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벌 마크
유니온백과
통신
다운로드하기 Google Play
새로운! 안드로이드 ™에 유니온백과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비어 있는
브라우저보다 빠른!
 

비슈누파

색인 비슈누파

가루다를 타고 있는 비슈누와 락슈미 비슈누 신전 비슈누파()는 비슈누나 그의 아바타들, 특히 라마(Rama)와 크리슈나(Krishna)를 최고신(最高神) 또는 주신(主神)으로 숭배하는 힌두교 종파이.

36 처지: 도덕, 라마 (신화), 락슈미,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타 푸라나, 박티, 박티 요가, 베다, 법 (불교), 법 (인도철학), 법칙, 불교, 규범, 비슈누, 비슈누 푸라나, 스마르타파, 우주, 우파니샤드, 자연, 힌두 철학, 힌두교, 힌두교 종파, 크리슈나, 인도, 인도 서사시, 의무, 접미사, 샥티파, 영어, 푸라나, 산스크리트어, 서양, 한국어, 하느님, 아바타라, .

도덕

덕(道德, 영어 "Morality"는 라틴어moralitas에서 유래했다.), 곧 "예의범절, 성품, 예의바른 행동"(manner, character, proper behavior")은 덕과 악덕을 분간하는 것을 배우는 과정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도덕 · 더보기 »

라마 (신화)

마 라마의 즉위식 라마(Rāma) 또는 라마찬드라(Ramachandra)는 힌두교에서 비슈누신(Vishnu. 평화의 신 또는 보전하는 자)의 일곱 번째 화신(Avatar. 육체를 가지고 태어난 신)으로 여. 그리고 고대 인도 푸라나(Purana.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종교 문헌에서의 중요한 장르 중의 하나)에서는 아요디아(Ayodhya)의 왕으로 여. 그는 라구 왕 이후 라구 왕족(Raghuvnsha)으로 불린 태양 왕족(Suryavansha)에서 태어.

새로운!!: 비슈누파와 라마 (신화) · 더보기 »

락슈미

Raja Ravi Varma: 1848~1906) 작 락슈미()는 부(물질적영적) 번영빛지혜행운생식력관용용기의 힌두교 여신이며, 미은총매력의 전형 또는 화신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락슈미 · 더보기 »

바가바드 기타

바가바드 기타(Bhagavad Gītā)는 성스러운 신에 대한 기타(Gita:歌頌)라는 뜻이며, 기원전 4∼2·3세기경에 성립된 것으로 여. 신에 대한 신애(信愛)의 실천은 카스트나 남녀의 구별을 초월하여 모두 최고신의 은총을 받을 수 있다고 하여 정통적 브라만교 사상과 다른 입장을 표명하고 있. 그러나 그 열렬한 신애(信愛)의 정은 사상적 입장의 차이를 초월하여 브라만교가 이를 승인하기에 이르.

새로운!!: 비슈누파와 바가바드 기타 · 더보기 »

바가바타 푸라나

인드라가 내리는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폭풍우로부터 자신의 친구들을 보호하기 위해 크리슈나가 고바르단 산을 들어올리고 있다 (Bh. P. X.17) 《바가바타 푸라나(Bhāgavata Purāṇa)》는 비슈누 신의 아바타들에 대한 박티(헌신)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는 힌두교 경전으로 마하푸라나들 중의 하나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바가바타 푸라나 · 더보기 »

박티

박티 (भक्ति)는 헌신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 어 이. 바이슈나비즘에서 박티는 단지 비슈누, 크리슈나와 연관되어서만 사용.

새로운!!: 비슈누파와 박티 · 더보기 »

박티 요가

박티 요가(भक्ति योग, Bhakti Yoga)는 "신에 대한 충실한 헌신"을 불러일으키는 영적인 수행을 가리.

새로운!!: 비슈누파와 박티 요가 · 더보기 »

베다

베다베다서(Vedas), 베다 문헌(Vedic texts) 또는 베다 산스크리트 전집(Vedic Sanskrit corpus)은 모두 고대 인도를 기원으로 하는 대량의 신화적종교적철학적 성전이자 문헌들을 가리키는 낱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베다 · 더보기 »

법 (불교)

법(法)은 산스크리트어 다르마(Dharma)의 번역으로서, "지키는 것지지하는 것"이 원뜻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법 (불교) · 더보기 »

법 (인도철학)

법(法, Dharma)은 인도철학에서 산스크리트어 낱말 다르마(달마)로도 불리는 자연법으로, 인도철학과 종교에 중요한 개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법 (인도철학) · 더보기 »

법칙

법칙(法則)은 현상의 본질적인 구조를 명확하게 한 것을 뜻. 그것이 진리임은 의심할 여지도 없는 것이어야.

새로운!!: 비슈누파와 법칙 · 더보기 »

불교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는 기원전 6세기경 인도의 고타마 붓다(석가모니)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불교 · 더보기 »

규범

범(規範)은 선·악·미·추·진·위·유용·무용 등을 가치 평가할 경우, 또는 선·미·정(正)…인 것을 만들어낼 경우 규준(척도)으로 삼는 것을 뜻. 그럴 경우 특히 철학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진·선·미의 가치평가와 가치판단을 할 때의 규범인데, 이러한 규범을 다루는 학문(논리학·윤리학·미학)을 규범과학이라고 부르는 일도 있. 이러한 학(學)의 규범은 바로 인간이 지켜야 하는 규준(당위)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규범 · 더보기 »

비슈누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비슈누: 네 개의 팔을 가진 것으로 흔히 묘사된다 라마, 나라심하, (가운데에) 크리슈나 비슈누()는 커다란 금시조(金翅鳥)를 타고 다니며 악을 제거하고 정의의 회복을 유지하는 신으로서 힌두교의 3대 신의 하나로 평화의 신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비슈누 · 더보기 »

비슈누 푸라나

《비슈누 푸라나》 (Viṣṇu Purāṇa)는 힌두교의 경전들 중 하나로, 18 마하푸라나들 중의 하나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비슈누 푸라나 · 더보기 »

스마르타파

스마르타파()는 힌두교의 모든 주요한 신들이 브라만(Brahman)이 형상화된 존재들 또는 브라만의 여러 모습들이라고 믿는 힌두교 종파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스마르타파 · 더보기 »

우주

우주(宇宙)란 과학적으로 또는 철학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것의 총체라 정의 할 수도 있. 표준국어대사전은 무한한 시간과 만물을 포함하고 있는 끝없는 공간의 총체로 정의..

