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목성의 위성

색인 목성의 위성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69개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위성 수가 가장 많.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

84 처지: 레다 (위성), 로마 숫자, 리시테아 (위성), 망원경, 메가클리테, 메티스 (위성), 목성, 목성 트로이군, 목성의 고리, 목성의 위성, 명왕성, , 므네메 (위성), 각 (수학), 감덕, 갈릴레이 위성, 갈릴레오 (우주선), 갈릴레오 갈릴레이, 바다, 강착, 가니메데 (위성), 보이저 1호, 보이저 2호, 공전 주기, 궤도, 궤도 경사, 궤도 공명, 궤도 이심률, 궤도면, 불규칙 위성, 그리스 신화, 규칙 위성, 기가미터, 긴반지름, 국제천문연맹, , 디아 (위성), 뉴 허라이즌스, 스윙바이, 스티븐 P. 시넛, 히말리아 (위성), 이오 (위성), 제우스, 정역학적 평형, 주노 (우주선), 지름, 천문학의 임시 명칭, 카르포 (위성), 카시니-하위헌스, 칼리스토 (위성), ..., 유로파 (위성),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1호, 파시파에 (위성), 파시파에 군, 위성, 위성 목록, 태양계, 타원면, 수성, 얼음,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포리에 (위성), 역행 운동, 엘라라 (위성), 킬로그램, 세스 반스 니컬슨, 소행성, 소행성대, 아말테아 (위성), 아난케 (위성), 아난케 군, 아드라스테아 (위성), 테미스토 (위성), 테베 (위성), 시몬 마리우스, 시노페 (위성), 원시 행성계 원반, 왜행성, S/2003 J 12, 1036 가니메드, 52 유로파, 9 메티스.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34 더) »

레다 (위성)

목성 XIII로도 알려져 있고 목성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어머니 행성을 공전하는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레다 (위성) · 더보기 »

로마 숫자

마 숫자는 고대 로마에서 쓰인 기수법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로마 숫자 · 더보기 »

리시테아 (위성)

리시테아(Lysithea)는 목성의 자전 방향과 같은 쪽으로 목성을 공전하는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리시테아 (위성) · 더보기 »

망원경

스커버리 우주왕복선에서 바라본 허블 우주망원경 망원경(望遠鏡)은 렌즈나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적외선·자외선·엑스선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망원경 · 더보기 »

메가클리테

메가클리테(Megaclite)는 목성의 불규칙 역행위성이고 파시파에 군에 속해 있. 메가클리테의 지름은 약 5km이고 공전주기는 792일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메가클리테 · 더보기 »

메티스 (위성)

릴레오 탐사선이 촬영한 메티스. 메티스()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의 위성 중 목성과 가장 가깝.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메티스 (위성)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목성 · 더보기 »

목성 트로이군

양, 목성과 함께 정삼각형을 이루는 지점에 트로이 소행성들이 있다.(녹색) 소행성대(흰색)와 목성 사이에 있는 힐다 소행성 군(주황색)도 보인다. 목성 트로이군은 목성의 라그랑주점 L4와 L5 에 위치하는 소행성들의 집합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목성 트로이군 · 더보기 »

목성의 고리

의 고리 주요 구성성분을 보여주는 그림. 단순화를 위해, 메티스와 아드라스테아는 같은 궤도를 도는 것으로 나타냈다. 목성의 고리는 목성에 있는 고리를 말하며, 이는 토성과 천왕성에 이어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발견된 고리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목성의 고리 · 더보기 »

목성의 위성

목성과 네 개의 갈릴레이 위성의 모습(축척은 무시되어 있다). 주노 탐사선의 카메라로 촬영한 목성 주위 갈릴레이 위성들의 움직임. 목성의 위성은 현재까지 69개가 발견되었고, 따라서 목성은 태양계 행성 중 위성 수가 가장 많. 이 때문에 목성은 간혹 "작은 태양계"로 불리.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목성의 위성 · 더보기 »

명왕성

섬네일 명왕성(冥王星, Pluto) 또는 왜소행성 134340 명왕성(소행성명 134340 Pluto)은 카이퍼 대에 있는 왜행성이며, 현재 카이퍼 대에서 가장 큰 천체로 파악되었.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명왕성 · 더보기 »

물()은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 것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물 · 더보기 »

므네메 (위성)

므네메() 또는 목성 XL은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아난케 군에 속하는 역행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므네메 (위성) · 더보기 »

각 (수학)

학에서, 각(角)은 같은 끝점을 갖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도형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각 (수학) · 더보기 »

감덕

덕(甘德, 기원전 4세기경)은 고대 중국의 천문학자.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감덕 · 더보기 »

