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브라우저보다 빠른!
 

블랙홀

색인 블랙홀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O. Straub, F.H. Vincent, M.A. Abramowicz, E. Gourgoulhon, T. Paumard, ``Modelling the black hole silhouette in Sgr A* with ion tori'',Astron. Astroph 543 (2012) A8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

195 처지: ADM 형식, 끈 이론, 도플러 효과,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블랙홀, 렌즈, 레너드 서스킨드,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레프 란다우, 로버트 오펜하이머, 로이 커, 로저 펜로즈, 루프 양자중력, 만유인력의 법칙, 마이크로 블랙홀, 마틴 크러스컬, 메시에 106, , 물질, 미국 항공우주국, 각운동량, 감마선 폭발, 백조자리 X-1, 백색왜성, 바냐도스-테이텔보임-사네이 블랙홀, 강착, 강착원반, 밀도, 가우스 법칙, 밀집성, 베텔게우스, 경입자, 벌거숭이 특이점, 고전역학, 고유운동, 보존 법칙, 볼츠만 상수, 광년, 광자, 광추, 관성 좌표계, 궁수자리 A*, 블랙 스트링, 블랙홀 열역학, , 빛의 속력, 대폭발, 대형 강입자 충돌기, 구상성단, 국수효과, ..., 네이처, 뉴욕 타임스, , GRS 1915+105,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 스티븐 호킹, 우리은하,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우주 검열 가설, 우주진, 우주선 (물리), 특이점 (해석학),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슈바르츠실트 계량, 자유 낙하, 펜로즈 과정,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작용권, 임계 블랙홀, 펄서, 입자 가속기, 입자물리학, 인과관계, 일반 상대성이론, 흑체, 은하, 제트 (천문학), 절대 영도, 접선, 전기저항, 전자기 상호작용, 전자기파, 전하, 조르주 르메트르, 조석력, 존 미첼, 존 아치볼드 휠러, 중력, 중력 특이점, 중력 자성, 중력 상수, 중력렌즈, 중력붕괴, 중력장, 중력적색편이, 중력파, 중력파 관측, 중력시간지연, 중간질량 블랙홀, 중입자수, 중성자, 중성자별, 질량, 지구 반경,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찬드라세카르 한계, 천문단위, 천체물리학, 처녀자리 A 은하, 초 (각도), 초대질량 블랙홀, 초신성, 축퇴물질, 카를 슈바르츠실트, 캄란 바파, 커 계량, 커 블랙홀, 커-뉴먼 계량,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쿼크, 쿼크별, 쌍성,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파울리 배타 원리,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상 (물리학), 태양질량, 타우루스, 타원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온도, 호킹 복사, 양자 중력, 양자장론, 양자수, 양자역학, 행성상성운, 에너지 조건,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헨리 캐번디시, 헨드릭 로런츠, 열복사, 열역학 법칙,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2법칙, 엑스선, 엑스선 쌍성, 엔트로피, 표면중력, 표준 모형, 사건의 지평선, 킵 손, 피지컬 리뷰,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플랑크 단위계, 플랑크 질량, 플랑크 상수, 선대칭, 세계선,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털없음 정리, 솜브레로 은하, 통계역학, 앞선입자, 할아버지 역설, 앤드루 스트로민저, 항성, 항성 형성, 항성 핵합성, 항성질량 블랙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한국천문학회, 안드로메다 은하, 아인슈타인 방정식, 아서 스탠리 에딩턴, 압력, 시간 역전 대칭, 시간의 역사, 시공간, 시험입자, 틀 끌림, 원시 블랙홀, 웜홀, 퀘이사, 활동은하핵, 화이트홀, 확률, 왕립학회, 홀로그래피 원리, 와선, M-시그마 관계, NGC 4889, OJ 287, Q별, S2 (항성). 색인을 확장하십시오 (145 더) »

ADM 형식

아노윗-데세르-미스너 수식 체계(Arnowitt-Deser-Misner數式體系,, 약자 ADM 수식 체계)는 일반 상대성 이론을 해밀턴 역학으로 표현하는 방법이.

새로운!!: 블랙홀와 ADM 형식 · 더보기 »

끈 이론

으로 볼 수 있다. 끈 이론()은 1차원의 개체인 끈과 이에 관련된 막(幕, brane)을 다루는 물리학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끈 이론 · 더보기 »

도플러 효과

왼쪽으로 움직이는 음원. 오른쪽 보다 왼쪽이 주파수가 더 높다.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 도플러 현상, 도플러 편이 현상)는 어떤 파동의 파동원과 관찰자의 상대 속도에 따라 진동수와 파장이 바뀌는 현상을 가리.

새로운!!: 블랙홀와 도플러 효과 · 더보기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RN)은 구면대칭이고, 전하를 띠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새로운!!: 블랙홀와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더보기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블랙홀

이스너-노르드스트룀 블랙홀(Reisner - Nordstrom black hole) 또는 대전 블랙홀(charged black hole)은 대전한, 즉 전하를 띤 블랙홀을 말. 블랙홀이 갖는 물리량은 질량, 각운동량, 전하의 세 가지인데, 대전 블랙홀은 질량과 전하를 가지지만 각운동량을 가지지 않는 (회전하지 않는) 경우를 일컫.

새로운!!: 블랙홀와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블랙홀 · 더보기 »

렌즈

의 종류'''1''' - Symmetrical double convex lens. '''2''' - Asymmetrical double-convex lens. '''3''' - Plano- convex lens. '''4''' - Positive meniscus lens.'''5''' - Symmetrical biconcave lens. '''6''' - Asymmetrical biconcave lens. '''7''' - Plano-concave lens. '''8''' - Negative meniscus lens. 렌즈는 빛을 모으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렌즈(lens)는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키는 도구로, 보통 유리로 만. 전자기파를 위해서 만든 비슷한 도구도 렌즈로 불리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렌즈는 파라핀으로 만. 카메라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렌즈는 사.

새로운!!: 블랙홀와 렌즈 · 더보기 »

레너드 서스킨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1940년 ~)는 스탠포드 대학교의 펠릭스 블로흐 이론물리학 교수이.

새로운!!: 블랙홀와 레너드 서스킨드 · 더보기 »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는 미국 워싱턴 주 핸포드, 루이지애나 주 리빙스턴에 위치해있는 중력파 관측 시설이.

새로운!!: 블랙홀와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 · 더보기 »

레프 란다우

비도비치 란다우(1908–1968)는 소비에트 연방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레프 란다우 · 더보기 »

로버트 오펜하이머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FRS, 1904년 4월 22일~1967년 2월 18일)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로버트 오펜하이머 · 더보기 »

로이 커

이 패트릭 커(1934–)는 뉴질랜드의 수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로이 커 · 더보기 »

로저 펜로즈

저 펜로즈 경(FRS, 1931년 8월 8일 ~)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자 수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로저 펜로즈 · 더보기 »

루프 양자중력

격자 루프 양자중력() 또는 고리 양자중력은 중력(Gravity)의 양자적 속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된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루프 양자중력 · 더보기 »

만유인력의 법칙

의 크기는 질량과 거리에 관계없이 항상 같다. ''G''는 중력상수이다. 만유인력의 법칙(萬有引力-法則)이란 질량을 가진 물체사이의 중력끌림을 기술하는 물리학 법칙이.

새로운!!: 블랙홀와 만유인력의 법칙 · 더보기 »

마이크로 블랙홀

마이크로 블랙홀(micro blackhole, mini blackhole)은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이 양자 크기인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마이크로 블랙홀 · 더보기 »

마틴 크러스컬

마틴 데이비드 크러스컬(1925년 9월 28일 ~ 2006년 12월 26일)은 미국의 수학자이자 물리학자.

