐, 요한 포스터 같은 다양한 부류의 신학자들과 더불어 신앙과 교리 문제에 관해 나눈 대화를 주제별로 정리한 책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탁상담화 · 더보기 »

술집

술집은 술을 파는 집을 뜻. 한자어로 '주점'(酒店)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술집 · 더보기 »

수도사

수도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수도사 · 더보기 »

수도원

브로디 수도원. 수도원(修道院)은 기독교의 수도사나 수녀들이 생활하는 장소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수도원 · 더보기 »

수녀

그레고리오 성가를 부르는 마리아의 딸회 수녀들 수녀(修女)는 독신으로 수도하는 여자를 가리키는 말로, 종교에 따라 수도녀(修道女).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수녀 · 더보기 »

수사학

수사학(修辭學,,, rhêtôr, orator, teacher)은 설득의 수단으로 언어의 사용법, 특히 대중 연설을 사용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수사학 · 더보기 »

영방국가

영방국가(領邦國家)는 중세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들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영방국가 · 더보기 »

영광의 신학

영광의 신학(theology of glory, theologia gloriae)이란 십자가의 신학과 반대적인 개념으로 인간의 공로로 구원을 받을수 있다고 주장.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영광의 신학 · 더보기 »

영광송

영광송(doxology)은 다양한 기독교 예배에서 주에게 찬미하는 짧은 찬송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영광송 · 더보기 »

영혼

영혼(靈魂)이란 육체에 깃들어 있는 정신적 추상적 실체를 말.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영혼 · 더보기 »

오직 성경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란 기독교 성경은 믿음과 실천의 유일하며 무오한 규칙이라고 믿는 기독교 신학 교리이. 이것은 종교회의나 어떤 교회의 규칙보다도 오직 성경이 최고의 권위를 갖는 하나님이 말씀이며, 모든 것들에 앞서서 주장되어야 하며, 다른 신학적 주장은 오직 성경으로 검증되어야 한다는 것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오직 성경 · 더보기 »

예레미야

미켈란젤로의 예레미야 그림 예레미야(Jeremiah, /dʒɛrɨˈmaɪ.ə/, יִרְמְיָה, Yirməyāhū)는 눈물의 선지자(Weeping prophet)로도 불리는 히브리어 성경의 주요 선지자 또는 예언자 가운데 한 명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예레미야 · 더보기 »

예배

예배(禮拜)는 문자적으로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 라는 뜻으로, 종교에서 신앙의 대상에게 존경과 숭앙하는 마음을 표현하는 것을 말. 각 종교마다 예배의 구체적 의미와 형식은 차이를 보일 수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예배 · 더보기 »

예수

예수(기원전 약 4년 ~ 기원후 약 30) 또는 나사렛 예수는 유대교, 기독교, 그리고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인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예수 · 더보기 »

예언자

벤자민 웨스트의 그림 '숯불로 정화된 이사야의 입술'. 예언자(豫言者, 영어: prophet)는 일반적으로 앞일을 미리 말하는 사람이라는것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나, 구약성서에 나오는 예언자들은 야훼의 말씀을 전달하는 사람들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예언자 · 더보기 »

협박

협박(脅迫)은 남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위협하는 행위로, 대한민국의 형법에서는 상대에게 공포심을 일으키기 위하여 생명·신체·자유·명예·재산 따위에 해(害)를 가할 것을 통고하는 일을 말.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협박 · 더보기 »

언어학

일반적으로 언어학(言語學)은 인간의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언어학 · 더보기 »

얀 후스

250px 얀 후스(Jan Hus, 1372년? ~ 1415년 7월 6일)는 체코의 기독교 신학자이며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얀 후스 · 더보기 »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 에르푸르트()는 독일 튀링겐 주의 주. 라이프치히에서 남서쪽 100km, 카셀의 남동쪽 113km, 하노버에서 남동쪽 180km에 위치하고 있으며, 에르푸르트 공항까지 뮌헨을 거쳐 갈 수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에르푸르트 · 더보기 »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신약성경의 서신 중 하나이며, 터키 에페소스 교회가 독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에페소인들에게 보낸 편지 · 더보기 »

