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의 차이

박병호 (1986년) vs. 이승엽

박병호(朴炳鎬, 1986년 7월 10일 ~)는 KBO 리그 넥센 히어로즈의 내야수, 지명타자이. 이승엽(李承燁, 1976년 10월 11일 (음력 8월 18일) ~)은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내야수 및 지명타자이자, 현재 KBO 홍보대사이.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의 유사점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는 공통적으로 76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도루, 롯데 자이언츠, 마해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몸에 맞는 공, 번트, 고의 사구, 볼넷, 병살, 김광현 (야구 선수), 대한민국, 누타수, 두산 베어스, 내야수, 나이, 득점 (야구), 넥센 히어로즈, , 장타율, 희생 플라이, 이병규 (1974년), 지명 타자, 출루율, 타점, 타율, 타수, 투수, 현대 유니콘스, 삼진, 삼성 라이온즈,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야구, 야구 필드, 한화 이글스, 안타, 아시안 게임, 심정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홈런, KBO (단체), KBO 리그, KBO 골든글러브, KBO 타점상, KBO 홈런상, KBO MVP, KIA 타이거즈, LG 트윈스, NC 다이노스, OPS, SK 와이번스, 10월 2일, 10월 3일, 12월 2일, 1루수, 2005년, 2006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2년 한국프로야구, 2013년, 2013년 한국프로야구, 2014년, 2014년 한국프로야구, 2014년 한국시리즈, 2015년, 2015년 KBO 리그, 2016년, 2017년, 2루타, 3루타, 4월 15일, 4월 4일, 8월 1일.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46 더) »

도루

3루 도루를 시도하는 리키 헨더슨. 도루(盜壘)는 야구의 인플레이 상황에서 주자가 공과는 상관없이 다음 루로 가려고 시도하는 것을 말. 원래 반칙이 될 수도 있었으나 야구의 재미를 위해서 도루도 정식 규정에 포함되었.

도루와 박병호 (1986년) · 도루와 이승엽 · 더보기 »

롯데 자이언츠

롯데 자이언츠 구단 버스(현대 유니버스). 롯데 자이언츠(Lotte Giants)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 야구 팀이.

롯데 자이언츠와 박병호 (1986년) · 롯데 자이언츠와 이승엽 · 더보기 »

마해영

마해영(馬海泳, 1970년 8월 14일 ~)은 전 KBO 리그 롯데 자이언츠의 내야수이자, 현 경기도 챌린지 리그 성남 블루팬더스의 초대 감독이.

마해영와 박병호 (1986년) · 마해영와 이승엽 · 더보기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은 미국과 캐나다에서 최고 수준의 프로 야구 리그를 말. 명확하게 따지자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은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를 운영하는 조직으로, 공통의 조직 구성에 의해 1901년부터 서로 발전해왔다(내셔널 리그는 1876년부터 존재했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와 박병호 (1986년)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와 이승엽 · 더보기 »

몸에 맞는 공

몸에 맞는 공 혹은 몸에 맞는 볼은 야구 용어로서, 투수가 던진 공이 타자의 몸에 닿는 경우를 말. 이때는 볼데드 상황이.

몸에 맞는 공와 박병호 (1986년) · 몸에 맞는 공와 이승엽 · 더보기 »

번트

번트 번트는 야구 타격 기술 중 하나로 야구 방망이를 스윙하지 않고 내야에 공이 천천히 구르도록 일부러 볼에 배트를 살짝 갖다 대는 것이.

박병호 (1986년)와 번트 · 번트와 이승엽 · 더보기 »

고의 사구

의 사구(故意四球)는 투수가 유리한 승부를 위해서 타자를 볼넷으로 걸러 1루로 진루시키는 것이.

고의 사구와 박병호 (1986년) · 고의 사구와 이승엽 · 더보기 »

볼넷

볼넷(Ball넷)은 한국어로 순화된 야구 용어 중 하나로, 타자가 타석에서 4개의 볼을 골라 1루로 나가는 것을 뜻. 영어로는 Base on Balls(베이스 온 볼스) 이. 일본식 표현으로 사구(四球)라고도 하지만, 몸에 맞는 볼을 뜻하는 한자어 사구(死球)와 한글표기가 같아 볼넷이라는 표현을 더 많이 사용.

