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면역학

색인 면역학

면역학(免疫學, immunology)은 여러 생물체의 면역계에 대해 연구하는 생물의학(biomedical)의 한 분야이.

31 처지: B세포, 루이 파스퇴르, 류머티즘, 림포카인, 면역계, 과민증, 병원체, 기생물, 비만 세포, 대식세포, 단핵구, 우두 (질병), 자가면역질환, 자연 살해 세포, 히스타민,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제1형 당뇨병, 전신 홍반성 루푸스, 체액 면역, 천연두, 생리학, 생물체, 수지상 세포, 에드워드 제너, 선천 면역, 세포 매개 면역, 항원, 알레르기, , 후천면역결핍증후군, T세포.

B세포

B 세포(B細胞, B cell)는 림프구 중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이.

새로운!!: 면역학와 B세포 · 더보기 »

루이 파스퇴르

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년 12월 27일 - 1895년 9월 28일)는 프랑스의 생화학자이며 로베르트 코흐와 함께 세균학의 아버지로 불린.

새로운!!: 면역학와 루이 파스퇴르 · 더보기 »

류머티즘

머티즘(Rheumatism)은 결합 조직이나 관절에 통증을 유발하는 의학 문제를 일컫는 용어이며, 풍습(風濕)이.

새로운!!: 면역학와 류머티즘 · 더보기 »

림포카인

림포카인은 시토카인의 부분집합으로, 림프구에 의해 생성.

새로운!!: 면역학와 림포카인 · 더보기 »

면역계

탄저균(그림에서 주황색)을 섭식하고 있는 호중구(그림에서 노란색)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면역계(免疫系)는 생물체 내에서 병원체 등의 비자기 물질(외인성 항원, Exogenous antigen)이나 암세포 등의 비정상적인 세포를 인식하고 살균하여 생체를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 생물학적인 구조 및 과정을 의미.

새로운!!: 면역학와 면역계 · 더보기 »

과민증

민증(過敏症, anaphylaxis)는 급성 앨러지 반응의 하나로 항원과 항체 Ig E가 매개하는 항체간의 급격한 항원-항체 반응으로 일어.

새로운!!: 면역학와 과민증 · 더보기 »

병원체

병원체(病原體)란 바이러스, 세균 등 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등을 가리.

새로운!!: 면역학와 병원체 · 더보기 »

기생물

생충寄生物)은 다른 종 생물에 기생하는 생물을 말한다. 보통 기생물이라 하면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제외하는 것이 보통이다. 체내 기생물과 체외 기생물로 구별하는데 이를테면 뿌리가 없어서 나무에 기생하는 식물인 겨우살이는 체외기생물에 속한다. 하지만, 숙주를 죽이면서 기생하는 기생벌이나 기생파리 등은 기생물이라고 하지 않고 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면역학와 기생물 · 더보기 »

비만 세포

비만 세포 비만 세포(肥滿細胞, mast cell, mastocyte, labrocyte)는 알레르기의 주요인이 되는 면역 세포이.

새로운!!: 면역학와 비만 세포 · 더보기 »

대식세포

의 대식세포 대식세포(大食細胞, Macrophage)는 선천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한 세포이.

새로운!!: 면역학와 대식세포 · 더보기 »

단핵구

핵구(單核球, monocyte) 또는 단구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식세포의 일종으로 대식세포나 수지상 세포로 분화할 수 있. 분류:세포 분류:세포생물학.

새로운!!: 면역학와 단핵구 · 더보기 »

우두 (질병)

우두(牛痘)는 DNA 바이러스의 일종으로 고양이, 사람, 소 등 다양한 동물을 숙주.

새로운!!: 면역학와 우두 (질병) · 더보기 »

자가면역질환

자가 면역 질환(自家免疫疾患, autoimmune disease)은 자가 면역으로 나타나는 질병이.

새로운!!: 면역학와 자가면역질환 · 더보기 »

자연 살해 세포

NK세포(NK cell, Natural killer cell)는 선천면역을 담당하는 중요한 세포이.

새로운!!: 면역학와 자연 살해 세포 · 더보기 »

히스타민

히스타민은 외부자극(스트레스, stress)에 대하여 신체가 빠른 방어 행위를 하기 위하여 분비하는 유기 물질 중의 하나이.

새로운!!: 면역학와 히스타민 · 더보기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1845년 5월 15일(율리우스력 5월 3일) ~ 1916년 7월 15일)는 러시아의 생물학자, 세균학자이.

새로운!!: 면역학와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더보기 »

제1형 당뇨병

제1형 당뇨병(第1型 糖尿病) 또는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依存型糖尿病)은 자기면역반응에 의해 췌장 속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랑게르한스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에 의한 정상적인 포도당 저장이 불가능해져서 발생하는 당뇨병의 한 형태이.