새로운!!: 블랙홀와 마틴 크러스컬 · 더보기 »

메시에 106

NASA/CXC/메릴랜드 대학에서 각각 촬영한 M106. 적외선, X선, 전파, 가시 광선의 색은 다음과 같다(X선 - 파랑, 빛 - 금색, IR(적외선) - 빨강, 전파 - 자주) M 106 은하와 NGC 4217, NGC 4248의 모습. 메이저 은하()는 사냥개자리에 있는 나선 은하이.

새로운!!: 블랙홀와 메시에 106 · 더보기 »

물()은 산소와 수소가 결합된 것으로, 생명을 유지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되는 화학 물질이.

새로운!!: 블랙홀와 물 · 더보기 »

물질

물질(物質)의 고전적 정의는 물체를 이루는 존재이.

새로운!!: 블랙홀와 물질 · 더보기 »

미국 항공우주국

미국 항공우주국의 기 미국 항공우주국(美國航空宇宙局)은 미국의 국가 기관으로서 우주 계획 및 장기적인 일반 항공 연구 등을 실행하고 있. 1958년 소비에트 연방의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 성공에 스푸트니크 충격을 받은 미국은 1958년 7월 29일 NASA를 발족시.

새로운!!: 블랙홀와 미국 항공우주국 · 더보기 »

각운동량

자이로스코프는 각운동량 때문에 회전하는 동안에 계속 위를 바라보게 된다. 각운동량(角運動量)은 물리학에서 어떤 원점에 대해 선운동량이 돌고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블랙홀와 각운동량 · 더보기 »

감마선 폭발

량이 큰 항성의 일생. 항성은 가벼운 원소를 무거운 원소로 핵융합 하여 내부 압력을 유지면서 삶을 유지한다 더이상 핵융합이 불가능해지면 압력이 유지되지 않아 자체 중력으로 인해 항성은 급격히 붕괴하여 블랙홀을 형성한다. 이론적으로, 이 붕괴가 일어날 때 항성의 자전축 방향으로 분출되는 에너지가 감마선 폭발을 형성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마선 폭발(gamma ray burst; GRB)이란 멀리 떨어진 은하들에서 관측되는 에너지의 폭발로 인한 감마선의 섬광이.

새로운!!: 블랙홀와 감마선 폭발 · 더보기 »

백조자리 X-1

백조자리 X-1(혹은 백조자리 X-1, 시그너스 X-1.

새로운!!: 블랙홀와 백조자리 X-1 · 더보기 »

백색왜성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시리우스 A와 시리우스 B의 사진. 밝은 시리우스 A의 밑에 희미하고 작은 점처럼 보이는 백색왜성 시리우스 B가 보인다. 백색왜성(白色矮星)은 중간 이하의 질량을 지닌 항성이 핵융합을 마치고 도달하는 천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백색왜성 · 더보기 »

바냐도스-테이텔보임-사네이 블랙홀

이론물리학에서, BTZ 블랙홀() 또는 바냐도스-테이텔보임-사네이 블랙홀()은 음의 우주 상수를 가진 3차원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존재하는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바냐도스-테이텔보임-사네이 블랙홀 · 더보기 »

강착

백색 왜성이 동반성의 구성물질을 강착하는 것을 나타낸 그림. 강착(降着, Accretion)은 천체물리학에서, 전혀 다른 두 개의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

새로운!!: 블랙홀와 강착 · 더보기 »

강착원반

예술가가 상상하여 표현한 주계열성과 블랙홀의 쌍성계. 주계열성에서 흘러나온 물질이 블랙홀의 주위에 강착원반을 형성하고 있다. 강착원반(降着圓盤, 어크리션 디스크)은 중심물체의 주위로 궤도 운동하는 확산 물질에 의해 형성되는 구조이.

새로운!!: 블랙홀와 강착원반 · 더보기 »

밀도

밀도 (密度, Density, 기호 -)는 단위 부피 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이.

새로운!!: 블랙홀와 밀도 · 더보기 »

가우스 법칙

우스 법칙(Gauss's law)은 폐곡면을 통과하는 전기 선속이 폐곡면 속의 알짜 전하량에 비례한다는 법칙이.

새로운!!: 블랙홀와 가우스 법칙 · 더보기 »

밀집성

밀집성(密集星, compact star)은 내부 물질의 밀도가 매우 크고 핵융합 반응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는, 항성의 최종 진화 형태를 말하는 용어이.

새로운!!: 블랙홀와 밀집성 · 더보기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 또는 베텔기우스()(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하여 오리온자리 알파, α Ori)는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으면서 오리온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

새로운!!: 블랙홀와 베텔게우스 · 더보기 »

경입자

경입자(輕粒子, 렙톤)는 물리학에서 스핀이 ½이고 (페르미온) 강한 핵력에 영향을 받지않는 기본 입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경입자 · 더보기 »

벌거숭이 특이점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벌거숭이 특이점(-特異點)은 사건 지평선으로 둘러싸이지 않은 특이점이.

새로운!!: 블랙홀와 벌거숭이 특이점 · 더보기 »

고전역학

전역학(古典力學)은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운동의 관계를 설명하는 물리학이.

새로운!!: 블랙홀와 고전역학 · 더보기 »

고유운동

유운동(proper motion, 固有運動)은 한 항성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천구 위에서 위치를 바꾸는 것을 말. 고유운동은 각속도로 표시되며, 지구상 관측자의 시선과 직각 방향의 값이.

새로운!!: 블랙홀와 고유운동 · 더보기 »

보존 법칙

물리학에서 보존 법칙(保存法則, conservation law)은 물리계의 상태가 변화할 때 바뀌지 않는 불변량을 말.

새로운!!: 블랙홀와 보존 법칙 · 더보기 »

볼츠만 상수

볼츠만 상수(Boltzmann常數)는 입자 수준에서의 에너지와 거시 수준에서 관측된 온도를 연관시켜주는 물리 상수이며, 기체 상수와 아보가드로 수의 비이.

새로운!!: 블랙홀와 볼츠만 상수 · 더보기 »

광년

광년(光年, light-year)은 천문학에서 사용하는 거리의 단위이.

새로운!!: 블랙홀와 광년 · 더보기 »

광자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블랙홀와 광자 · 더보기 »

광추

2차원에 시간 차원을 더한 광추. 광추(光錐, light cone)란 천체물리학에서 시공간상의 국소적 지점에서 찰나의 시간에 발생한 어떤 사건의 결과 방출된 빛이 시공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모든 방향의 경로를 나타낸 것이.

새로운!!: 블랙홀와 광추 · 더보기 »

관성 좌표계

성좌표계(慣性座標系)는 고전 역학에서 뉴턴의 운동법칙 중 제1법칙이 성립하는 좌표계를 말. 즉, 관성 좌표계에서 아무런 힘도 작용하지 않는 물체는 정지해 있거나 등속 직선 운동을.

새로운!!: 블랙홀와 관성 좌표계 · 더보기 »

궁수자리 A*

X-선 관측선의 궁수자리 A* 사진. 궁수자리 A*(Sgr A*, "궁수자리 A별"로 발음)은 궁수자리와 전갈자리 경계 근처, 우리 은하의 중심에 있는 밝고 작은 전파원이.

새로운!!: 블랙홀와 궁수자리 A* · 더보기 »

블랙 스트링

블랙 스트링(black string)은 높은 차원 (D>4)의 블랙홀의 일반화이.

