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물리학의 역사

색인 물리학의 역사

물리학은 물질의 구조, 운동과 그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을 분석하는 학문이.

300 처지: BCS 이론, 러더퍼드 원자 모형, 램지, 데모크리토스, 도플러 효과, 라듐,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온하르트 오일러, 레옹 푸코, 로렌츠, 로버트 보일,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로버트 훅,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루트비히 볼츠만, 루이 드 브로이, 르네 데카르트, , 리처드슨, 리언 레더먼, 리언 쿠퍼, 맥스웰 방정식, 맥스웰-볼츠만 분포, 만네 시그반, 만유인력의 법칙, 마르티뉘스 펠트만, 마리 퀴리, 마이클 패러데이, 마찰전기, 막스 플랑크, 멜빈 슈워츠, 메디치가, 목성, 물리학자, 물리학자의 목록, 물질파, 뮤 입자, 미적분학, 방사선, 발머 계열, 발터 네른스트, 갈릴레오 갈릴레이, 반사, 간섭, 가우스 법칙, 가우스 자기 법칙, 가속도, 건전지, 베르누이 방정식,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게이뤼삭의 법칙, 게오르크 옴, 번개,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고전역학, 고체물리학, 고온 초전도체, 고시바 마사토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일의 법칙, 보어 모형, 볼타 전지, 볼프강 파울, 과학사, 공기역학, 광전 효과, 광학, 관성, 불확정성 원리, 분자, 분산, 부피, 브라운 운동,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 빌헬름 빈,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빈 변위 법칙, 비전하, 비탈리 긴즈부르크, 빅토르 프란츠 헤스, , 빛의 속력,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굴절, 노벨 물리학상, 논리학, 뉴턴 운동 법칙, 닐스 보어,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다니엘 베르누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스넬의 법칙, 스펙트럼, 스콜라주의, 스티븐 와인버그, 우라늄, 우주선, 우주선 (물리), 운동량, 특수 상대성이론, 회절, 슈뢰딩거 방정식, 슈뢰딩거의 고양이, 슈테판-볼츠만 법칙, 요제프 슈테판,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요한 야코프 발머,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 발스, 자기, 자기장, 자크 샤를, 자연철학,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자석, 재료과학, 재규격화, 잭 스타인버거, 잭 킬비,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임계 현상, 펄서, 입자, 입자 가속기, 크리스티안 도플러,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폴로늄, 이븐 알하이삼, 이폴리트 피조, 이상기체 법칙, 일반 상대성이론, 음극선, 음향학, 흑체,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제1철학에 관한 성찰, 제2차 세계 대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채드윅, 제임스 프레스콧 줄, 제임스 와트, 전류, 전기, 전기 전도체, 전기·약 작용, 전자, 전자 현미경, 전자기 유도, 전자기파, 전자기학, 전하, 저온물리학, 조레스 알표로프, 조르주 샤르파크,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지프 존 톰슨, 존 돌턴, 존 로버트 슈리퍼, 존 바딘, 중력파, 중성미자, 중성자, 질량 보존의 법칙, 집적 회로, 진자, 지레, 지구물리학, 지구중심설, 천체물리학, 초전도 현상, 초유체,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카를 알렉산더 뮐러, 카를로 루비아, 칼 데이비드 앤더슨, 캐번디시, 켈빈, 켄들, 케네스 G. 윌슨, 케임브리지 대학교,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 코넬, 코펜하겐 해석, 쿨롱 법칙, 쿼크, 판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유체역학,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 율리우스 플뤼커, 파동, 윌리엄 길버트, 윌리엄 크룩스, 파울러, 파장, 파인먼 도형, 상대성이론, 상전이, 샤를 드 쿨롱, 샤를의 법칙, 태양중심설, 탈레스, 타일러,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학자, 오귀스탱 장 프레넬,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오토 한, 온도, 온도계, 올레 뢰머, 올리버 헤비사이드, 옴의 법칙,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로런스, 양자역학, 에르빈 슈뢰딩거,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에드워드 몰리, 에너지 보존 법칙, 에테르 (물리),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헤르만 폰 헬름홀츠,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헨리 캐번디시, 헨드릭 로런츠, 헬륨-3, 헬름홀츠 방정식, 역학 (물리학), 열복사, 열전자 방출, 열에너지, 열역학, 열역학 법칙,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열역학 제3법칙, 엑스선, 엔리코 페르미, 엔트로피, 엔탈피, 사이클로트론, 피에르 드 페르마, 피에르 퀴리, 피에르질 드 젠,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플랑크 법칙, 플랑크 상수, 플라톤, 프랭클린,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 프톨레마이오스, 섭씨, 속도, 토머스 영, 토머스 에디슨, 통계역학,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항공우주, 알레산드로 볼타, 알마게스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알파 입자, 안데르스 셀시우스,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하위헌스 원리, 핵분열, 아르놀트 조머펠트, 아르키메데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아리스토텔레스, 필립스,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아보가드로의 법칙,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이작 뉴턴, 압력, 압두스 살람, 앙리 베크렐, 앙드레마리 앙페르, 앙페르 회로 법칙, 앙투안 라부아지에, 셸던 리 글래쇼, 시몬 스테빈, 원자, 원자 모형, 원자 시계, 원자론, 원자핵, 원주율, 훅 법칙, 화씨, 와전류, W와 Z보손.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50 더) »

BCS 이론

BCS 이론은 초전도 현상의 원리를 양자역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BCS 이론 · 더보기 »

러더퍼드 원자 모형

원자모형으로 나타낸 리튬 러더퍼드 원자 모형은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1911년 제시한 원자 모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러더퍼드 원자 모형 · 더보기 »

램지

음 뜻으로 쓰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램지 · 더보기 »

데모크리토스

모크리토스(기원전 460년 무렵 ~ 380년 무렵)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데모크리토스 · 더보기 »

도플러 효과

왼쪽으로 움직이는 음원. 오른쪽 보다 왼쪽이 주파수가 더 높다.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도플러 현상, 도플러 편이 현상)는 어떤 파동의 파동원과 관찰자의 상대 속도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바뀌는 현상을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도플러 효과 · 더보기 »

라듐

(←, ←)은 화학 원소로 원소기호는 Ra(←), 원자번호는 88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라듐 · 더보기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 〈모나리자〉(1503 ~ 1505/1507년,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최후의 만찬〉(1495 ~ 1498, 밀라노, 산타 마리아 델레 그라치에 성당의 수도원 식당) 레오나르도 디 세르 피에로 다 빈치(Leonardo di ser Piero da Vinci, 1452년 4월 15일 ~ 1519년 5월 2일)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근대적 인간의 전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 더보기 »

레온하르트 오일러

온하르트 오일러(1707년 4월 15일~1783년 9월 18일)는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난 수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레온하르트 오일러 · 더보기 »

레옹 푸코

장 베르나르 레옹 푸코(1819년 9월 18일 ~ 1868년 2월 11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레옹 푸코 · 더보기 »

로렌츠

(Lorenz)는 라틴어 이름 라우렌티우스(Laurentius)에서 유.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로렌츠 · 더보기 »

로버트 보일

버트 보일(Robert Boyle, 1627년 1월 25일 ~ 1691년 12월 30일)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잉글랜드의 자연철학자, 화학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로버트 보일 · 더보기 »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버트 앤드루스 밀리컨(Robert Andrews Millikan, 1868년 3월 22일 ~ 1953년 12월 19일)은 미국의 실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로버트 앤드루스 밀리컨 · 더보기 »

로버트 훅

버트 훅(Robert Hooke, FRS, 1635년 7월 28일~1703년 3월 3일)은 영국의 자연 철학자이며, 과학 혁명기에 이론과 실험 양면에서 주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자 박물학자, 그리고 과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로버트 훅 · 더보기 »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율리우스 에마누엘 클라우지우스(Rudolf Julius Emanuel Clausius, 1822년 1월 2일 ~ 1888년 8월 24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루돌프 클라우지우스 · 더보기 »

루트비히 볼츠만

비히 에두아르트 볼츠만(1844년 2월 20일 - 1906년 9월 5일)은 통계역학과 통계열역학으로 유명한 오스트리아 출신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루트비히 볼츠만 · 더보기 »

루이 드 브로이

제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FRS, 1892년 8월 15일 ~ 1987년 3월 19일)은 프랑스의 물리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루이 드 브로이 · 더보기 »

르네 데카르트

르네 데카르트(1596년 3월 31일 - 1650년 2월 11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 근대 철학의 아버지,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로 불린.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르네 데카르트 · 더보기 »

자의 마을 리 리(里)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사용하는 길이를 나타내는 단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리 · 더보기 »

리처드슨

리처드슨(Richardson)은 영어권의 성 중 하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리처드슨 · 더보기 »

리언 레더먼

리언 맥스 레더먼(1922년 7월 15일생)은 1982년 쿼크와 경(輕)입자의 3세대를 확립 시키면서 마틴 루이스 펄과 울프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미국의 실험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리언 레더먼 · 더보기 »