새로운!!: 면역학와 제1형 당뇨병 · 더보기 »

전신 홍반성 루푸스

전신 홍반성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또는 전신 홍반성 낭창 또는 그 일반적인 줄임말 ‘루푸스(Lupus)’는 머리글자만 따서 ‘S.L.E’ 라고도 불리며, 세포핵의 특정 단백질에 대한 자가항체가 생성되고 면역계의 이상에 의해 자신의 세포나 조직이 파괴되는 ‘만성 염증성 자가 면역성 질환’이.

새로운!!: 면역학와 전신 홍반성 루푸스 · 더보기 »

체액 면역

B세포 활성화는 체액의 면역 반응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체액 면역(體液免疫, humoral immunity)은 백혈구의 일종인 B세포에 의하여 만들어진 항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면역 반응을 말. 항원을 잡아먹은 수지상세포는 효소로 항원을 잘게 조각낸 후 ER에서 만들어진 MHC Ⅱ와 항원 조각을 ER안에서 조립한 다음 세포막에 발현.

새로운!!: 면역학와 체액 면역 · 더보기 »

천연두

연두(天然痘) 또는 두창(痘瘡), 마마(媽媽, smallpox)는 천연두바이러스(바리올라 마요르) 또는 작은마마바이러스(바리올라 미노르) 중 하나에 감염되면 발생하는 전염병이었.

새로운!!: 면역학와 천연두 · 더보기 »

생리학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그림으로서, 생리학과 깊은 연관이 있는 그림이기도 하다. 생리학(生理學)은 생물체의 "기능"을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이.

새로운!!: 면역학와 생리학 · 더보기 »

생물체

생물체는 생명현상을 가지는 한 개체를 말. 일반적으로 개체라고 연구자들은 말.

새로운!!: 면역학와 생물체 · 더보기 »

수지상 세포

수지상 세포 수지상 세포(樹枝狀 細胞, dendritic cell)는 포유류의 면역계를 구성하는 면역 세포이.

새로운!!: 면역학와 수지상 세포 · 더보기 »

에드워드 제너

에드워드 제너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 1749년 5월 17일 ~ 1823년 1월 26일)은 영국의 의사이.

새로운!!: 면역학와 에드워드 제너 · 더보기 »

선천 면역

선천 면역(先天免疫) 또는 자연면역(自然免疫), 내재 면역(內在免疫)은 비특이적인 방법으로 숙주가 감염되지 않도록 방어하는 세포나 기작으로, 특정의 병원체를 기억하지 아니하고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면역 체계를 가리.

새로운!!: 면역학와 선천 면역 · 더보기 »

세포 매개 면역

세포 매개 면역(細胞媒介免疫, cell-mediated immunity) 은 항체가 관여하는 체액 면역과 대응되는 개념으로 세포가 자기와 비자기를 구별해내서 비자기 세포를 파괴하는 면역 과정을 말. 세포 매개 면역은 항원특이적인 반응과 항원 비특이적인 반응 두가지가 있.

새로운!!: 면역학와 세포 매개 면역 · 더보기 »

항원

255px 항원(抗原)은 면역 반응을 일으켜 특히 항체를 생산하게끔 만드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생명체내에서 이물질로 간주되는 물질의 총체이.

새로운!!: 면역학와 항원 · 더보기 »

알레르기

알레르기() 또는 앨러지()는 면역 시스템의 오작동으로 보통 사람에게는 별 영향이 없는 물질이 어떤 사람에게만 두드러기, 가려움, 콧물, 기침 등의 이상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

새로운!!: 면역학와 알레르기 · 더보기 »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A)과 암세포의 분열(B) 암(癌, Cancer) 혹은 악성종양(惡性腫瘍, Malignant tumor, Malignant neoplasm)은 세포주기가 조절되지 않아 세포분열을 계속하는 질병으로, 폐암·위암·유방암·대장암 등이 있. 암은 어느 조직에서나 발생할 수 있지만, 머리카락이나 손발톱 등과 같이 성장이 없는 죽은 세포조직에서는 발생이 되지 않. 또한 조직별로 발생빈도가 다른데, 예를 들어 유방암의 경우에는 왼쪽 상단에는 40%의 발병률이 있으나 오른쪽 하단에는 21% 정도에 지나지 않.

새로운!!: 면역학와 암 · 더보기 »

후천면역결핍증후군

후천면역결핍증후군(後天免疫缺乏症候群,; 에이즈)는, HIV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병하면 나타나는 전염병이.

새로운!!: 면역학와 후천면역결핍증후군 · 더보기 »

T세포

혈구의 전자현미경 사진. 가장 오른쪽에 있는 세포가 T세포이다. T세포(T細胞, T cell) 또는 T림프구(T lymphocyte)는 항원 특이적인 적응 면역을 주관하는 림프구의 하나이.

새로운!!: 면역학와 T세포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면역학자.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