새로운!!: 블랙홀와 블랙 스트링 · 더보기 »

블랙홀 열역학

예술가가 묘사한 병합중인 두 블랙홀. 열역학 법칙을 지지한다. 블랙홀 열역학(black hole 熱力學, black hole thermodynamics)은 블랙홀의 사건 지평선과 열역학 법칙의 조화를 연구하는 물리학 분야이.

새로운!!: 블랙홀와 블랙홀 열역학 · 더보기 »

right 빛이란 좁은 의미에서 가시광선, 즉 일반적으로 사람이 볼 수 있는, 약 400 nm에서 700nm 사이의 파장을 가진 전자기파를 뜻. 넓은 의미에서는 모든 종류의 전자기파를 지칭.

새로운!!: 블랙홀와 빛 · 더보기 »

빛의 속력

빛의 속력() 또는 광속은 진공에서 299 792 458 m/s라는 정확한 값이며, 국제적으로 c. 빛의 속력은 기본 물리 상수로, 길이 단위인 미터는 이것으로부터 정의되었.

새로운!!: 블랙홀와 빛의 속력 · 더보기 »

대폭발

은하들간의 거리도 부풀어 오르는 빵 속의 건포도처럼 멀어지고 있다. 위의 개념도는 평면 우주의 일부가 팽창하는 모습을 간략화한 그림이다. 대폭발(大爆發) 또는 빅뱅() 은 천문학 또는 물리학에서, 우주의 처음을 설명하는 우주론 모형으로, 매우 높은 에너지를 가진 작은 물질과 공간이 약 137억 년 전의 거대한 폭발을 통해 우주가 되었다고 보는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대폭발 · 더보기 »

대형 강입자 충돌기

형 강입자 충돌기(Large Hadron Collider)의 가속&충돌 체인. 대형 강입자 충돌기(大型強粒子衝突器,, 줄여서 LHC)는 CERN에서 세운 입자 가속 및 충돌기로, 스위스 제네바 근방에 위치하고 있. 2008년 9월 10일, 목표치보다 낮은 에너지에서 가동을 시작하였.

새로운!!: 블랙홀와 대형 강입자 충돌기 · 더보기 »

구상성단

메시에 80. 구상성단(球狀星團, globular cluster) 은 구형의 항성의 모임(성단)으로, 은하중심의 주위를 마치 위성.

새로운!!: 블랙홀와 구상성단 · 더보기 »

국수효과

300px 국수효과(noodle effect) 또는 스파게티화(spaghettification)란 어떤 물체가 매우 강력한 비균일한 중력장에서 가로로는 늘어나고 세로로는 짜부라져서 국수 내지 스파게티 같은 길고 가느다란 모양이 되는 현상이.

새로운!!: 블랙홀와 국수효과 · 더보기 »

네이처

《네이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저명하다고 평가받는 과학 학술지이.

새로운!!: 블랙홀와 네이처 · 더보기 »

뉴욕 타임스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미국의 대표적인 일간지로, 1851년에 창간되었.

새로운!!: 블랙홀와 뉴욕 타임스 · 더보기 »

(moon)은 지구의 유일한 영구한 자연위성으로, 태양계내의 위성 중 5번.

새로운!!: 블랙홀와 달 · 더보기 »

GRS 1915+105

GRS 1915+105 또는 독수리자리 V1487는 독수리자리 방향으로 지구로부터 약 40,000광년 떨어져 있는 엑스선 쌍성이.

새로운!!: 블랙홀와 GRS 1915+105 · 더보기 »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의 사진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 SLAC)는 미국의 에너지부의 계획 하에 스탠퍼드 대학교가 운영하는 입자 가속기 연구소이.

새로운!!: 블랙홀와 스탠퍼드 선형 가속기 센터 · 더보기 »

스티븐 호킹

스티븐 호킹(FRS, 1942년 1월 8일 ~ 2018년 3월 14일)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스티븐 호킹 · 더보기 »

우리은하

우리 은하의 중심 모습. 우리은하(―銀河) 는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이.

새로운!!: 블랙홀와 우리은하 · 더보기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문학에서,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宇宙micro波背景,, 약자 CMB)은 관측 가능한 우주를 균일하게 가득 채우고 있는 마이크로파 열복사.

새로운!!: 블랙홀와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 · 더보기 »

우주 검열 가설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우주 검열 가설(宇宙檢閱假說)은 현실적인 시공간에서는 노출 특이점이 발생할 수 없다는 가설이.

새로운!!: 블랙홀와 우주 검열 가설 · 더보기 »

우주진

우주진(宇宙塵)은 우주에 존재하는 0.1 µm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작은 입자들로 구성된 먼지의 일종이.

새로운!!: 블랙홀와 우주진 · 더보기 »

우주선 (물리)

우주방사선 에너지 스펙트럼 우주방사선 (宇宙線, cosmic rays)이란 우주에서 지구로 쏟아지는 높은 에너지를 지닌 각종 입자와 방사선 등을 총칭.

새로운!!: 블랙홀와 우주선 (물리) · 더보기 »

특이점 (해석학)

석학에서, 특이점(特異點)이라는 용어는 복소해석학과 실해석학의 두 영역에서 각각 다른 의미로 사용.

새로운!!: 블랙홀와 특이점 (해석학) · 더보기 »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물질의 특성들과 그들 사이의 관계는 물리학적 상수들과 연관되어 있다. 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는 다섯가지 특성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매우 크거나 매우 작은 상수 때문에 어떠한 물체에 대해 둘이나 셋 이상의 특성들을 확인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다.슈바르츠실트 반지름(rs)은 어떤 물체가 공간과 시간의 휘어짐(curvature)을 유발할 가능성을 나타낸다.표준 중력 파라미터(μ)는 거대한 물체가 중력을 다른 물체에 가할 가능성을 나타낸다.관성 질량(m)은 뉴턴의 힘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나타낸다.정지 에너지(E0)는 물체가 다른 에너지의 형태로 전환되는 가능성을 나타낸다.콤프턴 파장(λ)은 기하학에 대한 물질의 반응량을 나타낸다. 슈바르츠실트 반지름()은 블랙홀이 되기 위한 어떤 물체의 반지름 한계점이.

새로운!!: 블랙홀와 슈바르츠실트 반지름 · 더보기 »

슈바르츠실트 계량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슈바르츠실트 계량(Schwarzschild計量)은 구형 대칭이며 대전되거나 회전하지 않고, 정적인 질량 분포를 나타내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이.

새로운!!: 블랙홀와 슈바르츠실트 계량 · 더보기 »

자유 낙하

농구공의 자유낙하. 자유낙하(自由落下, free fall)는 어떠한 물체가 힘을 만유인력만 받아 일정한 가속도로 운동하는 상태를 가리.

새로운!!: 블랙홀와 자유 낙하 · 더보기 »

펜로즈 과정

정(영어: Penrose process) 또는 펜로즈 메커니즘(영어: Penrose mechanism)은 로저 펜로즈가 제안한 회전하는 블랙홀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방법이.

새로운!!: 블랙홀와 펜로즈 과정 · 더보기 »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Fermi Gamma-ray Space Telescope; FGST), 구칭 감마선 광역 우주망원경(Gamma-ray Large Area Space Telescope; GLAST)은 지구 저궤도에서 감마선천문학 관측을 수행 중인 우주망원경이.

새로운!!: 블랙홀와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 · 더보기 »

작용권

커 계량에서는 두 가지 표면의 특이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내부의 표면은 사건 지평선이고, 외부의 표면은 정지 한계라고 불리는 편구면(oblate spheroid)이다. 작용권은 두 표면 사이에 있다. 작용권(作用圈)은 회전하는 블랙홀의 외부에 위치하는 영역으로, 블랙홀로부터 에너지와 질량을 얻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한 공간이.