박병호 (1986년)와 볼넷 · 볼넷와 이승엽 · 더보기 »

병살

병살(倂殺) 또는 더블플레이()는 야구에서 타자의 타격 후 수비수가 그 타구를 잡아 2명의 공격수를 아웃시키는 것을 말. 이때 병살의 원인이 되는 타자의 타격을 병살타(倂殺打, hit into double play, grounded into double play, GIDP).

박병호 (1986년)와 병살 · 병살와 이승엽 · 더보기 »

김광현 (야구 선수)

광현(金廣鉉, 1988년 7월 22일 ~)은 KBO 리그 SK 와이번스의 투수이.

김광현 (야구 선수)와 박병호 (1986년) · 김광현 (야구 선수)와 이승엽 · 더보기 »

대한민국

민국(大韓民國,; ROK)은 동아시아의 한반도 남부에 있는 공화국이.

대한민국와 박병호 (1986년) · 대한민국와 이승엽 · 더보기 »

누타수

야구의 기록에서, 누타수(壘打數,, TB)는 타자가 안타로 진루한 누의 총합이.

누타수와 박병호 (1986년) · 누타수와 이승엽 · 더보기 »

두산 베어스

산 베어스(Doosan Bear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KBO 리그 팀이.

두산 베어스와 박병호 (1986년) · 두산 베어스와 이승엽 · 더보기 »

내야수

야수(內野手, Infielder)란 야구 또는 소프트볼에서 내야의 수비를 담당하는 선수를 말. 내야수에는 1루수, 2루수, 3루수, 유격수가 있. 엄밀한 의미에서 투수와 포수도 내야수이.

내야수와 박병호 (1986년) · 내야수와 이승엽 · 더보기 »

나이

이 또는 연세(年歲)는 사람이나 동·식물 따위가 세상에 나서 살아온 햇수를 말.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만(滿) 나이를 사용하지만, 동아시아의 일부 국가,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세는나이를 함께 사용.

나이와 박병호 (1986년) · 나이와 이승엽 · 더보기 »

득점 (야구)

야구에서 득점은 홈플레이트를 밟아 득점이 인정되었을 때 그 홈플레이트를 밟은 주자에게 득점이라는 기록 1 이 올.

득점 (야구)와 박병호 (1986년) · 득점 (야구)와 이승엽 · 더보기 »

넥센 히어로즈

넥센 히어로즈(Nexen Heroe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프로 야구팀이.

넥센 히어로즈와 박병호 (1986년) · 넥센 히어로즈와 이승엽 · 더보기 »

자의 년 년(연)(年)은 시간을 재는 단위로, 순한국어로 해라고 부른.

년와 박병호 (1986년) · 년와 이승엽 · 더보기 »

장타율

장타율은 타자가 타격을 한 뒤 몇 루를 출루 가능한지의 기대 수치를 말. 용어 자체에 퍼센티지를 나타내는 '율'이 붙어, 장타를 칠 확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으나 그 정도의 출루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

박병호 (1986년)와 장타율 · 이승엽와 장타율 · 더보기 »

희생 플라이

희생 플라이(Sacrifice fly: SF)는 야구 타격 기록의 일종으로, 번트처럼 타수에 포함되지 않. 때문에 타율 계산에서는 볼넷과 마찬가지로 무시되지만, 출루율은 낮아.

박병호 (1986년)와 희생 플라이 · 이승엽와 희생 플라이 · 더보기 »

이병규 (1974년)

이병규(李炳圭, 1974년 12월 8일 ~)는 전 KBO 리그 LG 트윈스의 외야수, 지명타자이자, 현 KBO 리그 LG 트윈스의 타격코치이.

박병호 (1986년)와 이병규 (1974년) · 이병규 (1974년)와 이승엽 · 더보기 »

지명 타자

명 타자(指名 打者, Designated Hitter, DH)는 야구에서 타격 시 투수 대신 타석에 들어서는 타자이.

박병호 (1986년)와 지명 타자 · 이승엽와 지명 타자 · 더보기 »

출루율

율은 야구 경기에서 타자가 베이스에 얼마나 많이 살아 나갔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이.

