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35 처지: 동성왕, 무왕 (백제), 백마강, 백제, 고란사, 공주 송산리 고분군, 공산성, 부여 능산리 고분군, 부여 가림성,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나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청마산성, 부여 청산성,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금강, 대한민국의 사적,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남쪽, 낙화암, 의자왕, 충청남도, 영일루, 사비, 사자루, 삼국 시대, 삼국사기, 성왕 (백제), 서쪽, 웅진, 1963년, 1월 21일.
동성왕
동성왕(東城王, ? ~ 501년, 재위: 479년~501년)은 백제의 제24대 국왕이.
보다 부소산성와 동성왕
무왕 (백제)
무왕(武王, ? ~ 641년, 재위: 600년 ~ 641년 음력 3월) 은 백제의 제30대 국왕이.
백마강
백마강(白馬江) 또는 백강(白江)은 충청남도 부여군을 지나는 금강(錦江)의 하류 구간을 부르는 이름인데, 경우에 따라서는 금산군(錦山郡) 이남의 금강 중하류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도 쓰인.
보다 부소산성와 백마강
백제
백제(百濟, 기원전 18년 ~ 660년 8월 29일)는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로,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 시대를 구성하였.
보다 부소산성와 백제
고란사
사(皐蘭寺)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의 북쪽 백마강변에 있는 절이.
보다 부소산성와 고란사
공주 송산리 고분군
송산리 고분군은 충청남도 공주시 송산리(현재 행정구역명은 웅진동)에 위치한 백제의 왕릉들로 추정되는 고분들로 현재 1, 2, 3, 4, 5, 6, 7호 분이 복원이 되어 있. 이중 7호분은 무령왕릉으로 더 널리 알려져있.
공산성
공산성 정문 공주 공산성(公州 公山城)은 사적 제12호로, 충청남도 공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성이.
보다 부소산성와 공산성
부여 능산리 고분군
능산리 고분군은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산 15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의 후기 고분들로 사비의 외곽성인 나성 밖에 자리하고 있. 1963년 1월 21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14호로 지정되었.
부여 가림성
부여 가림성(扶餘 加林城)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군사리와 장암면에 걸쳐 세워진 산성으로 백제 동성왕 23년인 501년에 세워진 산성이.
보다 부소산성와 부여 가림성
부여 관북리 유적
부여 관북리 유적(扶餘 官北里 遺蹟)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에 있는 백제의 왕궁지로 알려져 있. 2001년 2월 5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428호 부여관북리백제유적로 지정되었다가, 2011년 7월 28일 부여 관북리 유적으로 명칭이 변경되었.
부여 나성
부여 나성(扶餘 羅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보다 부소산성와 부여 나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정림사지(扶餘 定林寺址)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사찰 터이.
부여 청마산성
부여 청마산성(扶餘 靑馬山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부여 청산성
부여 청산성(扶餘 靑山城)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이.
보다 부소산성와 부여 청산성
부여군
부여군(扶餘郡)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남부에 있는 군이.
보다 부소산성와 부여군
부여읍
부여읍(扶餘邑)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의 군청 소재지이.
보다 부소산성와 부여읍
부소산성
부소산성(扶蘇山城)은 백제의 마지막 왕성으로 백제시대에는 사비성(泗沘城)으로 불. 부여군 부여읍의 서쪽에 금강을 낀 부소산에 자리하고 있으며, 둘레는 대략 2.2km, 면적은 약 74만m2에.
보다 부소산성와 부소산성
금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
동정지원명석가여래삼존입상(金銅鄭智遠銘釋迦如來三尊立像)은 1919년에 부여의 부소산성에 있는 송월대에서 발견되어 현재 국립부여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삼국시대의 금동제 삼존불상이.
금강
thumb 공주의 금강철교 백제대교위에서 바라본 금강 금강(錦江)은 한반도 금남호남정맥 전라북도 장수군 신무산(897m)의 뜬봉샘에서 발원하여 호서 지방을 거치며 논산시 강경읍에서부터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의 도계를 이루면서 황해로 흘러들어가는 392km의 강이.
보다 부소산성와 금강
대한민국의 사적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사적(史蹟)은 기념물 가운데 선사시대의 유적 및 고분, 정치 및 전쟁에 관한 유적, 제사ㆍ신앙에 관한 유적, 산업ㆍ교통ㆍ토목에 관한 유적, 교육ㆍ사회사업 관계 유적, 분묘와 비석 등의 유적으로 중요한 것을 말. 다음은 대한민국 문화재청이 지정한 대한민국의 사적지 목록이.
보다 부소산성와 대한민국의 사적 (제1호 ~ 제100호)
남쪽
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 남쪽(南 -)은 북쪽의 반대 방향으로, 동쪽과 서쪽의 사이이.
보다 부소산성와 남쪽
낙화암
낙화암(落花岩)은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에 있는 바위이.
보다 부소산성와 낙화암
의자왕
의자왕(義慈王, ?자식 중 하나인 부여융은 615년생이다. 이것으로 보아 595년경에 태어났을 것이다. ~ 660년, 재위: 641년 ~ 660년)은 백제의 마지막 국왕(혹은 31대 국왕)이.
보다 부소산성와 의자왕
충청남도
충청남도(忠淸南道)는 대한민국 중서부에 있는 도이.
보다 부소산성와 충청남도
영일루
영일루(迎日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부소산 동쪽 봉우리에 자리잡고 있는 누각이.
보다 부소산성와 영일루
사비
사비성(泗沘城)은 백제 성왕 16년(538)에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면서 웅진에서 천도한 백제의 수도이.
보다 부소산성와 사비
사자루
사비루(泗泚樓)는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부소산성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자리잡고 있는 조선시대의 누각이.
보다 부소산성와 사자루
삼국 시대
삼국 시대(三國時代)는 기원전 1세기부터 중앙집권적 국가로 발전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삼국과 그 판도에 영향을 끼친 가야 연맹을 포함한 4개 국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 세워지면서부터 7세기에 신라에 의해 통일되기까지의 시대를 가리.
보다 부소산성와 삼국 시대
삼국사기
《삼국사기》(三國史記)는 고려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金富軾)이 1145년(인종 23)에 완성한 삼국시대사이.
보다 부소산성와 삼국사기
성왕 (백제)
성왕(聖王, ? ~ 554년, 재위: 523년 ~ 554년 음력 12월)은 백제의 제26대 국왕이며, 성은 부여(扶餘), 이름은 명농(明禯)이고, 삼국유사에는 명농(明穠), 중국 측 기록인 양서(梁書)에는 이름이 명(明)으로 기록되었.
서쪽
서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 서쪽(西 -)은 태양이 지는 방향으로 동쪽의 반대 방향이며 남쪽과 북쪽의 사이 방향이.
보다 부소산성와 서쪽
웅진
웅진(熊津)은 곰나루, 고마나루 또는 고마나리로도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
보다 부소산성와 웅진
1963년
1963년은 화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이.
보다 부소산성와 1963년
1월 21일
1월 2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1번째(윤년일 경우도 21번째) 날에 해당.
보다 부소산성와 1월 21일
또한 부여 부소산성, 부여부소산성, 사비성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