리언 쿠퍼

리언 N 쿠퍼(Leon N Cooper, 1930년 2월 28일 ~)는 미국의 물리학자로, 1972년 존 바딘, 존 로버트 슈리퍼와 함께 BCS 이론에 대한 기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리언 쿠퍼 · 더보기 »

맥스웰 방정식

맥스웰 방정식(Maxwell方程式, Maxwell's equations)은 전기와 자기의 발생, 전기장과 자기장, 전하 밀도와 전류 밀도의 형성을 나타내는 4개의 편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맥스웰 방정식 · 더보기 »

맥스웰-볼츠만 분포

맥스웰-볼츠만 분포(Maxwell-Boltzmann 分布)는 물리학과 화학에서 응용하는 확률 분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맥스웰-볼츠만 분포 · 더보기 »

만네 시그반

만네 예오리 시그반(1886년 ~ 1978년)은 스웨덴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만네 시그반 · 더보기 »

만유인력의 법칙

의 크기는 질량과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같다. ''G''는 중력상수이다. 만유인력의 법칙(萬有引力-法則)이란 질량을 가진 물체사이의 중력끌림을 기술하는 물리학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만유인력의 법칙 · 더보기 »

마르티뉘스 펠트만

마르티뉘스 위스티뉘스 호데프리뒤스 펠트만(1931년 6월 27일 ~)은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다. 양자역학에서의 전기·약 작용 연구에 대한 공로로 1999년 그의 제자였던 헤라르뒤스 엇호프트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마르티뉘스 펠트만 · 더보기 »

마리 퀴리

마리아 스크워도프스카 퀴리(폴란드 바르샤바, 1867년 11월 7일 ~ 1934년 7월 4일)는 폴란드 출신의 프랑스 과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마리 퀴리 · 더보기 »

마이클 패러데이

마이클 패러데이(FRS, 1791년 9월 22일~1867년 8월 25일)는 전자기학과 전기화학 분야에 큰 기여를 한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마이클 패러데이 · 더보기 »

마찰전기

마찰전기(摩擦電氣)는 두가지 물체가 마찰되어 대전되어 발생하는 전기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마찰전기 · 더보기 »

막스 플랑크

막스 카를 에른스트 루트비히 플랑크(1858년 4월 23일 ~ 1947년 10월 4일)는 양자역학의 성립에 핵심적 기여를 한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막스 플랑크 · 더보기 »

멜빈 슈워츠

멜빈 슈워츠(Melvin Schwartz, 1932년 11월 2일 ~ 2006년 8월 28일)는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멜빈 슈워츠 · 더보기 »

메디치가

메디치가의 문장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7세기까지 피렌체에서 강력한 영향력이 있었던 가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메디치가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목성 · 더보기 »

물리학자

물리학자(物理學者)는 물리학을 연구하는 과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물리학자 · 더보기 »

물리학자의 목록

음은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물리학자의 목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물리학자의 목록 · 더보기 »

물질파

물질파(物質波, matter wave) 또는 드브로이파(de Broglie wave)는 양자역학에서 물질의 파동을 말. 드브로이 관계에 의하면 파장은 입자의 운동량에 반비례하고 진동수는 입자의 운동에너지에 비. 물질의 파장은 드브로이 파장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물질파 · 더보기 »

뮤 입자

뮤 입자(muon)는 렙톤의 3 세대중 두 번째 세대의 전하를 띤 기본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뮤 입자 · 더보기 »

미적분학

right 미적분학(微積分學, calculus)은 수학의 한 분야로 극한, 함수, 미분, 적분, 무한급수를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미적분학 · 더보기 »

방사선

이온화된 방사선의 상대적인 투과력을 보여준다. 알파선(α)은 종이 한장도 통과 못하는 반면에, 베타선(β)은 알루미늄 판으로 막을 수 있고, 감마선(γ)은 두꺼운 납판이라야 막을 수 있다. 방사선(放射線)은 방사성 원소의 붕괴에서 방출되는 입자 또는 에. 몸을 투과하면 분자와 공명하여 세포를 파괴시키거나, DNA 혹은 RNA의 수소결합을 절단하여 유전자를 파괴하거나 변형시.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방사선 · 더보기 »

발머 계열

발머 계열의 수소 스펙트럼. 왼쪽에 보이는 2개의 선은 자외선 영역 중 가시광선 영역과 가장 근접한 자외선 스펙트럼의 선이다. 발머 계열(Balmer series) 또는 발머선(Balmer lines) 은 원자물리학에서 수소 원자의 방출선으로 나타나는 계열로 각기 다른 여섯 개의 계열 중 하나를 말. 발머 계열은 1885년에 요한 야코프 발머에 의해 밝혀진 실험식인 발머식을 사용하여 계산.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발머 계열 · 더보기 »

발터 네른스트

발터 네른스트노벨상 딱지 발터 헤르만 네른스트(Walther Hermann Nernst, 1864년 6월 25일 ~ 1941년 11월 18일)는 독일의 물리학자,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발터 네른스트 · 더보기 »

갈릴레오 갈릴레이

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년 2월 15일 ~ 1642년 1월 8일)는 이탈리아의 철학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갈릴레오 갈릴레이 · 더보기 »

반사

400px 반사(反射)는 파동이 다른 두 매질의 경계에서 방향을 바꿔 진행하는 물리 현상으로 빛의 반사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 반사율은 반사광의 에너지와 입사광의 에너지의 비율로 빛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복사파가 물체의 표면에서 어느 정도 반사되는지를 나타내며, 이는 물질의 종류와 표면의 상태에.파동의 파면과 진행 방향은 수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반사 · 더보기 »

간섭

섭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간섭 · 더보기 »

가우스 법칙

우스 법칙(Gauss's law)은 폐곡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이 폐곡면 속의 알짜 전하량에 비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가우스 법칙 · 더보기 »

가우스 자기 법칙

우스 자기 법칙(Gauss's law for magnetism)은 닫힌 곡면에 대해서 그 곡면을 지나는 자기력선의 수(자기장)와 곡면으로 둘러싸인 공간안의 자기원천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가우스 자기 법칙 · 더보기 »

가속도

속도(加速度)는 시간에 따라 속도가 변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가속도 · 더보기 »

건전지

전지 건전지의 단면. 건전지(乾電池, dry cell)는 "마른 전지"라는 뜻으로, 전해질을 수분이 거의 없는 상태로 둔 1차 전지(전기 화학 전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건전지 · 더보기 »

베르누이 방정식

벤츄리 관의 공기 흐름 유체 동역학에서 베르누이 방정식()은 이상 유체(ideal fluid)에 대하여, 유체에 가해지는 일이 없는 경우에 대해, 유체의 속도와 압력, 위치 에너지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베르누이 방정식 · 더보기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베르너 카를 하이젠베르크(1901년 12월 5일~1976년 2월 1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 더보기 »

게이뤼삭의 법칙

이뤼삭의 법칙()은 기체의 특성에 관련된 프랑스 화학자 조제프루이 게이뤼삭의 이름이 붙여진 법칙을 이르는 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게이뤼삭의 법칙 · 더보기 »

게오르크 옴

오르크 시몬 옴 게오르크 시몬 옴(Georg Simon Ohm, 1789년 3월 16일 ~ 1854년 7월 6일)은 독일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게오르크 옴 · 더보기 »

번개

바다로 떨어지는 번개. (이탈리아 리미니) 라디오 송신탑으로 떨어지는 번개. (슬로바키아 반스카비스트리차) 구름 사이에서 일어나는 번개.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번개는 구름과 구름, 구름과 대지 사이에서 일어나는 방전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번개 · 더보기 »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1646년 7월 1일 ~ 1716년 11월 14일)는 독일의 철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 더보기 »

고전역학

전역학(古典力學)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고전역학 · 더보기 »

고체물리학

물리학(固體物理學, Solid-state physics)은 고체의 성질에 대한 연구를 하는 물리학의 한 분과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고체물리학 · 더보기 »

고온 초전도체

온 초전도체는 전통적인 초전도체 이론인 BCS이론을 따르지 않는 흔히 30 K 이상의 온도에서도 초전도성을 보이는 물체를 말. 최초의 고온 초전도체는 구리산화물계열이었고 2008년에는 철산화물계열의 고온초전도체가 발견되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고온 초전도체 · 더보기 »

고시바 마사토시

시바 마사토시(1926년 9월 19일 ~)는 일본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고시바 마사토시 · 더보기 »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은 보손 입자들이 절대 영도에 가까운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 나타나는 물질의 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 더보기 »

보일의 법칙

섬네일 보일의 법칙(- 法則)은 로버트 보일의 이름을 따 지어진 법칙으로, 기체에서의 부피와 압력 사이의 관계를.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보일의 법칙 · 더보기 »