역사

역사(歷史)는 오랜 역사, 지난 시대에 남긴 기록물,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등을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역사 · 더보기 »

연옥 (기독교)

연옥(燃獄)은 기독교 신학에서,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내세관 중의 하나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연옥 (기독교) · 더보기 »

표준 독일어

준 독일어(Standarddeutsch)는 독일어의 표준어로, 튀링겐 지방에서 말해지고 있는 동중부 방언을 기초로 한 것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표준 독일어 · 더보기 »

사람

사람 또는 호모 사피엔스()는 두 발로 서서 걸어 다니는 사람과의 영장류 동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람 · 더보기 »

사랑

월하정인, 혜원풍속도첩, 신윤복 작,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소장 사랑은 깊은 상호 인격적인 애정(deepest interpersonal affection)에서 단순한 즐거움까지를 아울러서 강하며 긍정적으로 경험된 감정적 정신적 상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랑 · 더보기 »

사도 파울로스

울로(가톨릭: 바오로 공동번역: 바울로 개역성경: 바울)는 초기 기독교의 전파와 신학에 주춧돌을 놓은 사도이며, 신약성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파울로스 서신을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인물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도 파울로스 · 더보기 »

사회

페루의 차이나 타운. 화교는 여러 나라에서 독자적이면서 닫힌 사회를 이루고 있다. 사회(社會, society)는 정치, 문화, 제도적으로 독자성을 지닌 공통의 관심과 신념, 이해에 기반한 다인(多人)의 개인적 집합, 결사체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회 · 더보기 »

사회학

사회학(社會學)은 사회를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회학 · 더보기 »

사제

신부(神父) 또는 사제(司祭)는 흔히 로마 카톨릭교회의 성직자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사제 · 더보기 »

산술

산술(算術, arithmetic)은 수학의 가장 역사 깊은 분야로, 수의 개념이나 수에 대하여 간단한 계산을 하는 방법, 그 성질이나 계산의 법칙 등의 이론적인 방법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산술 · 더보기 »

플루트

300px 플루트 (Flute)는 목관악기이자 기명악기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플루트 · 더보기 »

프리드리히 3세 폰 작센 선제후

루카스 크라나흐가 그린 초상화 작센의 프리드리히 3세(Friedrich III, Friedrich der Weise von Sachsen, 1463년 1월 17일 ~ 1525년 5월 25일)는 작센 선제후 (재위 1486년 ~ 1525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프리드리히 3세 폰 작센 선제후 · 더보기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리드리히 빌헬름 4세(Friedrich Wilhelm IV, 1795년 8월 15일 ~ 1861년 1월 2일)는 제6대 프로이센의 국왕(재위: 1840년 ~ 1861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더보기 »

설교

설교(說敎)는 기독교에서 성직자가 성경을 해석하는 예배의 순서이.다른 종교에서도 “설교”가 있지만, 이 문서에서는 기독교에 한정.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설교 · 더보기 »

성령

성령(聖靈)은 기독교의 성삼위 또는 삼위일체 교리에서 하나님을 이루는 세 위격(페르소나,Hypostasis)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령 · 더보기 »

성경

성경 또는 성서 (聖經, 聖書, Bible)은 유대교 및 기독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경 · 더보기 »

성경 번역

성경 번역(聖經飜譯)은 원본이 히브리어, 아람어와 코이네 그리스어로 쓰인 성경을 수많은 언어로 번역하는 일 또는 그렇게 번역된 책을 의미.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경 번역 · 더보기 »

성인 (종교)

성인(聖人, saint)은 종교에서 성인됨(聖, holiness)의 상태를 선천적으로건 후천적으로건 가졌거나 보인 사람들로서 타 신도들에게 모범이 되는 사람을 말. (이 문서에서는 각 종교들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한다.) 한편, 종교 외적으로도, 윤리적으로 특히 훌륭한 삶을 산 사람을 높여 부를 때 성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인 (종교) · 더보기 »