박병호 (1986년)와 출루율 · 이승엽와 출루율 · 더보기 »

타점

점(打點)는 득점타(得點打)라고도 하며, 야구, 소프트볼, 다트볼에 사용되는 용어로, 타자가 플레이 해 주자가 득점했을 때 타자에게 주어지는 점수를 말.(단. 타자가 병살타를 쳤을때는 타점을 주지 않는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승리 타점'이 1980년부터 1988년까지 존재했었으며, 다른 몇몇 프로 리그에서도 존재.

박병호 (1986년)와 타점 · 이승엽와 타점 · 더보기 »

타율

틸슨 브리토가 타석에서 공을 타격하고 있다. 타율()은 안타 수를 타수로 나눈 값으로, 야구에서 타자를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

박병호 (1986년)와 타율 · 이승엽와 타율 · 더보기 »

타수

석에서 타격을 하는 스즈키 이치로. 야구에서, 타수(打數, (AB) 또는)는 기록으로, 타자가 타석에 들어서서 타격을 완료한 횟수를 말하는데, 볼넷, 희생 번트, 타격 방해등은 타수에 포함되지 않.

박병호 (1986년)와 타수 · 이승엽와 타수 · 더보기 »

투수

수 노아 신더가드. 투수(投手)는 야구에서 포수와 타자에게 공을 던지는 포지션에 있는 선수를 말. 지명 타자가 있는 리그에서위는 투수가 타석에 서지 않.

박병호 (1986년)와 투수 · 이승엽와 투수 · 더보기 »

현대 유니콘스

2007년의 모습. 현대 유니콘스(Hyundai Unicorns)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경기도, 강원도를 연고지로 한 프로 야구팀이었.

박병호 (1986년)와 현대 유니콘스 · 이승엽와 현대 유니콘스 · 더보기 »

삼진

삼진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박병호 (1986년)와 삼진 · 삼진와 이승엽 · 더보기 »

삼성 라이온즈

삼성 라이온즈(Samsung Lions)는 대한민국의 대구광역시, 경상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야구 팀이.

박병호 (1986년)와 삼성 라이온즈 · 삼성 라이온즈와 이승엽 · 더보기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서울綜合運動場 野球場, Seoul Sports Complex Baseball Stadium)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에 있는 야구 경기장으로 흔히 잠실 야구장으로 불린다. LG 트윈스와 두산 베어스, 양 구단이 홈구장으로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시즌 중에는 월요일과 우천일을 제외한 거의 매일 프로 야구 경기가 열린다. (2014년에는 인천아시안게임으로 주말경기가 우천취소될 시 월요일에 재편성) 한편, 1983년 이후 매년 포스트시즌이 이 곳에서 개최되었지만 1991년에는 포스트시즌 경기가 없었다. 최근 현대자동차의 본사건물이 신축되면서 잠실야구장을 새로 지을 계획이 있다고 한다.

박병호 (1986년)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와 이승엽 · 더보기 »

야구

야구(野球, baseball)는 아홉 또는 열 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방망이와 공을 사용해 겨루는 구기 종목이.

박병호 (1986년)와 야구 · 야구와 이승엽 · 더보기 »

야구 필드

펫코 파크의 필드 모습 야구 필드 또는 그라운드는 야구장에서 경기가 직접 진행되는 곳이.

박병호 (1986년)와 야구 필드 · 야구 필드와 이승엽 · 더보기 »

한화 이글스

화 이글스(Hanwha Eagles)는 대한민국의 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충청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야구 팀이.

박병호 (1986년)와 한화 이글스 · 이승엽와 한화 이글스 · 더보기 »

안타

안타(安打)는 야구와 소프트볼에서 타자가 방망이로 쳐서 아웃이 되지 않고 1루 이상 진루할 수 있게 친 타구를 말. 흔히 안타라고 하면 단타를 가리.

박병호 (1986년)와 안타 · 안타와 이승엽 · 더보기 »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Asian Games, 아시아 경기 대회, 아시아드, 아시안 게임)은 4년마다 열리는 아시아의 국가들을 위한 종합 스포츠 대회이.

박병호 (1986년)와 아시안 게임 · 아시안 게임와 이승엽 · 더보기 »

심정수

심정수 (沈正洙, 1975년 5월 5일 ~)는 전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의 외야수이.

박병호 (1986년)와 심정수 · 심정수와 이승엽 · 더보기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베네수엘라의 경기 장면.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은 국가간 야구 토너먼트 대회이.