보어 모형

수소 원자의 보어 모형 원자물리학에서 보어 모형은 원자의 구조를 마치 태양계처럼 양전하를 띤 조그만 원자핵 주위를 전자들이 원형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 것으로 묘사하는 원자 모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보어 모형 · 더보기 »

볼타 전지

300px 볼타전지는 1800년 볼타에 의해 발명된 세계 최초의 전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볼타 전지 · 더보기 »

볼프강 파울

볼프강 파울(1913년 8월 10일 - 1993년 12월 7일)은 독일의 물리학자로 198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볼프강 파울 · 더보기 »

과학사

학사(History of science)는 자연세계에서 인류의 역사적 발전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과학사 · 더보기 »

공기역학

항공기 후단에 발생한 와류를 가시화한 사진 공기 역학(空氣力學, aerodynamics)은 동역학의 한 분야로서 공기의 흐름을 다루며, 특히 움직이는 물체와 공기가 상호 작용할 때의 흐름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공기역학 · 더보기 »

광전 효과

속 판에서 전자의 방출을 도시한 그림, 들어오는 광자에서 얻어진 에너지가 물질의 일함수 이상필요하다. 광전 효과(光電效果)는 금속 등의 물질이 고유의 특정 파장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따라서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기파를 흡수했을때 전자를 내보내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광전 효과 · 더보기 »

광학

울에 반사되는 빛의 입사각과 반사각 광학(光學, optics)은 빛의 특성을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광학 · 더보기 »

관성

성(慣性)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총합이 0일 때, 운동의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말하며, 운동의 상태가 변할 때 물체의 저항력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관성 · 더보기 »

불확정성 원리

불확정성 원리(不確定性原理, uncertainty principle)는 양자 역학에서 맞바꿈 관측량(commuting observables)이 아닌 두 개의 관측가능량(observable)을 동시에 측정할 때, 둘 사이의 정확도에는 물리적 한계가 있다는 원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불확정성 원리 · 더보기 »

분자

3차원 (왼쪽과 가운데), 2차원 (오른쪽)으로 나타낸 테르페노이드 분자. 분자(分子)는 두 개 이상의 비금속 원자가 화학결합에 의해 일정한 형태로 결합한 것 또는 독립된 입자로 행동한다고 볼 수 있는 원소 자체(He, Ne, Ar 등)를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분자 · 더보기 »

분산

확률론과 통계학에서 어떤 확률변수의 분산(分散)은 그 확률변수가 기댓값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진 곳에 분포하는지를 가늠하는 숫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분산 · 더보기 »

부피

밀리리터 단위로 부피를 잰다. 부피는 도형이 차지하는 공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부피 · 더보기 »

브라운 운동

frame 브라운 운동(Brownian motion)은 1827년 스코틀랜드 식물학자 로버트 브라운(Robert Brown)이 발견한, 액체나 기체 속에서 미소입자들이 불규칙하게 운동하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브라운 운동 · 더보기 »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 스넬리우스의 사분의. (레이던 부르하버 박물관)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Willebrord Snellius, 본명: Willebrord Snel van Royen, 1580년 6월 13일~ 1626년 10월 30일)는 영어권에서는 스넬(Snell)이라는 이름의 알려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빌러브로어트 스넬리우스 · 더보기 »

빌헬름 빈

빌헬름 카를 베르너 오토 프리츠 프란츠 빈(1864년 ~ 1928년)은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빌헬름 빈 · 더보기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Wilhelm Conrad Röntgen, 1845년 3월 27일 ~ 1923년 2월 10일)은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더보기 »

빈 변위 법칙

300px 통계역학에서, 빈 변위 법칙(Wien變位法則, Wien's displacement law)은 특정 온도에서 흑체로부터 방사된 열 에너지의 파장 분포가 필수적으로 다른 온도의 분포와 같은 모양을 가진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빈 변위 법칙 · 더보기 »

비전하

입자의 비전하(specific charge) 또는 견줌 전하는 그 전하와 질량의 비율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비전하 · 더보기 »

비탈리 긴즈부르크

비탈리 라자레비치 긴즈부르크(1916년 10월 4일 ~ 2009년 11월 8일)는 러시아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천체 물리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비탈리 긴즈부르크 · 더보기 »

빅토르 프란츠 헤스

빅토르 프란츠 헤스(1883년 ~ 1964년)는 오스트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빅토르 프란츠 헤스 · 더보기 »

right 빛이란 좁은 의미에서 가시광선,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약 400 nm에서 700nm 사이의 파장을 가진 전자기파를 뜻. 넓은 의미에서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지칭.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빛 · 더보기 »

빛의 속력

빛의 속력() 또는 광속은 진공에서 299 792 458 m/s라는 정확한 값이며, 국제적으로 c. 빛의 속력은 기본 물리 상수로, 길이 단위인 미터는 이것으로부터 정의되었.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빛의 속력 · 더보기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스타프 로베르트 키르히호프 (1824년 3월 12일 - 1887년 10월 17일)는 전기회로, 분광학, 흑체 복사 등의 분야에 공헌한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더보기 »

굴절

컵 뒤의 무늬가 굴절에 의해 일그러져 보인다. 굴절(屈折)은 파동이 매질의 경계에서 속도 차이로 인해 방향을 바꾸는 현상을 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굴절 · 더보기 »

노벨 물리학상

벨 물리학상(- 物理學賞)은 6개 분야의 노벨상 중 하나로, 1년에 한 번 스웨덴 왕립 과학원에 의해 수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노벨 물리학상 · 더보기 »

논리학

리학(論理學,, logic)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하여 그 원리들을 분석하고 명제화하여 체계화하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논리학 · 더보기 »

뉴턴 운동 법칙

어로 된 1687년판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의 뉴턴의 제1,2 법칙 고전역학에서, 뉴턴 운동 법칙(Newton運動法則, Newton's laws of motion)은 물체의 운동을 다루는 세 개의 물리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뉴턴 운동 법칙 · 더보기 »

닐스 보어

헨리크 다비드 보어(1885년 10월 7일 ~ 1962년 11월 18일)는 원자 구조의 이해와 양자역학의 성립에 기여한 덴마크의 물리학자로서, 훗날 이 업적으로 1922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닐스 보어 · 더보기 »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임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1686년 5월 24일 ~ 1736년 9월 16일)는 프로이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 · 더보기 »

다니엘 베르누이

엘 베르누이(1700년 2월 8일~1782년 3월 17일)는 네덜란드에서 태어난 스위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다니엘 베르누이 · 더보기 »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우스 코페르니쿠스(/ /, 1473년 2월 19일 - 1543년 5월 24일)는 당시 진리처럼 믿어온 지구중심설(천동설)의 오류를지적하고 태양중심설(지동설)을 주장하여 근대 자연과학의 획기적인 전환, 이른바 '코페르니쿠스의 전환'을 가져온 폴란드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 더보기 »

스넬의 법칙

공기(''n''1)에서 물(''n''2)로 진행하는 빛의 굴절 매질에 따른 빛의 속도와 굴절 현상 스넬의 법칙(Snell's law), 굴절의 법칙(the laws of refraction)은 굴절에 관한 물리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스넬의 법칙 · 더보기 »

스펙트럼

무지개에서 발생하는 스펙트럼 현상. 스펙트럼(spectrum)은 흔히 빛을 프리즘 등의 도구로 색깔에 따라 분해해서 살펴보는 것을 일컫.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스펙트럼 · 더보기 »

스콜라주의

14세기 학교 모습 스콜라주의()에서 스콜라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여유'라는 뜻을 가진 스콜레(σχολη)를 라틴어로 (schola) 소리 나는 대로 적은 낱말로서 오늘날 '학파'라는 뜻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특히 9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서 유럽의 정신세계를 지배하였던 신학에 바탕을 둔 철학적 사상을 일컫는 데 쓰이고 있. 때문에 철학사에서는 이 시기의 철학을 통틀어서 흔히 스콜라주의라 부르고 있. 스콜라 철학은 기독교의 신학에 바탕을 두기 때문에 일반 철학이 추구하는 진리 탐구와 인식의 문제를 신앙과 결부시켜 생각하였으며, 인간이 지닌 이성 역시 신의 계시 혹은 전능 아래에서 이해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스콜라주의 · 더보기 »

스티븐 와인버그

스티븐 와인버그노벨상 딱지 스티븐 와인버그(Steven Weinberg, 1933년 5월 3일 ~)는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스티븐 와인버그 · 더보기 »

우라늄

육플루오린화우라늄의 분자 구조. 우라늄 광석(피치블렌드)의 모습 우라늄(←)은 화학 원소로 원소 기호는 U(←), 원자 번호는 92인 은회색의 방사성 금속 원소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우라늄 · 더보기 »

우주선

국제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본 디스커버리 우주왕복선 우주선(宇宙船)은 우주를 다니도록 만들어진 탈것 또는 장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우주선 · 더보기 »

우주선 (물리)

우주방사선 에너지 스펙트럼 우주방사선 (宇宙線, cosmic rays)이란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각종 입자와 방사선 등을 총칭.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우주선 (물리) · 더보기 »

