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의 차이

보이저 1호 vs. 보이저 2호

보이저 1호(Voyager 1)는 현재까지 작동하고 있는 NASA의 722 kg의 태양계 무인 탐사선이. 보이저 2호는 미국의 태양계 탐사선으로, 무게는 722 kg 이. 1977년 8월 20일에 발사.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의 유사점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는 공통적으로 32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레아 (위성), 목성, 미마스 (위성), 미국 항공우주국, 가니메데 (위성), 가족 사진 (보이저 1호), 보이저 계획, 보이저 금제 음반, 히페리온 (위성), 이오 (위성), 천왕성, 칼리스토 (위성), 케이프커내버럴, 유로파 (위성),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1호, 위성, 태양계, 태양권덮개, 타이탄 (위성), 행성, 엔셀라두스, 토성, 소행성대, 해왕성, 아말테아 (위성), 테티스 (위성), 1977년, 1979년, 1989년, ..., 2016년, 2020년.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2 더) »

레아 (위성)

아(Rhea)는 토성의 위성 중 두 번째로 크며, 태양계의 위성 중 아홉 번. 레아는 1672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레아 (위성)와 보이저 1호 · 레아 (위성)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목성

목성(木星, 라틴어: Jupiter)은 태양계의 다섯번째 행성이자 가장 큰 행성이.

목성와 보이저 1호 · 목성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미마스 (위성)

미마스(Mimas)는 토성의 위성으로, 이름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가이아의 아들 미마스에서 따왔.

미마스 (위성)와 보이저 1호 · 미마스 (위성)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의 기 미국 항공우주국(美國航空宇宙局)은 미국의 국가 기관으로서 우주 계획 및 장기적인 일반 항공 연구 등을 실행하고 있. 1958년 소비에트 연방의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스푸트니크 충격을 받은 미국은 1958년 7월 29일 NASA를 발족시.

미국 항공우주국와 보이저 1호 · 미국 항공우주국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가니메데 (위성)

메데(Ganymede, 목성 III)는 목성의 위성으로, 태양계의 위성들 중 가장.

가니메데 (위성)와 보이저 1호 · 가니메데 (위성)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가족 사진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가 찍은 태양계의 여섯 행성 사진. 보이저 1호가 찍은 태양계의 여섯 행성 사진의 다이어그램 셀레스티아로 렌더링한 것이다. 가족 사진(Family Portrait) 또는 행성 사진(Portrait of the Planets)은 1990년 2월 14일 보이저 1호가 60억 킬로미터 거리에서 촬영한, 태양계 여섯 행성들의 사진이.

가족 사진 (보이저 1호)와 보이저 1호 · 가족 사진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보이저 계획

보이저 호의 경로. 상측이 2호, 하측이 1호이다. 보이저 계획(Voyager program; "여행자")은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목성형 행성)을 탐사하기 위한 계획이.

보이저 1호와 보이저 계획 · 보이저 2호와 보이저 계획 · 더보기 »

보이저 금제 음반

보이저 금제 음반 보이저 금제 음반의 뒷면. 보이저 금제 음반(-金製音盤)은 1977년에 발사된 보이저 탐사선 두 대에 실린 축음기 음반으로, 지구상의 생명체와 문화의 다양성을 알리기 위한 소리와 사진이 기록되어 있. 이는 탐사선에 의한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Active SETI)의 일환으로 실려 있는 것이지만, 보이저가 다른 별에 가까이 가는 데에는 4만 년 정도가 걸리기 때문에 누군가 찾으러 오지 않는 이상 이 음반이 발견되기까지는 최소한 그 정도가 걸린.

보이저 1호와 보이저 금제 음반 · 보이저 2호와 보이저 금제 음반 · 더보기 »

히페리온 (위성)

히페리온(Hyperion)은 윌리엄 크랜치 본드, 조지 필립스 본드, 윌리엄 라셀 3인이 1848년에 발. 히페리온의 모양은 구형이 아닌 불규칙한 모양으로 멀리서 봤을 때 마치 감자나 고구마를 연상시키는 모양이며 자전 주기는 일정치 않고, 표면은 스펀지와 흡사한 모양을 보이고 있.

보이저 1호와 히페리온 (위성) · 보이저 2호와 히페리온 (위성) · 더보기 »

이오 (위성)

이오(Io)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

보이저 1호와 이오 (위성) · 보이저 2호와 이오 (위성) · 더보기 »

천왕성

왕성(天王星, Uranus)은 태양에서부터 일곱번째로 떨어져 있으며 세 번째로 반지름이 크고 네 번째로 질량이 큰 태양계의 행성이.