박병호 (1986년)와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와 이승엽 · 더보기 »

홈런

홈런(Home Run)은 야구나 소프트볼에서 타자가 타격을 한 뒤 한번에 모든 루를 통과하여 홈으로 돌아와 자신의 힘으로 득점을 올리는 것을 말.

박병호 (1986년)와 홈런 · 이승엽와 홈런 · 더보기 »

KBO (단체)

KBO(Korea Baseball Organization)/KBO 사무국(Office of the Commissioner, KBO)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사단법인으로 KBO 리그를 총괄하는 기구이.

KBO (단체)와 박병호 (1986년) · KBO (단체)와 이승엽 · 더보기 »

KBO 리그

KBO 리그(KBO League)는 대한민국의 프로 야구 리그이며, 흔히 한국프로야구로 알려져 있. 1981년 12월 11일 OB 베어스, 해태 타이거즈, 삼성 라이온즈, 삼미 슈퍼스타즈, 롯데 자이언츠 등 총 5개 구단이 한국프로야구 창립 총회에 참가하여 프로 야구 출범을 공표하여 구체화되었.

KBO 리그와 박병호 (1986년) · KBO 리그와 이승엽 · 더보기 »

KBO 골든글러브

KBO 골든글러브 (KBO Golden Glove Award)은 KBO 리그에서 매해 각 포지션별로 가장 우수한 활약을 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

KBO 골든글러브와 박병호 (1986년) · KBO 골든글러브와 이승엽 · 더보기 »

KBO 타점상

KBO 타점상은 연말 KBO 리그 시상식에서 해당 연도 정규 리그의 타점 1위에게 수여하는 상이.

KBO 타점상와 박병호 (1986년) · KBO 타점상와 이승엽 · 더보기 »

KBO 홈런상

KBO 홈런상은 연말 KBO 리그 시상식에서 해당 연도 정규 리그의 홈런 1위에게 수여하는 상이.

KBO 홈런상와 박병호 (1986년) · KBO 홈런상와 이승엽 · 더보기 »

KBO MVP

KBO MVP는 해당 연도 정규 리그에서 최고의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주는 상이.

KBO MVP와 박병호 (1986년) · KBO MVP와 이승엽 · 더보기 »

KIA 타이거즈

KIA 타이거즈(KIA Tigers)는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야구 팀이.

KIA 타이거즈와 박병호 (1986년) · KIA 타이거즈와 이승엽 · 더보기 »

LG 트윈스

LG 트윈스(LG Twins)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 야구단이.

LG 트윈스와 박병호 (1986년) · LG 트윈스와 이승엽 · 더보기 »

NC 다이노스

NC 다이노스 구단 버스 NC 다이노스(NC Dinos)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소속 프로 야구 팀이.

NC 다이노스와 박병호 (1986년) · NC 다이노스와 이승엽 · 더보기 »

OPS

OPS(오피에스)는 On base Plus Sluggling 의 약자이며 말 그대로 출루율과 장타율의 합이.

OPS와 박병호 (1986년) · OPS와 이승엽 · 더보기 »

SK 와이번스

SK 와이번스(SK Wyverns)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를 연고지로 하는 KBO 리그 소속 프로야구단이.

SK 와이번스와 박병호 (1986년) · SK 와이번스와 이승엽 · 더보기 »

10월 2일

10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5번째(윤년일 경우 276번째) 날에 해당.

10월 2일와 박병호 (1986년) · 10월 2일와 이승엽 · 더보기 »

10월 3일

10월 3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76번째(윤년일 경우 277번째) 날에 해당.

10월 3일와 박병호 (1986년) · 10월 3일와 이승엽 · 더보기 »

12월 2일

12월 2일은 그레고리력으로 336번째(윤년일 경우 337번째) 날에 해당.

12월 2일와 박병호 (1986년) · 12월 2일와 이승엽 · 더보기 »

1루수

1루수의 위치 1루수(一壘手, First Baseman)는 1루 근처에 위치해서 1루를 중심으로 수비하는 내야수이.