운동량

운동량 (運動量, momentum)은 물리학에서 물체의 속도와 질량에 관련된 물리량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운동량 · 더보기 »

특수 상대성이론

특수 상대성이론(特殊相對性理論), 또는 특수상대론(特殊相對論)은 빛의 속도에 견줄 만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들을 다루는 역학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특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회절

사각형의 격자에 의해 나타난 회절 무늬 회절(回折,독일어:Diffraktion,프랑스어,영어:Diffraction,라틴어:Diffractio)은 대표적인 파동 현상 중의 하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회절 · 더보기 »

슈뢰딩거 방정식

에르빈 슈뢰딩거 슈뢰딩거 방정식(Schrödinger方程式)은 비상대론적 양자역학적 계의 시간에 따른 진화를 나타내는 선형 편미분 방정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슈뢰딩거 방정식 · 더보기 »

슈뢰딩거의 고양이

산 고양이와 죽은 고양이가 상자 안에 공존하고 있다? 슈뢰딩거의 고양이(Schrödingers Katze)는 1935년에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가 양자역학의 불완전함을 보이기 위해서 고안한 사고 실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슈뢰딩거의 고양이 · 더보기 »

슈테판-볼츠만 법칙

슈테판-볼츠만 법칙은 흑체의 단위 면적당 복사 에너지가 절대 온도의 4제곱에 비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슈테판-볼츠만 법칙 · 더보기 »

요제프 슈테판

요제프 슈테판(1835~1893)은 오스트리아 태생의 슬로베니아계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제프 슈테판 · 더보기 »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Joseph von Fraunhofer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기사 (Joseph Ritter von Fraunhofer, 1787년 3월 6일 ~ 1826년 6월 7일) 는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 · 더보기 »

요한 야코프 발머

요한 야코프 발머 요한 야코프 발머(Johann Jakob Balmer, 1825년 5월 1일~1898년 3월 12일)은 스위스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한 야코프 발머 · 더보기 »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Johannes Georg Bednorz, 1950년 5월 16일 ~)은 독일의 물리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하네스 게오르크 베드노르츠 · 더보기 »

요하네스 케플러

요하네스 케플러(1571년 12월 27일 - 1630년 11월 15일)는 독일의 수학자, 천문학자, 점성술사이자 17세기 천문학 혁명의 핵심 인물이었.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하네스 케플러 · 더보기 »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 발스

요하네스 디데릭 반데르 발스(1837년 11월 23일 ~ 1923년 3월 9일)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요하너스 디데릭 판데르 발스 · 더보기 »

자기

자기(magnetism, 磁氣)는 자석(magnet)이 주위 물체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 여기서 말하는 영향이란, '자석이 갖고있는 힘'을 주위에게 행사함으로써 나타나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기 · 더보기 »

자기장

자기장(磁氣場, magnetic field)이란 자기력을 매개하는 벡터장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기장 · 더보기 »

자크 샤를

자크 알렉상드르 세사르 샤를(Jacques Alexandre César Charles, 1746년 11월 12일 ~ 1823년 4월 7일)은 프랑스의 과학자, 수학자, 발명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크 샤를 · 더보기 »

자연철학

자연철학(自然哲學)은 사변적 고찰을 통해 자연을 종합적, 통일적으로 해석해 설명하려고 하는 철학을 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연철학 · 더보기 »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自然哲學- 數學的原理)는 서양의 과학 혁명을 집대성한 책의 하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 더보기 »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1837년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발간한 《자연학》 《자연학》(自然學)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쓴 자연에 대한 책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자석

자석(磁石, magnet) 또는 지남철(指南鐵)은 자성을 지닌 물체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자석 · 더보기 »

재료과학

재료과학(材料科學) 또는 신소재과학(新素材科學)은 재료의 화학 · 물리적 속성을 다루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재료과학 · 더보기 »

재규격화

물리학에서, 재규격화(再規格化, renormalization) 혹은 되맞춤이란 이론에서 생기는 여러 값을 건드림이론에서 고차원적 수정을 고려하기 위해, 이론의 상수를 형식적으로 바꾸는 과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재규격화 · 더보기 »

잭 스타인버거

잭 스타인버거 한스 야코프 "잭" 스타인버거(Hans Jakob "Jack" Steinberger, 1921년 3월 25일~)는 스위스 제네바 근처에 거주 중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잭 스타인버거 · 더보기 »

잭 킬비

잭 세인트 클레어 킬비(1923년 11월 8일 ~ 2005년 6월 20일)는 미국의 전자공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잭 킬비 · 더보기 »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Observatio domini Petri di Fermat)이 수록되어 있다. 정수론에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는 3 이상 지수의 거듭제곱수는 같은 지수의 두 거듭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는 정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더보기 »

(Perl)은 래리 월이 만든 인터프리터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 혹은 그 인터프리터 소프트웨어를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펄 · 더보기 »

임계 현상

통계역학에서, 임계 현상(臨界現象, critical phenomenon)은 어떤 물리적인 계가 상전이하는 경계에서 큰 요동을 보이는 현상을 말. 요동이 매우 크다는 것은 다른 의미로 해당하는 계가 아주 작은 외부 작용에 대해서도 큰 반응을 보인다는 것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임계 현상 · 더보기 »

펄서

서의 개념도. 중앙에 있는 구체는 중성자별을 뜻하며, 주변의 곡선은 자기장의 선을, 중성자별을 관통하고 있는 푸른 광선은 방출 빔을 의미한다. 가시광선 및 엑스선 영역으로 관측한 게성운을 합성한 사진. 주변 펄서풍 성운에서 자기장과 중심부 펄서에서 나오는 입자들로 인해, 싱크로트론 방출을 보여주고 있다. 맥동전파원(脈動電波源, 펄서)은 고도로 자기화된, 관측 가능한 전파의 형태로 전자기파의 광선을 뿜는, 자전하는 중성자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펄서 · 더보기 »

입자

입자(particle, corpuscule, 粒子)는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을 가진 작은 물체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입자 · 더보기 »

입자 가속기

입자 가속기 (粒子加速器)는 물질의 미세 구조를 밝히기 위해 원자핵 또는 기본 입자를 가속, 충돌시키는 장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입자 가속기 · 더보기 »

크리스티안 도플러

리스티안 도플러 크리스티안 요한 도플러(Christian Johann Doppler, 1803년 11월 29일 ~ 1853년 3월 17일)는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크리스티안 도플러 · 더보기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리스티안 하위헌스(1629년 4월 14일 ~ 1695년 7월 8일)는 네덜란드의 수학자, 물리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더보기 »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AD 83년경 ~ 168년경)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천문학자, 지리학자, 점성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폴로늄

(←, ←)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Po(←), 원자 번호는 84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폴로늄 · 더보기 »

이븐 알하이삼

아부 알리 알하산 이븐 알하산 이븐 알하이삼(965년 7월 1일~1040년 3월 6일)은 아랍인이었는지 학자이며, 신학, 물리학, 천문학, 수학, 안과학, 철학, 공학, 과학적 방법 등에 광범위한 분야에 걸쳐서 수많은 업적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이븐 알하이삼 · 더보기 »

이폴리트 피조

아르망 이폴리트 루이 피조(1819년 ~ 1896년)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이폴리트 피조 · 더보기 »

이상기체 법칙

섬네일 이상기체 법칙(理想氣體法則, ideal gas law)은 이상 기체를 다루는 상태 방정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이상기체 법칙 · 더보기 »

일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문 원고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일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음극선

음극선 (陰極線,또는 전자빔)은 두 금속 전극 (음극(Cathode) 또는 음극 단자와 양극(Anode) 또는 양극 단자)가 진공의 유리관 안에 떨어져 있고, 두 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있을 때, 진공관안에서 관찰되는 전자들의 흐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음극선 · 더보기 »

음향학

울림이 없는 방에서의 전 지향성 인공 소리 음향학(音響學)은 소리, 초음파, 그리고 초저주파음파 (즉 기체, 액체, 고체내 모든 물리적 파동)을 연구하는, 여러 분야에 걸쳐 관련있는 과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음향학 · 더보기 »

흑체

온도가 감소하면서, 흑체복사 곡선의 정점이 크기는 줄어들고 파장은 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흑체복사 그래프는 레일리와 진스의 고전적 모델과도 비교할 수 있다. 흑체(黑體)란 진동수와 입사각에 관계없이 입사하는 모든 전자기 복사를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흑체 · 더보기 »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PRS, 1824년 6월 26일 ~ 1907년 12월 7일)은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수리물리학자이며 공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1대 켈빈 남작 윌리엄 톰슨 · 더보기 »

제1철학에 관한 성찰

《제1철학에 관한 성찰》(第一哲學- 省察)(이하 '성찰')은 르네 데카르트가 라틴어로 집필하여 1641년에 처음 출간된 형이상학에 관한 저서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1철학에 관한 성찰 · 더보기 »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또는 World War II)은 1939년 9월 1일부터 1945년 9월 2일까지 치러진,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남긴 가장 파괴적인 전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2차 세계 대전 · 더보기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ames Clerk Maxwell, FRS, 1831년 6월 13일 ~ 1879년 11월 5일)은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에서 태어난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더보기 »