새로운!!: 블랙홀와 작용권 · 더보기 »

임계 블랙홀

임계 블랙홀(臨界 black hole)은 주어진 전하 및 각운동량에 대하여 최소의 질량을 가지는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임계 블랙홀 · 더보기 »

펄서

서의 개념도. 중앙에 있는 구체는 중성자별을 뜻하며, 주변의 곡선은 자기장의 선을, 중성자별을 관통하고 있는 푸른 광선은 방출 빔을 의미한다. 가시광선 및 엑스선 영역으로 관측한 게성운을 합성한 사진. 주변 펄서풍 성운에서 자기장과 중심부 펄서에서 나오는 입자들로 인해, 싱크로트론 방출을 보여주고 있다. 맥동전파원(脈動電波源, 펄서)은 고도로 자기화된, 관측 가능한 전파의 형태로 전자기파의 광선을 뿜는, 자전하는 중성자별이.

새로운!!: 블랙홀와 펄서 · 더보기 »

입자 가속기

입자 가속기 (粒子加速器)는 물질의 미세 구조를 밝히기 위해 원자핵 또는 기본 입자를 가속, 충돌시키는 장치이.

새로운!!: 블랙홀와 입자 가속기 · 더보기 »

입자물리학

입자물리학(粒子物理學)은 보통 물질과 방사선 등 자연의 기본 입자를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 중 하나이.

새로운!!: 블랙홀와 입자물리학 · 더보기 »

인과관계

인과관계(因果關係)는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말. 인과(因果)인과율(因果律) 또는 인과성(因果性)이.

새로운!!: 블랙홀와 인과관계 · 더보기 »

일반 상대성이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논문 원고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일반 상대성이론 · 더보기 »

흑체

온도가 감소하면서, 흑체복사 곡선의 정점이 크기는 줄어들고 파장은 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흑체복사 그래프는 레일리와 진스의 고전적 모델과도 비교할 수 있다. 흑체(黑體)란 진동수와 입사각에 관계없이 입사하는 모든 전자기 복사를 흡수하는 이상적인 물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흑체 · 더보기 »

은하

머리털자리의 나선 은하 NGC 4414 은하(銀河)는 항성, 밀집성, 성간 물질, 암흑 물질 등이 중력에 의해 묶여져서 이루는 거대한 천체들의 무리이.

새로운!!: 블랙홀와 은하 · 더보기 »

제트 (천문학)

제트()는 천문학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으로, 밀집천체의 회전축을 따라 방출되는 물질의 흐름이.

새로운!!: 블랙홀와 제트 (천문학) · 더보기 »

절대 영도

0 켈빈 (−273.15 °C) 은 절대 영도로 정의된다. 절대 영도(絶對零度, Absolute Zero)는 물리학에서 거시적으로 이론적인 온도의 최저점으로 0 켈빈의 온도를 의미.

새로운!!: 블랙홀와 절대 영도 · 더보기 »

접선

접선(接線)(tangent)은 곡선L의 두점 A와 B로 정의되는 할선AB에서 점 B가 곡선을 따라 점 A에 한없이 가까워 질때, 이 새로운 선을 곡선L의 A에서 만나는 접선이.

새로운!!: 블랙홀와 접선 · 더보기 »

전기저항

전기저항(電氣抵抗, electrical resistance)은 도체에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블랙홀와 전기저항 · 더보기 »

전자기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電磁氣相互作用, electromagnetic interaction)은 대전된 입자 (렙톤과 쿼크 등) 사이의 기본 상호작용이.

새로운!!: 블랙홀와 전자기 상호작용 · 더보기 »

전자기파

횡파라고 볼 수 있다. 위 그림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직선 편광된 전자기파를 보여준다. 전기장은 수직 평면에서 진동하고 자기장은 수평 평면에서 진동한다. 전자기파에서 전기장과 자기장은 위상이 같고 항상 서로 90°를 이룬다. 전자기파(電磁氣波) 또는 전자기복사(電磁氣輻射, Electromagnetic radiation, EMR)는 특정 전자기적인 과정에 의해 복사되는 에너지이.

새로운!!: 블랙홀와 전자기파 · 더보기 »

전하

섬네일 전하(電荷, electric charge)는 전기현상을 일으키는 주체적인 원인으로, 어떤 물질이 갖고 있는 전기의 양이.

새로운!!: 블랙홀와 전하 · 더보기 »

조르주 르메트르

조르주 앙리 조제프 에두아르 르메트르(1894–1966)는 벨기에의 로마 가톨릭교회 사제이자 천문학자.

새로운!!: 블랙홀와 조르주 르메트르 · 더보기 »

조석력

목성의 조석력에 의해 찢어져 여러 조각으로 박살난 슈메이커-레비 혜성. 조석력(潮汐力, tidal force) 혹은 기조력(起潮力)은 중력의 2차적인 효과 중 하나이.

새로운!!: 블랙홀와 조석력 · 더보기 »

존 미첼

존 미첼(John Mitchell)은 다음과 같은 사람이 있.

새로운!!: 블랙홀와 존 미첼 · 더보기 »

존 아치볼드 휠러

존 아치볼드 휠러(1911년 7월 9일 ~ 2008년 4월 13일)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존 아치볼드 휠러 · 더보기 »

중력

중력(重力)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 · 더보기 »

중력 특이점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 특이점은 어느 부근에서 중력장을 설명하는 일부 수량이 무한대의 시공간의 영역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 특이점 · 더보기 »

중력 자성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중력 자성(重力慈性)은 약한 중력장의 효과를, 맥스웰 방정식과 유사한 장방정식을 따르는 중력 전자기장()으로 나타내는 수식 체계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 자성 · 더보기 »

중력 상수

중력 상수(重力常數, gravitational constant, 기호 G), 만유인력 상수 또는 뉴턴 상수는 중력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초 물리 상수.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 상수 · 더보기 »

중력렌즈

중력렌즈(gravitational lens) 또는 중력렌즈 효과(gravitational lensing)는 아주 먼 천체에서 나온 빛이 중간에 있는 거대한 천체에 의해 휘어져 보이는 현상을 의미.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렌즈 · 더보기 »

중력붕괴

항성이 중력 붕괴를 일으켜 블랙홀이 되면서 중력파를 내보내는 것을 시뮬레이션 한 것. 중력붕괴(重力崩壞, gravitational collapse)란 천문학에서 중력에 의한 영향으로 무거운 천체가 중심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붕괴 · 더보기 »

중력장

의 만유인력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 일차원적 중력장은 각 입자마다 g.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장 · 더보기 »

중력적색편이

중력적색편이(重力赤色偏移, gravitational redshift) 또는 아인슈타인 편이(Einstein shift)는 천체물리학에서 어떤 중력장 안에 놓인 어떤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를 그 광원보다 중력이 작은 곳에 위치한 관찰자가 보았을 때 진동수가 감소하여 적색편이하는 것을 말. 진동수는 시간(정확히 말하자면 파동의 한 파가 완료되는 데 걸리는 시간)의 역수인 고로, 전자기파의 진동수가 감소한다는 것은 곧 걸리는 시간이 증가, i.e. 시간이 느리게 간 것을 의미(중력시간지연).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적색편이 · 더보기 »