갈릴레이 위성

리스토이다. 갈릴레이 위성(Galilean moons) 또는 갈릴레오 위성은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목성 주변에서 발견한 4개의 위성을 뜻. 이들은 목성의 위성 중 크기가 큰 천체이며, 이들 위성의 이름은 이오, 에우로페, 가니메데스, 칼리스토 등 제우스(주피터; 즉 목성의 이름)의 연인의 이름을 따서 지었.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갈릴레이 위성 · 더보기 »

갈릴레오 (우주선)

릴레오 호(Galileo)는 미국 항공우주국의 목성 탐사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갈릴레오 (우주선)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바다

북해, 덴마크 연안 바다 또는 해양()은 지구 표면에서 전체 또는 일부가 육지로 둘러싸인 거대한 소금물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바다 · 더보기 »

강착

백색 왜성이 동반성의 구성물질을 강착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 강착(降着, Accretion)은 천체물리학에서, 전혀 다른 두 개의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강착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가니메데 (위성) · 더보기 »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Voyager 1)는 현재까지 작동하고 있는 NASA의 722 kg의 태양계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보이저 1호 · 더보기 »

보이저 2호

보이저 2호는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으로, 무게는 722 kg 이. 1977년 8월 20일에 발사.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공전 주기

공전 주기(公轉週期)는 행성 등이 궤도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을 말.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공전 주기 · 더보기 »

궤도

운동(軌道-)은 어떠한 물체가 중력 또는 전자기력 등에 의해 움직임을 구속받아 다른 물체 주위를 도는 현상을 의미.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궤도 · 더보기 »

궤도 경사

경사 '''''i'''''(초록색)와 다른 궤도 요소들을 그린 그림. 궤도 경사(軌道 傾斜)는 궤도의 모양과 방향을 설명하는 여섯 개의 궤도 요소중 하나로, 궤도가 중심 천체에 대하여 기울어진 정도를 말하며, 기준면과 궤도면 사이의 각도, 또는 기준면과 자전축 사이의 각도로 정의.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궤도 경사 · 더보기 »

궤도 공명

219px 궤도공명이란 천체역학에서, 공전하는 두 천체가 작은 정수비를 만족하는 공전 주기로 인해 서로에게 주기적으로 일정하게 중력적 영향을 가할 때 발생.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궤도 공명 · 더보기 »

궤도 이심률

쌍곡선 궤도 (이심률 = 1.3) 궤도 이심률(軌道 離心率)은 물체의 궤도가 완벽한 원에서 벗어나 있는 정도를 수치화한 정도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궤도 이심률 · 더보기 »

궤도면

각종 궤도 요소들을 나타낸 그림으로, 궤도면과 기준면(Plane of reference, 회색)이 표시되어 있다. 탈출하는 궤도이며, 원과 타원궤도(2)는 포획된 상태이다. 궤도면()은 어떠한 물체를 공전하는 물체의 공전 궤도가 포함되는 기하학적 평면으로, 천체물리학에서 주로 사용.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궤도면 · 더보기 »

불규칙 위성

색: 토성의 불규칙 위성 궤도, 빨간색: 규칙 위성 타이탄의 궤도 불규칙 위성은 모행성의 인력에 이끌려 위성이 된 경우로 모행성의 자전방향과 반대로 돌기도하며,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는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불규칙 위성 · 더보기 »

그리스 신화

오-클레멘티노 미술관, 원형 전시관) 그리스 신화(-神話)는 고대 그리스의 신과 영웅, 우주관, 그리고 그리스 고유의 종교 의례와 의식 행위의 기원 및 의미에 대한 신화와 전설을 말. 그리스 신화는 고대 그리스 종교의 한 부분을 이루고 있. 현대의 학자들은 고대 그리스 문명의 신화를 토대로 한 연구를 통하여 고대 그리스의 종교와 정치 제도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신화로 만들어지게 된 생성 원리를.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그리스 신화 · 더보기 »

규칙 위성

색: 토성의 불규칙 위성 궤도, 빨간색: 규칙 위성 타이탄의 궤도 규칙 위성은 모행성을 규칙적인 타원형 궤도를 그리며 공전하는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규칙 위성 · 더보기 »

기가미터

미터(단위: Gm)는 길이의 단위로, 1 기가미터는 1,000,000,000 미터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기가미터 · 더보기 »

긴반지름

원의 긴반지름 긴반지름은 타원과 쌍곡선의 변수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긴반지름 · 더보기 »

국제천문연맹

국제천문연맹(國際天文聯盟)은 천문학계의 국제적인.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국제천문연맹 · 더보기 »

자 ‘날 일’ 일(日, 기호: d), 날 또는 하루는 시간의 단위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날 · 더보기 »

디아 (위성)