제임스 채드윅

제임스 채드윅 경(CH, FRS, 1891년 10월 20일 ~ 1974년 7월 24일)은 중성자를 발견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영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임스 채드윅 · 더보기 »

제임스 프레스콧 줄

제임스 프레스콧 줄(FRS, 1818년 12월 24일~1889년 10월 11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양조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임스 프레스콧 줄 · 더보기 »

제임스 와트

제임스 와트(1736년 1월 19일 ~ 1819년 8월 25일)는 스코틀랜드의 발명가이자 기계공학자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제임스 와트 · 더보기 »

전류

섬네일 전류(電流)는 전하의 흐름으로, 단위 시간 동안에 흐른 전하의 양으로 정의.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류 · 더보기 »

전기

번개는 전기의 가장 극적인 효과 중 하나이다. 전기(電氣, electricity)란 전하의 존재 및 흐름과 관련된 물리현상들의 총체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기 · 더보기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 (電氣傳導體)는 전도도가 높아서 전기가 통하기 쉬운 재료를 말. 줄여서 도체라고 부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기 전도체 · 더보기 »

전기·약 작용

양자장론에서, 전기·약 작용(electroweak interaction) 또는 전약력(電弱力)은 높은 에너지에서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력이 하나로 통합하여 만드는 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기·약 작용 · 더보기 »

전자

전자 (電子, electron) 는 음(-)의 전하를 띠고 있는 기본 입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자 · 더보기 »

전자 현미경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은 물체를 비출 때 빛 대신 음극선을 사용하는 기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자 현미경 · 더보기 »

전자기 유도

섬네일 전자기 유도(電磁氣誘導)는 자기장이 변하는 곳에 있는 도체에 전위차(전압)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 마이클 패러데이가 처음으로 수학적으로 설명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자기 유도 · 더보기 »

전자기파

횡파라고 볼 수 있다. 위 그림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직선 편광된 전자기파를 보여준다. 전기장은 수직 평면에서 진동하고 자기장은 수평 평면에서 진동한다. 전자기파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은 위상이 같고 항상 서로 90°를 이룬다. 전자기파(電磁氣波) 또는 전자기복사(電磁氣輻射, Electromagnetic radiation, EMR)는 특정 전자기적인 과정에 의해 복사되는 에너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자기파 · 더보기 »

전자기학

전자기학(電磁氣學)은 전기와 자기 현상을 탐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자기학 · 더보기 »

전하

섬네일 전하(電荷, electric charge)는 전기현상을 일으키는 주체적인 원인으로, 어떤 물질이 갖고 있는 전기의 양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전하 · 더보기 »

저온물리학

액체 질소 저온물리학(低溫物理學, Cryogenics)은 저온상태에서에 물질의 성질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저온물리학 · 더보기 »

조레스 알표로프

조레스 이바노비치 알표로프(1930년 3월 15일 ~)는 러시아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조레스 알표로프 · 더보기 »

조르주 샤르파크

조르주 샤르파크 조르주 샤르파크(Georges Charpak, 1924년 8월 1일 ~ 2010년 9월 29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로, 1992년 다중선 비례 검출기를 개발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조르주 샤르파크 · 더보기 »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조제프루이 게이뤼삭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1778년 12월 6일 ~ 1850년 5월 9일)은 프랑스의 화학자 겸 물리학자로, 게이뤼삭의 법칙을 발. 오트비엔 주의 생레오나르에서 태어나 에콜 폴리테크닉에서 배우고 베르톨레의 조수로 일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조제프 루이 게이뤼삭 · 더보기 »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1736년 1월 25일 ~ 1813년 4월 10일) 은 토리노, 피에몬테에서 태어난 이탈리아 태생, 프랑스와 프로이센에서 활동한 프랑스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조제프루이 라그랑주 · 더보기 »

조지프 존 톰슨

조지프 존 톰슨 경(OM, FRS, 1856년 12월 18일~1940년 8월 30일)은 영국의 물리학자이며, 전자와 동위원소를 발견하였고 질량 분석계를 발명하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조지프 존 톰슨 · 더보기 »

존 돌턴

존 돌턴(John Dalton, FRS, 1766년 9월 6일~1844년 7월 27일)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 기상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존 돌턴 · 더보기 »

존 로버트 슈리퍼

존 로버트 슈리퍼 (John Robert Schrieffer, 1931년 5월 31일 ~)은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존 로버트 슈리퍼 · 더보기 »

존 바딘

존 바딘 (John Bardeen, 1908년 5월 23일 – 1991년 1월 30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존 바딘 · 더보기 »

중력파

중력파(重力波)는 움직이는 물체(질량)에 의하여 시공간 중력장의 곡률(뒤틀림)에 발생한 요동이 광속으로 진행하는 파동을 말. '중력복사'(重力輻射)는 이러한 중력파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말. 중력파를 방출하는 계(system)의 대표적인 예는 백색왜성, 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을 포함한 이중성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중력파 · 더보기 »

중성미자

중성미자(中性微子, 뉴트리노)는 약력과 중력에만 반응하는,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진 기본입자로, 스핀은 1/2인 페르미온과, 렙톤이며, 약한 아이소스핀이 -1/2으로 전하를 띠지 않. 1990년대 말까지 질량이 없다고 생각했으나, 1999년 슈퍼 카미오칸데 실험 이후 여러 실험을 통해 미세하지만, 질량이 있다고 밝혀졌다(중성미자 진동).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중성미자 · 더보기 »

중성자

중성자(中性子, neutron)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것 중 전하가 없는,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핵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중성자 · 더보기 »

질량 보존의 법칙

량 보존의 법칙(質量保存─法則)은 닫힌 계의 질량은 상태 변화에 상관없이 변하지 않고 계속 같은 값을 유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질량 보존의 법칙 · 더보기 »

집적 회로

비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 이 패키지는 안쪽의 다이를 보여주는 투명한 창이 있다. 이 창이 칩을 자외선에 노출시켜 메모리를 지울 수 있게 한다.DIP패키지형이다. EPROM 메모리 집적회로, 메모리 블럭으로 구성 및 집적되어 있다. 외부회로와 연결하기 위해 silver wires 본딩으로 리드선과 연결되어 패키지화되어 있다. 아트멜 다이옵시스 740 시스템의 집적 회로는 주변 기기 주위에 있는 메모리 블록, 논리 및 입출력 패드를 보여 준다. 집적 회로(集積回路) 또는 모놀리식 집적회로, 칩, 마이크로칩, IC는 반도체에 만든 전자회로의 집합을 말. 집적회로는 여러 독립된 요소를 집적해서 하나의 칩으로 만든 것인데, 각각의 트랜지스터 칩을 이용해서 회로로 만들 때 보다 훨씬 작게 만들 수 있. 집적회로는 손톱수준의 크기에 수십억 개의 트랜지스터나 다른 전자부품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조밀하게 만들 수 있. 기술이 발전할수록 회로선폭은 점점 더 세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집적 회로 · 더보기 »

진자

300px 진자(振子, pendulum)는 진동자의 준말로 고정된 한 축이나 점의 주위를 일정한 주기로 진동하는 추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진자 · 더보기 »

지레

의 원리에 의해 F1D1.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지레 · 더보기 »

지구물리학

물리학()은 물리학을 이용해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지구물리학 · 더보기 »

지구중심설

동설 지구중심설(地球中心說)은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며 모든 천체가 지구 주위를 돈다는 학설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지구중심설 · 더보기 »

천체물리학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천체물리학 · 더보기 »

초전도 현상

섬네일 초전도 현상(超傳導現象)은 어떤 물질이 전기 저항이 0이 되고 내부 자기장을 밀쳐내는 등의 성질을 보이는 현상으로, 대체로 그 물질의 온도가 영하 240˚C 이하로 매우 낮거나 구리나 은과 같은 도체의 경우에는, 불순물이나 다른 결함으로 인해 저항이 어느 값 이상으로 감소하지 않는 한계가 있. 절대영도 근처에서도 실제 구리 시료의 저항은 0이 아닌 값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초전도 현상 · 더보기 »

초유체

유체(超流體)는 물리학에서 점성이 전혀 없는 유체를 말. 따라서 초유체는 마찰 없이 영원히 회전할 수 있. 초유체 현상은 양자역학적인 현상으로 보스-아인슈타인 응축 모형으로 설명.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초유체 · 더보기 »

에는 다음과 같은 동음이의어가 있.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추 · 더보기 »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요한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1777년 4월 30일~1855년 2월 23일)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과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 더보기 »

카를 알렉산더 뮐러

를 알렉산더 뮐러(Karl Alexander Müller, 1927년 4월 20일 ~)는 1987년에 베드노르츠와 함께 고온 초전도체에 대한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스위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카를 알렉산더 뮐러 · 더보기 »