중력파

중력파(重力波)는 움직이는 물체(질량)에 의하여 시공간 중력장의 곡률(뒤틀림)에 발생한 요동이 광속으로 진행하는 파동을 말. '중력복사'(重力輻射)는 이러한 중력파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를 말. 중력파를 방출하는 계(system)의 대표적인 예는 백색왜성, 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을 포함한 이중성계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파 · 더보기 »

중력파 관측

리빙스턴 검출기(우측)와 핸퍼드 검출기(좌측)에서 측정된 중력파와 이론상 예측값의 비교 중력파 관측은 이론적으로 예견만 되던 중력파를 실측하게 된 것을 의미.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파 관측 · 더보기 »

중력시간지연

중력시간지연(重力時間遲延)은 시간지연의 일종으로서, 중력을 발생시키는 질량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에 있는 관찰자들이 각자 관찰한 사건의 시간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력시간지연 · 더보기 »

중간질량 블랙홀

중간질량 블랙홀(Intermediate-mass black hole)은 크기가 초대질량 블랙홀보다작고 항성 블랙홀보다 큰 중간급의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간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중입자수

입자물리학에서, 중입자수(重粒子數) 또는 바리온수(baryon 數)란 입자의 가법(加法, additive) 양자수의 하나로, 입자에 들어 있는 쿼크의 수와 반쿼크의 수의 차의 ⅓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입자수 · 더보기 »

중성자

중성자(中性子, neutron)는 원자핵을 구성하는 것 중 전하가 없는, 양성자보다 약간 무거운 핵자.

새로운!!: 블랙홀와 중성자 · 더보기 »

중성자별

WISE 데이터)도 보인다. 중성자별(中性子-)은 초신성 폭발 직후 무거운 별이 중력붕괴하여 만들어진 밀집성의 일종이.

새로운!!: 블랙홀와 중성자별 · 더보기 »

질량

픽으로 재현한 질량의 단위를 나타내는 킬로그램 국제 원기. 질량(質量, mass)은 물리학에서 물질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양을 일컫는 말이.

새로운!!: 블랙홀와 질량 · 더보기 »

지구 반경

반경(地球半徑, Earth radius)은 지구의 반지름을 일컫는 천문학의 단위중 하나이.

새로운!!: 블랙홀와 지구 반경 · 더보기 »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엑스선 관측선은 1999년 7월 23일 미국 항공우주국이 STS-93으로 쏘아 올린 인공위성이.

새로운!!: 블랙홀와 찬드라 엑스선 관측선 · 더보기 »

찬드라세카르 한계

세카르 한계(சந்திரசேகர்限界)는 유체 정역학 평형에 있는 백색왜성의 최대 질량이.

새로운!!: 블랙홀와 찬드라세카르 한계 · 더보기 »

천문단위

문단위(天文單位, astronomical unit)는 천문학에서 사용되는 길이의 단위로 지구와 태양과의 평균 거리이.

새로운!!: 블랙홀와 천문단위 · 더보기 »

천체물리학

설명이 없습니다.

새로운!!: 블랙홀와 천체물리학 · 더보기 »

처녀자리 A 은하

자리의 M87의 위치. 오른쪽 위에 자리잡고 있다. 여러 가지 망원경으로 관측한 전파.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M87의 전파. 처녀자리 A 은하(NGC4486)는 처녀자리에 있는 타원은하이.

새로운!!: 블랙홀와 처녀자리 A 은하 · 더보기 »

초 (각도)

각초는 각도의 단위이.

새로운!!: 블랙홀와 초 (각도) · 더보기 »

초대질량 블랙홀

의 질량의 수 배 정도 되는 가스 구름이 우리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 쪽으로 가속되고 있다. '''위''': 별을 찢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컨셉 아트. '''아래''': 은하 RX J1242-11에서 별을 먹고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을 보여주는 사진. '''왼쪽''': X-선 사진, '''오른쪽''': 광학 사진.http://chandra.harvard.edu/photo/2004/rxj1242/ Chandra:: Photo Album:: RX J1242-11:: 18 Feb 04 초대질량 블랙홀()은 질량이 태양 질량의 수십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가장 큰 유형의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초대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초신성

잔해 초신성(超新星, supernova)은 신성(nova)보다 에너지가 큰 항성 폭발을 의미.

새로운!!: 블랙홀와 초신성 · 더보기 »

축퇴물질

축퇴물질(縮退物質, degenerate matter)이란 페르미 입자가 페르미-디랙 통계를 따르기 위해 저온에서 나타내는 행동이.

새로운!!: 블랙홀와 축퇴물질 · 더보기 »

카를 슈바르츠실트

오른쪽 카를 슈바르츠실트(1873년 10월 9일 ~ 1916년 5월 11일)는 독일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카를 슈바르츠실트 · 더보기 »

캄란 바파

바파(1960년, 테헤란 -) 는 이란계 미국인 물리학자.

새로운!!: 블랙홀와 캄란 바파 · 더보기 »

커 계량

량(Kerr計量)은 회전하는 블랙홀을 나타내는,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새로운!!: 블랙홀와 커 계량 · 더보기 »

커 블랙홀

블랙홀(Kerr Black Hole) 또는 회전 블랙홀(Rotating black hole)은 회전하고 있는 블랙홀을 말. 블랙홀이 갖는 물리량은 질량, 각운동량, 전하 세. 보통 블랙홀을 말할 때는 질량만을 갖는 슈바르츠실트 블랙홀을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나, 각운동량을 가진, 즉 회전하는 블랙홀이 존재하며 이것을 회전 블랙홀이라 칭. 또한 전하를 가진, 즉 대전된 블랙홀을 대전 블랙홀(라이스너-노드스톰 블랙홀)이라 부른.

새로운!!: 블랙홀와 커 블랙홀 · 더보기 »

커-뉴먼 계량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커-뉴먼 계량(Kerr–Newman metric)은 아인슈타인 방정식의 해의.

새로운!!: 블랙홀와 커-뉴먼 계량 · 더보기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출판 사업을 다루는 출판사이.

새로운!!: 블랙홀와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더보기 »

쿼크

(quark)는 경입자와 더불어 물질을 이루는 가장 근본적인 입자.

새로운!!: 블랙홀와 쿼크 · 더보기 »

쿼크별

별()은 별난 별(exotic star)의 일종이며 가설로 존재하는 천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쿼크별 · 더보기 »

쌍성

허블 우주망원경의 시리우스 사진. 시리우스 B(아래 왼쪽)를 구분할 수 있다.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

새로운!!: 블랙홀와 쌍성 · 더보기 »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스위스 쪽에서 본 연구소 건물 유럽 입자 물리학 연구소(-粒子物理學硏究所,, CERN)는 스위스 제네바와 프랑스 사이의 국경지대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입자 물리학 연구소이.

새로운!!: 블랙홀와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 더보기 »

파울리 배타 원리

울리 배타 원리() 는 1924년 볼프강 파울리가 제창한 양자 역학적 원리.

새로운!!: 블랙홀와 파울리 배타 원리 · 더보기 »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quantum field theory in curved spacetime)이란 입자물리학에서 민코프스키 공간 양자장론을 휘어진 공간으로 확장시킨 것이.

새로운!!: 블랙홀와 휘어진 시공간의 양자장론 · 더보기 »

상 (물리학)

물리학에서 상(相, phase)은 일정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균일한 물질계를 말. 물질의 상태 가운데 고체, 액체, 기체가 대표적이.

새로운!!: 블랙홀와 상 (물리학) · 더보기 »

태양질량

1)은 가장 좌측에 있지만, 화면을 확대해도 제대로 보기가 힘들 정도로 작다.(참고:이 그림은 현 수치의 비와 맞지 않음.이 글이 현 수치이다.) 태양질량()은 천문학에서 항성이나 은하의 질량을 표시할 때 기본이 되는 단위이.

