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십시오
브라우저보다 빠른!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의 차이

불교 용어 목록/삼 vs. 유가사지론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K.0570, T.1579)은 불교 전통에 따르면 미륵보살이 강설한 것을 무착이 기록하여 성립된 논서로, 유식유가행파의 근본 논서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의 유사점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는 공통적으로 12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법상종,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 목록/삼, 부파불교, 대지도론, 용수, 유가행파, 현양성교론, 행 (불교), 연기 (불교), 삼도, 삼성 (유식).

법상종

법상종(法相宗Dharma character schoolFa-Hsiang)이란 제법(諸法)의 성상(性相)을 분별하는 종(宗)이란 뜻으로 오위백법(五位百法)을 세워 아뢰야식(阿賴耶識)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유식종(唯識宗)이.

법상종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법상종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정

불교 용어로서의 정에는 다음의 용어들이 있.

불교 용어 목록/삼와 불교 용어 목록/정 · 불교 용어 목록/정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삼

3계(三界)는 불교의 우주론 또는 세계관을 구성하는 존재계인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의 3가지 계(界)를 통칭하는 낱말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부파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부파불교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대지도론

《대지도론》(大智度論, K.0549, T.1509)은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로 인도의 대승불교 승려인 용수(龍樹: 150?~250?)가 저술한 불교 논서 또는 주석서이.

대지도론와 불교 용어 목록/삼 · 대지도론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용수

용수는 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용수 · 용수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유가행파

유가행파(瑜伽行派) 또는 요가차라()는 4세기 인도의 무착스님이 만든 대승불교 종파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행파 · 유가사지론와 유가행파 · 더보기 »

현양성교론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T.1602)는 미륵보살과 함께 인도불교의 유식학(唯識學) 총 3기 중 제1기의 논사인 무착(無着: 300?~390?)이 지은 논서로, 당(唐)의 현장(玄奘: 602~664)의 한역본이 있. 별칭으로 《광포중의론(廣苞衆義論)》 또는 《총포중의론(總苞衆義論)》이라고도 하며, 약칭하여 《현양론(顯揚論)》 또는 《성교론(聖敎論)》이라고도 한다. 《현양성교론》 제1권의 귀경게에 따르면, 무착은 미륵보살에게서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을 듣고 그 성스러운 가르침을 보다 알기 쉽게 함으로써 그것을 현양(顯揚)하고자 《유가사지론》의 요점을 간추려서 논서를 지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논의 서두에서 무착이 밝힌 바대로, 현대의 학자들은 《현양성교론》이 《유가사지론》의 요점을 간추린 유식학의 개론서 또는 개요서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현장의 《유가사지론》 한역본은 총 10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비해 현장의 《현양성교론》 한역본은 총 20권 11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식의 법상(法相)아뢰야식설3성설(三性說) 등을 해설하고 있다. 한편, 《현양성교론》은 법상종(法相宗)의 소의 논서인 11론(十一論)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 용어 목록/삼와 현양성교론 · 유가사지론와 현양성교론 · 더보기 »

행 (불교)

행(行)은 범어 삼스카라(saṃskāra)의 역어로, '만드는 것'과 '이변(異變)하는 것'의 뜻이 있다고 하며, 12연기(十二緣起)의 제2행(行)은 전자, 즉 업(業)의 뜻이고, 제행무상이라고 할 때에는 후자, 즉 모든 현상을 말. 그러나 수행(修行)이란 뜻에서의 행은 그 원어가 다르.

불교 용어 목록/삼와 행 (불교) · 유가사지론와 행 (불교) · 더보기 »

연기 (불교)

연기(緣起)는 인연생기(因緣生起) 즉 인(因: 직접적 원인)과 연(緣: 간접적 원인)에 의지하여 생겨남 또는 인연(因緣: 통칭하여, 원인)따라 생겨남의 준말로,운허 &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불교 용어 목록/삼와 연기 (불교) · 연기 (불교)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삼도 · 삼도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삼성 (유식)

3성(三性)은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서 일체 존재, 즉 우주 전체 및 우주의 모든 개별 존재의 세 가지 상태 또는 모습이라고 주장하는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의타기성(依他起性)원성실성(圓成實性)을 말. 이 3가지 성질의 교의는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의 매우 중요한 근본 교의 중의 하나이.

불교 용어 목록/삼와 삼성 (유식) · 삼성 (유식)와 유가사지론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의 비교.

불교 용어 목록/삼에는 189 개의 관계가 있고 유가사지론에는 31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5.45%입니다 = 12 / (189 + 31).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불교 용어 목록/삼와 유가사지론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