아 (Dia), 는, 목성의 가장 바깥에서 두번째로 순행하는 히말리아군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디아 (위성) · 더보기 »

뉴 허라이즌스

이즌스(New Horizons:'새로운 지평선'이라는 뜻)는 명왕성으로 향하는 NASA이 추진하는 뉴 프런티어 계획의 일환인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뉴 허라이즌스 · 더보기 »

스윙바이

스윙바이(Swingby) 란 우주 탐사선의 항법 중 하나로 (슬링샷 혹은 그래비티-어시스트 라고도 한다) 행성의 중력을 이용하여 궤도를 조정하는 방법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스윙바이 · 더보기 »

스티븐 P. 시넛

스티븐 P. 시넛()은 보이저(Voyager) 계획의 과학자이자 사진 판독가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스티븐 P. 시넛 · 더보기 »

히말리아 (위성)

히말리아는 목성의 가장 큰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히말리아 (위성) · 더보기 »

이오 (위성)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이오 (위성) · 더보기 »

제우스

제우스 제우스(Zeus) 혹은 유피테르, 주피터() 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주신(主神)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제우스 · 더보기 »

정역학적 평형

정역학적 평형(靜力學的平衡, hydrostatic equilibrium)은 연속체 역학에서 유체가 움직이지 않거나, 또는 각 지점의 흐름 속도가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상태를 말. 중력 따위의 힘이 압력경도력에 의해 상쇄되면 정역학적 평형 상. 예컨대 지구 대기를 보면, 대기압 경도력이 중력으로 인해 대기가 얇고 밀도 높은 껍질 상태가 되는 것을 막아주고, 중력은 대기압 경도력으로 인해 대기가 우주 공간으로 흩어져 버리는 것을 막아준.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정역학적 평형 · 더보기 »

주노 (우주선)

주노(Juno)는 미국 항공 우주국의 목성 탐사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주노 (우주선) · 더보기 »

지름

원의 둘레 지름은 원 또는 구의 중심을 지나가는 직선으로 반지름의 두 배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지름 · 더보기 »

천문학의 임시 명칭

문학에서의 임시 명칭은 발견 직후 해당 천체의 궤도가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시점에 부여되며, 추후 궤도가 확인되면 정식 명칭을 부여받.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천문학의 임시 명칭 · 더보기 »

카르포 (위성)

르포(Carpo) 또는 목성 XLVI는 목성의 자연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카르포 (위성) · 더보기 »

카시니-하위헌스

시니-하위헌스(Cassini-Huygens)는 미국과 유럽의 공동 토성 무인 탐사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카시니-하위헌스 · 더보기 »

칼리스토 (위성)

리스토() 또는 목성 IV는 목성의 위성으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 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칼리스토 (위성)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0호

조립중인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0호의 발사 파이어니어 10호(Pioneer 10)는 1972년 3월 3일 발사되어, 처음으로 소행성대를 탐사하고 목성을 관찰한 우주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파이어니어 10호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1호

발사되는 파이어니어 11호 파이어니어 11호는 목성을 두 번째로 탐사하고, 토성과 토성의 테를 처음으로 탐사한 우주선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파이어니어 11호 · 더보기 »

파시파에 (위성)

시파에(일반적으로 "Pasiphaë"라고 표기한다)는 목성의 역행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파시파에 (위성) · 더보기 »

파시파에 군

시파에 군()은 목성의 역행 불규칙 위성 중 파시파에의 궤도와 비슷한 궤도를 돌고, 생성 원인이 같으리라고 추정되는 위성들의 모임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파시파에 군 · 더보기 »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위성 · 더보기 »

위성 목록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들을 도는, 공식적으로 인정된 위성들은 181개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위성 목록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태양계 · 더보기 »

타원면

학에서, 타원면(楕圓面)은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를 으깬 모양의 곡면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타원면 · 더보기 »

수성

수성(水星, 라틴어: Mercurius)은 태양계에서 태양과 가장 가까운 궤도를 도는 행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수성 · 더보기 »

얼음

름이 엉긴 나뭇가지. 얼어붙은 폭포 아이슬란드 해변에 밀려온 얼음덩어리 얼음은 물이 얼어 고체가 된 상태를 말. 수빙(水氷)이라고도 하며, 또 눈에서 생긴 얼음은 설빙(雪氷)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얼음 · 더보기 »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Edward Emerson Barnard, 1857년 12월 16일~1923년 2월 6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 · 더보기 »

에우리도메 (위성)

에우리도메(Eurydome) 또는 목성 XXXII는 목성의 자연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에우리도메 (위성) · 더보기 »

에우포리에 (위성)

에우포리에(Euporie, 또는), 또는 목성 XXXIV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에우포리에 (위성) · 더보기 »