새로운!!: 블랙홀와 태양질량 · 더보기 »

타우루스

우루스(Taurus), 토로스, 토러스는 다음을 가리.

새로운!!: 블랙홀와 타우루스 · 더보기 »

타원면

학에서, 타원면(楕圓面)은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를 으깬 모양의 곡면이.

새로운!!: 블랙홀와 타원면 · 더보기 »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1910년 10월 19일 ~ 1995년 8월 21일)는 인도 태생 미국인 천체물리학자, 수학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 · 더보기 »

온도

몰바이데 투영 도법에서의 월간 지표면 기온을 나타낸 세계 지도. 온도(溫度)는 물질의 뜨겁고 찬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

새로운!!: 블랙홀와 온도 · 더보기 »

호킹 복사

물리학에서, 호킹 복사(Hawking輻射) 또는 베켄슈타인-호킹 복사(Bekenstein-Hawking radiation)는 양자역학적 효과로 인해 블랙홀이 방출하는 열복사.

새로운!!: 블랙홀와 호킹 복사 · 더보기 »

양자 중력

양자중력(量子重力, quantum gravity) 이론은 중력을 양자론적으로 기술하는 물리학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양자 중력 · 더보기 »

양자장론

물리학에서, 양자장론(量子場論) 혹은 양자 마당 이론은 장을 기술하는 양자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양자장론 · 더보기 »

양자수

양자수(量子數, quantum number)는 양자계를 묘사하기 위해 쓰이는 수. 양자화되어, 대개 정수거나 반정수(half-integer).

새로운!!: 블랙홀와 양자수 · 더보기 »

양자역학

양자역학(量子力學)은 분자, 원자, 전자, 소립자와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작은 크기를 갖는 계의 현상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

새로운!!: 블랙홀와 양자역학 · 더보기 »

행성상성운

고양이 눈 성운의 엑스선 및 가시광선 합성 사진. 행성상성운(行星狀星雲,; PN; 복수형 PNe)은 발광성운의 일종으로, 늙은 적색거성의 외피층이 팽창하여 형성된 전리 기체들로 이루어져 있.Frankowski & Soker 2009, pp.

새로운!!: 블랙홀와 행성상성운 · 더보기 »

에너지 조건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에너지 조건(energy條件)은 물리적으로 "현실적인" 시공간의 리치 곡률이 만족시켜야 한다고 가정할 수 있는 여러 조건 가운데 하나이.

새로운!!: 블랙홀와 에너지 조건 · 더보기 »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헤라르뒤스 엇호프트(1946년 7월 5일 ~) 또는 헤라르트 엇호프트()는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학교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더보기 »

헨리 캐번디시

헨리 캐번디시 헨리 캐번디시(Henry Cavendish, FRS, 1731년 10월 10일~1810년 2월 24일)는 영국의 화학자이자 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헨리 캐번디시 · 더보기 »

헨드릭 로런츠

헨드릭 안톤 로런츠(Hendrik Antoon Lorentz, 1853년 7월 18일 ~ 1928년 2월 4일)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헨드릭 로런츠 · 더보기 »

열복사

열복사(熱輻射, thermal radiation)는 열이 전자기파의 형태로 운반되거나 물체가 전자파를 방출하는 현상을 말. 열을 전달하는 방법은 크게 분류해서 다음의 두가지가 있.

새로운!!: 블랙홀와 열복사 · 더보기 »

열역학 법칙

열역학 법칙은 열역학적 과정에서 열과 일에 관한 법칙이.

새로운!!: 블랙홀와 열역학 법칙 · 더보기 »

열역학 제1법칙

열역학 제1법칙(The first law of thermodynamics)은 보다 일반화된 에너지 보존법칙의 표현이다: "어떤 계의 내부 에너지의 증가량은 계에 더해진 열 에너지에서 계가 외부에 해준 일을 뺀 양과 같." 열의 이동에 따라 계 내부의 에너지가 변하는데 이때 열에너지 또한 변. 이 에너지는 계 내부의 원자·분자의 역학적 에너지 등을 일컫. 일반적으로, 어떤 체계에 외부로부터 어떤 에너지가 가해지면 그만큼 체계의 에너지가 증.  이와 같이, 물체에 열을 가하면 그 물체의 내부 에너지가 가해진 열 에너지만큼 증. 또한 물체에 역학적인 일이 더해져도 역시 내부 에너지는 더해진 일의 양만큼 증. 따라서 물체에 열과 일이 동시에 가해졌을 때 물체의 내부 에너지는 가해진 열과 일의 양만큼 증. 이것을 열역학의 제1법칙이.

새로운!!: 블랙홀와 열역학 제1법칙 · 더보기 »

열역학 제2법칙

물리학에서 열역학 제2법칙(second law of thermodynamics)은 열적으로 고립된 계의 총 엔트로피가 감소하지 않는다는 법칙이.

새로운!!: 블랙홀와 열역학 제2법칙 · 더보기 »

엑스선

이 찍은 그의 부인 손의 엑스선 사진 (반지 포함) 엑스선(-線)는 파장이 10 ~ 0.01 나노미터이며, 주파수는 30 × 1015헤르츠에서 30 × 1018헤르츠 사이인 전자.

새로운!!: 블랙홀와 엑스선 · 더보기 »

엑스선 쌍성

X선 쌍성(X-ray binary), X선 동반성은 X선에서 빛나는 쌍성의 등급이.

새로운!!: 블랙홀와 엑스선 쌍성 · 더보기 »

엔트로피

얼음이 녹으면 엔트로피가 증가한다. 엔트로피()는 열역학적 계의 유용하지 않은 (일로 변환할 수 없는) 에너지의 흐름을 설명할 때 이용되는 상태 함수.

새로운!!: 블랙홀와 엔트로피 · 더보기 »

표면중력

물리학에서, 표면 중력(表面重力)은 주어진 물체의 표면에서의 중력장의 세.

새로운!!: 블랙홀와 표면중력 · 더보기 »

표준 모형

소립자 물리학의 표준 모형(標準模型)은 자연계의 기본 입자와, 중력을 제외한 그 상호작용 (강한 상호작용, 약한 상호작용, 전자기 상호작용)을 다루는 게이지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표준 모형 · 더보기 »

사건의 지평선

사건의 지평선(事件 ── 地平線)이란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그 내부에서 일어난 사건이 그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경계면이.

새로운!!: 블랙홀와 사건의 지평선 · 더보기 »

킵 손

킵 손(2007년) 킵 스티븐 손(1940년 6월 1일 ~)은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킵 손 · 더보기 »

피지컬 리뷰

《피지컬 리뷰》(Physical Review, Phys. Rev.)는 미국의 과학 학술잡지로 물리학 모든 분야에 관한 연구 논문을.

새로운!!: 블랙홀와 피지컬 리뷰 · 더보기 »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1749년 3월 23일~1827년 3월 5일)은 프랑스의 수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피에르시몽 드 라플라스 후작 · 더보기 »

플랑크 단위계

랑크 단위계는 물리학의 측정의 단위이며 아래에 나열된 다섯 개의 보편적 물리 상수들을 통해서 정의.

새로운!!: 블랙홀와 플랑크 단위계 · 더보기 »

플랑크 질량

물리학에서, 플랑크 질량()은 질량에 대한 플랑크 단위.

새로운!!: 블랙홀와 플랑크 질량 · 더보기 »

플랑크 상수

랑크 상수(Planck常數, Planck constant, 기호 h)는 입자의 에너지와 드브로이 진동수의 비 (h.