카를로 루비아

를로 루비아(Cavaliere di Gran Croce OMRI, 1934년 3월 31일~)는 이탈리아의 입자물리학자이자 발명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카를로 루비아 · 더보기 »

칼 데이비드 앤더슨

이비드 앤더슨 (1905년 9월 3일 ~ 1991년 1월 11일)은 미국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칼 데이비드 앤더슨 · 더보기 »

캐번디시

번디시(Cavendish)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캐번디시 · 더보기 »

켈빈

빈(kelvin)은 온도의 국제 단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켈빈 · 더보기 »

켄들

(Kendal)은 잉글랜드 컴브리아 주의 도시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켄들 · 더보기 »

케네스 G. 윌슨

스 게즈 윌슨(1936년 6월 8일 ~ 2013년 6월 15일)은 미국의 이론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케네스 G. 윌슨 · 더보기 »

케임브리지 대학교

임브리지 대학교(University of Cambridge)는 영국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에 위치한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며, 공립 연구중심 대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 더보기 »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

행성의 공전궤도를 통한 케플러의 세가지 법칙들에 대한 설명. (1) 첫 번째 행성의 공전궤도는 ''f1''과 ''f2''를 초점으로 갖는 타원궤도이고, 두 번째 행성의 공전궤도는 ''f1''과 ''f3''을 초점으로 갖는 타원궤도이다. 태양은 여기서 초점 ''f1''에 있다. (2) 행성이 같은 시간 동안 휩쓸고 지나가는 음영으로 표시된 두 영역 ''A1''과 ''A2''는 같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3) 두 행성의 공전주기의 비는 a1^3/2:a2^3/2이다.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Kepler-行星運動法則, Kepler's laws of planetary motion)은 독일의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가 발표한 행성의 운동에 대한 세 개의 물리학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 · 더보기 »

코넬

은 다음을 뜻.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코넬 · 더보기 »

코펜하겐 해석

석()은 양자역학에 대한 다양한 해석 중의 하나로 닐스 보어와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등에 의한 정통해석으로 알려져 있. 이는 그 논의의 중심이었던 코펜하겐의 지명으로부터 이름이 붙여진 것이며, 20세기 전반에 걸쳐 가장 영향력이 컸던 해석으로 꼽힌.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코펜하겐 해석 · 더보기 »

쿨롱 법칙

롱 법칙(Coulomb's law) 또는 쿨롱 힘 법칙(Coulomb force law)은 두 대전된 입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적 인력이 두 전하의 곱에 비례하고, 두 입자 사이의 거리(r)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쿨롱 법칙 · 더보기 »

쿼크

(quark)는 경입자와 더불어 물질을 이루는 가장 근본적인 입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쿼크 · 더보기 »

판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반데르발스 상태 방정식(van der Waals equation of state)은 0이 아닌 크기와 서로의 상호작용이 있는 입자로 된 유체의 상태 방정식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판데르발스 상태 방정식 · 더보기 »

유체역학

200px 유체역학(流體力學)이란 유체(액체와 기체)의 운동에 대해서 연구하는 학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유체역학 · 더보기 »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Julius Robert von Mayer, 1814년 11월 25일 ~ 1878년 3월 20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율리우스 로베르트 폰 마이어 · 더보기 »

율리우스 플뤼커

율리우스 플뤼커(1801~1868)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율리우스 플뤼커 · 더보기 »

파동

물방울에 의한 파동 물리학에서 파동(波動)은 매질을 통해 운동이나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파동 · 더보기 »

윌리엄 길버트

윌리엄 길버트(William Gilbert, 1544년 5월 24일~1603년 11월 30일)는 영국의 물리학자, 의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윌리엄 길버트 · 더보기 »

윌리엄 크룩스

윌리엄 크룩스 (1906년) 윌리엄 크룩스 경(PRS, 1832년 6월 17일 ~ 1919년 4월 4일)은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윌리엄 크룩스 · 더보기 »

파울러

울러(Fowler)는 ‘새 사냥꾼’이라는 뜻으로 영어권에서 쓰이는 이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파울러 · 더보기 »

파장

장(波長, wavelength) 또는 결너비는 공간에 퍼져 있는 파동의 한 번의 주기가 가지는 길이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파장 · 더보기 »

파인먼 도형

양자장론에서 파인만 도형(Feynman diagram)은 양자장 혹은 통계물리의 장에서 전이진폭 혹은 상관함수의 계산에서 나타나는 항들을 나타내는 도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파인먼 도형 · 더보기 »

상대성이론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묘사된 시공의 곡률을 2차원으로 표현한 그림..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상대성이론 · 더보기 »

상전이

상전이(相轉移, phase transition)는 통계역학적 계의 매개변수를 바꾸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 가운데 일부가 급격하게 변하는 현상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상전이 · 더보기 »

샤를 드 쿨롱

샤를 오귀스탱 드 쿨롱(1736년 6월 14일 ~ 1806년 8월 23일)은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샤를 드 쿨롱 · 더보기 »

샤를의 법칙

섬네일 샤를의 법칙() 또는 샤를과 게이뤼삭의 법칙()은 이상 기체의 성질에 관한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샤를의 법칙 · 더보기 »

태양중심설

양중심 체계 태양중심설(아래)과 지구중심설(위)의 비교 태양중심설(太陽中心說)은 천문학에서 태양이 우주의 중심이고 지구는 태양의 주위를 도는 천체 중 하나라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태양중심설 · 더보기 »

탈레스

스(Θαλής, 기원전 6세기(대략 기원전 625년~기원전 624년 경~대략 기원전 547년~기원전 546년 경)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밀레토스 학파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탈레스를 "철학의 아버지"라고 칭했다. 그리고 현재의 사람들한테 탈레스는 최초의 철학자, 최초의 수학자, 최초의 고대 그리스 7대 현인이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확실하진 않지만, 탈레스가 피타고라스의 스승이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운동 경기 관람 중에 탈수증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져 있다.(사망지는 불명이다.).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탈레스 · 더보기 »

타일러

일러의 다른 뜻은 다음과 같.;지명;인명.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타일러 · 더보기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1910년 10월 19일 ~ 1995년 8월 21일)는 인도 태생 미국인 천체물리학자, 수학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더보기 »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유명한 수학자들 중 한 명이다. 수학자(數學者)는 수학을 주로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사람을 말. 수학자는 수학적 지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연구 업무를 수행하며, 생명과학, 물리학, 사회학, 보험학 및 공학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기술을 개발•응용하는데 관련된 수학적 업무를 수행.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수학자 · 더보기 »

오귀스탱 장 프레넬

오귀스탱 장 프레넬 오귀스탱 장 프레넬(Augustin-Jean Fresnel, 1788년 ~ 1827년)은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오귀스탱 장 프레넬 · 더보기 »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경(Sir Owen Willans Richardson, FRS, 1879년 4월 26일~1959년 2월 15일)은 영국의 물리학자로 1900년에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를 졸업했고 1906년부터 1913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 더보기 »

오토 한

오토 한노벨상 딱지 오토 한(Otto Hahn, 1879년 3월 8일~1968년 7월 28일)은 독일의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오토 한 · 더보기 »

온도

몰바이데 투영 도법에서의 월간 지표면 기온을 나타낸 세계 지도. 온도(溫度)는 물질의 뜨겁고 찬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온도 · 더보기 »

온도계

의학용 수은 온도계 온도계(溫度計)는 온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온도계 · 더보기 »

올레 뢰머

올레 크리스텐센 뢰머(1644년 9월 25일 ~ 1710년 9월 23일)는 덴마크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올레 뢰머 · 더보기 »

올리버 헤비사이드

올리버 헤비사이드(Oliver Heaviside; 1850년 ~ 1925년)는 영국의 수리 물리학자 및 전기 공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올리버 헤비사이드 · 더보기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에서 V,I 그리고 R. 옴의 법칙(Ohm's law)은 도체의 두 지점사이에 나타나는 전위차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법칙에 따르는 것을 말. 두 지점 사이의 도체에 일정한 전위차가 존재할 때, 도체의 저항(resistance)의 크기와 전류의 크기는 반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옴의 법칙 · 더보기 »

어니스트 러더퍼드

어니스트 러더퍼드 남작(FRS, 1871년 8월 30일 ~ 1937년 10월 19일)은 뉴질랜드에서 태어난 영국의 핵물리학자로서 핵물리학의 아버지로 불린.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어니스트 러더퍼드 · 더보기 »

어니스트 로런스

어니스트 올란도 로런스(Ernest Orlando Lawrence, 1901년 8월 8일 - 1958년 8월 27일)는 미국의 물리학자이자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어니스트 로런스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양자역학 · 더보기 »