보이저 1호와 천왕성 · 보이저 2호와 천왕성 · 더보기 »

칼리스토 (위성)

리스토() 또는 목성 IV는 목성의 위성으로, 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발. 칼리스토는 태양계에서 세 번째로 큰 위성이고, 목성의 위성 중에서는 가니메데 다음으로 크며, 행성 분화율은 태양계에서 제일 낮. 칼리스토의 지름은 4,821 km이며 수성의 99%에 달하는 크기를 가졌지만 질량은 3분의 1밖에 되지 않. 궤도 반경은 1,880,000 km이고 갈릴레이 위성 중에서는 목성으로부터 제일 멀리 있. 칼리스토는 내부 갈릴레이 위성들(이오, 유로파, 가니메데)과 궤도 공명을 일으키지 않고, 따라서 조석 가열의 정도가 약. 칼리스토는 목성에 조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면만 목성을 바라보.

보이저 1호와 칼리스토 (위성) · 보이저 2호와 칼리스토 (위성) · 더보기 »

케이프커내버럴

우주에서 바라본 케이프커내버럴 케이프커내버럴(커내버럴 곶)은 미국 플로리다 주 동쪽 대서양 연안의 곶이.

보이저 1호와 케이프커내버럴 · 보이저 2호와 케이프커내버럴 · 더보기 »

유로파 (위성)

유로파()는 목성의 위성 중 하나로, 갈릴레이 위성에 속하는 위성이며, 에우로파() 또는 목성 II()라고도 불린.

보이저 1호와 유로파 (위성) · 보이저 2호와 유로파 (위성)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0호

조립중인 파이어니어 10호 파이어니어 10호의 발사 파이어니어 10호(Pioneer 10)는 1972년 3월 3일 발사되어, 처음으로 소행성대를 탐사하고 목성을 관찰한 우주선이.

보이저 1호와 파이어니어 10호 · 보이저 2호와 파이어니어 10호 · 더보기 »

파이어니어 11호

발사되는 파이어니어 11호 파이어니어 11호는 목성을 두 번째로 탐사하고, 토성과 토성의 테를 처음으로 탐사한 우주선이.

보이저 1호와 파이어니어 11호 · 보이저 2호와 파이어니어 11호 · 더보기 »

위성

양계 위성 자연위성(自然衛星) 또는 단순히 위성(衛星)은 행성 따위의 둘레를 도는 천체를 말. 사람이 만든 위성은 인공위성이.

보이저 1호와 위성 · 보이저 2호와 위성 · 더보기 »

태양계

양계의 행성과 왜행성. 크기 비교는 정확한 편이지만, 거리는 상당히 왜곡되었다. 태양계(太陽系)는 대략 46억 년 전 분자운의 중력붕괴로 형성된 태양과, 항성인 태양의 중력에 이끌려 있는 주변 천체가 이루는 체계를 말.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행성은 소행성대를 기준으로 안쪽에 있는 네 개의 고체 행성인 수성, 금성, 지구, 화성, 즉 지구형 행성과, 바깥쪽에 있는 네 개의 유체 행성인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즉 목성형 행성으로 알려져 있. 행성 외에도 태양계의 구성 천체로는 소천체로 이루어진 띠도 있. 화성과 목성 사이에 있는 소행성대의 천체 무리는 대부분 지구형 행성과 비슷한 성분을 지니고 있. 카이퍼 대와 그 소집단 산란 분포대는 해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이곳의 천체는 대부분 물, 암모니아, 메탄 등이 얼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 소행성대와 카이퍼 대, 산란분포대 천체 세레스, 명왕성, 하우메아, 마케마케, 에리스는 행성만한 힘은 없지만 자체 중력으로 구형을 유지할 만큼 크다고 인정되어 왜행성이라고 불린.

보이저 1호와 태양계 · 보이저 2호와 태양계 · 더보기 »

태양권덮개

양권덮개(heliosheath)는 태양계 가장 바깥에서 태양계를 감싸고 있는 영역이.

보이저 1호와 태양권덮개 · 보이저 2호와 태양권덮개 · 더보기 »

타이탄 (위성)

