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의 차이

백이십팔근본번뇌 vs. 부 (마음작용)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부(覆,,,, slyness-concealment)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의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 중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 가운데 하나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의 유사점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는 공통적으로 13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마음작용, 법상종, 불교 용어 목록/수, 부파불교, 유가행파, 오위백법, 오위칠십오법, 설일체유부, 소번뇌지법, 소수번뇌심소,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품류족론.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마음 (불교)와 부 (마음작용) · 더보기 »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마음작용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마음작용와 부 (마음작용) · 더보기 »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법상종 · 법상종와 부 (마음작용)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수

수(受)는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이며,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변행심소(遍行心所: 5가지) 가운데 하나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부 (마음작용)와 불교 용어 목록/수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파불교 · 부 (마음작용)와 부파불교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유가행파 · 부 (마음작용)와 유가행파 · 더보기 »

오위백법

오위백법(五位百法)은 유식 계통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에서 세친의 《대승백법명문론(大乘百法明門論)》에 근거하여 일체의 만유제법(萬有諸法)을 크게 다섯 종류의 총 100개의 법으로 나눈 것을 말. 대분류인 오위(五位: 다섯 종류)는 심법(心法)심소법(心所法)색법(色法)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무위법(無爲法)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위백법 · 부 (마음작용)와 오위백법 · 더보기 »

오위칠십오법

오위칠십오법(五位七十五法)은 부파불교 시대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모든 존재(일체법)를 다섯 그룹(位)의 75가지 법(法)으로 나눈 것을 가리.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위칠십오법 · 부 (마음작용)와 오위칠십오법 · 더보기 »

설일체유부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는 부파불교 시대의 종파 또는 부파들 중에서 가장 유력한 부파이며, 부파불교의 사상적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부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설일체유부 · 부 (마음작용)와 설일체유부 · 더보기 »

소번뇌지법

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은,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46가지) 그룹의 6가지 세부 그룹인 대지법(大地法: 10가지)대선지법(大善地法: 10가지)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대불선지법(大不善地法: 2가지)소번뇌지법(小煩惱地法: 10가지)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 중의 하나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소번뇌지법 · 부 (마음작용)와 소번뇌지법 · 더보기 »

소수번뇌심소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는,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5위 100법의 법체계에서, 심소법(心所法: 51가지) 중 수번뇌심소(隨煩惱心所: 20가지)를 이루는 세 그룹인 소수번뇌심소(小隨煩惱心所: 10가지)중수번뇌심소(中隨煩惱心所: 2가지)대수번뇌심소(大隨煩惱心所: 8가지) 가운데 하나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소수번뇌심소 · 부 (마음작용)와 소수번뇌심소 · 더보기 »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은 4세기 인도의 세친 스님이 지은 불전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아비달마구사론 · 부 (마음작용)와 아비달마구사론 · 더보기 »

아비달마품류족론

《아비달마품류족론》(阿毘達磨品類足論,, K.0949, T.1542) 약칭 《품류족론》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주요 아비달마 논서들 중의 하나로, 설일체유부의 논사인 세우(世友,: 1~2세기)가 저술한 논서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부 (마음작용)와 아비달마품류족론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의 비교.

백이십팔근본번뇌에는 173 개의 관계가 있고 부 (마음작용)에는 14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3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6.95%입니다 = 13 / (173 + 14).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부 (마음작용)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