새로운!!: 블랙홀와 플랑크 상수 · 더보기 »

선대칭

칭축이 그려진 도형. 대칭축이 없는 도형은 선대칭이 아니다 선대칭(線對稱)은 어떤 도형을 한 직선을 중심으로 대칭시켰을 때 겹쳐지는 것을 말. 즉, 어떤 도형이 한 직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이라는 것은 이 직선을 접는선으로 하여 접었을 때 완전히 겹쳐진다는 것을 뜻. 데칼코마니는 선대칭의 일종이.

새로운!!: 블랙홀와 선대칭 · 더보기 »

세계선

물리학에서 세계선(世界線, worldline)은 점입자가 시간에 따라 움직이면서 남기는 시공간 속의 궤적으로, 러시아의 물리학자 헤르만 민코프스키가 도입하여 상대성 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새로운!!: 블랙홀와 세계선 · 더보기 »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물리학과 화학에서는 자연계의 물리적 성질을 세기 성질(intensive property)과 크기 성질(extensive property)로 구분.

새로운!!: 블랙홀와 세기 성질과 크기 성질 · 더보기 »

털없음 정리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 털없음 정리(-定理) 또는 무모 정리(無毛定理)란 블랙홀의 모든 특성은 질량, 전하, 각운동량에 의해서만 결정된다는 이론이.

새로운!!: 블랙홀와 털없음 정리 · 더보기 »

솜브레로 은하

솜브레로 은하(Sombrero Galaxy) 또는 메시에 104(M104), NGC 4594는 처녀자리에 위치한 정상나선은하로, 지구에서 2천 8백만 광년 떨어져 있. 은하핵이 상당히 밝으며, 팽대부가 이례적으로 크고, 기울어진 원반의 먼지 띠가 매우 두드러져 있. 시커먼 먼지와 커다란 팽대부 때문에 솜브레로처럼 보여서 이런 이름이 붙었.

새로운!!: 블랙홀와 솜브레로 은하 · 더보기 »

통계역학

통계역학(統計力學) 또는 통계물리학(統計物理學)은 통계학의 방법을 이용하여 역학의 문제를 푸는 물리학의 기초 이론 중. 통계역학은 입자가 무척 많거나, 대상의 운동이 무척 복잡하여 확률적 해석이 중요해지는 현상을 주로 다루며, 핵반응 현상이나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 적용.

새로운!!: 블랙홀와 통계역학 · 더보기 »

앞선입자

물리학에서 앞선 입자 또는 프리온(preon)은 현재 기본입자로 알려진 쿼크, 렙톤, 무게 있는 게이지 보존을 기본입자가 아닌 결합체로 볼 때, 이를 구성하는 가상의 입자를 일컫.

새로운!!: 블랙홀와 앞선입자 · 더보기 »

할아버지 역설

아버지 역설이란 시간여행이 가능해질 때 생길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이.

새로운!!: 블랙홀와 할아버지 역설 · 더보기 »

앤드루 스트로민저

앤드루 이벤 스트로민저(Andrew Eben Strominger, 1955&ndash)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앤드루 스트로민저 · 더보기 »

항성

이다. 항성(恒星) 또는 붙박이별은 막대한 양의 플라스마(전리된 기체)가 중력으로 뭉쳐서 밝게 빛나는 구(球)형 천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항성 · 더보기 »

항성 형성

항성 형성이란 분자 구름의 조밀한 부분이 플라스마로 뭉쳐있는 구(球)의 형태로 붕괴되어 항성으로 변하는 과정이.

새로운!!: 블랙홀와 항성 형성 · 더보기 »

항성 핵합성

항성 핵합성(Stellar nucleosynthesis)은 항성 내부에서 무거운 원소의 원자핵을 형성하는 반응을 총칭하는 말이.

새로운!!: 블랙홀와 항성 핵합성 · 더보기 »

항성질량 블랙홀

항성질량 블랙홀(stellar-mass black hole)은 무거운 별의 마지막 일생에서 중력붕괴로 인해 생성된 블랙홀이.

새로운!!: 블랙홀와 항성질량 블랙홀 · 더보기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확인.

새로운!!: 블랙홀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 더보기 »

한국천문학회

국천문학회(韓國天文學會)는 사회일반의 이익에 공여하기 위하여 공익법인의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천문학의 발전과 그 응용·보급에 기여하고 나아가 과학의 발전에 이바지할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학술단체로, 1965년 3월 21일에 설립되었.

새로운!!: 블랙홀와 한국천문학회 · 더보기 »

안드로메다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_는 지구로부터 약 780 킬로파섹(250만 광년) 떨어져 있는 나선은하이다. 이는 우리은하로부터 가장 가까운 큰 은하(major galaxy)이며, 메시에 31(M31) 또는 NGC 224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옛 문헌에서는 종종 안드로메다자리 대성운(Andromeda大星雲)으로 표현되었다. 은하의 명칭은 은하가 보이는 별자리, 즉 안드로메다자리의 명칭을 따서 붙여졌다. 여기서 안드로메다자리는 그리스 신화의 안드로메다 공주의 이름을 따 붙여진 별자리이다. 폭이 대략 22만 광년인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 은하 및 삼각형자리 은하와 대략 44개의 작은 은하들을 포함하는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큰 은하이다. 초기의 탐사들은 우리은하가 더 많은 암흑물질을 포함하며 국부은하군에서 가장 클 것이라고 시사하였지만, 2006년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관측들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2,000~4,000억 개의 별들을 포함할 것으로 추정되는 우리은하의 적어도 두 배에 해당하는, 1조 개의 별들을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의 질량이 8.5 × 1011 태양질량으로 추정되는 데 비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은 1.5 × 1012 태양질량으로 추정된다. 2006년의 연구가 우리은하의 질량이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의 ~80%임을 제시하였지만, 2009년의 연구에서는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의 질량이 거의 같음을 보여주었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는 37억 5천만 년 후에 충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그 결과 서로 병합하여 거대타원은하 또는 거대 원반은하를 형성할 것이다. 안드로메다 은하의 겉보기 등급은 3.4등급으로 메시에 천체 중에서 가장 밝다. 때문에 광공해가 적은 지역에서 달이 없는 밤에 맨눈으로 보일 정도이다. 그러나 큰 망원경을 통해 촬영되는 안드로메다 은하의 모습(시직경)이 보름달보다 여섯배나 크기 때문에 표면밝기 문제로 인해 오로지 밝은 중심 영역만이 맨눈이나 쌍안경, 작은 천체망원경을 통해 보인다. 그래서 은하는 실제로 별과 유사한 모습으로 보인다.

새로운!!: 블랙홀와 안드로메다 은하 · 더보기 »

아인슈타인 방정식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나타내는 1979년 스위스 5프랑 기념 주화. 물질과 우주 상수가 없을 경우의 아인슈타인 방정식 R_\mu\nu.

새로운!!: 블랙홀와 아인슈타인 방정식 · 더보기 »

아서 스탠리 에딩턴

아서 스탠리 에딩턴 경(OM, FRS, 1882년 12월 28일~1944년 11월 22일)은 영국의 천문학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아서 스탠리 에딩턴 · 더보기 »

압력

쇄된 용기 안에서 입자 충돌에 의해 압력이 확장되고 있다. 압력(壓力)은 단위 면적당 가해지는 물량이.

새로운!!: 블랙홀와 압력 · 더보기 »

시간 역전 대칭

물리학에서, 시간 역전 대칭(時間逆轉對稱, time-reversal symmetry) 또는 T-대칭(T-symmetry)이란 시간을 거꾸로 흐르게 하는 변환에 대한 물리 법칙의 대칭성이.