성직자

성직자 성직자(聖職者)는 신학교육 등을 통해 종교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고 있는 종교지도자를 말. 이들은 종교를 믿는 신도들을 종교집회나 교리교육을 통해 지도할 의무와 책임을 갖고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직자 · 더보기 »

성찬

성찬() 또는 성만찬(The Holy Communion), "주님의 만찬"은 기독교의 성례전(Sacrament, 또는 성사)중 하나이며, 최후의 만찬 때 그리스도가 자신의 죽음을 기념하여 빵과 포도주를 나누라고 하셨다는 복음서 말씀을 따르는 성례전 또는 성사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찬 · 더보기 »

성서비평학

성서비평학 또는 성경비평학은 성서에 대한 비평학적 접근, 즉 기독교에서 성서의 역사적 배경과 사실성, 양식과 문학적인 요소(문체 등), 저자가 사용한 자료, 자료의 편집구조, 저자가 사용한 수사학 등을 비평하는 학술적인 읽기 방법을 말.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서비평학 · 더보기 »

성서학

성서학(聖書學) 또는 성경학(聖經學)은 유대교와 기독교의 성서 및 관련 문헌을 학술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성서학 · 더보기 »

세계 공의회

세계 공의회(世界公議會, 영어: ecumenical councils, 라틴어: Concilium Ecumenicum)는 교리와 의식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고 규정하기 위하여 “전체 교회”의 주교와 대표자들을 소집하여 진행하는 기독교의 종교회의인데, “전체 교회”의 의미는 교파마다 차이가 있. 예를 들어 로마 가톨릭의 경우 로마의 주교와 상통관계(full communion)가 있는 신자들을 일컫.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세계 공의회 · 더보기 »

토라

1830년쯤 독일에서 발견된 토라 토라(율법)는 구약성서의 첫 다섯 편으로, 곧 창세기·탈출기· 레위기·민수기·신명기를 말. 흔히 모세오경(모세五經, תּוֹרַת־מֹשֶׁה)이나 모세율법이라고도 하며 유다교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토라 · 더보기 »

토마스 뮌처

마스 뮌처 초상. 크리스토펠 반 시켐의 1608년 판화.뮌처 생존 당대의 초상은 남아 있는 것이 없다. 혹자는 이 판화는 한스 홀바인이 바젤에서 뮌처를 그린 그림을 보고 베낀 것이라고도 하지만, 모든 증거는 홀바인이 뮌처가 1524년 말 바젤을 방문하기 전에 홀바인은 프랑스를 떠났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가능성으로는 제발트 베함이 원래 그림을 그렸을 수도 있다. 베함은 소위 뉘른베르크의 신을 믿지 않는 세 화가 중 한 명이었는데, 뮌처는 1524년 뉘른베르크를 방문했다. 토마스 뮌처(Thomas Münzer, 1489년? ~ 1525년 5월 27일)는 종교개혁 시기에 활동한 독일의 급진 종교 개혁가이며 재세례파 지도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토마스 뮌처 · 더보기 »

토마스 카예탄

마스 카예탄(Thomas Cajetan, 149년 2월 20일 - 1534년 8월 9일)은 Gaetanus, Tommaso de Vio, 그리고 Thomas de Vio로 알려진 인물로 이탈리아의 철학자, 신학자, 추기경 (1517년부터 죽을 때까지)및 설교권 주교(Master of the Order of Preachers, 1508-18) 였. 그는 마틴 루터와 프로테스탄스 종교개혁의 주장에 반대하여 로마 가톨릭 교회를 대변하는 주도적 신학자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토마스 카예탄 · 더보기 »

토머스 크랜머

머스 크랜머(Thomas Cranmer, 1489년-1556년)는 캔터베리 대주교이자 종교 개혁 시기의 기독교 신학자이며 종교 개혁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토머스 크랜머 · 더보기 »

토머스 칼라일

머스 칼라일의 모습. 1870년대의 작품. 토머스 칼라일(Thomas Carlyle, 1795년 ~ 1881년)은 영국의 평론가·역사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토머스 칼라일 · 더보기 »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마르틴 루터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Martin-Luther-Universität Halle-Wittenberg)는 독일 작센안할트 주 할레와 비텐베르크에 있는 대학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할레-비텐베르크 대학교 · 더보기 »