에르빈 슈뢰딩거

에르빈 루돌프 요제프 알렉산더 슈뢰딩거(1887년 8월 12일 - 1961년 1월 4일)는 슈뢰딩거 방정식을 비롯한 양자 역학에 대한 기여로 유명한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에르빈 슈뢰딩거 · 더보기 »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Evangelista Torricelli, 1608년 10월 15일 - 1647년 10월 25일)는 이탈리아의 수학자며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에반젤리스타 토리첼리 · 더보기 »

에드워드 몰리

에드워드 윌리엄스 몰리(1838년 1월 29일 - 1923년 2월 23일)는 미국의 과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에드워드 몰리 · 더보기 »

에너지 보존 법칙

물리학에서의 에너지 보존 법칙(-保存法則)은, 외계에 접촉이 없을때 고립계에서 에너지의 총합을 일정하다는 것으로 물리학의 바탕이되는 법칙 중. 가끔 에너지 보존의 법칙이라고도 불린.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에너지 보존 법칙 · 더보기 »

에테르 (물리)

327px 에테르(aether, ether)는 빛의 파동설의 부산물로 파동이 진행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있어야 한다고 믿어졌던 매질(물결파에 대해서는 물, 소리에 대해서는 공기)중 광파동 매질의 이름으로 만들어진 신조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에테르 (물리) · 더보기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헤라르뒤스 엇호프트(1946년 7월 5일 ~) 또는 헤라르트 엇호프트()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더보기 »

헤르만 폰 헬름홀츠

헤르만 루트비히 페르디난트 폰 헬름홀츠(1821년-1894년)는 독일의 생리학자, 철학자이자 물리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헤르만 폰 헬름홀츠 · 더보기 »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Heike Kamerlingh Onnes, 1853년 ~ 1926년)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 · 더보기 »

헨리 캐번디시

헨리 캐번디시 헨리 캐번디시(Henry Cavendish, FRS, 1731년 10월 10일~1810년 2월 24일)는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헨리 캐번디시 · 더보기 »

헨드릭 로런츠

헨드릭 안톤 로런츠(Hendrik Antoon Lorentz, 1853년 7월 18일 ~ 1928년 2월 4일)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헨드릭 로런츠 · 더보기 »

헬륨-3

헬륨-3은 가볍고 안정한 헬륨의 동위 원소 중의 하나로, 두 개의 양성자와 한 개의 중성자를 갖고 있. 헬륨-3은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을 일으킬 때 생성.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헬륨-3 · 더보기 »

헬름홀츠 방정식

평면에서 두 개의 방사하는 소스, 주어진 함수 f는 블루 지역에서 제로를 의미한다. 다음 A,의 실수영역이며, A는 비등차(inhomogeneous) 헬름호츠 방정식의 해이다 (\nabla^2 + k^2) A.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헬름홀츠 방정식 · 더보기 »

역학 (물리학)

역학(力學)은 물리학의 한 분야로, 외력을 받고 있는 물체의 정지 또는 운동 상태를 설명하고 예측하는 자연 과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역학 (물리학) · 더보기 »

열복사

열복사(熱輻射, thermal radiation)는 열이 전자기파의 형태로 운반되거나 물체가 전자파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 열을 전달하는 방법은 크게 분류해서 다음의 두가지가 있.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복사 · 더보기 »

열전자 방출

섬네일 섬네일 열전자 방출(熱電子 放出)은 전하 운반자가 열에 의해 위치 에너지 장벽을 넘어 표면에서부터 흐르는 것을 말. 이것은 열 에너지가 전하 운반자에게 그것을 붙잡고 있는 금속의 에너지를 극복할 수 있는 에너지를 주기 때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전자 방출 · 더보기 »

열에너지

섬네일 열역학에서, 열에너지(thermal energy)는 온도 덕분에 시스템의 내부에 존재하는 에너지를 의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에너지 · 더보기 »

열역학

열역학 계의 예. 열전달에 의해 피스톤 운동을 하는 기관. 열역학(熱力學, thermodynamics)은 에너지, 열, 일, 엔트로피와 과정의 자발성을 다루는 물리학의 분야.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역학 · 더보기 »

열역학 법칙

열역학 법칙은 열역학적 과정에서 열과 일에 관한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역학 법칙 · 더보기 »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1법칙(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은 보다 일반화된 에너지 보존법칙의 표현이다: "어떤 계의 내부 에너지의 증가량은 계에 더해진 열 에너지에서 계가 외부에 해준 일을 뺀 양과 같." 열의 이동에 따라 계 내부의 에너지가 변하는데 이때 열에너지 또한 변. 이 에너지는 계 내부의 원자·분자의 역학적 에너지 등을 일컫. 일반적으로, 어떤 체계에 외부로부터 어떤 에너지가 가해지면 그만큼 체계의 에너지가 증.  이와 같이, 물체에 열을 가하면 그 물체의 내부 에너지가 가해진 열 에너지만큼 증. 또한 물체에 역학적인 일이 더해져도 역시 내부 에너지는 더해진 일의 양만큼 증. 따라서 물체에 열과 일이 동시에 가해졌을 때 물체의 내부 에너지는 가해진 열과 일의 양만큼 증. 이것을 열역학의 제1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역학 제1법칙 · 더보기 »

열역학 제2법칙

물리학에서 열역학 제2법칙(second law of thermodynamics)은 열적으로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역학 제2법칙 · 더보기 »

열역학 제3법칙

물리학에서 열역학 제3법칙(third law of thermodynamics)은 엔트로피의 기본적인 개념과 관련되는 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열역학 제3법칙 · 더보기 »

엑스선

이 찍은 그의 부인 손의 엑스선 사진 (반지 포함) 엑스선(-線)는 파장이 10 ~ 0.01 나노미터이며, 주파수는 30 × 1015헤르츠에서 30 × 1018헤르츠 사이인 전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엑스선 · 더보기 »

엔리코 페르미

엔리코 페르미(1901년 9월 29일 – 1954년 11월 28일)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엔리코 페르미 · 더보기 »

엔트로피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엔트로피()는 열역학적 계의 유용하지 않은 (일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상태 함수.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엔트로피 · 더보기 »

엔탈피

엔탈피(enthalpy)는 열역학적 계에서 뽑을 수 있는 에. 내부 에너지와, 계가 부피를 차지함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에너지(부피와 압력의 곱)의 합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엔탈피 · 더보기 »

사이클로트론

오늘날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는 사이클로트론 사이클로트론(cyclotron)은 고주파의 전극과 자기장을 사용하여 입자를 나선 모양으로 가속시키는 입자 가속기의 일종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사이클로트론 · 더보기 »

피에르 드 페르마

에르 드 페르마(1601년 8월 17일~1665년 1월 12일)는 프랑스의 변호사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피에르 드 페르마 · 더보기 »

피에르 퀴리

에르 퀴리(Pierre Curie, 1859년 5월 15일 ~ 1906년 4월 19일) 는 프랑스의 물리학자로, 결정학, 자기, 압전효과, 방사선 분야의 선구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피에르 퀴리 · 더보기 »

피에르질 드 젠

에르질 드 젠 피에르질 드 젠(Pierre-Gilles de Gennes, 1932년 10월 24일 ~ 2007년 5월 18일)은 프랑스 태생의 물리학자로 1991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피에르질 드 젠 · 더보기 »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1749년 3월 23일~1827년 3월 5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 더보기 »

플랑크 법칙

'''흑체 복사 스팩트럼''' 플랑크 법칙()은 물리학에서 온도 T의 흑체로부터 나오는 모든 파장의 복사를 설명.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플랑크 법칙 · 더보기 »

플랑크 상수

랑크 상수(Planck常數, Planck constant, 기호 h)는 입자의 에너지와 드브로이 진동수의 비 (h.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플랑크 상수 · 더보기 »

플라톤

(Plátōn, "넓은, 어깨 폭이 넓은";,; 기원전 428년/기원전 427년 또는 기원전 424년/기원전 424년 ~ 기원전 348년/기원전 347년)은 서양의 다양한 학문에 영향력을 가진 그리스의 철학자이며 사상가였.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플라톤 · 더보기 »

프랭클린

랭클린(Franklin).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프랭클린 · 더보기 »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

스코 마리아 그리말디(Francesco Maria Grimaldi, 1618년 4월 2일 이탈리아 볼로냐 ~ 1663년 이탈리아 볼로냐)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 · 더보기 »

프톨레마이오스

마이오스(Ptolemaios)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프톨레마이오스 · 더보기 »

섭씨

섭씨 온도(Celsius, 攝氏溫度)는 1 atm에서의 물의 어는점을 0도, 끓는점을 100도로 정한 온도 체계이며, 기호는 °C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섭씨 · 더보기 »

속도

속도(速度)는 어떠한 물체의 위치 변화를 뜻하는 변위를 변화가 일어난 시간 간격으로 나눈 값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속도 · 더보기 »

토머스 영

머스 영 토머스 영(Thomas Young, 1773년 6월 13일~1829년 5월 10일)은 영국의 의사, 물리학자, 생리학자, 언어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토머스 영 · 더보기 »

