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의 차이

백이십팔근본번뇌 vs. 오개

128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5개(五蓋)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의 유사점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는 공통적으로 17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 (불교), 반야, 결 (불교), 번뇌, 번뇌 분류법, 법 (불교), 불교 용어 목록/ㅅ, 불교 용어 목록/구, 불교 용어 목록/오, 구경각, 욕심, 진 (불교), 칠수면, 오개, 석가모니, 악작, 신 (불교).

마음 (불교)

마음(心)은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 등에 따르면 안식이식비식설식신식의식의 6식(六識)을 말.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 등에 따르면 6식에 제7식의 말나식과 제8식의 아뢰야식을 더한 8식(八識)을 말. 마음을 주체(主體) 또는 주관(主觀)의 뜻에서 심왕(心王)이라고도 하며, 집기(集起)의 뜻에서 심법(心法)이.

마음 (불교)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마음 (불교)와 오개 · 더보기 »

반야

반야(般若)는 산스크리트어 프라즈냐(प्रज्ञा prajñā) 또는 팔리어 빤냐(paññā)를 음에 따라 번역한 낱말로, 뜻에 따라 번역하여 지혜(智慧)라고도 하며 간단히 지(智) 또는 혜(慧).

반야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반야와 오개 · 더보기 »

결 (불교)

(結,, bandhana)은 사(使) 등과 함께 번뇌의 여러 다른 이름 가운데 하나이.

결 (불교)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결 (불교)와 오개 · 더보기 »

번뇌

번뇌(煩惱,, ,)는 그 본질적 성질이 부적정(不寂靜: 고요하지 않음)인 마음작용들을 말. 번뇌의 본질적인 작용은 번뇌가 일어나게 되면, 그 번뇌를 대치(對治)하지 않는 한, 그 자체의 본질적인 성질에 근거하여 그 번뇌가 일으키는 부적정한 영향력 즉 부적정한 업이 몸과 마음에 상속되어 전전(展轉)하게 하는 것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번뇌 · 번뇌와 오개 · 더보기 »

번뇌 분류법

불교의 번뇌 분류법은 한두 가지가 아니며 많은 분류법이 있. 가장 널리 쓰이는 대표적인 분류법으로 다음을 들 수 있.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번뇌 분류법 · 번뇌 분류법와 오개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법 (불교) · 법 (불교)와 오개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ㅅ

설명이 없습니다.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ㅅ · 불교 용어 목록/ㅅ와 오개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구

설명이 없습니다.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구 · 불교 용어 목록/구와 오개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오

5견(五見)은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見取)계금취(戒禁取)의 5가지 잘못된 견해 즉 5가지 염오견(染汚見: 번뇌에 오염된 견해)을 말. 5염오견(五染污見), 5리사(五利使) 또는 5벽견(五僻見)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불교 용어 목록/오 · 불교 용어 목록/오와 오개 · 더보기 »

구경각

삼매에 든 고타마 붓다 (석굴암) 구경각(究竟覺, ultimate enlightenment, final enlightenment, supreme enlightenment)은 불교의 수행이 완성되어 증득(證得)하게 된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곧 부처의 상태를 이룬 것이나 부처가 되는 자리를 뜻. 구경각을 가리키는 다른 낱말로는 다음의 것들이 있.

구경각와 백이십팔근본번뇌 · 구경각와 오개 · 더보기 »

욕심

욕심(慾心, greed)의 한자를 보면 '慾' 자는 바랄 욕 자(欲) 아래에 마음 심 자(心)가 있는 형태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욕심 · 오개와 욕심 · 더보기 »

진 (불교)

(瞋,, dvesa,,, anger, repugnance)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진 (불교) · 오개와 진 (불교) · 더보기 »

칠수면

7수면(七隨眠)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칠수면 · 오개와 칠수면 · 더보기 »

오개

5개(五蓋)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 · 오개와 오개 · 더보기 »

석가모니

석가모니(釋迦牟尼Śākyamuni, 기원전 624년? ~ 544년? 생몰연대가 확실하지 않아 여러 설이 있지만, 세계불교도대회에서 이것(기원전 624년? ~ 544년)을 공식 채택하였다. 그 외 기원전 563년 ~ 483년, 기원전 565년 ~ 485년, 기원전 463년 ~ 383년설이 있다.)는 불교의 교조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석가모니 · 석가모니와 오개 · 더보기 »

악작

악작(惡作,, kaukritya,,, worry) 또는 회(悔)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악작 · 악작와 오개 · 더보기 »

신 (불교)

신(身)의 기본적인 뜻은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에 해당하는 몸 또는 신체이지만, 이외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의 kāya를 음역하여 가야(迦耶).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신 (불교) · 신 (불교)와 오개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의 비교.

백이십팔근본번뇌에는 173 개의 관계가 있고 오개에는 29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7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8.42%입니다 = 17 / (173 + 29).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백이십팔근본번뇌와 오개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