1루수와 박병호 (1986년) · 1루수와 이승엽 · 더보기 »

2005년

2005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5년와 박병호 (1986년) · 2005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06년

2006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6년와 박병호 (1986년) · 2006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08년

2008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08년와 박병호 (1986년) · 2008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09년

2009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09년와 박병호 (1986년) · 2009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0년

2010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0년와 박병호 (1986년) · 2010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1년

2011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1년와 박병호 (1986년) · 2011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2년

2012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며, 이 해는 2002년 이후 10년만에 대규모 행사의 해이.

2012년와 박병호 (1986년) · 2012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2년 한국프로야구

KBO 리그의 2012년 시즌은 31번째 시즌이며, 대한민국의 8개 프로 야구 구단들이.

2012년 한국프로야구와 박병호 (1986년) · 2012년 한국프로야구와 이승엽 · 더보기 »

2013년

201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3년와 박병호 (1986년) · 2013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3년 한국프로야구

KBO 리그의 2013년 시즌은 32번째 시즌이며, 제9구단으로 창단된 NC 다이노스의 합류로, 대한민국의 9개 프로 야구 구단들이.

2013년 한국프로야구와 박병호 (1986년) · 2013년 한국프로야구와 이승엽 · 더보기 »

2014년

2014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4년와 박병호 (1986년) · 2014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4년 한국프로야구

KBO 리그의 2014년 시즌은 KBO 리그의 33번째 시즌이며, 대한민국의 9개 프로 야구 구단들이 참가한다, 2013년 한국프로야구 시즌에 이어 한국야쿠르트가 2년 연속 타이틀 메인 스폰서로 참여함에 따라 공식 명칭은 2014 한국야쿠르트 세븐 프로야구였.

2014년 한국프로야구와 박병호 (1986년) · 2014년 한국프로야구와 이승엽 · 더보기 »

2014년 한국시리즈

2014 한국야쿠르트 7even 프로야구 한국시리즈는 2014년 11월 4일부터 정규시즌 우승팀으로 통합 4연패에 도전하는 삼성 라이온즈와 플레이오프 승자로 창단 첫 우승에 도전하는 넥센 히어로즈와의 7전 4선승제 경기로 거행되었.

2014년 한국시리즈와 박병호 (1986년) · 2014년 한국시리즈와 이승엽 · 더보기 »

2015년

2015년은 목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5년와 박병호 (1986년) · 2015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5년 KBO 리그

KBO 리그의 2015년 시즌은 KBO 리그의 34번째 시즌이며, 제 10구단 kt 위즈의 합류로, 대한민국의 10개 프로 야구 구단들이.

2015년 KBO 리그와 박병호 (1986년) · 2015년 KBO 리그와 이승엽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16년와 박병호 (1986년) · 2016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017년

2017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2017년와 박병호 (1986년) · 2017년와 이승엽 · 더보기 »

2루타

야구에서 말하는 2루타는 타자가 투수의 공을 쳐서, 심판이 아웃을 선언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을 친 타자가 2루까지 안전하게 도착하는 것을 의미.

2루타와 박병호 (1986년) · 2루타와 이승엽 · 더보기 »

3루타

3루타는 야구에서 심판이 아웃을 선언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자가 3루까지 도착한 안타를 말. 3루타는 수비수들의 실책이나 야수선택 상황이 일어나지 않아야 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흔히 볼 수 없. 3루타가 나오기 위해서는 수비수의 위치로부터 거리가 있는 야구장 외야 깊숙한 곳에 공이 떨어지거나, 불규칙한 바운드로 인해 수비수가 공을 잡는 데 시간이 걸려야.

3루타와 박병호 (1986년) · 3루타와 이승엽 · 더보기 »

4월 15일

4월 15일은 그레고리력으로 105번째(윤년일 경우 106번째) 날에 해당.

4월 15일와 박병호 (1986년) · 4월 15일와 이승엽 · 더보기 »

4월 4일

4월 4일은 그레고리력으로 94번째(윤년일 경우 95번째) 날에 해당.

4월 4일와 박병호 (1986년) · 4월 4일와 이승엽 · 더보기 »

8월 1일

8월 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3번째(윤년일 경우 214번째) 날에 해당.

8월 1일와 박병호 (1986년) · 8월 1일와 이승엽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의 비교.

박병호 (1986년)에는 156 개의 관계가 있고 이승엽에는 277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76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17.55%입니다 = 76 / (156 + 277).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박병호 (1986년)와 이승엽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