토머스 에디슨

머스 앨바 에디슨(Thomas Alva Edison, 1847년 2월 11일 ~ 1931년 10월 18일)은 미국의 발명가 및 사업가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토머스 에디슨 · 더보기 »

통계역학

통계역학(統計力學)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통계역학 · 더보기 »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Albert Abraham Michelson, 1852년 12월 9일 - 1931년 5월 9일)은 폴란드계 미국인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앨버트 에이브러햄 마이컬슨 · 더보기 »

항공우주

의 대기와, 대기 너머로 보이는 달 항공우주(航空宇宙, aerospace)는 지구의 대기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우주를 이. 일반적으로 이 용어는 대기와 우주를 통해 움직이는 차량을 연구하고 설계하고 제조하고 운영하고 관리하는 것을 가리키는 데 쓰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항공우주 · 더보기 »

알레산드로 볼타

알레산드로 주세페 안토니오 아나스타시오 볼타(1745년 2월 18일 ~ 1827년 3월 5일)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알레산드로 볼타 · 더보기 »

알마게스트

히파르코스에 의해 지구(Earth)로부터의 태양(Sun)과 달(Moon)과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사용된 지구중심적 구조. 알마게스트는 2세기의 항성과 행성의 경로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그리스 수학과 천문학의 논문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알마게스트 · 더보기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확인.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더보기 »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1777년 8월 14일 – 1851년 3월 9일)는 덴마크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한스 크리스티안 외르스테드 · 더보기 »

알파 입자

알파선은 헬륨 원자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이 한 장으로 쉽게 막을 수 있다. 베타선은 전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알루미늄 판으로 막을 수 있다. 고에너지 광자로 구성된 감마선은 조밀한 물질(물이나 철근 콘크리트)을 통과하며 점차 흡수된다. 알파 입자(alpha particle) 혹은 알파선(alpha ray)은 높은 이온화 특성을 지니는 입자 복사의 하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알파 입자 · 더보기 »

안데르스 셀시우스

안데르스 셀시우스 안데르스 셀시우스(Anders Celsius, 1701년 ~ 1744년)는 스웨덴의 물리학자·천문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안데르스 셀시우스 · 더보기 »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thumb 서명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Heinrich Rudolf Hertz, 1857년 2월 22일 - 1894년 1월 1일)는 독일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하인리히 루돌프 헤르츠 · 더보기 »

하위헌스 원리

위헌스의 원리 하위헌스 원리(Huygens' principle, 하위헌스 원리) 또는 하위헌스-프레넬 원리(Huygens–Fresnel principle)는 빛의 파동성에 근거하여 빛이 어떻게 전파하여 나가는지를 기술하는 원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하위헌스 원리 · 더보기 »

핵분열

핵분열(核分裂, nuclear fission)은 보통 우라늄, 플루토늄같이 질량수가 큰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해 가벼운 원자핵 2개(핵분열 생성물)로 쪼개지는 핵반응의 한 유형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핵분열 · 더보기 »

아르놀트 조머펠트

아르놀트 요하네스 빌헬름 조머펠트(Arnold Johannes Wilhelm Sommerfeld, 1868년 12월 5일 - 1951년 4월 26일)는 원자와 양자 물리를 주로 연구한 독일의 이론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르놀트 조머펠트 · 더보기 »

아르키메데스

아르키메데스(약 기원전 287년 ~ 기원전 212년)는 고대 그리스 마그나 그라이키아의 일부였던 시라쿠사 출신의 철학자, 수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 겸 공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르키메데스 · 더보기 »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아르키메데스의 원리(Archimedes의 原理)는 어떤 물체를 유체에 넣었을 때 받는 부력의 크기가, 물체가 유체에 잠긴 부피만큼의 유체에 작용하는 중력의 크기와 같다는 원리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 더보기 »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기원전 384년 ~ 322년)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플라톤의 제자이며, 알렉산더 대왕의 스승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리스토텔레스 · 더보기 »

필립스

얄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N.V. (Royal Philips Electronics N.V.)는 네덜란드의 다국적 기업 전자 제품 생산 기업이며, 본사는 암스테르담에 위치해 있. 2006년 현재 매출액은 269.76 억 유로이며, 60개 이상의 국가에서 약 125,500명의 임직원들이 근무하고 있. 필립스는 전자외에도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사업부들로 구성되어 있다: 필립스 퍼스널 헬스, 필립스 라이팅, 필립스 헬스 시스템스가 있으며 또한 필립스는 네덜란드의 축구클럽 PSV 에인트호번의 주요 스폰서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필립스 · 더보기 »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아메데오 아보가드로(1776년 8월 9일 ~ 1856년 7월 9일)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메데오 아보가드로 · 더보기 »

아보가드로의 법칙

아보가드로의 법칙()은 이탈리아의 아메데오 아보가드로가 1811년 발표한 기체 법칙에 대한 가설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보가드로의 법칙 · 더보기 »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1752년 9월 18일 - 1833년 1월 10일)는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드리앵마리 르장드르 · 더보기 »

아이작 뉴턴

아이작 뉴턴 경(그레고리력 1643년 1월 4일~1727년 3월 31일, 율리우스력 1642년 12월 25일~1727년 3월 20일)은 잉글랜드의 물리학자, 수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아이작 뉴턴 · 더보기 »

압력

쇄된 용기 안에서 입자 충돌에 의해 압력이 확장되고 있다. 압력(壓力)은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물량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압력 · 더보기 »

압두스 살람

무함마드 압두스 살람(Muhammad Abdus Salam, 1926년 1월 29일 ~ 1996년 11월 21일)은 파키스탄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압두스 살람 · 더보기 »

앙리 베크렐

앙투안 앙리 베크렐 (1852년 12월 15일 –1908년 8월 25일)은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앙리 베크렐 · 더보기 »

앙드레마리 앙페르

앙드레마리 앙페르(1775년 1월 20일 ~ 1836년 6월 10일)는 프랑스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앙드레마리 앙페르 · 더보기 »

앙페르 회로 법칙

앙페르 회로 법칙(Ampère回路法則, Ampère's circuital law)은 자기장에 대한 물리 법칙이며, 맥스웰 방정식 가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앙페르 회로 법칙 · 더보기 »

앙투안 라부아지에

앙투안로랑 드 라부아지에(1743년 8월 26일 ~ 1794년 5월 8일)는 프랑스의 화학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앙투안 라부아지에 · 더보기 »

셸던 리 글래쇼

셸던 리 글래쇼(Sheldon Lee Glashow, 1932년 12월 5일 ~) 는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미국 물리학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셸던 리 글래쇼 · 더보기 »

시몬 스테빈

Simon Stevin 시몬 스테빈(1548년 / 1549년 ~ 1620년)은 네덜란드 플랑드르의 수학자이자 기술자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시몬 스테빈 · 더보기 »

원자

원자(原子, atom)는 화학 반응을 통해 더 쪼갤 수 없는 단위를 말.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구성.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자 · 더보기 »

원자 모형

원자 모형은 원자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눈으로 볼 수 없는 원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자 모형 · 더보기 »

원자 시계

원자 시계(原子時計)는 원자의 진동수가 일정함을 이용하여 만든 시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자 시계 · 더보기 »

원자론

원자론(原子論)은 모든 물질이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론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자론 · 더보기 »

원자핵

헬륨 원자의 원자핵 원자핵(原子核, atomic nucleus)은 원자 중심의 핵자(양성자와 중성자)와 중간자로 이루어진 작고 밀도가 높은 부분을 말. 지름은 (수소의 양성자 핵 크기인) 1.6 fm(10-15 m)에서 (우라늄 등의 무거운 핵의) 15 fm 정도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자핵 · 더보기 »

원주율

원주율(圓周率)은 원둘레와 지름의 비 즉, 원의 지름에 대한 둘레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학 상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원주율 · 더보기 »

훅 법칙

훅 법칙()은 용수철과 같이 탄성이 있는 물체가 외력에 의해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등 변형되었을 때 자신의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려고 저항하는 복원력의 크기와 변형의 정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물리 법칙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훅 법칙 · 더보기 »

화씨

Countries that use Celsius. 화씨 온도(華氏, Fahrenheit)는 독일의 다니엘 가브리엘 파렌하이트(Daniel Gabriel Fahrenheit)의 이름을 딴 온도 단위이며, 기호로는 °F를 쓴. 물이 어는 온도는 32도(섭씨 0도)이며, 물이 끓는 온도는 212도(섭씨 100도)이므로, 이 사이의 온도는 180등분.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화씨 · 더보기 »

와전류

와전류(渦電流, eddy current, foucault currents)또는 맴돌이 전류는 도체에 걸린 자기장이 급격히 바뀔 때 전자기 유도에 의해 도체에 생기는 소용돌이 형태의 전류이.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와전류 · 더보기 »

W와 Z보손

입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에서 W보손과 Z보손은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게이지 보손이자 기본입자.

새로운!!: 물리학의 역사와 W와 Z보손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물리학사.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