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멸 (4상)와 열반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멸 (4상)와 열반의 차이

멸 (4상) vs. 열반

멸(滅) 또는 무상(無常)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멸 (4상)와 열반의 유사점

멸 (4상)와 열반는 공통적으로 16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무상, 무아, 가립, 가법, 경량부, 법 (불교), 고 (불교), 부파불교, 대승불교, 자성 (불교), 중생, 유가행파, 유위와 무위, 열반, 삼법인, 설일체유부.

무상

무상(無常) 또는 비상(非常)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즉 영원하지 않은 것을 말.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근본불교의 사상 > 무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무상: 無常 무상이란 끊임없이 변화하고 생멸(生滅)하며 시간적 지속성이 없음을 말. 불교에서는 일반적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이라는 명제로써 무상을 설명.

멸 (4상)와 무상 · 무상와 열반 · 더보기 »

무아

무아(無我)는 산스크리트어 아나트만(anātman, anatman) 혹은 니르아트만(nir-ātman)의 번역어로 비아(非我).

멸 (4상)와 무아 · 무아와 열반 · 더보기 »

가립

립(假立) 또는 가설(假設)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또는 으로, '실재하는 실체'가 아닌 것을 마치 실재하는 실체인 것처럼 삼는 것을 말. 즉 실법(實法) 또는 실유(實有) 즉 실재하는 법 또는 존재가 아닌 것을 마치 실재하는 법 또는 존재인 것처럼 삼는 것으로, 이렇게 하여 세운 법을 가법(假法) 또는 가유(假有) 즉 실재하지 않는 법, 일시적인 법 또는 임시적인 법이.

가립와 멸 (4상) · 가립와 열반 · 더보기 »

가법

법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가법와 멸 (4상) · 가법와 열반 · 더보기 »

경량부

경량부(經量部,, 숫타바다)는 인도의 부파불교의 한 부파이.

경량부와 멸 (4상) · 경량부와 열반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멸 (4상)와 법 (불교) · 법 (불교)와 열반 · 더보기 »

고 (불교)

(苦)는 괴로움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

고 (불교)와 멸 (4상) · 고 (불교)와 열반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멸 (4상)와 부파불교 · 부파불교와 열반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대승불교와 멸 (4상) · 대승불교와 열반 · 더보기 »

자성 (불교)

자성(自性,, sva-laksana, svalakṣaṇa)은 다른 어떤 것과도 관계하지 않는 자기만의 특성이.

멸 (4상)와 자성 (불교) · 열반와 자성 (불교) · 더보기 »

중생

중생(衆生)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sattva)의 번역어로 유정(有情)이.

멸 (4상)와 중생 · 열반와 중생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멸 (4상)와 유가행파 · 열반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유위와 무위

불교에는 일체법(一切法) 또는 제법(諸法)을 분류하는 여러 방식이 있는데, 그 중에는 크게 유위법(有爲法)과 무위법(無爲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이 있. 이 분류 방식은 일체법을 크게 유루법(有漏法)과 무루법(無漏法)의 두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과 더불어 불교 전반에서 널리 사용되는 분류법이.

멸 (4상)와 유위와 무위 · 열반와 유위와 무위 · 더보기 »

열반

열반(涅槃)은 "(바람 등이) 불기를 멈추다(촛불 등을) 불어서 끄다(촛불 등이) 불어서 꺼진 상태"라는 뜻의를 음을 따라 번역한 말이.

멸 (4상)와 열반 · 열반와 열반 · 더보기 »

삼법인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은 불교의 교의를 요약하여 제시한 기치 또는 슬로건으로, 불교의 기본적 입장을 특징적으로 보여 주는 근본불교 시대에 발생한 교의이.

멸 (4상)와 삼법인 · 삼법인와 열반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멸 (4상)와 설일체유부 · 설일체유부와 열반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멸 (4상)와 열반의 비교.

멸 (4상)에는 43 개의 관계가 있고 열반에는 76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3.45%입니다 = 16 / (43 + 76).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멸 (4상)와 열반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