야훼

야훼, 또는 야웨()는 유대교의 유일신의 고유한 이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야훼 · 더보기 »

한국

국(韓國) 또는 조선(朝鮮)은 한민족의 나라를 말. 현대사에서 한국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한국 · 더보기 »

한국의 기독교

국의 기독교()는 크게 보면 두 집단으로 나뉘는데,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 2015년 기준 약 980만 명의 개신교와 약 380만 명의 천주교로 구성.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한국의 기독교 · 더보기 »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초상화 1541/42 안드레아스 루돌프 보덴슈타인 폰 카를슈타트(1486년 – 1541년 12월 24일)은 종교 개혁 시대에 활동한 독일 카를슈타트암마인 출신의 급진 종교 개혁가이. 루터와 함께 라이프치히 논쟁에서 요한 에크를 비판하였.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안드레아스 카를슈타트 · 더보기 »

하나님

은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 예수 그리스도 후기성도 교회 및 이슬람교에서 그들의 신을 일컫는 데 사용하는 용어로, 하느님은 '한분'이시다, 는 유일신 사상에 그 기본뿌리를 두고 정하고 있. 하나님은 절대적 최고자(God), 만물의 창조자, 만물의 주재자 등을 일컫.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하나님 · 더보기 »

하이델베르크

이델베르크(Heidelberg)는 독일 라인 강의 지류, 네카르 강변의 대학도시·관광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하이델베르크 · 더보기 »

하이델베르크 논쟁

 하이델베르크 논쟁 (Heidelberg Disputation)은 1518년 4월 25일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 강당에서 열. 마틴 루터 (Martin Luther)는 수도원 대의원으로서 그의 견해를 분명히 밝히기 시작.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하이델베르크 논쟁 · 더보기 »

필리프 멜란히톤

리프 멜란히톤 필리프 멜란히톤(Philipp Melanchthon, 원명: 필리프 슈바르체르트 Philipp Schwarzert, 1497년 2월 16일 브레텐 출생, 1560년 4월 19일 비텐베르크 사망)은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개혁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필리프 멜란히톤 · 더보기 »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서간 또는 빌립보서는 신약성경의 11번째 책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필립비인들에게 보낸 편지 · 더보기 »

아우구스티누스

성 아우렐리우스 아우구스티누스 히포넨시스(354년 11월 13일 ~ 430년 8월 28일)는 4세기 북아프리카인 알제리 및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기독교 신학자이자 주교로, 개신교, 로마 가톨릭교회 등 서방 기독교에서 교부로 존경하는 사람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아우구스티누스 · 더보기 »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아우구스티노회의 문장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또는 아우구스티노회는 로마 가톨릭교회 소속의 기독교 수도회로서, 창설은 조금 더 오래전이지만, 13세기에 기존의 여러 아우구스티노 수도 단체를 하나로 통합하여 정식으로 구성되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아우구스티노 수도회 · 더보기 »

아우크스부르크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는 독일 바이에른 주 남서쪽에 위치한 시(kreisfreie Stadt)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아우크스부르크 · 더보기 »

아이슬레벤

시청과 안드레아스 교회 아이슬레벤()은 독일 중동부 작센안할트 주에 있는 도시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아이슬레벤 · 더보기 »

악(惡)은 도덕적, 또는 종교적 관점에서 부정적인 것을 가리.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악 · 더보기 »

학문

학문(學問, Academia)은 배우고 익히는 것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학문 · 더보기 »

학습

미래의 학교. (1901년 또는 1910년) 학습(學習) 또는 배움은 본능적인 변화인 성숙과는 달리, 직간접적 경험이나 훈련에 의해 지속적으로 지각하고, 인지하며, 변화시키는 행동 변화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학습 · 더보기 »

신성 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은 중세에서 근대 초까지 이어진 기독교 성향이 강한 유럽 국가들의 정치적 연방체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신성 로마 제국 · 더보기 »

신약성경

신약성경(新約聖經) 또는 신약성서(新約聖書)는 기독교의 경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신약성경 · 더보기 »

