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

바로 가기: 차이점, 유사점, Jaccard 유사성 계수, 참고 문헌.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의 차이

불교 용어 목록/심 vs. 육념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의 차이는 없습니다.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의 유사점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는 공통적으로 12 가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유니온백과에서): 마음작용, 법 (불교), 불교 용어 목록/심, 부파불교, 대승불교, 대지도론, 현관 (불교), 여래, 열반경, 사향사과, 삼도, 아라한.

마음작용

마음작용(caitasika,,, mental events, mental states)은 마음의 작용(마음의 作用)의 준말이며, 전통적인 불교 용어로는 심소유법(心所有法), 심소법(心所法) 또는 심소(心所).

마음작용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마음작용와 육념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법 (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법 (불교)와 육념 · 더보기 »

불교 용어 목록/심

설명이 없습니다.

불교 용어 목록/심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 · 더보기 »

부파불교

부파불교(部派佛敎)는 고타마 붓다가 반열반에 든 후 제자들 사이에 견해의 차이가 생겨 불멸후 100년 경에 보수적인 상좌부(上座部)와 진보적인 대중부(大衆部)로 분열되고, 이어서 이 두 부파(部派: 종파)로부터 여러 갈래의 분열이 일어나 불교가 여러 부파로 나뉘면서 전개되었던 시대의 불교이.

부파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부파불교와 육념 · 더보기 »

대승불교

승불교(大乘佛敎) 또는 마하야나()는 "대승(大乘)"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큰 탈것"(great vehicle) 또는 "뛰어난 탈 것"이라는 뜻이며, '탈 것'이란 '가르침'을 비유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가르침에 의해 사람들을 미혹의 세계로부터 깨달음의 세계로 실어간다는 것이.

대승불교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대승불교와 육념 · 더보기 »

대지도론

《대지도론》(大智度論, K.0549, T.1509)은 《대품반야경(大品般若經)》의 주석서로 인도의 대승불교 승려인 용수(龍樹: 150?~250?)가 저술한 불교 논서 또는 주석서이.

대지도론와 불교 용어 목록/심 · 대지도론와 육념 · 더보기 »

현관 (불교)

현관(現觀,,,,, observing reality clearly, clear contemplation, direct realization, insight into)의 한자어 문자 그대로의 뜻은 '앞에 있는 경계 즉 대상을 관(觀)한다'는 뜻인데, 산스크리트어 원어 아비삼마야(abhisamaya)는 아비사미(abhisami)와 동의어로, 서로에게 다가가다(approach together), 합치다 또는 합일하다(come together) 또는 만나다(meet at)를 뜻. 즉, 지혜와 대상이 바로 만나는 것을 뜻. 이런 의미에서 현관(現觀)은 무루의 지혜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명료하게 파악하는 것, 즉 명료한 이해(clear understanding), 각(覺, Buddh) 즉 깨달음(Buddh, realization)이라고도 정의.

불교 용어 목록/심와 현관 (불교) · 육념와 현관 (불교) · 더보기 »

여래

여래(如來)는 불10호(佛十號) 즉 부처의 10가지 명호(名號) 중의 하나이며 그 유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범어의 따타가따(tathāgata)를 번역한 것이.

불교 용어 목록/심와 여래 · 여래와 육념 · 더보기 »

열반경

《열반경》(涅槃經)은 불교의 경전으로, 소승 불교의 열반경(소승열반경)과 대승 불교의 열반경(대승열반경) 두 가지가 있.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성전 > 열반경,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소승 불교의 열반경은 붓다의 열반 전후의 이야기를 기록한 《마하빠리닙바나 숫따》(Mahāparinibbāna Sutta, D16)이며, 대승 불교의 열반경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이.

불교 용어 목록/심와 열반경 · 열반경와 육념 · 더보기 »

사향사과

4향4과(四向四果)사문4과(沙門四果) 또는 성문4과(聲聞四果)는 원시불교와 부파불교의 수행 계위이.

불교 용어 목록/심와 사향사과 · 사향사과와 육념 · 더보기 »

삼도

3도(三道,, mārga-traya,, three paths)는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수행(修行)의 3단계인 견도(見道)수도(修道)무학도(無學道)를 말. 즉, 3도는 성문과 보살 모두에게 해당하는 수행의 3단계이.

불교 용어 목록/심와 삼도 · 삼도와 육념 · 더보기 »

아라한

아라한(阿羅漢,,, (who has attained nirvana), enlightened, worthy, venerable, saintly one)은 줄여서 나한(羅漢)이라고 하는데, 산스크리트어 아르하트(arhat)의 음역어로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

불교 용어 목록/심와 아라한 · 아라한와 육념 · 더보기 »

위의 목록은 다음 질문에 대한 대답입니다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의 비교.

불교 용어 목록/심에는 156 개의 관계가 있고 육념에는 30 개의 관계가 있습니다. 그들은 공통점 12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Jaccard 지수는 6.45%입니다 = 12 / (156 + 30).

참고 문헌

이 기사에서는 불교 용어 목록/심와 육념의 관계를 보여줍니다. 정보가 추출 된 각 기사에 액세스하려면 다음 사이트를 방문하십시오: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