새로운!!: 블랙홀와 시간 역전 대칭 · 더보기 »

시간의 역사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는 스티븐 호킹에 의해 쓰여진 저명한 과학책으로 1988년 벤탐 델 출판사에 의해 출판된 책이.

새로운!!: 블랙홀와 시간의 역사 · 더보기 »

시공간

시공간(時空間, spacetime) 혹은 시공(時空)이란 3차원 공간과 1차원 시간을 하나의 구조로 묶은 4차원 모델로, 상대성이론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는 개념이.

새로운!!: 블랙홀와 시공간 · 더보기 »

시험입자

시험입자(試驗粒子, test particle)는 이론물리학에서 그 물리적 성질(예컨대 질량, 전하, 크기 등)들 중 연구대상인 성질을 제외한 나머지 것들은 무시할 수 있는 이상적 입자이.

새로운!!: 블랙홀와 시험입자 · 더보기 »

틀 끌림

림(frame-dragging)은 일반 상대성 이론이 예측하는 현상으로써 질량이 매우 큰 물체가 회전하면 발생하는 중력 효과로 주변의 시공간도 따라서 회전한다는 것이.

새로운!!: 블랙홀와 틀 끌림 · 더보기 »

원시 블랙홀

원시 블랙홀()은 별의 중력적인 붕괴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니라 우주가 초기 팽창하는 동안 존재하던 물질의 밀도가 극에 달하여 형성된 블랙홀의 한 가설이.

새로운!!: 블랙홀와 원시 블랙홀 · 더보기 »

웜홀

웜홀(wormhole)은 우주 공간에서 블랙홀(black hole)과 화이트홀(white hole)을 연결하는 통로를 의미하는 가상의 개념이.

새로운!!: 블랙홀와 웜홀 · 더보기 »

퀘이사

현재까지 발견된 퀘이사 중 가장 멀리 있는 ULAS J1120+0641의 상상도. 이 퀘이사는 태양의 20억 배 질량의 블랙홀에 의해 그 에너지를 얻고 있다. http://www.eso.org/public/news/eso1122/ "Most Distant Quasar Found". ''ESO Science Release''. Retrieved 4 July 2011. 퀘이사(Quasi-stellar Object, 준항성체)는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집어삼키는 에너지에 의해 형성되는 거대 발광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퀘이사 · 더보기 »

활동은하핵

제트의 모습. 활동은하핵(活動銀河核, active galactic nucleus; AGN)은 전자기 스펙트럼의 일부, 또는 모든 대역에서 보통 이상의 광도를 내는 은하의 중심에 존재하는 컴팩트한 영역이.

새로운!!: 블랙홀와 활동은하핵 · 더보기 »

화이트홀

화이트홀(화이트홀은 블랙홀의 이론적 반대현상으로서, 오로지 이론상으로만 존재한다. 천체물리학에서 화이트홀은 블랙홀의 시간적 반전을 의미한다. 블랙홀이 사건 지평선을 지나는 그 어떠한 것이라도 다 빨아들이는 진공청소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반면, 화이트홀은 자신의 사상의 지평선으로부터 물체를 뱉어내는 원천으로써 행동한다. 가속의 징후는 시간의 반전 아래 변하지 않으므로 블랙홀과 화이트홀 모두 물체를 끌어당긴다. 이 둘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지평선상에서의 행동이다. 화이트홀은 웜홀(아인슈타인-로젠의 다리) 때문에 블랙홀의 반대개념으로 생겨난 이론상의 천체이다. 블랙홀이 물질을 집어삼키면 웜홀을 통해 반대편으로 나와야 한다는 생각에서 생겨난 것이 화이트홀이다.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은 오로지 물체를 빨아들이기만 한다. 반면 화이트홀의 사건의 지평선은 빛의 속도로 접근하는 그 어떠한 물체로부터도 표면상으로 멀어져서 침입하는 그 어떠한 물체도 결코 가로지르지 못한다. 그 후 그 침입하는 물체는 화이트홀이 죽을 때 분산되고 재방사된다. 하지만 화이트홀은 블랙홀 자체가 정보를 방출할 수 있다는 스티븐 호킹의 주장에 의해 힘을 잃었다. 스티븐 호킹은 블랙홀이 작을수록 정보 방출이 더 잘 일어난다고 주장하였다. 화이트홀의 수명은 매우 짧다.이론 상으로만 존재하지만 만약 태양만한 화이트홀이 있다면 그 수명은 1만분의 1초 밖에 되지 않는다. 만약에 미래에 누군가가 화이트홀을 발견하게 되더라도 그것은 어려운 일이다. 화이트홀은 존재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설이 있다.

새로운!!: 블랙홀와 화이트홀 · 더보기 »

확률

확률(確率)은 어떤 사건이 실제로 일어날 것인지 혹은 일어났는지에 대한 지식 혹은 믿음을 표현하는 방법이며 같은 원인에서 특정한 결과가 나타나는 비율을 뜻. 수학에서는 확률론에서 설명하고 있으며 수학, 통계학, 회계, 도박, 과학과 철학에서 어떤 잠재적 사건이 일어날 경우의 가능성과 이 가능성 안에 있는 복잡한 시스템의 구조에 대한 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

새로운!!: 블랙홀와 확률 · 더보기 »

왕립학회

자연 지식의 향상을 위한 런던 왕립학회(The Royal Society of London for the Improvement of Natural Knowledge)는 1660년 창립된 지식인 및 학자들의 모임이.

새로운!!: 블랙홀와 왕립학회 · 더보기 »

홀로그래피 원리

양자 중력과 끈 이론에서, 홀로그래피 원리 (holographic principle)는 공간의 부피에 대한 정보가 구역의 중력 지평선과 같은 빛꼴 경계에 집적되어 있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는 가설이.

새로운!!: 블랙홀와 홀로그래피 원리 · 더보기 »

와선

와선(渦線, 蝸線, 스파이럴)은 한 점을 중심으로 감기는 듯한 부드러운 곡선으로 원점을 중심으로 멀어지면서 회전하는 곡선이.

새로운!!: 블랙홀와 와선 · 더보기 »

M-시그마 관계

적 증가을 통해 명확하게 측정된 것이다. ''M–σ'' 관계는 청색으로 보인다. M-시그마 관계 또는 M-σ 관계는 은하 팽대부의 항성속도분산 σ와 그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의 질량 M 사이의 경험적인 관계이.

새로운!!: 블랙홀와 M-시그마 관계 · 더보기 »

NGC 4889

NGC 4889 (또는 콜드웰 35, 머리털자리 B)는 4형 초거대 타원은하이.

새로운!!: 블랙홀와 NGC 4889 · 더보기 »

OJ 287

OJ 287은 게자리 방향으로 지구에서 약 35억 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도마뱀자리 BL 천체로 질량이 태양의 약 180억 배에 이른.

새로운!!: 블랙홀와 OJ 287 · 더보기 »

Q별

Q 별(Q-Star) 또는 그레이 홀(gray hole)은 가설 상의 밀집성의 한 종류이며, 무거운 중성자와 함께 별난 상태의 물질로 이루어진 천체이.

새로운!!: 블랙홀와 Q별 · 더보기 »

S2 (항성)

S2(Source 2)또는 S0-2는 우리 은하 중심부에 있는 강력한 전파원 궁수자리 A*를 돌고 있는 항성이.

새로운!!: 블랙홀와 S2 (항성)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검은 구멍, 검은구멍, 블랙 홀, 초대 블랙홀.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