이탄 타이탄을 발견한 사람인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타이탄 또는 티탄(Titan)은 토성의 위성이다. 토성의 위성 중에서 가장 큰 천체로, 태양계 내에서는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두 번째로 크다. 토성 VI라고 부르기도 한다. 짙은 대기를 가진 유일한 위성이며, 지구처럼 표면에 안정된 상태로 존재하는 액체가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대기 구성이 원시지구와 유사하여 다양한 관심을 받고 있다. 타이탄은 토성에서 20번째로 먼 위성이자 구형 외관을 지니는 일정 질량 이상 되는 위성들 중에서는 여섯 번째로 떨어져 있기도 하다. 행성과 비슷한 특징을 지닌 위성으로 자주 기술되는 것처럼 타이탄은 반지름이 달의 약 1.5배이고 질량은 1.8배나 된다. 목성의 가니메데에 이어 태양계에서 두 번째로 큰 위성이며, 크기만으로 따진다면 수성보다 더 크다. (그러나 질량은 수성의 반 정도이.) 천문학자 크리스티안 하위헌스가 1655년 3월 25일 최초로 발견했다. 당시 타이탄은 토성의 위성들 중 첫 번째로 존재가 증명된 존재였다. 태양계의 위성 중 갈릴레이 위성 다음으로 발견된 첫 천체다. 명칭은 그리스 신화의 타이탄 신족에서 이름을 따왔다. 타이탄 신족은 가이아와 우라노스 사이의 12남매를 지칭한다. 타이탄의 표면은 주로 얼음과 암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타이탄은 짙은 대기로 둘려싸여 있기 때문에, 2004년, 카시니-하위헌스 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인류는 타이탄의 표면에 대하여 거의 알지 못했다. 카시니-하위헌스 호의 탐사로부터 탄화 수소로 채워진 호수들이 타이탄의 극지에 존재함을 확인하게 되었다. 표면은 지질학적으로 젊었으며, 산과 얼음 화산으로 보여지는 지형들이 몇몇 관찰되었다. 타이탄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했으며, 충돌구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타이탄의 대기는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량의 메테인과 에테인이 섞여 있다. 타이탄 표면에는 바람과 비 등의 기상 현상이 발생하며, 지구 해변과 비슷한 물결 모양의 지형도 형성되어 있다. 표면 및 지하에 있는 액체 물질 및 질소로 충만한 대기 때문에 타이탄은 온도가 훨씬 더 낮다는 점만 제외하면 마치 원시 지구의 모습과 유사해 보였다. 이 때문에 타이탄은 예전부터 미생물 혹은 적어도 복잡한 유기 화합물 형태의 생명체가 태동할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것으로 믿어져 왔다. 과학자들은 타이탄의 지하에 있는 액체 바다가 생명체가 생겨날 환경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해 왔다.

보이저 1호와 타이탄 (위성) · 보이저 2호와 타이탄 (위성) · 더보기 »

행성

639x639픽셀 행성(行星, planet)은 항성의 둘레를 도는 천체의 한 부류이.

보이저 1호와 행성 · 보이저 2호와 행성 · 더보기 »

엔셀라두스

엔셀라두스() 혹은 토성 II는 토성의 위성 중 6번째 로 큰 위성으로 1789년 윌리엄 허셜이 발견하였.

보이저 1호와 엔셀라두스 · 보이저 2호와 엔셀라두스 · 더보기 »

토성

성(土星,라틴어: Saturnus)은 태양으로부터 여섯 번째에 있는 태양계의 행성으로, 진성(鎭星)으로도 불. 토성은 태양계 내의 행성 중 목성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지름은 약 12만 킬로미터로, 지구의 9.1배이며 부피는 760배에.

보이저 1호와 토성 · 보이저 2호와 토성 · 더보기 »

소행성대

소행성대 소행성대(小行星帶)는 화성 궤도와 목성 궤도 사이에 소행성이 많이 있는 영역이.

보이저 1호와 소행성대 · 보이저 2호와 소행성대 · 더보기 »

해왕성

왕성(海王星, 라틴어: Neptunus)은 태양계의 8개 행성 중 8번째 행성이.

보이저 1호와 해왕성 · 보이저 2호와 해왕성 · 더보기 »

아말테아 (위성)

아말테아(Amalthea)는 1892년 9월 9일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에머슨 바너드에 의해 발견된 목성의 위성으로, 안쪽 위성들 중에서 가장.

보이저 1호와 아말테아 (위성) · 보이저 2호와 아말테아 (위성) · 더보기 »

테티스 (위성)

스(Tethys)는 토성의 위성으로, 1684년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가 발. 테티스의 지름은 약 1066km이며, 테티스는 태양계에서 16번째로 큰 위성이.

보이저 1호와 테티스 (위성) · 보이저 2호와 테티스 (위성) · 더보기 »

1977년

1977년은 토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7년와 보이저 1호 · 1977년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1979년

1979년은 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79년와 보이저 1호 · 1979년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1989년

1989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1989년와 보이저 1호 · 1989년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2016년

2016년은 금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16년와 보이저 1호 · 2016년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2020년

2020년은 수요일로 시작하는 윤년이.

2020년와 보이저 1호 · 2020년와 보이저 2호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의 비교.

보이저 1호에는 62 개의 관계가 있고 보이저 2호에는 6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3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26.02%입니다 = 32 / (62 + 6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보이저 1호와 보이저 2호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