역행 운동

역행 궤도: 중심 천체(파란색)의 자전과 반대 방향에 있는 위성(빨간색)의 궤도. 역행 운동(逆行 運動, retrograde motion)은 다른 물체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며, 순행 운동(順行 運動, direct 또는 prograde motion)의 반대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역행 운동 · 더보기 »

엘라라 (위성)

엘라라(Elara)는 순행하는 목성의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엘라라 (위성) · 더보기 »

킬로그램

국제 원기의 컴퓨터 생성 이미지. 킬로그램(“kilogram”이라는 철자는 국제 도량형국 및 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 영국 국립도량형국(National Measurement Office), 캐나다 국립연구소(National Research Council Canada),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도량형연구소(National Measurement Institute)에서 채택한 현대식 표기법이다. 전통적인 영국 영어 표기인 “kilogramme” 또한 때때로 사용된다.)은 SI 단위계에서 사용하는 질량의 기본 단위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킬로그램 · 더보기 »

세스 반스 니컬슨

세스 반스 니컬슨(1891년 9월 12일 ~ 1963년 7월 2일)은 미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세스 반스 니컬슨 · 더보기 »

소행성

소행성 433 에로스의 사진 소행성(小行星)은 목성 궤도 및 그 안쪽에서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행성보다 작은 천체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소행성 · 더보기 »

소행성대

소행성대 소행성대(小行星帶)는 화성 궤도와 목성 궤도 사이에 소행성이 많이 있는 영역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소행성대 · 더보기 »

아말테아 (위성)

아말테아(Amalthea)는 1892년 9월 9일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가장.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아말테아 (위성) · 더보기 »

아난케 (위성)

아난케(발음 기호는 이다.)는 목성의 역행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아난케 (위성) · 더보기 »

아난케 군

아난케 군(Ananke group)은 목성의 역행 위성임과 동시에 불규칙 위성들 중, 아난케의 궤도를 따라가는 위성들을 말. 아난케의 궤도를 쫓아가는 것으로 보아 공통의 기원을 가졌을 것이라 생각.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아난케 군 · 더보기 »

아드라스테아 (위성)

아드라스테아()는 목성의 위성으로, 목성과 두 번째로 가까운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아드라스테아 (위성) · 더보기 »

테미스토 (위성)

미스토(Themisto) 또는 목성 XVIII은 목성의 순행 불규칙 위성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테미스토 (위성) · 더보기 »

테베 (위성)

베(Thebe)는 1979년 3월 5일 보이저 1호가 촬영한 사진을 분석해 스티븐 P. 시넛가 발견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두 번.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신 아소포스의 딸인 테베에서 따왔.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테베 (위성) · 더보기 »

시몬 마리우스

시몬 마리우스(1573년 1월 20일 ~ 1625년 1월 5일)은 독일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시몬 마리우스 · 더보기 »

시노페 (위성)

시노페(Sinope)는 세스 반스 니컬슨이 릭 천문대에서 1914년에 발견한 목성의 역행하는 불규칙 위성이고 이름은 그리스 신화의 시노페에서 따왔.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시노페 (위성) · 더보기 »

원시 행성계 원반

예술가가 그린 원시 행성계 원반의 상상도. 원시 행성계 원반(protoplanetary disk, 줄여서 proplyd라고도 쓴다)은 갓 태어난 젊은 별(황소자리 T나 허빅 별) 주위를 회전하면서 둘러싸고 있는 짙은 가스 원반을 말. 가스 물질들이 행성계원반 안쪽에서 항성 표면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원시 행성계 원반을 강착 원반으로 부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원시 행성계 원반 · 더보기 »

왜행성

왜행성 에리스 왜행성(矮行星, dwarf planet)은 태양계를 돌고 있는 천체를 분류하는 기준 중 하나로, 국제천문연맹에서 2006년 8월 24일 정의하였.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왜행성 · 더보기 »

S/2003 J 12

목성의 자연위성으로, 태양계의 자연위성 중 가장 작. 는 2003년 하와이 대학교의 스콧 S. 셰파드가 주도한 연구팀이 발견하였.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S/2003 J 12 · 더보기 »

1036 가니메드

1036 가니메드()는 지름 30~34 km의 소행성으로, 지구 근접 소행성 중 가장.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1036 가니메드 · 더보기 »

52 유로파

52 유로파()는 소행성대에 있는 소행성 중 여섯 번째로 큰 소행성이며, 지름은 대략 315 km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52 유로파 · 더보기 »

9 메티스

9 메티스(9 Metis)는 소행성대의 소행성 중 하나이.

새로운!!: 목성의 위성와 9 메티스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목성의 내부 위성, 목성의 안쪽 위성, 아말테아 군.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