새로운!!: 비슈누파와 우주 · 더보기 »

우파니샤드

우파니샤드()는 힌두교의 이론적사상적 토대를 이루는 철학적 문헌들의 집성체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우파니샤드 · 더보기 »

자연

자연을 한자로 표기한 것 자연(自然)은 다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자연 · 더보기 »

힌두 철학

힌두 철학(Hindu philosophy) 또는 힌두교 철학은 여섯 정통 학파로 나뉘기 때문에 육파철학(六派哲學) 또는 인도 육파철학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힌두 철학 · 더보기 »

힌두교

'''옴(AUM)''': 힌두교에서 부르는 깨닫는 소리 힌두교()는 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종교로 인도를 비롯한 남아시아에서 널리 믿어지고 있는 종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힌두교 · 더보기 »

힌두교 종파

힌두교의 종파는 주로 숭배 대상인 주신(主神)에.

새로운!!: 비슈누파와 힌두교 종파 · 더보기 »

크리슈나

리슈나 크리슈나(Krishna)는 힌두교 서사시 마하바라타의 영웅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크리슈나 · 더보기 »

인도

인도 공화국()은 남아시아에 있는 나라로, 인도 아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 국가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로 넓으며, 인구는 약 13억 명으로 중화인민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 북쪽과, 북동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 북쪽으로는 네팔, 부탄, 서쪽에는 파키스탄, 동쪽으로는 미얀마와 방글라데시, 남동쪽에는 벵골 만, 남서쪽으로는 아라비아 해, 남쪽으로는 인도양와 맞닿아 있으며 스리랑카, 몰디브가 있으며,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의 해상경계는 태국, 인도네시아와 접해 있. 수도는 뉴델리이.주요 도시로는 뉴델리, 뭄바이, 첸나이,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콜카타등이 있. 고대 인더스 문명의 발상지이자 역사적인 무역로였으며 거대한 제국이 있었던 인도 아대륙은 오랫동안 그 지정학적 지위와 경제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왔.

새로운!!: 비슈누파와 인도 · 더보기 »

인도 서사시

인도 서사시(Indian epic poetry)는 인도 아대륙에서 성립된 서사시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인도 서사시 · 더보기 »

의무

의무(義務)란 사람으로서 해야 할 바를 가리.

새로운!!: 비슈누파와 의무 · 더보기 »

접미사

접미사(接尾辭, suffix)는 파생어(派生語, derivative)를 만드는 접사로, 어근(단어)의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접미사 · 더보기 »

샥티파

Tridevi)"로 표현되어 있다 샥티파(Śāktaṃ)는 힌두교의 신성한 어머니(Divine Mother)인 아디 파라샥티(Adi parashakti) 또는 샥티(Shakti) 또는 데비(Devi)를 절대적 또는 궁극적 신성으로 숭배하는 종파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샥티파 · 더보기 »

영어

영어(英語)는 영국의 잉글랜드에서 기원한 서게르만어군 언어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영어 · 더보기 »

푸라나

(purāṇa)는 고대 인도의 힌두교자이나교불교의 종교적인 문헌들의 중요한 한 장르를 가리.

새로운!!: 비슈누파와 푸라나 · 더보기 »

산스크리트어

산스크리트어(संस्कृता) 간칭 범어(梵語)는 인도의 고전어로, 힌두교대승불교자이나ㆍ교 경전의 언어이자 수많은 인도 제어의 고급 어휘의 근간을 구성하는 언어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산스크리트어 · 더보기 »

서양

서양(西洋)은 대체로 유럽과 북아메리카 등의 영미 문화권을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서양 · 더보기 »

한국어

국어의 세계 분포를 나타낸 그림. 한국어(韓國語) 또는 조선말(朝鮮말)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공용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라고 부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 중화인민공화국과 일본에서는 조선어(朝鮮語)라고 부르며, 러시아와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 사이에서는 고려말(高麗말)이라고 부른.

새로운!!: 비슈누파와 한국어 · 더보기 »

하느님

은 한국어에서 절대적인 존재(God)이신 신이 계신 위치, '하늘'과 '신자들 내적 마음' 중 '하늘'을 선택하여 가리키는 말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하느님 · 더보기 »

아바타라

아바타(Avatar) 또는 아바타라()는 신의 화신(神의 化身, incarnation of God or god)을 뜻하는 힌두교 용어 또는 교의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아바타라 · 더보기 »

신(神)은 신성하거나 성스러움으로 간주되는 자연적 혹은 초자연적 존재(a natural or supernatural being considered divine or sacred)이.

새로운!!: 비슈누파와 신 · 더보기 »

여기로 리디렉션합니다

바이슈나바, 바이슈나바 다르마, 바이슈나바 종파, 비슈누교, 비슈누교도, 비슈누교인.

나가는들어오는
이봐 요! 우리는 지금 Facebook에 있습니다! »