신학

신학(神學)은 전통적으로 하나님(신, The Divine, The God) 그 자체를 정경이나 이성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구하거나 신과 관련된 교리와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신학 · 더보기 »

십자가

십자가(十字架)는 고대부터 유래되었으며, 로마 제국에서는 십자가형(Cruxification)에 쓰이던 사형틀이었지만, 예수가 십자가형에 처해진 사건으로 인하여 그리스도의 대속적인 죽음을 생각케 하는 기독교의 유명한 상징이 되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십자가 · 더보기 »

십자가의 신학

십자가의 신학()는 마르틴 루터가 중세 스콜라주의 신학자들의 영광의 신학을 반대하고 고난속에 숨어계진 하나님을 주장한 기독교 신학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십자가의 신학 · 더보기 »

시민혁명

시민혁명(市民革命)은 봉건제 또는 절대군주제를 타도하고 법률상 자유·평등한 시민 계급이 지배하는 사회를 건설하는 정치적·사회적 변혁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시민혁명 · 더보기 »

시편

시편(詩篇)은 유대교에서 쓰는 타나크(기독교에서 쓰는 구약성경)의 일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시편 · 더보기 »

황금

황금(黃芩, 문화어: 속썩은풀)은 꿀풀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황금 · 더보기 »

황제

황제(皇帝)는 제국(帝國)의 세습 군주의 존호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황제 · 더보기 »

10월 12일

10월 1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85번째(윤년일 경우 28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0월 12일 · 더보기 »

10월 31일

10월 3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04번째(윤년일 경우 30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0월 31일 · 더보기 »

11월 10일

11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14번째(윤년일 경우 31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1월 10일 · 더보기 »

12월 10일

12월 10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44번째(윤년일 경우 34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2월 10일 · 더보기 »

141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414년 · 더보기 »

14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418년 · 더보기 »

148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483년 · 더보기 »

150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02년 · 더보기 »

150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05년 · 더보기 »

151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15년 · 더보기 »

151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16년 · 더보기 »

1517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17년 · 더보기 »

151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18년 · 더보기 »

1519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19년 · 더보기 »

1520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0년 · 더보기 »

1521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1년 · 더보기 »

1522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2년 · 더보기 »

1523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3년 · 더보기 »

1524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4년 · 더보기 »

152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5년 · 더보기 »

1528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28년 · 더보기 »

1545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45년 · 더보기 »

1546년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546년 · 더보기 »

1월 3일

1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1월 3일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2008년 · 더보기 »

2월 18일

2월 18일은 그레고리력으로 49번째(윤년일 경우도 4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2월 18일 · 더보기 »

3월 6일

3월 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65번째(윤년일 경우 6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3월 6일 · 더보기 »

4월 16일

4월 16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6번째(윤년일 경우 107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4월 16일 · 더보기 »

4월 17일

4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7번째(윤년일 경우 108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4월 17일 · 더보기 »

6월 13일

6월 1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64번째(윤년일 경우 165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6월 13일 · 더보기 »

6월 24일

6월 2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75번째(윤년일 경우 176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6월 24일 · 더보기 »

7월 17일

7월 17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98번째(윤년일 경우 199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7월 17일 · 더보기 »

7월 2일

7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83번째(윤년일 경우 184번째) 날에 해당.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7월 2일 · 더보기 »

95개 논제

95개조 반박문 95개 반박문이 게시된 비텐베르그 교회 문 교회안에서 면죄부를 파는 모습 1521년 95개 논제(Martin Luther’s Ninety-five Theses)또는 95개조 반박문은 성 베드로 대성당의 신축 비용 등을 확보하기 위해 로마 가톨릭 교황이 면죄부 발행을 남발하자, 이에 항의하여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비텐베르크 대학 교회의 정문에 내붙인 것을 말. 이 사건은 종교 개혁의 신호탄으로 평가받고 있.

새로운!!: 마르틴 루터와 95개 논제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95개 조항, 95개조 명제, 루터, 말틴 루터, 말틴루터, 마틴 루터, 마틴루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